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8226A - 레트로바이러스 및 종양성장을 억제하는 혈청제제 - Google Patents

레트로바이러스 및 종양성장을 억제하는 혈청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226A
KR19990008226A KR1019970707752A KR19970707752A KR19990008226A KR 19990008226 A KR19990008226 A KR 19990008226A KR 1019970707752 A KR1019970707752 A KR 1019970707752A KR 19970707752 A KR19970707752 A KR 19970707752A KR 19990008226 A KR19990008226 A KR 19990008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rk
serum
ethanol
blood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7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워드마크이
Original Assignee
하워드 마크 이
비로테크리미티드파트너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워드 마크 이, 비로테크리미티드파트너쉽 filed Critical 하워드 마크 이
Publication of KR19990008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22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06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from serum
    • C07K16/065Purification, frag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16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from serum, plas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0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viruses
    • C07K16/1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viruses from RNA viruses
    • C07K16/1036Retroviridae, e.g. leukemi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On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감염되기 쉬운 세포에서 레트로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기 위해, 상어로부터 얻어진 혈청 및 면역글로블린 제제가 제약학적적 조성물을 포함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따라서, 상기 혈청 제제는 후천성 면역결핍증과 같은 레트로바이러스 감염과 관련된 질병을 억제하기에 유용하다. 혈청 농축액 및 면역글로블린은 또한 종양세포 특히, 육종 및 백혈병과 같은 종양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된다.

Description

레트로바이러스 및 종양성장을 억제하는 혈청제제
후천성면역결핍증, 즉 AIDS는 실질적으로 난치의 질병으로 남아있다.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HIV)를 억제하는 화합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노력을 경주하는데도 불구하고, 감염은 한결같이 진전되고, 개인의 면역계는 기능부전이 되고 말았다. 감염된 환자는 생명을 위협하는 경우가 많은 폐렴과 카포시 육종과 같은 2차질병에 감염되기 쉽다. 3'-2',3'-디옥시티미딘(AZT), 2',3'-디데옥시이노신(ddI) 및 2', 3'-디데옥시사이토신(ddC)과 같은 약이 감염자에게 사용하도록 승인은 되었으나, 이러한 약의 사용에는 심한 독성과 내약성 바이러스 스트레인이 수반된다. 따라서, 단독으로만 사용하거나, 다른 항바이러스시약와 함께 사용하는 새로운 항레트로바이러스시약을 확인할 필요가 절실하게 되었다.
효과적인 항레트로바이러스치료는 심한 독성이 없고, 치료에 사용하더라도, 즉시 내약성 바이러스분리균이 나타나지 아니하는 항바이러스시약을 확인하는 것에 달려있다. HIV 및 기타 레트로바이러스감염을 억제하는데 잠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합물은 다수의 계통에서 선별된다. 최초에는, 감염되기 쉬운 세포계통의 생체내의 모델에서 선별이 행하여진다. 그다음에, 이러한 화합물이 생체 내에서의 항레트로바이러스활동을 하고, 받아들일만한 수준의 숙주독성을 지니고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동물모델이 이용된다. 이와 같은 모델에서는 레트로바이러스혈증에 대한 활동과 HIV의 경우에, 면역계통 및 중앙신경계통을 파괴하는 질병과 같은, 레트로바이러스로 인하여 유발되는 질병을 저지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IV감염을 포함하여, 레트로바이러스감염의 모델로서 매우 유용한 것으로 알려진 하나의 모델은 생쥐의 라우셔 백혈병 바이러스(RLV)감염이다. RLV는 성숙한 쥐에서 감염성 및 병원성을 가지며, 에리트로트로피성(erythrotropic)이 있어서, 바이러스역가에 비례하는 비장비대증을 일으킨다. Chirigos, Cancer Res. 24 : 1035-1041 (1964). 접종이상비장콜로니가 형성된 직후에, 이러한 콜로니의 수는 바로 바이러스역가를 반영한다. 각 콜로니(colony)는 연속적인 바이러스 히트(hit)의 결과이며, 콜로니는 계속하여 증대되는 반면에, 새로운 표적세포는 바이러스혈증 중에 계속적으로 형질전환이 되고 있다. RLV는 B-세포종양도 유발한다. 따라서, RLV감염은 접종후 4 내지 5주내에 감염된 동물을 죽게하는 비장비대증 및 에리트로 백혈병을 일으킨다. Weiss, Teich, Varmus, et al., RNA Tumor Viruses, 2d ed.,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pp 78 - 79, Cold Spring Harbor, NY (1984). 쥐의 RLV감염은 인간에게서 HIV의 일부 면역학적 양상을 재생하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예를 들면, Gabrilovich et al., Immunology 82 : 82 - 87 (1994), Gabrilovich et al., Eur. J. Immunol. 23 : 2932 - 2938 (1993).
항-HIV시약을 확인 및 평가하기 위하여 RLV모델을 이용하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HIV감염의 모델로서의 RLV는, 폴리[I, C]-LC, MVE-2 및 CL 246,738 (Black et al., Annl. N.Y. Acad. Sci. 685 : 467 - 470 (1993)), 및 항-HIV종합요법 (e.g., Ruprecht, supra, Buckheit et al., supra, and Black et al., supra)에 관하여 보고된 바와 같이, 미국의 식품의약관리청에 의하여 실시된 시험을 포함하여, AZT(Rauprecht et al., Nature 323 : 467 - 469 (1986); Ruprecht, Intervirol. 30(S1) : 2 - 11 (1989)), AZT의 새로운 친유성 유도체 (Schwendener et al., Antiviral Res. 24 : 79 - 93 (1994)), 테트라히드로이미다졸[4,5,1-jk][1,4]-벤조디아제핀-2(1H)-티온의 유도체 (Buckheit et al., AIDS Res. Human Retrovir. 9 : 1097 - 1106 (1993)), 생체반응변형체를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외에도, RLV는 감염된 동물에서 백혈병을 유발하기 때문에, RLV모델은 각종암, 특히 백혈병을 치료하기 위한 모델로서 광범위하게 이용된다. Sydow and Wunderlich, Cancer Lett. 82 : 89 - 94 (1994).
레트로바이러스감염을 억제하고, HIV감염과 연관되는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특히 HIV에 대한 더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이 절실히 필요하다. 백혈병이나 기타 종양과 같은 암의 진전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도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유용한 조성물은 제조와 투약이 비교적 쉬워야 하고, 독성이 비교적 적어야 하며, 레트로바이러스감염 또는 특정종양의 효과적인 억제제이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필요뿐 아니라, 이에 관련된 다른 필요도 충족시킨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감염되기 쉬운 포유동물의 세포내에서의 레트로바이러스성 및 종양성 질병을 억제하는데 유용한 상어혈청농축물을 만드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상어혈청(shark serum)은 에과 상어혈액을 혼합한 다음에, 전형적으로는 에탄올을 증발시킬만큼 충분한 온도와 시간으로 가열하되, 면역글로불린 및 보체(complement)와 같은 혈청단백질을 불활성화시킬 정도로는 가열시키지 아니함으로써, 에탄올을 제거한다. 그 다음에는, 혈청을 침전물로부터 분리하고, 직접으로 사용하거나, 레트로바이러스성 및 종양성 질병을 억제하는데 유용한,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여 조성물(compositions)을 형성하는데 이용한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아세트산 에틸이나, 상어혈액의 유사한 부분분리법에 의하여 활성부분을 생성할 수 있다.
혈청추출물을 만드는 한 방법에서는, 상어혈액을 붉은 세포와 혈청을 분리되게 할만큼의 양으로 에탄올에 첨가하여, 에탄올-상어혈액 혼합물을 형성한다. 전형적으로, 상어혈액은 냉동된 상태로 구하여, 에탄올을 첨가하기 전에, 예를 들면, 실내온도로 녹인다. 에탄올은 약 20 내지 30% vol/vol, 더 통상적으로는 약 25% vol/vol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에탄올-상어혈액혼합물은 약 70 내지 85℉의 온도로, 에탄올을 증발시킬만큼 충분한 시간동안, 그러나, 혈청보체가 불활성화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가열한다. 그다음에는, 혼합물을 원심분리, 여과 등으로 침전물과 상어혈청농축물로 분리한다. 그 다음에는, IgM 또는 IgM과 같은 분자를 포함하여, 면역글로불린의 농도를 더 명확히 하기 위하여, 혈청으로 전술한 과정을 3회 이상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서는, 에탄올과 상어혈액을 혼합한 다음에, 전형적으로는 혈청보체를 불활성화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가열하여 에탄올을 제거하고, 이어서 그 결과로서 생기는 미립자로부터 혈청을 분리시키는 과정을 거쳐 생성되는 상어혈청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아세트산에탄올 추출에 의하여 조성물이 생성된다. 이러한 조성물은 감염되기 쉬운 세포 내에서의 레트로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할만큼 충분한 양으로 또는 종양성 질병을 치료하는데 적합한 양으로 형성할 수 있고, 말토스(maltose) 등과 같은 약학적으로 인정할만한 담체 또는 안정제도 포함한다. 상어혈청 IgM 또는 IgM유사분자의 조성물은 항레트로바이러스 상조작용을 위하여, 상어골수제제와 조합시킬 수 있다. 상어혈청조성물와 그안에 들어있는 면역글로불린도 동결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에서, 감염되기 쉬운 포유류 세포의 레트로바이러스감염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어혈청, 정제된 IgM 또는 IgM유사 분자의 양 또는 상기레트로바이러스감염을 억제 또는 예방하기에 충분한 혈액 전량은 감염된 또는 감염되기 쉬운 세포에 투여하여, 이러한 세포와 접촉하게 한다. 억제가능한 레트로바이러스에는 HIV-1 및 HIV-2를 포함한 인간의 레트로바이러스가 포함된다. 골수제제와 조합되지 아니하거나, 조합된 상어혈청농축물, 정제된 IgM 또는 IgM유사 부분은 피하주사, 국소투여, 근육투여 또는 경구복용 등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방식으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서는, 종양세포를 억제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상어혈청농축물을 종양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을만큼 충분한 양으로 종양에 투여한다. 억제중인 종양세포는 예를 들면, 병에 걸린 포유동물의 생체내에서 배양하거나, 생체외 치료를 위하여 포유동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억제할 수 있는 종양에는 각종의 육종(sarcoma) 및 백혈병이 포함되고, 그외에도, 레트로바이러스 유전자에 의하여 유발되는 종양도 포함된다.
특정한 실시예의 설명
본 발명은 감염자의 레트로바이러스성 질병을 억제하거나 역전시키는 방법에서 유용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어혈청제제 및 이것으로 정제한 면역글로불린, IgM 또는 IgM유사 분자가 감염된 포유동물내의 레트로바이러스성 질병의 증상발현을 억제한다는 것이 본 발명의 일부로서 발견되었다. 상어혈청과 면역글로불린제제는 레트로바이러스의 역가(titer) 및 연관징후를 억제하고, 세포기능을 회복시키거나, 세포가 더 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서는, 상어혈청제제와 면역글로불린은 병에 걸린 포유동물내의 육종이나 림프종(lymphoma)과 같은 종양질환의 진전을 억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당한 항레트로바이러스성 및 종양성 활성도를 가지는 상어혈액, 혈청 및 면역글로불린함유부분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의 일부로서 입증되었다. 상어혈청농축물과 면역글로불린 부분은 라우셔쥐 백혈병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에 투여하면, 동물의 비장비대증의 진전을 정량의존방식으로억제 또는 예방하는데 반하여, 치료를 받지 아니하는 동물은 비장비대증이 심하게 진전된다. 라우셔백혈병바이러스는 HIV레트로바이러스감염의 생체내 모델로서 널리 이용되는 레트로바이러스이다. 이제까지는, 라우셔모델 내에서의 약효의 표준측정은 감염된 동물 내에서 비장비대증을 억제할 수 있는 능력이었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험에서는, 상어혈청농축물, 상어혈액, 혈청면역글로불린부분 및 상어혈액의 아세트산에틸부분은 실질적으로, 일부의 경우에는 완전히 라우셔감염대조동물에서 관찰된 비장비대증을 예방한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HIV감염을 수반하는 레트로바이러스성 질병의 징후를 억제하거나, 완전히 예방함으로써, 감염자의 면역계통이 개인의 반응이 심하게 억제되었던 다른 항원에 더 적절히 반응할 수 있게 하여,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상어혈청농축물의 제제는 HIV윱발 신경손상, 레트로바이러스유발 종양질환, 계획된 세포사멸 등과 같은 세포수준에서의 레트로바이러스감염과 연관된 병리학적 상태를 치료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혈청조성물에 의하여 치료될 수 있는 레트로바이러스에는 예를 들면, HTLV-I, HTLV-II, HIV-1, HIV-2 및 라우셔쥐 백혈병바이러스에 의하여 예시되는 바와 같은 다양한 동물레트로바이러스가 포함된다. 상어혈청이나 면역글로불린(IgM 또는 IgM유사 분자) 및 그 부분에 의하여 치료되거나 억제될 수 있는 질병상태는 질병상태를 겪고 있다고 의심되는 포유동물 세포 또는 동물, 예를 들면, 육종(sarcoma)세포의 경우에는, 종양형성과정에 있다고 확인된 육종세포 등을 이용하여 확인한다. 상어혈청 또는 기타제제가 질병의 경과를 억제하는가를 판정하려면, 세포를 상어혈청이나 특정한 면역글로불린제제로 치료하고, 그 결과를 치료를 받지 아니한 세포샘플과 비교한다. 이제까지 치료를 받아왔고, 종양증식능력과 같은 편리하게 모니터되는 기능적 속성의 억제 또는 반전을 나타내는 감염된 세포에서는,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치료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판정을 받는다. 이러한 여러방법은 특히, HIV감염 등과 연관될 수 있는 면역결핍증과 연관된 자가면역 또는 자가면역관련 질병을 치료하는데에도 사용된다.
일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상어혈청제제는 헤모글로빈과 같은 혈액성분과 세포를 혈청성분으로부터 주의깊게 분리하여 만든다.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혈액은 최초에는 공급자로부터 냉동된 상태로 얻는다. 상어의 혈액은 여러 가지의 수단으로 채취한다. 상어의 피는 상어가 죽은 직후 응고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채혈은 되도록 빨리 시작하여야 한다. 한 방법에서는, 상어의 머리를 위로 들리게 하고, 꼬리를 제거한 다음에, 피가 적합한 용기내로 흘러들어가게 한다. 혈액은 상어를 희생시키지 아니하고서도, 마취되거나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시킨 상어에 정맥주사를 이용하여 얻을 수도 있으나, 소량에 지나지 아니한다. 상어혈액은 마코(Mako), 드레셔(Thresher), 블랙 팁 또는 커먼 리프 상어와 같은 서로 다른 상어에서 얻은 것을 이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샌드바(Sandbar) 또는 너스(Nurse)상어와 같은 다른 종(species)도 충분하다. 항레트로바이어스 및 항종양 혈청활성도의 역가는 특정한 종이나 출처에 대한 생체내 정량분석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다. 여러종으로부터의 혈청이나, 분리된 또는 정제된 면역글로불린은 원한다면, 특별한 수준의 활성도를 달성할 수 있도록 풀(pool)로 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면역글로불린을 조합시킬 수 있고, 예를 들면, IgM 또는 IgM유사분자와 상어골수와의 여러 가지 조합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치료법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만들 수 있다.
혈청을 세포성분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냉동된 혈액을 전형적으로는 실내온도 등에서 녹게 한다. 바람직한 분리 및 농축절차에서는, 녹은 혈액을 에탄올이나 적당한 대체물, 예를 들면 에탄올의 플루오르화 유도체와 혈액에 대하여 약 15 내지 60%(vol/vol),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35% 에탄올의 비율로 혼합하고, 여기에서 설명하는 예중에서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혈액에 대하여 25% 에탄올 혼합물을 사용한다. 이러한 절차에 있어서는, 순수한 에탄올(10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물을 잘 섞으면서, 점진적으로 약 70 내지 90℉, 더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85℉,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약 70 내지 75℉의 온도가 되게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가열판이나 유사한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혼합은 혈액과 에탄올이 철저히 혼합될 수 있게 충분히 하되, 제제가 가열표면에서 너무 데워지는 것을 피하여야 한다. 가열된 제제의 적당한 혼합은 알콜이 실질적으로 혼합물로부터 증발될 때까지, 일반적으로 100ml 제제에 대하여 약 1 내지 1 1/2시간동안 계속한다. 그 결과로서 수득되는 제제에는 전형적으로 침전물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부분은 원심분리, 여과 등에 의하여 유체(혈청농축물)로부터 분리시킨다. 농축절차는 선택에 따라, 혈청농축물을 대상으로, 혈청농축물이 실질적으로 맑고, 침전물이 최종분리단계에서 제거될 때까지, 에탄올처리, 가열 및 혼합, 분리를 반복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이러한 과정을 3 내지 4회 반복하여 최종생성물을 얻는다. 이어서, 최종제제에 대한 시험은 그 샘플을 에탄올과 혼합하여, 가열 및 혼합을 거쳐 실시하며, 더 이상 침전물이 없으면, 실질적으로 순수한 혈청임을 나타낸다.
약학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조성물을 만들기 위하여, 상어혈청농축물과 여기에서 얻은 부분, 예를 들면, IgM 또는 IgM유사 분자를 예를 들면, 여과 방사선조사 등과 같이, 약학적으로 인정할만한 혈청제제를 만드는 것에 조예가 있는 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으로 살균한다. 약학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혈청제제를 만드는 방법은 여기에 참고로 합체시킨 미국특허 제4,587,121호, 제3,903,262호 및 제4,186,192호에 기술되어 있다.
상어혈청이나 면역글로불린조성물은 레트로바이러스관련질병 또는 암에 걸려있거나, 걸리기 쉬운 사람이나 포유동물에 투여할 수 있다. 상어혈청과 그 면역글로불린은 HIV감염세포에 대한 면역성확산능력 등과 같은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으로 믿어진다. 따라서, 바이러스의 복제나 확산은 치료에 의하여 방해를 받으나, 환자는 반응면역계통을 회복하거나 보유하기 때문에, 다른 항원의 도전이나 HIV 자체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다. HIV에 대한 이차감염이 사망율의 주요원인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치료는 이러한 질병의 참담한 결과를 제거하는 주요단계를 제시한다.
조성물은 예를 들면, 건강관리요원에 대한 오염주사기상해 또는 일상적인 수혈 또는 감염된 체액이나 배양액에 노출될 위험속에 있는 자에 대한 HIV예방과 같은 사전 또는 사후노출예방용으로 사용된다. 사후노출예방을 위하여는, 의심이 되는 접종 직후에 투약을 시작하고, 그후 적어도 2 내지 4주일동안 계속한 다음에, 바이러스 및 질병의 성장이나 진전을 억제하거나, 이에 대한 면역성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바에 따라, 용량을 추가하거나, 장기유지용량을 투여한다.
약학적 혈청과 면역글로불린조성물은 예방치료 또는 치료용의 비경구, 경피, 경구 또는 국소투여를 위한 것이다. 이러한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투여를 하는 것, 즉 정맥주사, 복강내주사, 피하주사 또는 근육내주사로 투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성물을 상어혈청농축물, 실질적으로 정제된 면역글로불린 또는 약학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담체, 바람직하기로는 물담체내의 상어골수의 용액이 포함되어 있는 경구, 경피 또는 비경구투여용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수성담체로는 예를 들면, 물, 완충액으로 처리된 물, 0.4% 살린, 0.3% 글리신 등이 사용되며,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알부민, 지방단백질, 글로불린 등과 같은, 약간의 화학적 변경이 가하여진 다른 단백질도 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면, 5 내지 25% 농도의 경피투여용 또는 피부에 바르는 크림이나 연고로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종래의 살균방법으로 살균할 수 있다. 그 결과로 얻은 용액은 사용할 수 있게 포장하거나, 무균상태하에서 여과하여 냉동건조시키고, 이와 같이 냉동건조된 제제를 투여전에 멸균용액과 조합시킬 수 있다.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인정할 수 있고, 유사한 생리적 상태에 필요한 보조물질, 즉 pH조정 및 완충제, 삼투성조정제 등, 예를 들면, 아세트산 나트륨, 락트산 나트륨,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안정제(예: 말토스(1 - 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어혈청, 면역글로불린제제 및 이러한 제제내의 골수의 농도는 선택된 특정한 투여방식과 치료중인 질병에 따라, 약10중량% 이하로부터 통상적으로는 적어도 약 25 내지 75 또는 90중량%까지 상당히 다르게 할 수 있으며, 주로 유체용적, 점성 등에 의하여 선택된다. 경구, 피하 및 비경구투여용 조성물을 만드는 실제방법은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게는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에 참고로 합체시킨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7th et.,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85)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환자의 레트로바이러스매개질병이나 암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양은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표준실험적 방법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면역기능의 손상의 반전, 즉 리콜 항원(recall antigen)(예: 인플루엔자), 동종항원 또는 PWM, PHA 등과 같은 미토겐(mitogen)에 대한 임파액확산반응의 회복 및 조성물의 효능은 공지된 다양한 T-세포확산반응절차에 의하여 모니터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은 레트로바이러스감염이나 종양에 이미 걸려있는 숙주(host)에게, 잇달아 일어나는 면역결핍질환과 그 합병증 또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할 걸리기 쉬운 종양의 진전을 예방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양으로 투여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에 적당한 양을 치료에 효과적인 정량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용도에 효과적인 양은 감염이나 질병의 경중, 치료를 받고있는 환자의 체중 및 일반상태 등에 따라 상당히 다르게 되나, 일반적으로는, 1회 사용당 상어혈청농축물, 면역글로불린 또는 골수의 숙주체중이 약 5 mg/kg 내지 약 1000 mg/kg일 때, 약 10 mg/kg 내지 약 200 mg/kg의 용량이 더 많이 사용된다. 투약은 질병에 대한 반응 및 환자의 치료에 대한 내성 등에 따라 필요한대로 일일투여, 주간투여 또는 그보다 더 적게 할 수 있다. 장기간에 걸친 유지용량이 필요한 경우도 있으며, 용량은 필요에 따라 조정한다. 투약기간은 일반적으로 HIV에 감염된 자의 경우에는, 대부분 HIV바이러스에 대한 효과적인 면역반응이 상승될 수 있을만큼, 숙주의 면역계통을 회복시키거나, 암세포의 성장을 제거 또는 실질적으로 억제하기에 충분하게 한다. 환자의 회복된 면역계통이 질병을 제거할 수 없는 경우에는, 장기간에 걸친 유지용량이 필요할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생명을 위협하는 또는 잠재적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치료를 담당한 의사는 이와 같은 조성물을 실질적으로 과다하게 투여할 수 있고, 그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될 것이다. 수의학적 용도로는 필요에 따라 더 높은 수준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방약으로 사용하는 때에는, 레트로바이러스매개질병에 걸리기 쉽거나, 걸릴 위험하에 있는 환자에게 투여하여, 환자 자신의 면역학적 능력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양을 예방적으로 효과있는 정량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정확한 양은 환자의 건강상태 및 체중에 따라 달라지나, 일반적으로는 약 1 mg/kg 내지 250 mg/kg 체중, 더 통상적으로는 약 10 mg/kg 내지 100 mg/kg 체중의 범위 안에 있다.
조성물의 단독 또는 다중투여는 치료하는 의사가 선택하는 정량의 수준 및 방식으로 실시된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상어혈청농축물, 정제된 면역글로불린 및 골수의 제제는 치료를 받는 숙주의 레트로바이러스매개질병이나 종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에 충분한 양의 억제제를 제공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생체외 치료를 위하여서도 사용할 수 있다. 생체외 또는 체외치료라 함은 숙주의 신체외에 있는 세포 및 유체에 대하여 치료를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임파세포 또는 기타 표적세포를 환자로부터 제거하여, 환자가 수행 또는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훨신 초과하는 농도의 억제제를 세포에 제공하면서, 다량의 조성물로 치료할 수 있다. 치료가 끝나면, 세포는 숙주로 되돌아가서 질병을 치료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제제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 사용하기 위하여, HTLV-I, HTLV-II, HIV-1 또는 HIV-2 또는 암과 같은 레트로바이러스에 대한 치료의 활성도를 높이는 여러 가지 치료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다른 약학적 조성물과 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AZT, ddI, ddC 또는 AZT, ddI 및 상어혈청농축물과 같은 그 조합물과 함께 부가치료로서 투여할 수 있다. IgM부분도 효능을 높이기 위하여 IgM유사부분과 조합할 수 있다. 혈청 또는 정제된 면역글로불린도 상어골수제제와 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제제는 부가치료용으로 투여되는 때에는, 제제를 다른 치료방법과 함께 또는 시간간격을 두고 따로따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시험관내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 조성물은 레트로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쉬운 일부 하이브리도마(hybridoma) 또는 다른 임파세포계와 같은 배양세포가 레트로바이러스로 인하여 죽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는 항레트로바이러스화합물 또는 기타치료의 효과적인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선별시험분석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그외에도, 환자의 세포의 레트로바이러스에 의한 기능부전 또는 사멸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하여 억제되거나 반전될 수 있는가를 측정함으로써, 적당한 치료법을 더 빨리 실시하거나, 다른 항HIV양생법과 같은 다른 치료방법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항HIV치료법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진단법도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된다. HIV이환성 또는 예를 들면, 리콜 항원, 동종항원 또는 PWM, PHA 등과 같은 미토겐에 대한 반응 등, 면역기능의 회복의 수준에 관한 시험관내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상어혈청 또는 면역글로불린 조성물의 생체내 활성도를 표시할 수 있다. 세포개체군(cell population)내의 면역기능수준의 변화를 모니터하기 위하여, 면역기능의 대조값을 일반개체군 또는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환자로부터의 세포에서 측정할 수 있다. 면역기능은 환자에 따라 상당히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각 환자별로 치료전 면역기능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다음에는, HIV감염자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임파세포내의 면역기능수준을 치료중에 모니터한다. 이 수준을 치료에 노출되지 아니한 세포내의 면역기능수준과 비교하고, 치료의 효과는 치료중 또는 치료후에 측정한 면역기능의 수준증가에 의하여 평가한다.
본 발명의 상어혈청농축물 및 정제IgM 또는 IgM유사 면역글로불린은 항종양제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혈청농축물에 의하여 억제되는 종양질환중에는 레트로바이러스 유전자에 의하여 유발되는 것을 포함하여, 육종, 백혈병 및 암종 등이 있다. 종양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기에 충분한 본 발명이 상어혈청농축물의 효과적인 양은 예를 들면, 생체내 영상법이나 생체외 진단법 등, 여러 가지의 절차로 전이사이트(metastatic site)를 모니터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청농축물에 의한 치료를 모니터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전립선암종에 대한 PSA시험분석 또는 CEA시험분석과 같은 다른 암표지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험분석은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용 조성물은 이미 종양(예: 육종, 백혈병, 암종)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질병을 치유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를 저지할 정도의 양으로 투여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에 적당한 양을 치료에 효과있는 정량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용도로 효과적인 양은 특히, 전이사이트가 관련되어 있는 때에는, 종양의 경중 및 그 위치와 치료를 받고있는 환자의 체중 및 일반적인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는, 1일당 혈청농축물 또는 면역글로불린의 숙주체중 약 10 mg/kg 내지 1000 mg/kg에 있어서, 1일당 약 25 mg/kg 내지 125 mg/kg의 용량이 더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장기간에 걸친 유지용량은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상어혈청농축물과 면역글로불린은 질병이 진전된 상태, 즉 생명을 위협하거나, 잠정적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종양에서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치료하는 의사는 이러한 조성물을 과도하게 투여할 수 있고, 그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조성물의 단독 또는 다중투여는 치료하는 의사가 선택하는 용량수준과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조성물의 양을 종양질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만큼 충분하게 제공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부가치료제로서 투여할 수 있다. 이 조성물은 예를 들면, 탁솔, 시스-플라틴, 타목시펜, 인산에토포사이드, 독소루비신, 다우노미신, 엔도크린 요법 등과 함께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부가치료제로서 투여되는 때에는, 다른 치료법과 함께 또는 다른 시간간격을 두고 따로 따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어혈청 및 골수제제와 면역글로불린은 레트로바이러스매개질병을 억제하기 위한, 여기에서 설명하는 방법에 의하여, 종양의 생체내 치료에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골수 기타표적세포나 조직을 환자로부터 제거하고, 조성물의 치료농도를 환자가 수행하거나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훨신 초과하여 제공하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포함되어 있고, 선택적으로 톡신, 의약품, 라벨 등과 같은 세포독작용제(cytotoxic agent)에 결합시킬 수 있는 다량의 조성물로 치료한다. 표적세포개체군이나 조직내의 종양세포를 제거하기 위한 치료에 뒤이어, 세포 또는 조직은 환자에게 되돌려준다.
다음의 실험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설명을 위하여 제공한다.
실시예 1
이 예는 상어의 혈액으로부터 혈청농축물을 만드는 것을 설명한다.
대서양, 태평양산 청상어의 혈액을 냉동된 상태로 얻었다. 이러한 혈액은 상어의 꼬리를 분리시키고, 몸체를 위로하여, 피가 용기내로 흘러들어가게하여 얻은 다음에, 용기를 밀봉하고, 냉동격실내에서 얼렸다. 이 피는 실험실에 인도되기까지 냉동된 상태로 유지되었다. 이와 같이 냉동된 혈액을 실내온도에서 녹였다.
전형적인 제제에서는, 100ml의 녹은 상어혈액을 실내온도에서 25%(용적비)의 순수한 에탄올로 처리하였다. 그다음에, 혼합물은 혈액과 알콜이 잘 혼합되고, 준비물이 가열표면에서 너무 달구워지지 아니하도록 충분히 혼합하면서, 약 70 내지 75℉의 온도로 가열하였다. 가열된 준비물의 혼합은 알콜이 실질적으로 혼합물로부터 증발될 때까지, 100 ml의 준비물에 대하여 약 1 내지 1 1/2 시간동안 계속한다. 여기에서 얻은 준비물에는 침전물이 들어있고, 이를 40 내지 45분에 걸쳐 1,315 x g에서 원심분리(Physician's Compact Centrifuge, Clay Adams, Inc.)에 의하여 제거하였다. 이러한 에탄올처리, 가열 및 혼합, 원심분리 및 경사(傾瀉)의 과정을 3 내지 4회 반복하였다. 그 결과로서 얻은 유체는 매우 맑고, 최종원심분리단계에서는 침전의 흔적만 얻었다. 에탄올과의 혼합, 가열 및 혼합에 이어서 원심분리에 의한 최종제제의 그다음시험에서는, 원심분리용기내에 침전물이 전혀 없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생성물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상어의 원혈액의 헤모글로빈 농도는 100 ml당 16g이었고, 총단백질 함유량은 100 ml당 6.6g이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라우셔(Rauscher) 바이러스 억제예에서 사용한 상어혈액농축물의 헤모글로빈 함유량은 100 ml당 4.6g이었고, 단백질 함유량은 100 ml당 1.5g이었다. 혈청농축물의 2가지 제제를 인간IgM에 있어서 특유한 시약(reagent)에 의하여 시험한 결과, 제1제제에서는 약 368 mg/dl의 농도를, 제2제제에서는 155 mg/dl의 농도를 각각 나타내었고, 인간IgM에 특유한 시약은 제1제제에서는 약 139 mg/dl의 농도를, 제2제제에서는 약 52 mg/dl의 농도를 각각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이 예는 포유동물내의 레트로바이러스감염의 증상발현을 억제하기 위하여, 예1에서 설명한 혈청제제의 사용을 설명하는 것이다.
항레트로바이러스제로서의 상어혈청제제의 효능은 라우셔 바이러스질병 모델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라우셔는 전형적으로 생쥐의 비장내에 에리트로이드 콜로니를 발생시켜서 심한 비장비대증을 유발하고, 에리트로백혈병도 유발하는 생쥐내의 일종의 병원성 쥐레트로바이러스이다. 이 연구에서는 BALB/c 생쥐를 상어혈청제제로 치료하였으며, 치료를 받지 아니한 대조군은 바이러스제제로 감염되었다.
시험동물로서는 12 내지 15그램의 BALB/c생쥐를 이용하였다. 이 생쥐는 미국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 하란 스프레이그 다울리에서 얻었고, 시험에 이용하기 전에, 최소한 5일간 검역하였다. 생쥐를 안정된 온도로 보존하면서, 질병, 스트레스, 상해, 외부기생충 등의 징후를 매일 관찰하였다.
시험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동물을 5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12마리의 동물로 구성된 그룹I은 생쥐들이 라우셔 바이러스의 도전을 받지 아니하는 대조군으로서 이용되었으나, 5일동안 매일 0.2 ml의 생리학적 염류용액이 들은 IP를 주입하였다. 그룹2의 12마리 동물은 연구의 0-데이에 라우셔 바이러스의 도전을 받고, 5일동안 매일 생리학적 염류용액의 IP주사를 맞았다. 그룹3A는 6마리의 동물로 구성되고, 0-데이에 라우셔 바이러스의 도전을 받고, 5일동안 매일 복강내주사로 0.5 ml의 상어혈청제제를 주입받았다. 그룹3B는 6마리의 동물로 구성되고, 0-데이에 라우셔 바이러스의 도전을 받고, 5일동안 매일 복강내 주사에 의하여, 0.25 ml의 상어혈청제제를 주입받았다. 그룹 3C는 6마리의 동물로 구성되고, 0-데이에 라우셔 바이러스의 도전을 받고, 5일동안 매일 복강내 주사에 의하여 0.1 ml의 상어혈청제제를 주입받았다. 각 생쥐에게는 복강내로 0.1 ml의 라우셔 바이러스감염세포(06-000-000; Advanced Biotechnologies, Inc. MD)를 주사하였다. 0-데이에 바이러스를 주입한 직후에, 동물에게 염류 또는 상어혈청제제를 첫 번째로 주입하였다. 동물은 21일간 매일 관찰하고, 21일째에 실험을 종료하고, 생존동물의 무게를 기록하였다. 동물이 죽은 직후에, 동물로부터 비장을 제거하고, 그 무게를 달아서 기록하였다.
표1에서 볼 수 있는 결과는 염류만을 주입받은 그룹1 동물의 생쥐 1마리당 평균비장무게는 120 mg임을 보여주었다. 라우셔 바이러스의 도전을 받고, 염류치료만을 받은 그룹2 동물은 생쥐 1마이당 평균비장무게가 3,800 mg의 거대한 비장을 가졌다. 이러한 대조그룹은 레트로바이러스에 감염되고, 감염된 동물내에서 질병이 진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0.5 ml, 0.25ml 또는 0.1ml의 상어혈청제제을 주입받은 동물은, 염류로 치료받은 동물과는 대조적으로, 생쥐 1마리당 비장의 평균무게가 110mg, 398 mg 및 872 mg의 극적으로 작은 비장을 가졌다.
그룹 생쥐1마리당 평균최종체중(g) 생쥐1마리당 평균비장중량(g)
I (neg. ctrl) 23.0 120
II (pos. ctrl) 21.5 3800
III-A 22.4 110
III-B 27.3 398
III-C 22.4 872
이러한 결과는 상어혈청제제가 상당한 항레트로바이러스활성도를 지니고 있으며, .5ml의 치료의 경우에는, 감염된 동물내의 레트로바이러스질병의 정상진행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더 낮은 용량의 경우에는, 이를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하게 한다.
실시예 3
이 예는 라우셔 바이러스 질병 모델을 이용하여, 생쥐의 레트로바이러스감염의 증상발현을 억제하기 위한, 분별상어혈청제제의 사용을 설명하는 것이다.
상어의 완전혈액은 예I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얻었다. 혈청은 라우셔시험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준비 및 분별하였다. 100ml의 혈액에 800ml의 증류수와 300ml의 에탄올을 첨가한 다음에, 10℃에서 10분동안 혼합하고, 10℃에서 10분동안 1600 x g로 원심분리하였다. 침전물(이하 ppt. I이라 한다)은 시험(인산염완충식염, PBS으로서)을 위하여 남겨두고, 상청액(supernatant)(이하 Sup. I이라 한다) 750 ml은 60% 에탄올의 최종농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에탄올과 조합시켜서, 침전물을 형성하게 하였다. 혼합물을 4℃에서, 20분동안 22,000 x g로 원심분리하고, 이로부터 수득한 상청액을 Sup. II로 지정하였다. 침전물 ppt. II을 30 mM NaCl (750ml)와 조합하여 여과하였다. 그 결과로서 수득한 침전물(ppt. III)은 폐기하고, 여과물을 에탄올로 처리하여 에탄올의 최종농도를 30%로 하였다. 이것을 4℃에서 20분동안 22,000 x g로 원심분리하고, 상청액(Sup. III)은 그대로 두었다. 침전물(ppt. IV)은 30 mM NaCl(100ml)로 처리하고, (ppt. IV의 일부는 시험용으로 PBS내에서 재현탁하였다), pH를 0.5M Na2HPO4에 의하여 7.4로 조정한 다음에, 에탄올과 혼합하여 에탄올의 최종농도를 25%로 하였다. 용액을 4℃에서 20분동안 22,000 x g로 원심분리하고, IgM유사분자를 포함하는 정제된 면역글로불린부분을 포함한 침전물(ppt. V)을 수득하였다.
상어혈액의 준비물을 별도로 아세트산 에틸에 의하여 추출하였다. 500ml의 혈액에 500ml의 dH2O를 첨가하고, 500ml의 아세트산 에틸을 3회에 걸쳐 추출하였다. 그 결과로서 수득한 1400ml의 아세트산 에틸을 무수탄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킨 다음에, 50ml의 용적으로 증발시켰다. 그 다음에는 300ml의 아세톤을 첨가하여 침전물을 형성시켰다. 이 침전물을 원심분리하고, 공기에 의하여 건조하였다. 회색을 띤 백색분말인 약 2 그램의 타닌을 수득하고, 이를 아세트산 에틸 부분이라 한다. 약 0.5 그램의 분말은 시험을 위하여, 50ml PBS내에 재현탁시켰다.
시험동물로서는 중량이 12 내지 15 그램의 BALB/c 생쥐를 이용하였다. 이러한 생쥐는 캘리포니아주 길로이, 사이몬슨 시험소(Simonsen Laboratories)로부터 얻었고, 시험용으로 이용하기 전에, 최소한 5일동안 검역하였다. 생쥐를 안정된 온도에서 유지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매일 관찰하였다.
시험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도전바이러스(challenge virus)용으로 라우셔 백혈병바이러스감염세포(06-000-000)를 Advanced Biotechnologies, Inc., MD 로부터 얻고, 바이러스는 패시지생쥐passage mice)로부터 옮겨졌다. 도전절차를 위하여, 라우셔 바이러스의 도전을 받게 될 모든 그룹은 0-데이에 도전을 받고, 각 생쥐에는 0.25ml의 바이러스가 복강내로 주입되었다. 치료절차에 있어서는, 치료예정생쥐에 1-데이로부터 5-데이까지 5일동안 0.5ml이 상어혈액 또는 특정부분을 복강주입하였다. 사망수는 모든 그룹에 대하여 매일 기록하였다. 본 연구는 28일째에 종료되었다. 동물이 죽은 직후에, 동물로부터 비장을 제거하고, 그 무게를 계측하였다.
그 결과는 표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식염만을 주입받은 그룹1의 동물은 생쥐 1마리당 비장의 평균무게는 98mg이었다. 라우셔 바이러스의 도전을 받고, 식염치료만을 받은 그룹2의 동물의 평균비장무게는 3,620mg이었다.
이러한 대조그룹은 레트로바이러스에 감염되고, 감염된 동물에서는 질병이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식염치료를 받은 동물과는 대조적으로, 0.5ml의 완전한 혈액(그룹3), ppt. V(그룹 11) 또는 아세트산에틸농축물(그룹12)을 투여받은 동물은 비장이 극적으로 작고, 생쥐 1마리당 비장의 평균무게는 각각 226mg, 148mg 및 96mg이었다.
그룹 생쥐No. 시험 라우셔 바이러스 생쥐당 평균비장무게(mg)
1 10 식염 98
2 10 식염 3620
3 5 혈액 226
4 5 ppt. I 2980
5 5 Sup. I 2000
6 5 ppt. II 2200
7 5 Sup. II 3460
8 5 ppt. IV 1880
9 5 Sup. III 3540
10 5 ppt. V 148
11 5 Sup. IV 3700
12 5 아세트산 에틸 96
상기결과는 IgM유사부분을 포함하는 상어혈액과 혈청면역글로불린제제가 상당한 항레트로바이러스활성도를 가지며, 감염된 동물의 비장내에서 레트로바이러스질병이 진행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라우셔모델내의 다른 정제상어면역글로불린제제와 정제과정중에 얻은 부분(Fr.2)에 의하여 별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본질적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행하였는데, 그 요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룹 생쥐No. 시험a 라우셔 바이러스 생쥐당 평균비장무게(mg)
1 8 식염 103.1
2 8 식염 3532.5
3 8 10mg/kg Ig 116.1
4 8 5mg/kg Ig 154.4
5 8 1mg/kg Ig 273.9
6 8 1mg/kg Fr.2 104.7
7 8 .5mg/kg Fr.2 105.2
a = 5일동안 매일 투여된 (IP) 시험물질. 모든 동물은 연구를 시작한 후25일째에 죽었다.
이 연구에 의하여, 표2에서 보고된 연구에서 관찰된 상어면역글로불린함유부분의 항레트로바이러스효능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4
이 예는 예1에서 설명한 상어혈청제제의 현저한 항종양활성도를 보여준다.
이 연구에서 이용된 종양은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으로부터 얻은 육종 180이었고, 치료를 받지 아니한 스위스-웨브스터(Swiss-Webster)암생쥐내의 복수증(ascites)으로서, 주간간격으로 옮겨졌다. 본 연구용 종양세포의 종균을 준비하기 위하여, 7 내지 10일간 복수증을 앓고있는 생쥐로부터 복수를 멸균방법으로 흡인하여 뽑아내었다. 트리팬-블루착색(trypan-blue staining)을 이용하여, 종양세포의 생존가능성을 점검하였다. 그다음에, 세포의 수를 결정하고, 세포를 정상식염 또는 인산염완충식염으로 희석하여 세포의 최종농도를 1 - 2 x 106/mm3으로 하였다. 이러한 현탁액은 생쥐에 대한 주사용으로 사용하였다. 최종희석물은 세균오염이 없었는가를 판정하기 위하여, 트립티케이스 간장 한천(trypticase soy agar)상에 입혔다.
동물내에 주입하기 위하여, 0.1ml의 종양세포현탁액을 각 생쥐의 왼쪽 뒷다리 근육에 접종하였다. 그다음에는, 접종받은 생쥐들을 하나의 큰 우리안에 넣은 후, 10마리씩 무작위로 분리하여 그룹을 만든 다음에, 일상적인 상태하에서 가도어 두었다. 생쥐의 무게는 접종일, 7일째, 동물이 죽은 14일째에 계측하였다.
생쥐의 치료는 통상적으로 종양을 주입한 날로부터 1일 후에 개시하고, 5일동안 매일 계속하였다. 하나의 그룹에서는, 7일이 지날 때까지 치료를 개시하지 아니하였고, 그때 종양의 진전이 명백하게 나타났다. 이 예에서는, 동물이 죽기 전에, 5 내지 7일간 치료를 계속하였다. 14일의 관찰기간이 끝난 때, 생쥐들은 경부전위 또는 에테르 마비에 의하여 죽었다. 종양이 들어날 수 있게 왼쪽 뒷다리의 가죽을 제거하고, 종양이 있는 다리를 고관절(hip joint)에서 떼어내었다. 정상다리의 평균치를 종양이 있는 다리의 무게에서 빼어 실제종양무게를 개산하였다. 종양억제의 백분비는 다음과 같이 구하였다.
% 억제 =종양평균무게(시험)X 100
종양평균무게(대조)
각 그룹은 10마리의 생쥐로 구성하였다. 시험생쥐는 종양이식 다음날에 치료를 받았고, 5일동안 치료를 계속하였다. 종양의 무게는 14일째에 계측하였다. 10마리의 생쥐가 대조그룹으로 이용되고, 0.5ml의 식염으로 치료를 받았다. 10마리는 0.25ml의 상어혈청제제로 치료를 받고, 10마리는 0.5ml의 상어혈청제제로 치료를 받았다. 이러한 제제는 모두 복강내주입에 의하여 투여되었다.
표4에 표시된 결과는 식염만으로 치료받은 대조그룹동물의 종양에 비교하여 볼 때, .25ml 및 5ml의 상어혈청제제에 의한 치료에 있어서, 각각 57.7% 및 98.4%의 평균종양억제로서, 현저한 항종양활성도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룹 평균종양무게(g) 억제 (%)
대조그룹 2.43 g --
0.25ml 혈청농축물 1.03 g 57.7 %
0.5 ml 혈청농축물 0.04 g 98.4 %
이상에서는 설명의 목적으로 본 발명의 특정실시예만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분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제한을 받지 아니한다.

Claims (26)

  1. (1) 에탄올을 적색세포와 혈청을 분리되게 함으로써, 에탄올-혈청혼합물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상어혈액에 첨가하는 스텝;
    (2) 에탄올-상어혈액혼합물을 에탄올을 증발시키기에 충분하되, 혈청보체를 불활성화할 정도로는 충분하지 아니한 온도와 시간으로 가열하는 스텝;
    (3) 혼합물을 침전물과 상어혈청농축물로 분리하는 스텝
    으로 구성되는 포유동물내의 질병을 억제하는데 유용한 상어혈청농축물을 만드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어혈청농축물을 가지고 상기 스텝 (1) 내지 (3)을 반복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어혈액을 냉동된 상태로 얻고, 스텝(1)에서 에탄올을 첨가하기 전에 녹이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스텝(1)의 에탄올을 20 내지 35% vol/vol의 양으로 상어혈액에 첨가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에탄올을 약 25% vol/vol의 양으로 상어혈액에 첨가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스텝(2)의 에탄올-상어혈액혼합물을 혼합하는 동안에, 약 70 내지 85℉의 온도로 가열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에탄올-상어혈액혼합물을 적어도 약 1시간동안 혼합하면서, 상기온도에서 유지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스텝(3)의 분리를 원심분리에 의하여 수행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스텝(3)의 분리를 여과에 의하여 수행하는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스텝(1 내지 3)을 적어도 3회 반복하는 방법.
  11. 감염되기 쉬운 포유동물세포이 레트로바이러스감염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상어혈액, 혈청, 면역글로불린 또는 골수를 상기감염을 억제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세포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레트로바이러스가 인간의 레트로바이러스인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인간의 레트로바이러스가 HIV-1인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상어혈액, 혈청, 면역글로불린 또는 골수를 상기포유동물세포내의 레트로바이러스복제를 억제하기 위하여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상어혈청 또는 면역글로불린을 정맥이나 근육으로 투여하는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상어혈청을 에탄올과 상어혈액을 혼합한 다음에, 에탄올을 증발시키기에 충분한 온도와 시간으로 가열함으로써 생성하는 방법.
  17. 종양세포를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상어혈청농축물 또는 정제된 면역글로불린을 상기종양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종양세포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혈청농축물을 에탄올과 상어혈액을 혼합한 다음에, 에탄올을 증발시키기에 충분하되, 혈청보체를 불활성화할만큼은 충분하지 아니한 온도와 시간으로 가열하고, 이어서 혈청을 침전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생성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종양세포를 감염된 포유동물내에 집어넣고, 상어혈청농축물 또는 면역글로불린을 상기포유동물에 투여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종양이 레트로바이러스 유전자에 의하여 유발되는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종양이 육종 또는 백혈병인 방법.
  22. 감염되기 쉬운 세포내에서, 레트로바이러스질병의 증상발현을 억제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포유동물에 비경구투여할 수 있게 만든 분리된 상어혈청, 상어IgM 및 IgM유사분자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23. 제22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담체 또는 안정제를 더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24. 제22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안정제가 말토스인 약학적 조성물.
  25. 제22항에 있어서, 동결건조되는 약학적 조성물.
  26. 제1항의 방법에 의하여 생성되는 약학적 조성물.
KR1019970707752A 1995-05-03 1996-05-03 레트로바이러스 및 종양성장을 억제하는 혈청제제 KR199900082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3443895A 1995-05-03 1995-05-03
US8/434,438 1995-05-03
US513395P 1995-10-10 1995-10-10
US60/005,133 1995-10-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226A true KR19990008226A (ko) 1999-01-25

Family

ID=26673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7752A KR19990008226A (ko) 1995-05-03 1996-05-03 레트로바이러스 및 종양성장을 억제하는 혈청제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835124B1 (ko)
JP (1) JPH11504636A (ko)
KR (1) KR19990008226A (ko)
AT (1) ATE259240T1 (ko)
AU (1) AU696602B2 (ko)
CA (1) CA2219899A1 (ko)
DE (1) DE69631528T2 (ko)
WO (1) WO1996034616A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19180C1 (ru) * 1993-01-12 1994-09-15 Яков Давидович Безман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подкожной фибросаркомы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31528T2 (de) 2004-12-16
AU696602B2 (en) 1998-09-17
DE69631528D1 (de) 2004-03-18
WO1996034616A1 (en) 1996-11-07
JPH11504636A (ja) 1999-04-27
EP0835124A4 (en) 2000-11-02
AU5852996A (en) 1996-11-21
EP0835124A1 (en) 1998-04-15
EP0835124B1 (en) 2004-02-11
CA2219899A1 (en) 1996-11-07
ATE259240T1 (de) 200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9416B1 (en) Compositions containing synthetic soil-extract materials and medicaments based thereon
US5676974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giroxina and phospholipase A2 and methods of increasing a patient's CD4 count us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EP0213921B1 (en) Modulation of virus-related events by double-stranded rnas
US3888977A (en) Modified neurotoxin
Hirsch et al. Effects of anti-thymocyte serum on Rauscher virus infection of mice
US5063209A (en) Modulation of aids virus-related events by double-stranded RNAs
US4820696A (en) Modulation of aids virus-related events by double-stranded RNAS
WO2005102320A1 (en) Medicinal agent for treating viral infections
KR920002935B1 (ko) 맥관 형성 저해제
AU615745B2 (en) Method of effecting immunosuppression
SK94297A3 (en) New applications of lysozyme dimer
KR20000069296A (ko)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살비아 종의 추출물
JPH04275231A (ja) 事故結果として多外傷を有する危険な患者に於て、臓器拒絶の予防及び(又は)処置に、スーパーオキシドジスムターゼを使用する方法
KR19990008226A (ko) 레트로바이러스 및 종양성장을 억제하는 혈청제제
KR20060038387A (ko) 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
US20010043928A1 (en) Serum preparations for inhibiting retroviruses and tumor growth
RU2203071C2 (ru) Применение белков в качестве антиретровирусных агентов
JPH05501565A (ja) ワクチン接合体の使用方法、ワクチン調整物および製造品
Mathé Operational research in cancer chemotherapy. Chemotherapy in the strategy of cancer treatment
RU2211035C1 (ru) Противотуберкулезный препарат
JPWO2003035091A1 (ja) 藍調製物、ならびにそのヒト免疫不全ウイルスの感染予防または治療における用途
Raiziss et al. Curative effect of bismuth compounds in experimental rabbit syphilis
JPH06504261A (ja) 白血球数を増加するためのツルボラン組成物
Pomerat et al. Reticulo-Endothelial Immune Serum (REIS): V. An Experimental Anemia in Bartonella Infected Rats Produced by Anti-Blood Immune Serum
EA007839B1 (ru) Иммуностимулятор противоопухолевого действия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