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9004A -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9004A
KR19990009004A KR1019970031257A KR19970031257A KR19990009004A KR 19990009004 A KR19990009004 A KR 19990009004A KR 1019970031257 A KR1019970031257 A KR 1019970031257A KR 19970031257 A KR19970031257 A KR 19970031257A KR 19990009004 A KR19990009004 A KR 19990009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electric field
display device
transverse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1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2329B1 (ko
Inventor
함용성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31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329B1/ko
Priority to US09/110,961 priority patent/US6184961B1/en
Publication of KR19990009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004A/ko
Priority to US09/729,083 priority patent/US646629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329B1/ko
Priority to US10/108,429 priority patent/US6853429B2/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6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 field parallel to the substrate, i.e. in-plane switching [I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07Structures for producing distorted electric fields, e.g. bumps, protrusions, recesses, slits in pixel 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11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organic films, e.g. polymeric films
    • G02F1/133723Polyimide, polyamide-im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53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with different alignment orientations or pretilt angles on a same surface, e.g. for grey scale or improved viewing ang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Geome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는 시야각특성을 향상시키고 색변환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화소를 분할하여 각 화소에 서로 다른 배향방향을 부여하거나, 서로 인접하는 화소의 배향방향을 다르게 하여 화소 내에서 액정분자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하거나 서로 인접하는 화소의 액정분자의 회전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하여 시야각특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색변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

Description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소 내의 액정분자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서로 인접하는 화소의 액정분자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시야각특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시야각방향에 따른 색변환을 방지하여 화질을 향상시킨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텔레비젼이나 노트북 컴퓨터에 많이 사용되는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TFT LCD)에서 대면적화가 강력하게 요구되고 있지만, 상기한 TFT LCD에는 시야각에 따라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io)가 변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보상판이 장착된 트위스트네마틱(twisted nematic) 액정표시장치, 멀티도메인(multi-domain) 액정표시장치 등과 같은 여러가지 액정표시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여러가지 액정표시장치로는 시야각에 따라 콘트라스트비가 저하되고 색상이 변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힘든 실정이다.
광시야각을 실현하기 위해 제안되는 다른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인 횡전계방식(in plane switching mode)의 액정표시장치가 JAPAN DISPLAY 92 P547, 일본특허 특개평 7-36058, 일본특허 특개평 7-225538, ASIA DISPALY 95 P707 등에 제안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종래의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의 개략도 및 광학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전극(8)과 공통전극(9)은 x축(게이트배선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θEL=90°의 각도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두전극(8, 9) 사이에서 발생하는 횡전계의 방향(θE)은 θE=180°가 된다. 배향막에는 배향처리공정에 의해 90°<θR<180°의 배향방향(θR)이 결정된다. 도면에서 θsw는 전극(8, 9) 사이의 횡전계에 의한 액정분자의 회전방향을 나타낸다.
전압의 무인가시 액정분자(35)는 배향막의 배향규제력(anchoring energy)에 의해 배향방향(θR)을 따라 배열된다. 전극(8, 9)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극(8, 9) 사이에 상기한 전극(8, 9)의 연장방향(θEL)과 수직한 θE=180°방향의 횡전계가 발생하여 액정분자(35)가 상기한 횡전계를 따라 배열된다. 즉, 전압의 인가에 의해 액정분자(35)가 θR에서 θE로 |θrot| 만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면에서, 점선은 전압의 미인가시의 액정분자를 나타내고 실선은 전압인가시의 액정분자를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전압인가시 액정분자(35)가 시계반대방향으로 |θsw| 만큼 회전하기 때문에,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분자의 복굴절률에 의한 계조반전영역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X와 Y의 시야각방향에서 각각 파란색(blue)과 노란색(yellow)으로의 색변환이 발생하기 때문에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색좌표에서의 흰색의 색변환이 크게 되어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화소 내의 각 도메인의 액정분자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서로 인접하는 화소 내의 액정분자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시야각특성이 향상된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정분자의 배향에 의한 색변환을 보정하여 화질이 향상된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는 제1기판 및 제2기판과, 상기한 제1기판에 종횡으로 배열되어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과, 상기한 게이트배선과 데이터배선의 교차점에 배치된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한 화소영역에 형성되어 인접화소와 반대방향의 횡전계를 인가하는 적어도 한쌍의 전극과, 상기한 제1기판 전체에 걸쳐서 도포되며 제1도메인과 제2도메인으로 분할되어 각 도메인에 각각 θR1과 θR2의 배향방향이 결정된 제1배향막과, 상기한 제2기판에 형성되어 게이트배선, 데이터배선 및 박막트랜지스터 영역으로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층과, 상기한 차광층 위에 형성된 컬러필터층과, 상기한 제2기판 전체에 걸쳐서 도포된 제2배향막과, 상기한 제1기판 및 제2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으로 구성된다. 화소내에 배치된 한쌍의 전극은 공통전극과 데이터전극으로 구성되며, 제1도메인과 제2도메인은 각각 θR1=135°및 θR2=45°의 각도, 즉 전극의 연장방향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향되기 때문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액정분자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화소를 복수의 도메인으로 분할하는 대신에, 서로 인접하는 화소의 배향방향을 전극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대칭으로 결정하여 인접 화소의 액정분자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배향막과 제2배향막은 폴리이미드 혹은 폴리실록산계 물질이나 PVCN계 물질과 같은 광반응성 물질로 이루어져 러빙 또는 광의 조사에 의해 배향방향이 결정된다.
도 1은, 종래의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의 광학축방향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서 액정분자의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의 광학축방향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서 액정분자의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각각 종래의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및 본 발명의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의 시야각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각각 종래의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및 본 발명에 따른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의 색변환을 나타내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 게이트전극 6 : 소스/드레인전극
8 : 데이터전극 9 : 공통전극
10 : 제1기판 11 : 제2기판
12 : 게이트절연막 15 : 반도체층
16 : 오믹콘택층 28 : 블랙매트릭스
29 : 컬러필터층 30 : 액정층
35, 36 : 액정분자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실제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n개의 게이트배선과 m개의 데이터배선에 의해 정의된 n×m개의 화소로 구성되어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한 화소만을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기판(10) 위의 게이트배선(1)과 데이터배선(2)의 교차점에는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고 화소영역에는 데이터전극(8)과 공통전극(9)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위에 게이트절연막(12)이 적층되어 있다.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5)은 게이트배선(1) 및 공통전극(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소스/드레인전극(6)은 데이터배선(2) 및 데이터전극(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한 게이트전극(5)과 소스/드레인전극(6) 사이에는 반도체층(15) 및 오믹콘택층(16)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전극(5)과 공통전극(9)은 스퍼터링(sputtering) 방법으로 적층된 Al, MO, Ta 또는 Al합금 등으로 이루어진 금속층을 포토에칭(photoetching) 방법으로 형성하며, 게이트절연막(12)은 SiOx나 SiNx 등을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방법으로 제1기판(10) 전체에 걸쳐서 적층하여 형성한다. 반도체층(15)은 비정질실리콘(a-Si) 등을 적층하고 에칭하여 형성하며, 오믹콘택층(16)은 n+a-Si 등을 상기한 반도체층(15) 위에 적층하거나 n+이온을 상기한 반도체층(15)에 도핑하여 형성한다. 소스/드레인전극(6)은 스퍼터링 방법으로 적층된 Al, Ti, Cr 또는 Al합금 등으로 이루어진 금속층을 포토에칭하여 형성한다.
이때, 화소 내에 형성된 데이터전극(8)과 공통전극(9)은 각각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5) 및 소스/드레인전극(6)과 동시에 형성된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통전극(9)은 제1기판(10) 위에, 데이터전극(8)은 게이트절연막(12) 위에 서로 교대로 형성되어, 전압인가시 기판(110)에 수평한 횡전계가 형성된다.
보호막 위에 도포된 제1배향막(23a)은 폴리이미드(polyimide)나 광반응성물질로 구성된다.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배향막(23a)은 기계적인 러빙(rubbing)에 의해 배향방향이 결정되지만, PVCN(polyvinylcinnemate)계 물질이나 폴리실록산계 물질과 같은 광반응성 물질로 이루어진 배향막(23a)은 자외선과 같은 광의 조사에 의해 배향방향이 결정된다. 상기한 광배향처리에서는 조사되는 광의 편광여부, 편광방향, 조사횟수에 따라 배향방향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폴리실록산계 물질이나 PVCN계 물질을 배향막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외선을 1회 조사하거나 2회 조사하여 배향방향을 결정한다. 광을 1회 조사하는 방법에는 배향막에 대해서 비편광된 광을 경사조사하는 방법, 편광된(특히, 선편광된) 광을 경사조사하는 방법, 부분 편광된 광을 경사조사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광을 2회 조사하는 방법에서는 배향막에 대하여 편광된 광을 1회 경사 혹은 수직조사하여 2개의 축퇴(degeneracy)된 배향방향을 결정한 후 다시 편광된 광을 조사하여 2개의 배향방향중 원하는 방향을 선택한다.
제2기판(11)에는 게이트배선, 데이터배선 및 박막트랜지스터 영역으로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광층인 블랙매트릭스(28)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위에 컬러필터층(29)이 형성된다. 블랙매트릭스(28)는 Cr이나 CrOx 등의 금속을 적층하고 에칭하여 형성한다. 컬러필터층(29)은 화소마다 R, G, B가 반복되어 형성된다. 상기한 제2기판(11) 전체에 걸쳐서 폴리이미드나 광반응성물질이 도포된 제2배향막(23b)이 형성된다.
상기한 제1기판(10)과 제2기판(11) 사이에는 진공상태에서 액정이 주입되어 액정층(30)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의 광학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서의 액정분자의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특징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소가 2개의 도메인으로 분할되어 각 도메인에서의 액정분자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는 것이다. 도 4에서 θEL은 전극(8, 9)의 연장방향을 나타내고 θR1과 θR2는 각각 제1도메인과 제2도메인의 배향막(23)의 배향방향을 나타내며, θrot1과 θrot2는 각각 제1도메인과 제2도메인에서의 액정분자(35)의 회전방향을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8, 9)은 게이트배선(도 4의 X축)에 대하여 θEL=90°로 연장되어 있으며, 제1도메인과 제2도메인의 액정분자(35, 36)는 각 도메인에 결정된 배향방향(θrot1, θrot2)을 따라 배열된다. 이때, θrot1=135°, θrot2=45°이기 때문에 제1도메인과 제2도메인의 액정분자(35, 36)는 전극(8, 9)의 연장방향(θEL)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양전극(8, 9)에 전압이 인가되어 횡전계가 발생하면, 액정분자(35, 36)가 상기한 횡전계를 따라 배열되기 때문에 액정분자(35, 36)가 제1도메인과 제2도메인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θrot1|과 |θrot2| 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각 도메인 내의 액정분자(35, 36)의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계조반전이 서로 보상되어 액정표시장치의 시야각특성이 향상된다. 도 6(a)는 종래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의 시야각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의 시야각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에서 빗금친 부분은 계조반전이 발생하는 시야각영역을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서는 90°와 180° 사이와 270°와 0° 사이에 계조반전이 발생하는 반면에, 도 6(b)에 나타낸 본 발명에서는 인접한 화소 사이의 보상에 의해 계조반전영역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특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 7(a)는 종래의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서의 색좌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서의 색좌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흰색의 색변환이 약 (0.27, 0.30)에서 (0.34, 0.41)의 범위에서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배향방향이 전극의 연장방향(θEL)과 대칭인 도메인 또는 화소가 액정패널에서 계속 반복되기 때문에, 각 시야방향의 색변환이 보상되어, 흰색의 색변환범위가 약 (0.32, 0.33)의 범위로 줄어듬을 알 수 있다.
상기한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서는 화소를 분할하여 한 화소 내에서의 액정분자의 회전방향을 반대로하여 시야각특성 및 색변환특성을 향상시켰지만, 본 발명의 개념이 상기한 한 화소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배향처리공정시 화소를 분할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인접하는 화소의 배향방향을 전극의 연장방향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결정하는 것도, 상기한 화소분할에 의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화소를 2개의 도메인으로 분할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배향방향을 갖는 2개 이상의 복수의 도메인으로 분할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화소 내의 액정분자의 회전방향, 혹은 서로 인접하는 화소 내의 액정분자의 회전방향을 서로 반대로 하기 때문에, 액정의 복굴절율에 의한 계조반전을 보상한다. 따라서, 시야각특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각 시야각에 따라 색변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2)

  1.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제1기판과;
    상기한 제1기판 위에 형성된 적어도 한쌍의 전극과;
    상기한 제1기판 위에 도포되며 각 영역의 배향방향이 인접하는 영역의 배향방향과 다르게 형성된 제1배향막과;
    상기한 제1배향막과 상호작용하여 전극으로의 전압인가시 인접하는 액정분자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액정층으로 구성된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극이 공통전극과 데이터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기판에 종횡으로 배열되어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과;
    상기한 게이트배선과 데이터배선의 교차점에 배치된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한 제1기판과 마주하는 제2기판과;
    상기한 제2기판 위에 형성된 컬러필터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박막트랜지스터가,
    상기한 제1기판 위에 형성되어 게이트배선과 접속되는 게이트전극과;
    상기한 게이트배선 위에 형성된 반도체층과;
    상기한 반도체층 위에 형성되어 데이터배선과 접속되는 소스/드레인전극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배향막이 폴리이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배향막의 배향처리가 러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배향막이 광반응성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광반응성물질이 PVCN(polyvinylcinnamate)계 물질과 폴리실록산계물질로 이루어진 일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배향막의 배향처리가 광의 조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기판 위에 도포된 제2배향막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배향막이 폴리이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배향막의 배향처리가 러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배향막이 광반응성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한 광반응성물질이 PVCN(polyvinylcinnamate)계 물질과 폴리실록산계물질로 이루어진 일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배향막의 배향처리가 광의 조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배향막의 영역이 화소내에 분할된 복수의 도메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한 화소가 2개의 도메인으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한 각 도메인의 배향방향이 전극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θR1및 θR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θR1=45°, θR2=1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영역이 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한 한 화소의 배향방향이 전극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θR1이고 인접하는 화소의 배향방향이 θR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θR1=45°,θR2=1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KR1019970031257A 1997-07-07 1997-07-07 횡전계방식액정표시장치 KR100282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1257A KR100282329B1 (ko) 1997-07-07 1997-07-07 횡전계방식액정표시장치
US09/110,961 US6184961B1 (en) 1997-07-07 1998-07-07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opposite alignment directions for two adjacent domains
US09/729,083 US6466291B2 (en) 1997-07-07 2000-12-05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plurality of pixel regions
US10/108,429 US6853429B2 (en) 1997-07-07 2002-03-29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multiple domai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1257A KR100282329B1 (ko) 1997-07-07 1997-07-07 횡전계방식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004A true KR19990009004A (ko) 1999-02-05
KR100282329B1 KR100282329B1 (ko) 2001-02-15

Family

ID=5804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1257A KR100282329B1 (ko) 1997-07-07 1997-07-07 횡전계방식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23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485B1 (ko) * 2001-07-09 2003-12-3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566811B1 (ko) * 2000-04-19 2006-04-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인플레인 스위칭모드 액정 표시장치용 어레이 패널
US8018411B2 (en) 2005-07-04 2011-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7010608A1 (ko) * 2015-07-10 2017-01-1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스위칭 액정표시소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54101B (en) * 1995-10-04 2001-09-11 Hitachi Ltd In-plane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liquid crystal molecules with more than two different kinds of reorientation direction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0257370B1 (ko) * 1997-05-19 2000-05-15 구본준 횡전계방식액정표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811B1 (ko) * 2000-04-19 2006-04-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인플레인 스위칭모드 액정 표시장치용 어레이 패널
KR100413485B1 (ko) * 2001-07-09 2003-12-3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8018411B2 (en) 2005-07-04 2011-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7010608A1 (ko) * 2015-07-10 2017-01-1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스위칭 액정표시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2329B1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7370B1 (ko) 횡전계방식액정표시장치
KR100257369B1 (ko) 횡전계방식액정표시장치
US6184961B1 (en)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opposite alignment directions for two adjacent domains
KR100293436B1 (ko) 횡전계방식액정표시장치
KR100251512B1 (ko)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US794035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a dielectric layer having a first opening surrounding a patterned structure and exposing a portion of a first pixel electrode and a second pixel electrode formed on the dielectric layer
KR19980037086A (ko) 액정표시소자
KR100218697B1 (ko) 액정표시소자
KR100258063B1 (ko) 횡전계방식액정표시소자및그제조방법
KR100257976B1 (ko) 횡전계방식액정표시장치
US6587173B2 (en) Multidoma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269351B1 (ko)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KR100282329B1 (ko) 횡전계방식액정표시장치
KR100244537B1 (ko) 액정표시소자
JP4166849B2 (ja)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KR20000071422A (ko) 멀티도메인 액정표시소자
KR100251655B1 (ko)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KR100259257B1 (ko)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KR19990012990A (ko)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257862B1 (ko) 횡전계방식액정표시장치
KR100323734B1 (ko) 멀티도메인 액정표시소자
KR19990017976A (ko)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KR19990024620A (ko) 복합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KR100269354B1 (ko)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KR100853770B1 (ko) 멀티도메인 액정표시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