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8281U - 액체휴대용기의 컵휴대 구조 - Google Patents

액체휴대용기의 컵휴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281U
KR19990008281U KR2019980023528U KR19980023528U KR19990008281U KR 19990008281 U KR19990008281 U KR 19990008281U KR 2019980023528 U KR2019980023528 U KR 2019980023528U KR 19980023528 U KR19980023528 U KR 19980023528U KR 19990008281 U KR19990008281 U KR 199900082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liquid container
liquid
portabl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35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묵
Original Assignee
임태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태묵 filed Critical 임태묵
Priority to KR20199800235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8281U/ko
Publication of KR199900082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281U/ko

Link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를 담는 용기에 컵을 휴대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하여 개시한다.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용적을 갖는 용기의 저면부를 용적내측으로 돌출시켜 컵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부와; 상기 수용부의 중앙을 컵의 내경과 접촉되게 저면부측으로 돌출 연장시켜 형성한 지지부와; 상기 수용부의 개구를 통하여 출입하는 컵의 보관 또는 인출을 선택하는 개폐부로 이루어져 용기 속의 액체를 아무곳에서 휴대되는 컵에 따라낼 수 있고 컵을 휴대할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다.

Description

액체휴대용기의 컵휴대 구조
본 고안은 액체휴대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체휴대용기에 컵을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용기내의 액체를 항상 컵에 따라낼 수 있도록한 액체용기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휴대용기는 바닥이 평면이고, 바닥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그 내부에 일정크기의 용적을 형성하여 목적에 따라서 혼합물질이 다른 액체(음료, 액상조미료 등)을 담을 수 있도록 하였고, 이러한 용기의 상부에 토출구를 형성하여 마개를 결합하거나 나사식으로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용기내에 보관 또는 저장하던 액체를 일정량씩 따라 내고자 할 때에는 통상의 컵이 사용되는 데, 상기의 컵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서 휴대시 컵의 부피로 휴대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특히 여름철 음료를 휴대하는 경우 컵의 휴대가 용이하지 않아 용기의 토출구에 입을 대고 음료를 마시게 되어 여러사람이 음료를 마셔야 할 경우에 비위생적인 현상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종래의 액체용기의 경우 컵을 휴대할 수 없기 때문에 가정에서도용기내에 보관된 액체조미료를 따라 낼 때 주부들의 눈대중으로 대충따라내는 문제점등이 있었다.
이러한 액체휴대용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용신안공고 제96-7261호 구성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의 실용신안공고는 액체휴대용기의 저면부에 컵을 결합하여 휴대하고사용할때에는 액체휴대용기에서 컵을 나사식으로 분리해내어 용기내의 액체를 따라 내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공고는 액체휴대용기의 하단에 컵을 결합 분리하는 나사식구조를 형성해야 하고, 상기 액체휴대용기에 맞는 컵을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휴대가능한 컵을 분실 또는 깨지게 되면 나사긱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어서 액체휴대용기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등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애체휴대용기의 저면부에 통상의 일회용 컵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컵의 휴대가 용이하고, 적어도 3개이상의 컵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용적을갖는 용기의 저면부를 용적내측으로 돌출시켜 컵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부와; 상기 수용부의 중앙을 컵의 내경과 접촉되게 저면부측으로 돌출 연장시켜 형성한 지지부와; 상기 수용부의 개구를 통하여 출입하는 컵의 보관 또는 인출을 선택하는 개폐부로 이루어진 액체휴대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본 고안의 목적을 충분하게 달성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액체휴대용기의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컵휴대구조를 보인 액체용기의 저면부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액체휴대용기에 컵을 휴대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액체휴대용기 101...수용실
102...저면부 103...휴대부
104...휴대홀 105...지지부
106...경사면 107...개폐부
200...컵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컵휴대구조를 보인 액체용기의 저면부 단면도이고, 도3은본 고안의 액체휴대용기에 컵을 휴대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내부에 일정한 용적을 구비하여 저면부(102)는 평편하고, 상단에는 액체를 주입하거나 토출할 수 있는 토출구에 마개(201)가 구비된 액체휴대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기(100)의 저면부(102)를 수용실(101)의 내측으로 돌출시켜 휴대홀(104)을 형성한다.
상기 휴대홀(104)의 내측상부에서 다시 액체휴대용기(100)의 저면을 향하여 돌출시켜 지지부(105)를 형성한다.
상기 휴대홀(104)은 컵의 외주연을 삽입할 수 있도록 수직하게 형성되었고, 지지부(105)는 컵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휴대홀(104)와 지지부(105)의 형상에 의하여 액체휴대용기(100)의저면부(102)에는 휴대부(103)가 구비되고, 이 휴대부에는 경사면(10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휴대홀(104)의 개구에는 통상의 일회용 컵이 삽입된 상태를 가리거나, 휴대홀(104)을 가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의 개구 주변에 접착되어 컵의 이탈을 방지하여 휴대가 가능하게 한 접착면이 구비된 개폐부(107)를 형성한다.
상기의 구서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액체휴대용기(100)의 저면에 컵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휴대부(103)의 휴대홀(104)로 3개정도의 일회용 컵(200)을 겹체 삽입하면 휴대홀(104)로 삽입되는 컵(200)의 외주연은 휴대홀(104)의 지지부(105)에 접촉되는 상태로 삽입되고, 삽입된 컵(200)의 내면은 지지부(105)의 경사면(106)과 접촉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컵(200)은 액체휴대용기(100)의 휴대부(103)에 기워진 상태가 된다. 이후에 접착면을 가진 개폐부(107)를 액체휴대용기(100)의 저면부(102)에 구비된 휴대부(103)의 개구에 덮어 일회용 컵(200)은 액체휴대용기(100)에 저장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액체휴대용기(100)에서 수용실(101)에 있는 액체를 사용하고자하는 경우에 별도의 컵을 준비할 필요없이 저면부(102)에 부착된 개폐부(107)의 일측을 떼어내면 일회용 컵(200)이 노출되는 것이고, 액체휴대용기(100)를 바로 세워 휴대홀(104)에 있는 컵(200)을 꺼내면 액체를 일정량 따라 낼 수 있는 컵(200)이 제공되는 것이다. 이처럼 컵(200)을 사용한 후 사용된 컵(200)을 저면부(102)의 휴대홀(104)로 삽입하고 개폐부(107)를 닫으면 접착성분에 의하여 휴대홀(104)의 개구 주변에 접착되어 휴대홀(104)을 가로막아 컵(200)이 외부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어 액체휴대용기(100)와 컵(200)을 동시에 휴대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액체휴대용기는 컵을 휴대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무로서 야외에서 컵을 별도로 준비하지 않아도 액체휴대용기 자체에 수용된 상태로 구입할 수 있어 액체를 따라 내기가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컵을 별도로 준비하지 않아도 용기 자체구조에 컵이 보관되거나 제공되기때문에 음료, 액상의 조미료, 세제 등의 경우에는 컵을 계량컵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액체휴대용기에 컵을 휴대하도록 한 실시예 이외에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형 제조가 가능함은 두 말할 것도 없다.

Claims (2)

  1.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용적을 갖는 휴대용기의 저면부를 용적내측으로 돌출시켜 컵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부와; 상기 수용부의 중앙을 컵의 내경과 접촉되게 저면부측으로 돌출 연장시켜 형성한 지지부와; 상기 수용부의 개구를 통하여 출입하는 컵의 보관 또는 인출을 선택하는 개폐부로 이루어져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체휴대용기의 컵 휴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홀은 세개이상의 일회용 컵을 수용하는 크기이며 지지부는 일회용 컵의 내면과 접촉하는 경사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액체휴대용기의 컵휴대구조.
KR2019980023528U 1998-11-30 1998-11-30 액체휴대용기의 컵휴대 구조 KR1999000828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528U KR19990008281U (ko) 1998-11-30 1998-11-30 액체휴대용기의 컵휴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528U KR19990008281U (ko) 1998-11-30 1998-11-30 액체휴대용기의 컵휴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281U true KR19990008281U (ko) 1999-02-25

Family

ID=69504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3528U KR19990008281U (ko) 1998-11-30 1998-11-30 액체휴대용기의 컵휴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828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9977A (zh) * 2018-12-25 2019-04-16 杭州啊啦屋里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调制饮料的便携式定量滴滤萃取装置及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9977A (zh) * 2018-12-25 2019-04-16 杭州啊啦屋里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调制饮料的便携式定量滴滤萃取装置及方法
CN109619977B (zh) * 2018-12-25 2023-12-01 杭州啊啦屋里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调制饮料的便携式定量滴滤萃取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6390B1 (en) Container lid with cooling reservoir
US7111748B2 (en) Stable thermos multi-cup
AU2018200805A1 (en) Combined wine glass and wine bottle package
US6126024A (en) Convertible cup for vacuum bottle
US8141740B2 (en) Portable container
KR19990008281U (ko) 액체휴대용기의 컵휴대 구조
KR102212090B1 (ko) 스트로가 구비된 텀블러
KR200497485Y1 (ko) 대구경 인입구를 가지는 텀블러 용기
KR200307944Y1 (ko) 투명위생커버가 끼워진 음료수캔 용기
WO2001042101A1 (en) Bottle cap
JP4041682B2 (ja) 市販ボトル用アダプタ
KR200259252Y1 (ko) 음료분말 또는 티백이 내장되는 생수병 뚜껑
US6138829A (en) Beverage containment device
KR200462202Y1 (ko) 음료용기
KR200476250Y1 (ko) 보관체가 구비된 병
KR200367256Y1 (ko)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
KR200488128Y1 (ko) 음료컵용 컵 뚜껑
CN214258868U (zh) 一种便携保温杯
KR200475233Y1 (ko) 주류 용기
KR200493844Y1 (ko) 휴대용 아이스컵
JPH0439172Y2 (ko)
KR200182824Y1 (ko) 개폐가 편리한 마개
JP2002347796A (ja) 市販ボトル装着用容器
KR200376549Y1 (ko) 주전자
RU24674U1 (ru) Бутыл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