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8600U - 저전압 전력 배전판 상자 - Google Patents

저전압 전력 배전판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600U
KR19990008600U KR2019970021682U KR19970021682U KR19990008600U KR 19990008600 U KR19990008600 U KR 19990008600U KR 2019970021682 U KR2019970021682 U KR 2019970021682U KR 19970021682 U KR19970021682 U KR 19970021682U KR 19990008600 U KR19990008600 U KR 199900086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power distribution
rods
box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16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엔 이 구오
Original Assignee
추 키 엔터프라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 키 엔터프라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추 키 엔터프라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199700216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8600U/ko
Publication of KR199900086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600U/ko

Links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 방향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다수의 조립봉들을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면, 바닥면, 양 측면, 그리고 후면 및 전면이 있고 상면에는 상부판과, 양측면에는 두 개의 측면판, 그리고 후면에는 후면판을 설치하여 전체적으로 서로 평행을 이루는 형상을 갖도록 고안된 저전압 전력 배전판 상자인바, 배전판 상자를 지지하기 위하여 배전판 상자의 저부면에는 베이스가 설치되고 도어는 전면을 예로 들면 힌지를 사용하여 설치되고, 세 방향 연결장치는 각 조립봉들 하나의 끝과 일체가 되도록 관통할 수 있는 중심에 구멍을 가공하여서 만든 원통형 돌기물을 각각 세개씩 갖도록 하여 이 세개의 조립봉들이 연결장치에 상호 직각으로 결합되게 하며, 이 연결장치의 중심부 구멍들의 각각을 보울트가 관통하여 각 조립봉의 안쪽에 절삭한 나사홈에 체결되어 조립봉을 연결장치에 결합 확보시키게 된다. 연결장치와 거기에 결합되는 각각의 조립봉들 사이에는 석면 패드를 삽입하여 먼지와 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되며, 각 조립봉에는 조립봉과 동일한 넓이를 가진 플랜지가 붙어 있고, 상기 플랜지들에는 구멍을 가공하여 조립판들에 형성된 구멍들과 연통시킴으로 보울트가 관통되며, 먼지와 습기 유입방지를 위해 조립봉들의 플랜지들과 조립판들 사이에는 이에 삽입되는 고무 패드와 함께 보울트들을 사용하여 조립판들을 조립봉들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저전압 전력 배전판 상자
도 1은 본 고안의 전력 배전판 상자 프레임에 있어서, 상부판, 측면판, 후면판, 바닥면과 도어 조립품을 분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조립된 본 고안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사도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의 프레임 구성에 적용되는 내력봉과 전면 조립봉의 단면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세 방향 연결장치에 조립봉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세 방향 연결장치에 전면 조립봉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전력공급 배전판 상지의 프레임을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프레임과 측면판, 상부판, 후면판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일부측 단면도
도 8A와 도 8B는 본 고안의 내력봉과 전면 조립봉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 내력봉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있어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있어 상호 반대편에 위치한 두개의 도어를 도시해 보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있어 두개의 여닫이식으로 구성된 도어 형태를 갖춘 또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있어서, 두개의 여닫이식 도어가 반대편으로도 설치된 실시예의 사시도
도 14는 도 12에 있어서, 두개의 여닫이식 도어가 설치된 일측으로 또다른 하나의 도어가 설치됨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에서 도18까지는 본 고안의 전력 배전판 상자에 적용되어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통풍 장치와 환풍기가 설치된 여러가지 다양한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2 : 상부판
3 : 측면판4 : 후면판
5 : 베이스6 : 도어
11 : 내력봉12 : 조립봉
13 : 연결장치14,100 : 보울트
15,17 : 밀폐용 패드31 : 통풍구
32 : 환풍장치62 : 핸들
110 : 홈111 : C자형 부재
112 : 원통형 실린더113 : 플랜지
114 : 찬넬부재131 : 원통형 부재
132 : 슬롯133 : 체결구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전력 배전판 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전압 시스템과 배전판의 부식 방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구조를 갖는 저전압 전력 배전판 상자를 제공한다.
[고안의 배경]
일반적으로, 산업용 전력 배전판은 대개 상자 형태의 케이싱 안에 내장되며, 전력 배전 관련 부품은 내부의 지지 플레이트 상에 탑재된다.
종래, 이러한 상자 형태의 케이싱 제작 방법은 금속판을 일정한 형태로 일일이 용접 처리함에 의존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용접 작업에 따르면 별도의 지그를 사용하여 금속판을 고정해야 함으로 작업에 따른 과다한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많은 불편함이 내제되어 있었고, 결과적으로 전력 배전판 상자의 제작 시간과 단가의 상승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을 포함한다.
또한, 금속 부품에 대한 용접 작업은 용접 부위에 부식을 용이하게 하고, 구성품의 기계적 강도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어 용접 부위에 기계적 강도가 보장되지 아니함으로 배전판 상자의 내구성이 저하된다.
이와 함께, 용접 작업은 배전판 상자의 미관을 해치게 되어 최종적인 제품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것이며, 더욱이 부식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용접부위에 표면 페인팅과 같은 부식 방지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부식 방지 처리와 표면 페인트의 도포가 쉽지 않은 구석 또는 가장자리 부분에서는 부식의 발생을 억제할 수 없이 배전판 상자 전체의 파손이 우려된다.
한편, 배전판 제작시에는 용접 시간의 단축을 위해 제작업자들의 대부분이 필요한 곳에만 불연속적인 용접을 수행함으로 두개의 불연속 용접 부위 사이에 간극이 생기게 되어 배전판 상자내로 외부의 먼지 등 이 물질과 습기가 침투되어짐을 방지하기가 곤란하였다. 특히 지면에 근접해 있거나 보통 직접 접촉되어 있는 배전판 상자의 바닥면을 통해 유입되는 지면의 습기는 배전판 상자안으로 매우 쉽게 유입되어, 지면에 근접해 있고 부식 방지 처리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은 구석과 가장자리 부분에서의 부식 발생은 가장 빈번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저전압 전력 배전판 상자의 제작 방법이 개선되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고안의 목적]
상기의 요망 사항을 만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판, 좌/우 복수의 측면판, 후면판을 외부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상에 보울트로 체결하고, 전면으로는 힌지결합판 도어를 부착하며, 바닥면위에 평행으로 지지된 형상이 유지되도록 보울트 체결을 이용하여 다수의 조립봉을 상호 조립 결합시킴으로 용접 작업이 불필요하고, 이에 따라 전력 배전판 상자의 부식 방지 능력의 향상이 가능한 저전압 전력 배전판 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조립봉들과 조립판들을 상호 조립하기 이전에 부식 방지 처리와 용접에 따른 부식 처리의 훼손 우려를 제거하여 부식 방지 능력이 개선될 수 있도록 보울트 체결 방법을 사용하여 조립봉들을 상호 결합하고 프레임에 다수의 조립판을 결합시켜 이루어지는 저전압 배전판 상자를 제공함에도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보울트를 사용하여, 세 방향 연결장치를 통해 조립봉들을 상호 결합시키고, 석면패드를 연결장치에 결합되는 각각의 조립봉들과 연결장치 사이에 긴밀하게 게재시켜 밀페시킴으로 이 물질과 습기의 유입을 방지하고, 조립판과 조립봉들 사이에는 고무패드(패킹)를 끼운 후 상호 긴밀하게 보울트 체결함으로써 역시 이 물질과 습기의 유입 방지 효과를 달성하는 저전압 배전판 상자를 제공함에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세 방향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조립봉 다수를 상호 결합하며, 이에 하나의 상면과, 바닥면, 두 개의 양 측면, 또한 하나의 후면(배면) 및 전면을 평행한 모양으로 만들어 상면으로는 하나의 상부판과, 좌/우 양 측면으로는 두 개의 측면판이 위치시키고, 후면으로는 후면판 하나가 조립되는 저전압 배전판 상자를 제공한다.
상기 배전판 상자가 입설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 역할을 위한 베이스는 배전판 저면에 마련되고, 개폐 가능하게 힌지로 부착된 도어가 전면에 설치된다.
세 방향 연결장치는 각각 정 중앙부로 체결구가 천공된 원통형 돌기가 역시 각각의 방향으로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며, 그 체결구를 통하여 세 개의 조립봉이 상호 직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연결장치의 중심에 형성된 체결구로는 보울트가 통과하여 각 조립봉의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홈과 체결되도록 하여 긴밀하게 조립봉의 연결이 달성된다.
연결장치와 거기에 결합되는 조립봉 각각의 사이에 끼워지는 석면패드는 외부의 먼지와 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 역할을 하며, 각 조립봉들에는 보울트 구멍이 천공된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어 조립판상의 보울트 구멍과 마주한 채 일체로 체결되도록 하여 조립판을 조립봉에 조립시킬 수 있게 되어 있고, 조립할 때 조립봉의 플랜지와 조립판 사이에는 별도의 고무 패드를 끼워 넣어 밀폐력을 향상시킴으로 먼지를 포함한 외부 이 물질과 습기의 유입을 방지한다.
[구체적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술한다. 첨부된 도 1과 도 2에 따르면, 상단의 상부판(2)과, 지면에 세워진 배전판 상자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배전판 상자의 저 면에 위치되는 베이스(5)상에 조립된 바닥면과, 양 측면에 마련되는 두 개의 측면판(3)과 함께 전체적인 외부형태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1)의 측면과 후면으로 각각 조립된은 상기 두 개의 측면판(3)과 하나의 후면판(4)이 상단과 바닥면 사이에 조립된 채 두 개의 측면판이 마주보고, 후면판과 전면판이 역시 서로 마주하여 조립된 배전판 상자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도어(6)는 프레임(1)의 전면에 설치되고, 전기 연결 또는 접속장치를 지지하기 위해 필요한 금속판 또는 배전 회로판(7)은 이 프레임(1)안에 설치된다.
프레임(1)은 12개의 조립봉으로 구성되며, 그중 8개는 내력봉(structuralbar)(11)으로 호칭하여 도 3A에 표현되어 있으며, 다른 4개의 전면 조립봉(12)은 특히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4개의 전면 조립봉(12)은 프레임(1)의 전면을 형성하고, 각각의 내력봉(11)중 4개는 프레임(1)의 후면을 형성하며, 나머지 4개의 내력봉(11)은 전면과 후면을 결합하여 복수의 측면판과, 상부판 및 바닥면을 갖는 프레임(1)을 형성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위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력봉(11)은 단면도상에서 보강용 리브가 있는 사면벽으로 구성되어 대체로 사각형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이 보강용 리브는 중앙에 위치한 C자형 부재(111)를 향해 사면칸막이 벽의 각각을 연장시켜 연결되게 한 것이다.
상기 C자형 부재(111)는 C자형 부재(111)를 반경 방향으로 변형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마우스가 부착되고, 플랜지(113)는 내력봉(11)의 인접한 측면벽 두개를 서로 연결 조립하여 바깥쪽으로 연장(즉, 내력봉11에서 떨어져 나가는 방향으로)시킴으로 결과적으로는 측면벽에 수직이 된다.
나사홈이 형성된 원통형 실린더(112)는 C자형 부재(111)에 견고하게 끼움 처리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도 4에서와 같이 C자형 부재(111)의 안쪽으로는 나사홈이 형성된다.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전면 조립봉들(12)은 측면도상으로는 내력봉(11)과 동일하고, 중심에 위치하여 네 개의 리브로 고정되어 있는 C자형 부재(111)로 구성된 대체로 사각형의 측단면을 형성하고 있지만, 전면 조립봉(12)은 측면벽의 일측으로 오직 하나의 플랜지(113)만을 갖고 있다.
U자형의 단면 구조를 갖는 찬넬부재(114)는 전면 조립봉(12)의 사각형 측단면의 구석에 고정되어 있는 바, 플랜지(113)가 고정된 측면벽에 인접하지 않는 쪽을 선택하여 고정된다.
전면 조립봉(12)은 찬넬부재들(114)을 전면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호 전면을 향하도록 하여 도어 프레임의 조립 위치로 선정해 주고, 그 위에 도어(6)가 설치되도록 제안되어 있다.
각각의 내력봉들(11)과 유사하게 전면 조립봉들(12)도 C자형 부재(111)속으로 삽입되어 안쪽에서 체결 고정되는 나사홈이 파진 원통형 실린더(112)를 갖고 있으며, 도 5에서와 같이 C자형 부재(111)의 안쪽으로는 이와 대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된다.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각 내력봉(11) 상호간의 조립은, 각각의 내력봉(11)이 C자형 부재(111)에 각각 끼움 처리되도록 육면체의 삼면에 고정된 원통형 돌기(131)를 갖는 육면체의 평행선 파이프 형상의 세 방향 연결장치(13)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형 돌기(131)의 외주연에는 C자형 돌기(111)에 끼워 맞춰질 때 내력봉(11)안의 C자형 부재(111)를 지지하는 리브들이 수용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형상의 슬롯(132)이 가공되어 있다.
원통형 돌기들(131)은 서로 직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세 방향 연결장치(13)에는 각 원통형 돌기(131)를 관통하는 체결구(133)가 세 개로 마련되는데, 이 연결장치(13)를 통하여 반대편 보울트(14)가 그 내부로 체결되도록 되어 있고, 이 보울트는 각 내력봉(11)안의 C자형 부재(111)안에서 나사홈이 형성된 실린더(112)와 체결되어 고정됨으로써, 내력봉(11)을 세 방향 연결장치에 긴밀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이때 석면 패드 또는 다른 적당한 재료와 같은 밀폐용 패드(15)를 마련하여, 세 방향 연결장치(13)와 거기에 결합되는 각각의 내력봉(11)사이에 게재시켜 내력봉들(11)안으로 외부의 이 물질과 습기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구(133)의 각각으로는 보울트가 그 안에서 확실하게 체결되도록 하며, 외관상의 심미감 향상 및 먼지 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나사홈이 파인 플러그가 결합될 수 있도록 안쪽으로 나사홈이 절삭되어 있다.
각 내력봉들(11)과 전면 조립봉들(12)의 결합은 세 방향 연결장치(13)를 사용한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력봉들(11)과 전면 조립봉들(12)은 결과적으로 도 5에서와 같이 서로 직각 형태를 이루게 된다.
마찬가지로, 연결장치(13)를 각각의 내력봉들(11)과 조립봉들(12)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보울트(14)가 사용되고 전술한 각 내력봉들(11)과 조립봉들(12) 및 세방향 연결장치(13) 사이에는 밀폐용 패드(15)가 내삽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외부 형태를 도시한 분리 상태의 프레임(1) 사시도로써, 내력봉(11)과 전면 조립봉들(12)을 직각으로 결합하여 상기 내력봉들과 조립봉들이 상호 평행 상태를 유지하도록 8개의 세 방향 연결장치들(13)이 사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프레임(1)의 기계적 강도를 강화하기 위해서 선택적으로 별도의 보강봉(16)을 내력봉들(11)과 조립봉들(12) 사이에 설치해도 무방하다.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인 도 1과 도 7을 살펴보면, 상부판(2)과 측면판들(3) 및 후면판(4)을 프레임(1)상에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해서 각 내력봉(11)과 전면 조립봉들(12)의 플랜지들(113)이 상호 마주 닿아 연통될 수 있도록 각각의 보울트(100)가 체결될 수 있는 구멍들(10)이 상부판(2)과 측면판들(3) 및 후면판(4)에 천공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플랜지들(113)과 상부판(2), 측면판들(3) 및 후면판(4)의 사이에는 각각 밀폐용 패드(17)가 끼워지는데, 특히 고무 패드로 마련됨이 요망된다.
본 고안의 프레임(1)은 각 보울트(14)는 물론 세 방향 연결장치들(13)을 사용하여 결합되는 내력봉들(11)과 전면 조립봉들(12)로 구성되는 관계로 프레임(1) 제작에 용접이 필요 없으며, 더욱이 상부판(2)과 측면판들(3)과 후면판(4)은 모두 상기 프레임(1)에 확실하게 보울트들(100)로 체결되어 있어 본 고안의 전력 배전판 상자 전부에 있어 용접 작업이 불필요한 것이며, 조립하기 전에 조립판들과 각 조립봉들 및 보울트들 모두에 미리 부식 방지 처리를 함으로 본 고안에서의 부식 방지 능력은 우수해진다.
또한, 세 방향 연결장치들(13)과 내력봉(11) 및 전면 조립봉들(12) 사이에 삽입되는 밀폐용 패드들(15)로 인하여 프레임(1)의 내력봉들(11)과 전면 조립봉들(12) 내부로 외부의 먼지와 습기가 유입됨이 방지됨과 함께, 내력봉들(11)과, 전면 조립봉들(12), 그리고 조립판들(2, 3과 4) 사이에 삽입되는 밀폐용 패드들은 전력 배전판 상자 안으로의 이 물질 및 습기 유입을 방지하여 전술한 밀폐용 패드들(15)과 함께 향상된 부식 방지 능력을 제공한다.
첨부된 도 2와 도 5에서는, 전력 배전판 상자의 상부판과 결합되는 세 방향 연결장치들(13) 각각에 별도의 고리를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전력 배전판 상자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공여될 수 있는 크레인 호이스트(도면에 표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어(6)는 첨부된 도면들에 나타나 있는 힌지들과 같은 적당한 장치를 사용하여 프레임(1)에 부착시킬 수 있다.
도어(6)에는 유지 관리의 목적에 따라 필요한 전력 배전판 상자 내부의 전기 배선도 또는 전기회로 설계도면을 보관할 수 있는 각종 도면 보관함(61)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개폐 핸들(62)을 장착하여 잠금 역할을 위한 일 방향 걸림봉들(63)을 작동시키게 함으로써 핸들(62)을 이용한 도어(6)의 개폐가 가능할 수 있다.
각각의 내력봉(11)과 전면 조립봉들(12)의 다양한 변경 상태를 보여주는 도8A와 도8B에서는, 각 플랜지들(113)의 하나에 인접해서, 내력봉(11) 또는 전면 조립봉(12)의 사각 측단면상의 측면벽 하나에 T자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T자형 홈(110)이 형성된 관계로 보울트의 확대된 두부(머리) 또는 너트들(도시되지 않음) 이 T자형 홈(110)을 기준으로 위치되어 너트들 또는 보울트들과 결합될 수 있음으로, 이탈이 방지된 채 내력봉(11) 또는 전면 조립봉(12)을 따라가면서 원하는 장소 어디에나 조립봉 부재 또는 금속판 및 조립판 부재를 긴밀하게 조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9는 내력봉들(11)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바, 고정된 플랜지(113)가 있는 측면벽의 각각에 T자형 홈(110)이 플랜지(113)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립봉 부재 또는 금속판 부재들과 두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는 능력을 내력봉(11)에 제공하게 된다.
도 10에서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 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상부판(2)이, 프레임(1)의 외면을 향해(바깥쪽) 연장된 플랜지 또는 테두리(21)가 있는 상부판(2')으로 교체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11에서 도 14까지에는 본 고안의 여러 다른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전면과 후면 각각에 도어를 설치하여(이때 동일한 규격의 도어들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두 개의 도어를 갖도록 전력 배전판 상자를 변경한 예(도 11)가 표현되어 있고, 두 개의 여닫이 식으로 구성된 도어(도 12), 또는 각기 전/후면으로 두 개의 여닫이 식으로 구성된 두 개의 도어(제13도), 또는 전면으로만 두개의 도어(도 14)를 장착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도 15에서 도 18에서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전력 배전판 상자안의 온도 조절을 위하여 측면판들(3) 위에 각기 다른 모양의 문을 가진 통풍구가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환풍장치(32)는 도 16, 도 17 및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풍기(32)를 설치하여 각 통풍구들(31)과 공존하여 전력 배전판 상자 안의 공기 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그에 관한 최선의 실시예들을 예거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 범위에 국한되어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면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들의 변경을 고려해 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9)

  1. 상단에는 상부판이, 베이스에는 이에 지지될 수 있도록 바닥면이 각각 조립되며, 양측면으로는 두 개의 측면판이 조립되고, 후면과 그 전면에는 도어가 설치되며, 후면은 후면판에 의해 선택적으로 보호받게 하여 도어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그 안에 배전판을 장착한 다수의 조립봉들을 상호 결합하여 상호간 평행선이 유지되도록 한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보울트로 체결되어 그 안의 보울트에 물려진 돌기물들 각각을 관통하는 체결구를 갖추고 서로 직각의 방향을 향해 위치하는 세 개의 돌기물들이 붙어 있는 세 방향 연결장치들 다수와, 상기 연결장치에 조립봉을 고정시키기 위해 조립봉의 안쪽으로 절삭된 나사홈에 체결되는 보울트를 사용하여 각 조립봉들의 끝 부분 구멍에 끼워 맞춰지도록 규격화된 외형을 갖는 각각의 돌기물들 및 조립봉과, 연결장치의 끝부분 사이에 삽입되는 첫 번째 밀봉용 패드와 한쪽에 서로 연결될 수 있는 플랜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여 조립판과 플랜지 양쪽을 관통하는 보울트들을 사용하여 조립판들의 상호 연결 부위가 견고하게 지지되게 한 각각의 조립봉들 그리고 상기 조립봉의 플랜지와 조립판 사이에 삽입하는 두 번째 밀폐용 패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전력 배전판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봉의 끝부분에는 그 구망안에 C자형 부재를 장착하여 안쪽으로 나사홈을 절삭한 부재와 적어도 조립봉의 일부가 상호 연결되도록 내부 나사홈을 확보하고 C자형 부재는 안쪽으로 절삭한 나사홈 부재와 체결되는 돌기물 가운데 구멍으로 들어오는 보울트를 사용하여 거기에 고정시키는 연결장치의 각 돌기물과 일체가 되도록 하여 연결장치에 조립봉이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전력 배전판 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외곽체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는 조립봉들에는 조립봉과 동일한 넓이를 가지며 U자형의 측단면도 형태를 갖는 찬넬 모양의 플랜지를 조립봉에 붙이고, 찬넬 모양의 플랜지가 서로 전면을 향하게 하여 거기에 도어가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도어 프레임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전력 배전판 상자.
  4. 제1항에 있어서, 석면 패드가 첫 번째 밀폐용 패드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전력 배전판 상자.
  5. 제1항에 있어서, 고무 패드가 두 번째 밀폐용 패드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전력 배전판 상자.
  6.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상단 연결장치들에 고리 부재들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전력 배전판 상자.
  7. 제1항에 있어서, 각 내력봉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T자형 홈을 형성하고, 거기에 다른 골격용 부재와 연결하기 위해 체결되는 보울트/너트가 수용될 수 있도록 최소한 일부라도 동일한 넓이로 가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전력 배전판 상자.
  8.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 패널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전력 배전판 상자.
  9. 제1항에 있어서, 후면판이 두 번재 도어로 대체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전력 배전판 상자.
KR2019970021682U 1997-08-07 1997-08-07 저전압 전력 배전판 상자 KR199900086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682U KR19990008600U (ko) 1997-08-07 1997-08-07 저전압 전력 배전판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682U KR19990008600U (ko) 1997-08-07 1997-08-07 저전압 전력 배전판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600U true KR19990008600U (ko) 1999-03-05

Family

ID=69675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1682U KR19990008600U (ko) 1997-08-07 1997-08-07 저전압 전력 배전판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860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095B1 (ko) * 2007-08-20 2008-11-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면커버에 실링부재가 설치된 다상차단기
KR101524233B1 (ko) * 2014-08-28 2015-06-02 주식회사 광명전기 배전반용 외함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095B1 (ko) * 2007-08-20 2008-11-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면커버에 실링부재가 설치된 다상차단기
KR101524233B1 (ko) * 2014-08-28 2015-06-02 주식회사 광명전기 배전반용 외함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5075B2 (en) Frame for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housing cabinets and a frame joining structure
CA1225455A (en) Framework for a switchboard cabinet
US6843543B2 (en) Weatherproof enclosure with a modular structure
US9066586B2 (en) Modular enclosure
US4632269A (en) Waterproof electrical enclosures
KR19990008600U (ko) 저전압 전력 배전판 상자
KR20100123156A (ko) 컨트롤 캐비닛용 프레임 및 그 결합구조
RU2488930C2 (ru) Сборный электрический шкаф
KR101119176B1 (ko) 부스용 블록 프레임
KR200207329Y1 (ko) 서버 랙
JP2602586Y2 (ja) 低圧配電盤
KR101983500B1 (ko) 조립식 분전함
JP2004084762A (ja) ラック用連結部材
KR200237840Y1 (ko) 전기박스 프레임
CN218830877U (zh) 壳体、电控设备和货柜
JP7194045B2 (ja) パネル装置
JP3051519U (ja) ケーブルトレイ用カバー装置
JP2000229771A (ja) エレベータのかご
KR950001891Y1 (ko) 알루미늄 압출프레임을 사용한 조립식 전광표시판 케이스
JPS6021338Y2 (ja) トラツクのアオリ
JPS6121429Y2 (ko)
JPH0514655Y2 (ko)
KR0123864Y1 (ko) 건축용패널 고정구조립체
JPH0721803Y2 (ja) 開口枠へのサッシの取付構造
JP3289038B2 (ja) ユニット式ル−ムの梁欠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