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8089U - 적층을 겸하는 수동식 회전용 납골당의 유골함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적층을 겸하는 수동식 회전용 납골당의 유골함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089U
KR19990008089U KR2019980022573U KR19980022573U KR19990008089U KR 19990008089 U KR19990008089 U KR 19990008089U KR 2019980022573 U KR2019980022573 U KR 2019980022573U KR 19980022573 U KR19980022573 U KR 19980022573U KR 19990008089 U KR19990008089 U KR 199900080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suary
central shaft
storage device
ashes
decea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5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28642Y1 (ko
Inventor
이중관
Original Assignee
이중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관 filed Critical 이중관
Priority to KR20199800225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642Y1/ko
Publication of KR199900080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0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6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642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고인의 묘역을 설치함에 있어 좁은 국토의 활용도를 높힘과 동시에 묘역의 주변환경과 국민의 장례문화를 고취시키고저 가족별 또는 어떤 특별한 관계에 있는 고인들의 유해를 한곳에 순차적으로 모실 수 있는 납골당에 보다 많은 수의 유해를 봉안할 수 있도록 한쌍의 유골함이 등간격으로 다수 배설된 상하회전판이 원형기판상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수동에 의해 가볍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조문객에 의해 고인의 유해를 쉽게 찾아서 간편하게 제를 올릴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보다 많은 수의 유해도 봉안이 가능하도록 유골함이 구비된 동일한 구조의 상하회전판을 그 중앙의 중심축만을 연장하여 적층설치할 수 있게 하므로서 좁은 국토의 활용도를 높히고 나아가 장례문화의 경제성을 높이하고저 고안된 보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적층을 겸하는 수동식 회전용 납골당의 유골함 보관장치
본 고안은 수동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납골당의 유골함 보관 장치로서 특히 가족별 혹은 어떤 특별한 관계에 있는 고인들(굳이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함)을 화장시켜 그 유골을 유골함에 봉안하여 납골당에 안치되게 한 후 조문객에 의해 수시로 조문이 용이하도록 원형기판상의 중심축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된 상하회전판이 그 저면에 구비된 다수대의 캐스터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로 회전되게 한 하부 회전판위에 한쌍으로 된 유골함이 등간격으로 입설고정되고 이 유골함의 전면에는 고인의 성함을 명기하여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개폐문을 설치하고 상부회전판위에는 봉분을 얹거나 혹은 별도로 마련한 캡을 그 중심의 나사축을 상기의 중심축에 나합시켜서 구성한 것으로서 조문객이 고인에게 제를 올릴때는 고인의 성함이 새겨진 유골함의 보관 장치를 어느방향으로 임의 회전시켜준 후 재를 올릴 수 있음은 물론 상기한 중심축을 더 길게 연결하여 동일한 구조의 상하회전판을 2중 또는 3중으로 적층할 수 있어서 납골당의 외관을 단정히 함과 동시에 현대화를 꾀할수 있는 화장문화로 인해 적은 면적에 따른 토지의 활용도를 최대로 높힐 수 있으므로 해서 경제성의 극대화와 유골함의 입인출이 용이하여 보다 괘적하고 단정한 상태의 납골당을 구현할 수 있어서 국토의 효율적인 활용과 국민의 장묘관행을 개선한 적층을 겸하는 수동식 회전용 납골당의 유골함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의 전통적인 장례문화는 매장식 문화가 유교의 영향을 받아 확산되어 있고 화장제도는 한정적인 범위에 머물러 있음이 현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의 매장식 문화는 긍정적인 측면보다는 불합리한 요소를 보다 많이 내재하고 있어 점차 화장식 장례(납골식 장묘제도)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국가적으로도 이러한 제도의 활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실적으로 매장풍습에 따라 좁은 국토의 산야가 잠식되고 있으며 부분적이거나 혹은 대형화하고 있는 공원묘지는 미관상에도 결코 좋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무분별한 개인 및 문중 묘지의 설치에 따라 장례에 소요되는 과다한 비용과 묘지터에 대한 각종의 소유권 분쟁도 우려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그 대안으로 모색된 전술한 바와 같은 화장문화는 원래 불교의 다비식에서 전래되어 온 것으로 인도는 물론 많은 불교국가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구미 각국에서도 산야를 보호하거나 공원화를 조성하기 위해 납골당의 설치를 확대시키고 있지만 정작 유가족등의 조문객이 납골당에 안치되어 있는 해당 유골함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찾아내어 조문할 수 있는 설비나 시설이 취약하여 제례준비에 많은 시간을 요하게 되고 좁은 면적의 많은 수의 유골함을 설치하기란 더욱 곤란하였다.
이 때문에 가족별 묘역(납골당)의 조성화를 좁은 면적에 시행하는데는 여러 가지가 어려움을 수반할 뿐만 아니라 자동화 설비도입에 따른 설치비용도 높은 결점을 수반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국토의 효율적 이용이 곤란하여 예컨데 쓰레기 매립장등과 같은 운휴지의 활용도가 저조하고 납골당이라는 선입견에 따라 부지선정에도 많은 애로점이 따랏다.
그리하여 대형화 밀집화의 공원묘지 형태를 벗어나 각종 운휴지등에 적정수 및 그 이상의 유골함을 봉안할 수 있는 납골당을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조문객이 수동으로 회전시켜 내부에 봉안된 유골함을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납골당을 현대화 함과 동시에 단정한 시설을 갖추기 위해 지면으로부터 일정깊이로 매설한 원형기판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하 회전판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된 상기한 하부회전판상 둘레에 한쌍의 유골함이 등간격으로 입설된 유골함을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외부의 조문객이 찾을 수 있게 하고 보다 더 많은 유골함을 안치할 경우에는 중심축을 연장하고 이에 상기와 동일한 구성의 회전판을 필요에 따라 적층하여 납골당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함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을 조립 설치하여 보인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적층구조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환턱 2-저부 3-지면
4-원형기판 4'-간격링 5,5a-중심축
6,6',6a,6a'-상하회전판 6,6a-삽착공 7-캐스터
8-틈새 8'-밀폐 커버링 9,9'-유골함
10,10'-암숫 나사부 11-개폐문 12-봉분
13,13a-숫 나사부 13'-암나사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주연환턱(1)에 의해 저부(2)가 지면(3)의 하부로 매설되는 적당한 두께를 갖는 원형기판(4)의 중앙으로 간격링(4')을 형성한 중심축(5)을 나합고정시켜 입설하고 그 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체화한 상하회전판(6)(6')의 중앙으로 뚫린 삽착공(6)으로 상기의 상하회전판(6)(6')이 중심축(5)에서 수평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그 저면에 다수개의 개스터(7)를 설치하되 하부 회전판(6')의 저부와 원형기판(4)의 상부와 사이에 링(4')과 캐스터(7)로 인해 생긴 틈새(8)의 주위를 밀폐커버링(8')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한 하부 회전판(6')위에는 한쌍의 유골함(9)(9')이 등간격으로 그 둘레에 각각 저면으로 구성한 암숫 나사부(10)(10')로 착탈 가능토록 하고 상기 상하 회전판(6)(6')의 주연 전면부에는 유골함(9)(9')과 일치하는 위치에 개폐문(11)이 설치되며 상부 회전판(6)상에는 봉분(12)이나 또는 중앙저면에 숫나사부(13)에 의해 중심축(5)의 상단으로 형성되어진 암나사부(13')에 나합되는 캡(14)으로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중심축(5)의 상단으로 캡(14)이 아닌 숫 나사부(13a)를 암나사부(13')로 나합할 수 있는 중심축(5a)을 중심축(5)상으로 나합연결하고 이에 상하회전판(6)(6')과 동일한 구성의 상하 회전판(6a)(6a')을 삽착공(6a)으로 삽착 적층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한 구조이다.
미설명부호 15는 고인의 성함을 표시하고 16은 수분 배수공, 17은 상석, 18은 비석, 19는 개폐문(11)의 경첩을 각각 나타낸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도3 및 도 4의 설치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면(3)상에 환턱(1)이 일치하도록 원형기판(4)의 저부(2)를 매설하고 이의 중심축(5)에 일체로 형성된 상하 회전판(6)(6')의 삽착공(6)을 일치시켜 삽착하면 상기 상하회전판(6)(6')의 저부로 구성된 수개의 캐스터(7)와 중심축(5)의 링(4')에 의해 상하 회전판(6)(6')은 원형기판(4)상에서 수평상태로 회전되는 것이며 이때 틈새(8)의 주위는 밀폐커버링(8')으로 커버되어 있어서 각종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설치된 상하회전판(6)(6')사이에 주연으로 등간격을 두고 저면의 암숫나사부(10)(10')로 입설된 유골함(9)(9')에 가족별 또는 특별한 관계를 갖는 고인들의 유골을 봉안하고 그 앞에 고인의 성함(15)을 명기한 후 각각 개폐문(11)을 닿아주고 상부 회전판(6)상에 유족들의 취향에 따라 봉분(12)을 설치할 수 있고 또 봉분(12)을 필요로 하지 않을 때는 저면중앙에 숫나사부(13)가 중심축(5)의 상단으로 형성된 암나사부(13')에 나합되는 캡(14)을 덮어서 설치하므로서 조문객이 봉안된 고인의 유해를 찾아서 조문을 하고저 할 때는 손으로 회전판(6)(6')을 좌우 어느 방향으로 든지 가볍게 돌려 가면서 유족이 필요로 하는 유골함(9)(9')을 상석(17)앞으로 위치되게 한 다음 개폐문(11)을 열고 제를 올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가족별 또는 집안별 이외에도 특별한 관계를 갖는 보다 많은 유골을 모실때는 본 고안 도4에서 실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하회전판(6)(6')의 상부 회전판(6)상에 봉분(12)이나 캡(14)을 설치하지 않고 상기의 상하 회전원판(6)(6')과 동일한 구조의 상하 회전원판(6a)(6a')의 삽착공(6a)을 중심축(5)상의 숫 나사부(13)를 암나사부(13a')로 나합시킨 중심축(5a)으로 삽착 적층시킨 후 그 위에 전술한 바와 같이 봉분(12)이나 캡(14)을 씌워주므로서 보다 많은 수의 유해를 한자리에 모실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같은 적층작업을 적어도 그 이상의 상하회전판을 적층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족별 혹은 집안별 및 특별한 관계를 갖는 고인들의 유해를 한 자리에 보다 많이 순차적으로 안치하여 모실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유족들이 필요에 따라 조문을 하고저 할 때는 회전원판을 좌우 어느 방향으로든지 서서히 돌려 가면서 유골함에 명시된 고인의 성함이 명시된 유골함을 상석앞에 위치시킨 후 간편히 제를 올릴 수 있도록 하므로서 묘역의 조성화를 좁은 면적에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토지의 활용도를 높이함은 물론 묘역의 주변환경을 단정히 하고 국민의 장묘관행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경제성이 매우 높은 고안이다.

Claims (2)

  1. 환턱(1)이 형성된 원형기판(4)의 중앙으로 간격링(4')을 갖는 중심축(5)을 입설고정하고 이에 중앙으로 천공된 삽착공(6)에 의해 상기의 중심축(5)으로 삽착되는 상하 회전판(6)(6')의 저부는 다수개의 캐스터(7)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회전판(6')상에는 둘레에 등간격으로 한쌍의 유골함(9)(9')이 그 저면의 암숫 나사부(10)(10')에 착탈 입설됨과 동시에 하부 회전판(6')의 저부와 원형기판(4)의 상부와 사이의 틈새(8)가 밀페커버링(8')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 회전판(6)상에는 봉분(12)이나 또는 저면 중앙의 숫 나사부(13)에 의해 중심축(5)의 상단 암나사부(13')로 나합되는 캡(1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적층을 겸하는 수동식 회전용 납골당의 유골함 보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원형기판(4)에 설치된 상하 회전판(6)(6')의 상부 회전판(6)상에 중심축(5a)의 숫 나사부(13a)를 중심축(5)의 암 나사부(13')로 연결하고 이에 상기한 상하 회전판(6)(6')과 동일한 구성의 상하 회전판(6a)(6a')을 적어도 같은 방법으로 2개이상 적층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 적층을 겸하는 수동식 회전용 납골당의 유골함 보관장치.
KR2019980022573U 1998-11-19 1998-11-19 21세기형적층을겸하는수동식회전용유골함의납골묘 KR2002286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573U KR200228642Y1 (ko) 1998-11-19 1998-11-19 21세기형적층을겸하는수동식회전용유골함의납골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573U KR200228642Y1 (ko) 1998-11-19 1998-11-19 21세기형적층을겸하는수동식회전용유골함의납골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089U true KR19990008089U (ko) 1999-02-25
KR200228642Y1 KR200228642Y1 (ko) 2001-11-26

Family

ID=69504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573U KR200228642Y1 (ko) 1998-11-19 1998-11-19 21세기형적층을겸하는수동식회전용유골함의납골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64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498A (ko) * 2000-02-03 2001-08-20 장수갑 납골유니트와 이것을 이용한 납골탑
KR20010077497A (ko) * 2000-02-03 2001-08-20 장수갑 납골유니트와 이것을 이용한 납골탑
KR101323892B1 (ko) * 2012-05-30 2013-10-30 이강원 회전개폐가 가능한 납골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498A (ko) * 2000-02-03 2001-08-20 장수갑 납골유니트와 이것을 이용한 납골탑
KR20010077497A (ko) * 2000-02-03 2001-08-20 장수갑 납골유니트와 이것을 이용한 납골탑
KR101323892B1 (ko) * 2012-05-30 2013-10-30 이강원 회전개폐가 가능한 납골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642Y1 (ko) 2001-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30736A1 (en) Combined headstone and columbarium
KR19990008089U (ko) 적층을 겸하는 수동식 회전용 납골당의 유골함 보관장치
JP2009235697A (ja) 合祀墓
Hermann On the transcendent in landscapes of contemplation
Afla Spatial regeneration of Muslim burial practices in the metropolitan areas of Kuala Lumpur and Jakarta
KR200245087Y1 (ko) 매장묘와 납골당 혼합묘지
KR200207087Y1 (ko) 납골묘에 적용되는 회전식의 유골함 보관구조
CN112459600A (zh) 一种双层塔台式陵寝
KR200220633Y1 (ko) 가족납골묘
KR200430546Y1 (ko) 인물 석상을 이용한 납골함 안치대
CN211007891U (zh) 一种双层塔台式陵寝
JP7397515B2 (ja) 骨壷納骨型墓地構造
JP3154472U (ja) 墓地構造
KR200167015Y1 (ko) 납골당용 유골함의 회전 테이블식 보관장치
AU715396B2 (en) Above ground interment memorial
KR200186936Y1 (ko) 다층 납골묘
KR200242678Y1 (ko) 납골당의 구조
JP3027946U (ja) 多連組立式墓地構造
CN105756403B (zh) 升降式墓葬的方法及墓葬系统
JP2740739B2 (ja) 墓の構造
KR200285593Y1 (ko) 연립형 가족납골당
JPH072892Y2 (ja) 簡素型の墓及びその集合体
JP3008650U (ja) ユニット化された墓
KR200238394Y1 (ko) 납골함 보관구조
KR20160004740A (ko) 토장 장례 문화원 및 그 건축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