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8868A - 양말 - Google Patents

양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868A
KR19990008868A KR1019970031043A KR19970031043A KR19990008868A KR 19990008868 A KR19990008868 A KR 19990008868A KR 1019970031043 A KR1019970031043 A KR 1019970031043A KR 19970031043 A KR19970031043 A KR 19970031043A KR 19990008868 A KR19990008868 A KR 19990008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inlet
bag
leg
le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1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중평청선
Original Assignee
김영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술 filed Critical 김영술
Priority to KR1019970031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8868A/ko
Publication of KR19990008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868A/ko

Links

Landscapes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루부의 입구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으면서도 양말자체의 지지력을 손상시키지 않고 보호장치 등의 물품을 확실하게 삽입·지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조단가면에서도 유리한 양말을 제공한다.
다리부분(3)과 일체로 더블웰트로 편성도 내외 이중의 편지로 이루어지는 외층쪽에 뚫어진 입구부(4)와, 상기 입구부(4)의 내측 편지 단부에 연속하는 내층쪽에 뚫어진 입구부(5)가 있으며, 이들의 연속부분(52)에 띠모양 편지의 대략 반바퀴에 상당하는 웨일만을 정역전 편성하여 자루부분(6)을 형성함으로써 보호장치 등을 삽입할 수 있다. 또 1내지 수본이 배치된 편침을 비작용위치(非作用位置)로 한 상태에서 발가락부분(21)에서부터 편성을 시작하여 발목부분(24)에서 다리부분(3)에 걸쳐서의 편성에 있어서, 1내지 수 코오스(course)의 편성때마다 1내지 수본씩 편침을 늘리고 다리부분의 대략 상반분에서부터 입구부(4)에 걸쳐서는 전 편침으로 편성함으로써 다리부분 이상 부분의 직경을 점차적으로 확장시킨다.

Description

양말
제1도는 본 발명 실시형태의 양말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II-II' 선단면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 실시형태의 양말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양말2. 발부분
3. 다리부분4. 외층쪽에 뚫어진 입구부
5. 내층쪽에 뚫어진 입구부6. 자루부분(띠모양 편지 부분)
31. 제1확경부(弟1擴俓部)32. 제2확경부(弟1擴俓部)
52. 내층쪽 상단부(연속부분)60. 입구부분
61. 앞쪽부분62. 뒤쪽부분
63. 측가장자리64. 싱커파일(sinker pile)
본 발명은 보호장치(protector)등 물품의 삽입부를 구비한 양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양말에 보호장치나 쓰고 버린 회로 등의 물품 삽입부를 설치한 경우 삽입부, 즉 포켓과 같은 형상의 편지 조각을 양말의 다리부분 등에 봉합 설치한 것과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평3-99706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리부분의 내층쪽에 자루모양 편지를 봉합 설치한 것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것들은 각기 양말 본체와는 별도로 포켓 등의 편지를 준비할 필요가 있으며 더욱이 양말 본체에 봉합·설치되기 때문에 양말 자체의 신축성이 열화되든가, 또는 양말의 신축과 동시에 봉합사가 절단되는 것도 우려 되었다.
한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52-52740호 공보, 특허공개공보 소59-30902호 공보, 특허공개공보 소59-37307호 공보등에는 양말의 다리부분에 환편기에 의해 동일한 수 의 편목(編目), 혹은 뒤꿈치 포켓의 편성시에도 동일하게 편목을 증감시키면서 정역전 편성하여서 양말본체와 일체로 편성된 포켓을 형성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양말에 있어서는 각각의 포켓의 삽입구가 외면에 노출되어 보이며 통상의 양말과는 다른 특이한 체제로 될 뿐만 아니라 삽입구가 양말 자체의 자루 모양편지를 부분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양말 자체의 지지력, 착용감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삽입구가 입구 고무부분 바로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입구 고무부분쪽의 편지와 삽입구 이하의 편지가 삽입구에 의하여 분리되어 입구 고무부분의 지지력이 다리부분 전체에 반영되지 않는다고 하는 스포츠 양말로서는 치명적이라고도 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 사람의 다리부 특히 장딴지 부분은 발부분등에 비해 굵어서 종래는 오로지 편지나 탄성사의 신축성, 혹은 사장력의 조정에 의하여 처리해 왔다. 게다가 다리부분에 보호장치를 삽입한 경우 직경차는 상당하게 되고 편지가 확장됨으로써 편지의 두께 방향으로의 완충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한 다리부분의 보호라고 하는 점에서 개선이 요망되어 왔다.
본 발명은 종래의 양말의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자루부분의 입구가 외부에 노출되어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양말 자체의 지지력을 손상함이 없이 보호장치 등의 물품을 확실히 삽입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조단가 측면에서도 유리한 양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다리부분과 일체로 더블웰트(double welt)로 편성된 내외 이중의 편지로 된 외층쪽에 뚫어진 입구부와 이 입구부의 내측 편지단부에 연속하는 내층쪽에 뚫어진 입구부가 있으며, 이들의 연속부분에 자루모양 편지의 대략 반바퀴에 상당하는 웨일(wale)만을 정역전 편성하여 자루부분을 형성하여서 보호장치 등을 삽입한다. 상기 자루 부분은 외층쪽에 뚫어진 개구부와 내층쪽에 뚫어진 개구부와의 사이에 연속하는 띠모양의 편지부분을 2번 접어서 상호 중합하는 측 가장자리 끼리를 연결하여 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적어도 양말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상기 자루부분의 면을 파일 편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 1내지 수본이 배치된 편침을 비작용위치(非作用位置)로 한 상태에서 발가락 부분에서부터 편성을 시작하여 발목부분(24)에서 다리부분(3)에 걸쳐서의 편성에 있어서 1내지 수 코오스(course)의 편성때마다 1내지 수본씩 편침을 늘리고 다리부분의 대략 상반분에서부터 입구부에 걸쳐서는 전편침으로 편성함으로써 다리부분 이상 부분의 직경을 점차적으로 확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1내지 수본 배치된 편침을 비작용 위치로 한 상태에서 발가락부분에서부터 편성하기 시작하여 발목부분에서 다리부분에 걸쳐서의 편성에 있어서 상기 편침을 1내지 수 코오스 편성할 때마다 1내지 수 웨일 편성에 1내지 수본씩 증가시키고 이어서 잔여 편침을 수 코오스 편성시마다 1내지 수본씩 증가시키고 이들의 조작을 1회 내지 수회 행한 후 다리부분의 대략 상반분에서부터 입구부에 걸쳐서는 전편침으로 편성함으로써 다리부분이상의 부분을 점차 단계적으로 직경을 확장시켜도 좋다.
제1도 및 제2도에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의 양말(1)을 도시한다. 도면에서 양말(1)은 발가락부분(21) 및 뒷꿈치부분(22)을 포함한 발부분(2), 다리부분(3), 외층쪽에 뚫어진 입구부(4), 내층쪽에 뚫어진 입구부(5)와 이들 내·외층쪽에 뚫어진 입구부(4)(5)와의 연속부분(52)에 형성된 자루부분(6)으로 구성되어 다리부분(3)의 발목부분(24)에 근접하는 부분에서 제1 및 제2확경부(31)(32)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양말(1)의 편성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양말(1)의 편성에는 양말 환편기를 이용하여 1본 배치된 편침을 비작용위치로 하고 전침수의 ½편침을 사용하여 발가락부분(21)에서부터 편성을 시작한다. 즉, 발가락 개구부(20)에 연속하는 버리는 편성부분(도시안됨)을 편성한 후 발부분(2)을 발가락부분(21), 링토우(ring toe)부분(25), 발바닥의 움푹패인 부분(23), 뒷꿈치부분(22), 발목부분(24)의 순서로 편성한 다음 다리부분(3)을 편성하다. 이때, 발바닥의 움푹패인 부분(23)과 발목부분(24)에는 고무사를 삽입하여 1X3 고무편성에 의해 고무지지체를 형성한다.
다리부분(3)의 편성에서는 지금까지와 동일한 수의 전침수의 ½편침으로 제1도에 부호(31a)로 도시된 지점까지 다리하단부분(30)을 편성한 후 이 지점(31a)에서 (31b)까지 정강이 측 웨일의 편침을 2 코오스 편성때마다 1웨일 편성에 1본씩 증가시켜 제1확경부(31)를 편성한다. 이 제1확경부(31)에 있어서는 이때까지 비작용위치에 있었던 ½편침 중 반수가 편성에 가담하여 전편침의 ¾까지 편성하고, 배치된 3본 중 1본의 편침은 여전히 비작용위치에 있다.
이어서 제1도에서 부호(32a)로 도시된 지점에서 정강이 쪽의 웨일에서는 4코오스의 편성시마다 상기 비작용위치에 있었던 배치된 3본 중 1본의 편침이 순차편성에 가담함과 동시에 장딴지쪽의 웨일에서는 2코오스의 편성때마다 그때까지 비작용위치에 있었던 1본 배치된 편침이 순차 편성에 가담하여 제2확경부(32)를 편성한다. 그리고 지점(32b) 이상에서는 정강이쪽의 전편침이 편성에 가담하며 지점(32c) 이상에서는 장딴지쪽에서도 전편침이 편성에 가담하고, 이후 편성 시작때의 2배의 전편침으로 다리부분(3)의 남은 부분을 편성한다.
다리부분(3)의 편성 후 다리부분 상단(40)의 루프를 트랜스퍼 잭(transfer jack)으로 지지하여 외층쪽에 뚫어진 입구부(4)의 더블 웰트를 편성하고 1X3 고무편성에 의해 이 외층쪽에 뚫어진 입구부(4)의 표측편지(41), 내측편지(42)를 연속하여 편성한다.
그리고, 이 내측편지(42)의 편성후 트랜스퍼 잭에 지지되어 있던 루프를 편성중의 편침에 옮겨서 외층쪽에 뚫어진 입구부(4)와 내측쪽에 뚫어진 입구부(5)의 연속부분인 내층쪽 다리상단부(52)의 수 코오스의 편성을 행하고, 이어서 자루부분(6)을 편성한다. 자루부분(6)의 편성에서는 제1도 중 우측의 장딴지쪽의 전둘레 ½에 상당하는 편침은 루프를 보유한 채 작용을 하지 않고, 나머지 반수의 편침만을 사용하여 정역전편성함으로써 자루부분(6)의 앞쪽부분(61), 뒤쪽부분(62)을 형성하는 일정폭의 띠모양의 편지분을 연속하여 편성한다. 이때 상기 뒤쪽부분(62)은 내면 파일 편성하고 전면에는 싱커파일(64)을 형성한다.
상기 자루부분(띠모양 편지부분)(6)의 편성후 비작용 위치에 있었던 장딴지쪽의 편침을 작용위치로 돌리고 전편침에 의해 내층쪽 다리상단부(52)의 남은 부분을 자루모양으로 편성하고 또 내층쪽에 뚫어진 입구부(5)의 입구고무부(51)를 고무사를 삽입하면서 더블 웰트로 편성시킨 후 편성이 끝난 부분(53)을 1X1 플로트(float) 조직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편성한다.
이어서 상기 편성공정후 발가락 개구부(20)의 링킹(linking)을 행하고 다시 띠모양 편지부분을 두 번 접어서 이루어진 앞쪽부분(61)과 뒤쪽부분(62)을 상호 중합하는 측가장자리(63)끼리를 오버록(overlock) 미싱으로 봉합하여 자루부분(6)을 형성하면 양말(1)은 완성된다.
제3도에는 상기 양말(1)의 착용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양말(1)을 착용후 외층쪽에 뚫어진 입구부(4)만을 일단 반환점으로 하여 자루부분(6)내에 축구용 보호장치(P)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루부분(6)은 그 입구부분(60)이 외층쪽에 뚫어진 입구부(4) 및 내층쪽에 뚫어진 입구부(5)와 연속하여 편성되어 일체로 되기 때문에 삽입된 보호장치(P)가 어긋나기 어렵고 상기 입구부분(60)은 외층쪽에 뚫어진 입구부(4)에 억제되어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장치(P)는 자루부분(6)내에 확실하게 지지된다.
또 상기 자루부분(6)의 입구부분(60)은 외층쪽에 뚫어진 입구부(4)와 내층쪽에 뚫어진 입구부(5)의 층사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 양말과 같이 자루부분의 입구가 외부에 노출되어 보이지 않고 외관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외층쪽에 뚫어진 입구부(4)가 다리부분(3)의 지지력에도 하등 영향이 없으며, 또 외층쪽에 뚫어진 입구부(4)와 내 층쪽에 뚫어진 입구부(5)에 의해 입구가 이중(4층)으로 되었기에 입구부의 지지력은 향상되고 흘러 내림등도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 또 자루부분(6)내로의 진흙 등의 침입은 완전히 방지된다.
또 보호장치(P)와 양말 착용자의 피부와의 사이에는 자루부분(6)의 뒤쪽부분(62)의 편지가 개재되고 이 편지에는 파일 편성에 의해 전면적으로 싱커파일(6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한에 의한 수분의 흡수 및 증산이 양호하게 되어 보호장치를 직접 피부에 닿게 할 때와 같은 끈적거리는 느낌이나 후끈거리는 느낌도 생기지 않으며 보온성도 양호하다.
그리고 발목부분(24)에서 다리부분(3)에 걸친 부분에 형성된 제1, 제2의 확경부(31)(32)에 의하여 전침수의 ½편침으로 편성된 소직경의 발부분(2)측과 전편침으로 편성된 큰직경의 다리부분(3) 이상의 부분이 순조롭게 연속함과 동시에 원래 발부분에 비하여 상당히 굵으며 보호장치(P)를 삽입하여 한층 직경이 굵어진 다리 장딴지 부분에 잘 맞아서 자연스러운 지지력을 얻게 되며 또 편지가 지나치게 당겨져 늘어나는 일이 없어 편지의 두께 방향으로의 완충성이 저하하는 일도 없다.
또, 제1, 제2의 확경부(31)(32)에 인접한 다리아래 단부(30) 및 제1확경부(31)에 있어서는 비작용 편침에 대응시킨 웨일 사이의 싱커루프가 길게 되고 웨일방향으로 평행한 줄무늬를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제1, 제2확경부(31)(32)에 의하여 W자상의 모양이 나타나서 의장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자루부분(6) 뒤쪽부분(62)만 파일을 형성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자루부분(6)의 앞쪽부분(61)을 시작으로 하여 양말(1)의 다른 부분을 파일 편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보호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자리부분(6)의 편지자체에 의한 큐션성에 의해 일정의 완충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자루부분(6)을 파일편성 하는 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자루부분(6)을 다른 조직으로 편성하여도 좋다. 또 필요에 따라서 편사의 수를 증감하여 자루부분(6)의 편지를 두껍게 혹은 얇게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편목을 추가하는 패턴이 다른 제1 및 제2의 두단으로 된 확경부(31)(32)를 형성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1확경부(31)를 생략하여 확경부를 일단만으로 하든지, 3단이상의 확경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 편목을 추가하기 시작하는 지점(31a)(32a)이나 편목을 추가하여 끝난 지점(31b)(32b)(32c)은 이들의 위치 이외에서도 좋고, 또 각기 1개소나 2개소 이상에서도 좋다. 이 경우, 확경부(31)(32)와 다리 상반분의 경계선은 V 자상이나 지그재그상 등으로 된다.
또 확경부(31)(32)를 설계하지 않고 양말 전체를 동수의 편목으로 편성하여도 좋고 이 경우 양말(1)을 내층쪽에 뚫어진 입구고무부(51)에서부터 편성하기 시작하여 발가락 개구부(20)에서 편성을 끝낼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이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도 내층쪽에 뚫어진 입구부(5)의 입구 고무부(1)는 더블웰트 이외의 로울 웰트등 단층의 편지로 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일정폭의 띠모양 편지부분의 앞쪽부분(61), 뒤쪽부분(62)이 상호 중합하는 측 가장자리끼리를 봉합하여 자루부분(6)을 형성할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뒷꿈치 포켓이나 발가락 포켓과 동일한 편성방법, 혹은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침상승, 침하강을 복수 코오스 편성에 행함으로서 자루부분 편성만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양말(1)은 4매 침상을 갖는 횡편기에 의해 편성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자루부분의 정역전편성은 전후 각기 일방 침상의 편침만에 의한 왕복편성으로 치환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자루부분(6)에 보호장치(P)(축구용등)을 삽입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양말은 이 이외에도 자루부분(6)에 사용 후 버린 회로 등의 보온·발열체나 습포 등을 위하여 보냉재(保冷材)를 삽입하든지 휴대용의 작은 물건을 넣거나 비상용의 금전을 삽입하여 숨기는 포켓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삽입된 각종 물품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자루부분의 형상, 크기, 위치 및 개수는 삽입되는 물품에 따라서 적의 결정하여도 좋다. 또 양말(1)의 발부분(2)을 생략함으로써 지지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양말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다리부분과 일체로 더블웰트로 편성된 내외 이중의 편지로 된 외층쪽에 뚫어진 입구부와 이 입구부의 내측쪽 편지단부에 연속하는 내층쪽에 뚫어진 입구부를 갖추고 있으며, 또 이들의 연속부분에 자루모양 편지의 대략 반바퀴에 상당하는 웨일만을 정역전편성하여 자루부분을 편성하여서 보호장치 등을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자루부분의 삽입구가 외층쪽에 뚫어진 입구부와 내층쪽에 뚫어진 입구부의 층사이에 위치하여 외측에 노출되어 보이지 않고 양말의 외관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삽입구에 의해 자체의 지지력이나 착용감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지 않고, 또 내외 이중의 뚫어진 입구부에 의해 입구부의 지지력이 향상되고 양말의 흘러 내림등도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자루부분의 삽입구가 내층쪽에 뚫어진 입구부와 외층쪽에 뚫어진 입구부에 고정되어 폐쇄되었기에 자루부분내에 보호장치 등의 물품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자루부분내로의 진흙 등의 침입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자루부분은 외층쪽에 뚫어진 입구부와 내층쪽에 뚫어진 입구부 사이에 연속하는 띠모양 편지부분을 2번 접어서 상호 중합하는 측 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하여 합쳐지기 때문에 연속 자동편성과 최소한의 봉제에 의해 자루부분을 갖춘 양말을 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자루부분의 크기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또 자루부분의 형상이나 위치를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또 상기 자루부분의, 적어도 양말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면을 파일로 편성하였기 때문에 발한에 의한 수분 흡수 및 증산이 양호하게 되고 보호장치를 직접피부에 닿게 할 경우와 같은 끈적거리는 느낌이나 후끈거리는 느낌도 생기지 않고 보온성도 양호하다.
그리고 양말을 1내지 수본 배치된 편침을 비작용위치로 한 상태에서 발가락부분쪽에서부터 편성하기 시작하여 발목부분에서 다리부분에 걸쳐서의 편성에 있어서 1내지 수 코오스 편성시마다 1내지 수본씩 편침을 증가시키고 다리부분의 대략 상반분에서부터 입구부에 걸쳐서는 전편침으로 편성함으로써 다리부분이상 부분의 직경을 점차적으로 확장하든지, 혹은 동일하게 발가락부분 쪽에서부터 편성하기 시작하여 발목부분에서부터 다리부분에 걸친 편성에 있어서 편침을 1내지 수 코오스 편성때마다 1내지 수 웨일편성에 1내지 수본씩 증가시키고 이어서 잔여 편침을 수 코오스 편성시마다 1내지 수본씩 증가시키고 이들의 조작을 1회 내지 수회 행한 후 다리부분의 대략 상반분으로부터 입구부에 걸쳐서는 전편침으로 편성함으로써 다리부분이상 부분을 점차 단계적으로 직경을 확장시킴으로써 발부분에 비하여 상당히 굵어짐과 아울러 보호장치를 삽입하여 한층 직경이 크게 된 다리 장딴지 부분에 잘 맞아 자연스러운 지지력을 얻을 수 있고, 편지가 과도하게 당겨져 늘어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편지의 두께방향으로의 완충성이 저하하는 일도 없다. 또 확경부에는 웨일 방향에 평행한 줄무늬가 형성되므로 W자 등의 모양이 나타나서 의장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고 스포츠 양말로서의 기능적인 외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5)

  1. 다리부분과 일체로 더블웰트로 편성되어 내외 이중의 편지로 된 외층쪽에 뚫어진 입구부와 상기 외층쪽에 뚫어진 입구부의 내층 편지단부에 연속하는 내층쪽에 뚫어진 입구부를 갖추며, 이들의 연속부분에 자루모양 편지의 대략 반바퀴에 상당하는 웨일만을 정역전편성하여서 자루부분을 형성하여 보호장치 등을 삽입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2. 제1항에 있어서, 자루부분은 외층쪽에 뚫어진 입구부와 내층쪽에 뚫어진 입구부사이에 연속하는 띠모양의 편지부분을 두 번 접어서 상호 중합하는 측 가장자리 끼리를 연결시켜 합쳐지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3.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양말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자루부분의 면을 파일 편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4. 1내지 수본 배치된 편침을 비작용위치로 한 상태에서 발가락 부분쪽에서부터 편성하기 시작하여 발목부분에서 다리부분에 걸쳐서의 편성에 있어서 1내지 수 코오스의 편성시마다 1내지 수본씩 편침을 증가시키고, 다리부분의 대략 상반분에서부터 입구부에 걸쳐서는 전편침으로 편성함으로써 다리부분이상 부분의 직경을 점차 확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5. 1내지 수본 배치된 편침을 비작용 위치로 한 상태에서 발가락측에서부터 편성하기 시작하여 발목부분에서 다리부분에 걸쳐서의 편성에 있어서 상기 편침을 1내지 수 코오스 편성시마다 1내지 수 웨일 편성에 1내지 수본씩 증가시키고, 이어서 잔여 편침을 수 코오스 편성시마다 1내지 수본씩 증가시키고 이들의 조작을 1회 내지 수회 행한 후 다리부분의 대략 상반분에서부터 입구부에 걸쳐서는 전편침으로 편성함으로써 다리부분이상 부분의 직경을 점차 단계적으로 확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KR1019970031043A 1997-07-04 1997-07-04 양말 KR199900088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1043A KR19990008868A (ko) 1997-07-04 1997-07-04 양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1043A KR19990008868A (ko) 1997-07-04 1997-07-04 양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868A true KR19990008868A (ko) 1999-02-05

Family

ID=66039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1043A KR19990008868A (ko) 1997-07-04 1997-07-04 양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88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745Y1 (ko) * 2009-08-24 2010-02-12 신문기 양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745Y1 (ko) * 2009-08-24 2010-02-12 신문기 양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1096A (en) Sock with triple layer fabric in foot and method
EP0710076B1 (en) Cushioning sock and method of knitting same
US4149274A (en) Anti-slip hosiery article and method
US4422307A (en) Sock
US4373361A (en) Ski sock with integrally knit thickened fabric areas
US4520635A (en) Cushion foot sock
US4237707A (en) Dress weight tube sock with mock rib leg and method of knitting
US20060021389A1 (en) Knit sock
KR101387957B1 (ko)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과 통 모양 편성포
US20060218973A1 (en) Socks and method for knitting the same
AU2018209989B2 (en) Knit sock with targeted compression zones, and method for lifting and stretching the plantar fascia
US20230235492A1 (en) Containing fabric, garments comprising such fabric, and related production methods
JP3227096U (ja) 部分パイル編みカバーソックス
IL303991A (en) Athletic sock
JP2961308B2 (ja) ソックス
JP3113253U (ja) 靴下
KR19990008868A (ko) 양말
JP2003239103A (ja) 上下に第1第2の穿口開口縁を設けた靴下及びその編成方法
JP6938283B2 (ja) 夏の暑いシーズンに適したパンティストッキング
JP2002348702A (ja) ストッキングおよび該ストッキングの形成方法
JP3044071U (ja) タイツ類
JP3056820U (ja) 新規な靴下類
JPH11323607A (ja) くつ下
JPH11315401A (ja) 靴 下
JP3015037U (ja) 靴 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