KR19990009184A - 자동화 장비의 팔레트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화 장비의 팔레트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9184A
KR19990009184A KR1019970031497A KR19970031497A KR19990009184A KR 19990009184 A KR19990009184 A KR 19990009184A KR 1019970031497 A KR1019970031497 A KR 1019970031497A KR 19970031497 A KR19970031497 A KR 19970031497A KR 19990009184 A KR19990009184 A KR 19990009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automation equipment
sensing means
present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1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1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9184A/ko
Publication of KR19990009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184A/ko

Links

Landscapes

  • Automatic Assembly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레트를 정위치에 신속하게 고정함으로써 자동화 장비의 위치 결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자동화 장비의 팔레트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제품이 적재된 팔레트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싱수단과, 상기 센싱수단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읽어들이는 제어부와, 컨베이어 벨트가 구동되는 일측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타측 프레임에 팔레트를 압착시키는 푸셔 실린더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화 장비의 팔레트를 정위치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화 장비의 팔레트 고정 장치
본 발명은 자동화 장비의 팔레트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팔레트를 정위치에 신속하게 고정함으로써 자동화 장비의 위치 결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자동화 장비의 팔레트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화 설비에서 제품을 각 공정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식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즉 컨베이어 벨트(1)의 구동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1)의 상면에 각 제품(2)이 탑재된 팔레트(pallet)(3)가 각 공정위치로 이동되고, 이와 같이 이동된 팔레트(3)는 작업시간만큼 작업자의 위치에서 정지상태로 있도록 하여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 4는 프레임이다.
이와 같이 제품(2)이 탑재된 팔레트(3)를 작업 위치에서 일정 시간동안 정지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종래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팔레트 고정 장치가 사용되었다.
즉, 종래에는 팔레트가 작업위치에 도달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승강실린더(5)로 신호를 전달하여 팔레트(3)의 하측에서 실린더(5)가 승강부재(6)를 상승시킴으로써 컨베이어 벨트(1)는 계속해서 이동되는 상태에서 팔레트(3)만이 승강부재(6)에 의해 공중에 들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팔레트(3)를 작업자의 위치에서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방법은 이동되는 팔레트(3)를 고정시킨 후에 다시 상승시켜야 하므로 그러한 공정 자체가 또 하나의 공정이 되어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아 설비의 원가가 비싸다는 결함이 있다.
그리고 장치의 결함이 있는 경우에는 일일이 작업자가 팔레트를 들어올려야 하기 때문에 작업손실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여러가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제품이 얹혀지는 팔레트를 간편하게 작업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한 자동화 장비의 팔레트 고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화 장비의 라인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팔레트 고정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팔레트 고정 장치가 구비된 자동화 장비의 라인도을 보인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팔레트 고정 장치가 구비된 자동화 장비의 측면도로서,
도 4는 작동 전의 상태도,
도 5는 작동 후의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컨베이어 벨트 12 ; 조립 제품
13 ; 팔레트 14,14' ; 프레임
15 ; 푸셔실린더 15a ; 큐션
16 ; 스토퍼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동화 장비의 팔레트 고정 장치는 제품이 적재된 팔레트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싱수단과, 상기 센싱수단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읽어들이는 제어부와, 컨베이어 벨트가 구동되는 일측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타측 프레임에 팔레트를 압착시키는 푸셔 실린더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싱수단은 리미트 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싱수단은 광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화 장비의 팔레트를 정위치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팔레트 고정 장치가 구비된 자동화 장비의 라인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팔레트 고정 장치가 구비된 자동화 설비의 측면도로서, 도 4는 작동 전의 상태도이고, 도 5는 작동 후의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는 컨베이어 벨트(11)가 이동되는 일측 프레임(14)에 푸셔 실린더(15)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퓨셔 실린더(15)가 설치되는 작업위치에서 팔레트(12)가 이동되어지는 컨베이어 벨트(11)의 선단부에는 스토퍼(16)가 설치되고, 후단부에는 리미트 스위치(17)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리미트 스위치(17) 대신에 광센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푸셔 실린더(15)는 프레임(14)에 고정되는 실린더 브라켓트(18)에 고정되어 있으며, 퓨셔 실린더(15)의 선단부에는 우레탄 재질의 큐션(15a)이 구비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12는 제품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 장비의 팔레트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품(12)이 탑재된 팔레트(13)가 작업자의 위치에 도착되면, 리미트 스위치(17)가 팔레트(13)의 진입신호를 제어부(PLC; Programing Logic Controller)로 보내며, 이에 따라 스토퍼(16)가 상승되어 팔레트(13)의 후진을 규제하게 되며, 동시에 푸셔 실린더(15)가 작동되어 컨베이어 밸트(11) 위의 팔레트(13)는 실린더(15)에 의해 강력한 힘으로 밀리게 됨으로써 푸셔 실린더의 큐션(15a)와 맞은편 프레임(14') 사이에 압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푸셔 실린더(15)와 프레임(14') 사이에 압착된 팔레트(13)는 회전되는 컨베이어 벨트(11)와 미미한 상태로 접촉되지만 거의 공중에 들려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조립 작업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작업이 완료되면 푸셔 실린더(15)를 후진시켜 팔레트(13)가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이동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 장비의 팔레트 고정 장치는 각 공정별로 무인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각 공정마다 정위치에서 작업이 실시되는 제품의 생산라인에 직접 적용되도록 한 것으로, 구조가 간소하고, 설치공간이 적으며, 설치도 용이하여 설비 원가를 현저하게 줄일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팔레트가 고정되는 시간은 매우 짧기 때문에 종래 상측으로 들어올려 고정되는 방식에 비하여 택 타임(Tact Time)이 2.5 내지 3초 가량 단축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제품이 적재된 팔레트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싱수단과,
    상기 센싱수단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읽어들이는 제어부와,
    컨베이어 벨트가 구동되는 일측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타측 프레임에 팔레트를 압착시키는 푸셔 실린더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장비의 팔레트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수단은 리미트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장비의 팔레트 고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수단은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장비의 팔레트 고정 장치.
KR1019970031497A 1997-07-08 1997-07-08 자동화 장비의 팔레트 고정 장치 KR199900091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1497A KR19990009184A (ko) 1997-07-08 1997-07-08 자동화 장비의 팔레트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1497A KR19990009184A (ko) 1997-07-08 1997-07-08 자동화 장비의 팔레트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184A true KR19990009184A (ko) 1999-02-05

Family

ID=66039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1497A KR19990009184A (ko) 1997-07-08 1997-07-08 자동화 장비의 팔레트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91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174B1 (ko) * 2013-05-27 2014-12-05 주식회사 디엔피코퍼레이션 인쇄회로기판 원자재 자동 처리 장치
CN109618503A (zh) * 2018-02-11 2019-04-12 深圳市艾贝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机摄像头模组焊接自动固定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174B1 (ko) * 2013-05-27 2014-12-05 주식회사 디엔피코퍼레이션 인쇄회로기판 원자재 자동 처리 장치
CN109618503A (zh) * 2018-02-11 2019-04-12 深圳市艾贝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机摄像头模组焊接自动固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9755B1 (ko) 물품파지장치
EP1820719B1 (en) Molding installation method and device
US595922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belt tension of a belt drive
US4896014A (en) Method of automatically grinding an electrode for spot welding use and apparatus for effecting said method
KR19990009184A (ko) 자동화 장비의 팔레트 고정 장치
KR20040102290A (ko) 실린더 헤드 누수시험용 플러그 검출장치
US5930978A (en) Apparatus for packing produc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233807B1 (ko) Tv조립용 간이형 crt자동 삽입장치 및 그 방법
KR100369146B1 (ko) 차량의 캠 캡 조립 제어장치 및 방법
CN216816751U (zh) 新一代数字化智能元器件检测装置
KR100761197B1 (ko) 역수직 선반에서의 공작물 밀착장치
JP3764559B2 (ja) プレス装置における型脱着段取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40058865A (ko) 자동 턴 테이블 장치
KR19980032199U (ko) 태그 부착 장치
KR0171133B1 (ko) 가공물 이송시스템의 불량품 배출장치
KR100268464B1 (ko) 콘베이어 이송 공정품용 신호 자동단속 장치
KR950005794Y1 (ko) 이종(異種) 공작물용 로타리 피이더(Rotary feeder)장치
KR100198402B1 (ko) 팔레트 자동 이송장치
KR100330906B1 (ko) 평유리 파손유무 판별장치
KR100241389B1 (ko) 커넥팅 로드용 측정설비의 로딩 위치 제어장치
KR100213169B1 (ko) 소재 선별장치
CN115826536A (zh) 基于mes的生产线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200150950Y1 (ko) 세트 포장 이재장치
KR20040065050A (ko) 다축 나사 체결기
KR19990000278A (ko) 물류공급장치 및 물류공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