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972A - 방전파괴장치 및 방전파괴방법 - Google Patents

방전파괴장치 및 방전파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972A
KR19990007972A KR1019970707496A KR19970707496A KR19990007972A KR 19990007972 A KR19990007972 A KR 19990007972A KR 1019970707496 A KR1019970707496 A KR 1019970707496A KR 19970707496 A KR19970707496 A KR 19970707496A KR 19990007972 A KR19990007972 A KR 19990007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estruction
core
electrodes
discharge de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7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1458B1 (ko
Inventor
아라이히로아키
마에하타히데히코
Original Assignee
미나미이소오
히타치조오센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7186101A external-priority patent/JP310301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7186102A external-priority patent/JP3103017B2/ja
Application filed by 미나미이소오, 히타치조오센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나미이소오
Publication of KR19990007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4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3/00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37/00Other methods or devices for dislodging with or without loading
    • E21C37/18Other methods or devices for dislodging with or without loading by electri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Exploitation, And Mining Machines And Method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인 방전파괴장치와 방전파괴방법은, 주택지의 암반파괴 및 암석을 작게 파괴하는 작업 또는 터널의 마무리작업을 위한 파괴와, 콘크리트건물의 파괴 또는 해체에 사용된다. 방전파괴장치(1)는, 압력전달용 파괴물질(3)의 급격한 기화를 위해 단시간에 한쌍의 전극(4a) 사이에 캐패시터(13)로 충전 또는 축적된 전기에너지를 공급 또는 방전하도록 되어있고, 기화에 의해 발생된 팽창력으로 피파괴물(H1)을 파괴하도록 되어있다. 방전파괴장치(1)는, 피복부재(7)의 단부가 금속코어(4)의 단부를 노출하기 위해 절단된 케이블(6)을 구성하기 위해 한쌍의 금속코어(4)를 피복하고, 금속코어(4)의 노출된 단부는 파괴물질에 침지되어 전극으로 사용되는 구조를 보유한다. 이러한 방전파괴장치는 전극(4a)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필요가 없고, 쉽게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전파괴장치 및 방전파괴방법
일반적으로는, 방전에 의해 생성된 에너지에 의해 콘크리트건물 및 바위 등을 파괴하기 위해 이용되는 방전파괴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전파괴장치는, 피파괴물을 파괴할 목적으로 형성된 장착홀내에 고정된 파괴용기와, 상기한 파괴용기내에 충전된 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파괴물질내에 침지된 단부를 보유하는 한쌍의 전극으로 이루어져 있다.
파괴물질로서는, 예컨대 물이 사용되고, 전극은 예컨대 봉 또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방전파괴장치에 사용되는 방전파괴방법은, 피파괴물을 파괴할 목적으로 장착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한 장착홀내에 파괴용기를 고정하는 단계와, 전극의 서로 다른 단부 사이에 연결된 캐패시터로 전기에너지를 충전 또는 축적하는 단계와, 파괴물질을 급격하게 기화시키기 위해, 단시간에 전극사이에 전기에너지를 공급 또는 방전시키는 단계와, 기화에 의해 생성된 팽창력으로 피파괴물을 파괴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방전파괴장치는, 한쌍의 전극사이에서 발생하는 방전을 이용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방전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전극 사이의 거리의 설정이 어렵고, 캐패시터에 충전 또는 축적된 전기에너지의 양의 설정도 어려웠다.
나아가, 방전파괴장치의 제작을 위해 한쌍의 전극을 설치해야만 하기 때문에, 고가의 제작비용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방전파괴장치의 다른 예는 다음과 같다. 이 방전파괴장치의 구조는, 서로 다른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한쌍의 전극의 단부를 가로질러 용접하는 얇은 금속선과, 파괴용기의 개구측내에 고정된 밀봉스토퍼를 개재하여 통과하고, 상기한 파괴용기내에 충전된 파괴물질내에 얇은 금속선을 침지하기 위해 파괴용기내에 삽입된 전극과, 각 전극의 서로 다른 단부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캐패시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방전파괴장치에 사용되는 방전파괴방법은, 파괴물질의 기화 및 얇은 금속선의 급격한 용융-기화를 위해 단시간에 얇은 금속선으로 캐패시터에 충전 또는 축적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단계와, 기화에 의해 발생하는 팽창력으로 피파괴물을 파괴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예에서 언급한 방전파괴장치는, 한쌍의 전극을 설치하고, 이들 전극의 단부를 가로질러 얇은 금속선과 용접해야하기 때문에, 고가의 제작비용 및 복잡한 절차가 요구되었다. 나아가, 이 방전파괴장치는 복잡한 구조를 갖는다는 다른 문제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갖지 않는 방전파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방전에 의해 생성된 에너지를 이용하는 방전파괴장치 및 방전파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전파괴장치의 제1실시예의 전체구성을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사용되는 파괴용기의 확대된 형상을 표시하는 수직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사용되는 파괴용기의 확대된 형상을 표시하는 수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피파괴물의 파괴를 위해 요구되는 인가전압에 대한 전극 사이의 거리의 관계를 표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사용되는 파괴용기의 확대된 형상을 표시하는 수직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사용되는 파괴용기의 확대된 형상을 표시하는 수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전파괴장치의 제3실시예의 전체형상을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사용되는 파괴용기의 확대된 형상을 표시하는 수직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사용되는 파괴용기의 확대된 형상을 표시하는 수평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사용되는 파괴용기의 확대된 형상을 표시하는 수직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방전파괴장치는, 단시간에 전극 사이의 캐패시터에 충전 또는 축적된 전기에너지를 공급 또는 방전하는 것에 의해 압력전달용 파괴물질을 급격하게 기화시키고, 기화에 의해 발생된 팽창력에 의해 피파괴물을 파괴시키도록 형성되고, 복수의 금속코어의 단부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금속코어로 구성되고, 또한 피복부재로 피복된 케이블의 피복부재의 단부를 절단하는 것에 의해 노출되며, 파괴물질에 침지되어, 전극으로 사용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제2방전파괴장치는, 단시간에 전극 사이의 캐패시터에 충전 또는 축적된 전기에너지의 공급 또는 방전에 의해, 압력전달용 파괴물질의 급격한 기화와, 그 기화에 의해 발생된 팽창력으로 피파괴물을 파괴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측금속코어 및 외측금속코어의 단부는, 동축상에 배치된 내측코어 및 외측코어로 배치된 피복부재로 피복된 동축케이블의 피복부재의 단부의 절단에 의해 노출되며, 파괴물질에 침지되어 전극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전파괴방법은, 아래의 방정식을 만족하기 위해, 전극 사이에 공급된 전압(VP)에 대한 파괴물질에 침지된 전극 사이의 거리(L(㎜))의 관계를 설정하여 형성된 방전파괴장치로 비파괴물을 파괴하는 것이다.
VP≥1000L
내측금속코어 및 외측금속코어의 단부는 복수의 금속코어로 구성된 케이블의 피복부재의 단부를 절단하는 것에 의해 노출되고, 파괴물질에 침지되어 전극으로 사용한다는 사실 때문에, 제1방전파괴장치, 제2방전파괴장치와 방전파괴방법은 전극 사이의 거리의 조절이 불필요하므로, 방전파괴장치의 제작이 용이하게 된다.
나아가, 제1 및 제2방전파괴장치는, 방전파괴장치의 제작을 위해 특별한 전극의 준비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저가로 방전파괴장치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로,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치는 금속코어 사이의 거리에서 쉽게 결정될 수 있다. 즉, 전극 사이의 거리가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3방전파괴장치는 전극의 단부가 얇은 금속선을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고, 캐패시터가 전극의 각 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얇은 금속선은 압력전달용 파괴물질에 침지되는 구조로 되어있고, 파괴물질의 급격한 기화 및 금속선의 용융-기화를 위해 전극을 개재하여 단시간에 얇은 금속선으로 캐패시터에 예비적으로 충전 또는 축적된 전기에너지를 방전 또는 공급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화에 의해 발생된 팽창력으로 피파괴물을 파괴한다. 이러한 방전파괴장치에서, 내측금속코어 및 외측금속코어는 동축으로 배치되고, 동축케이블을 이루기 위해 피복부재로 피복되어 있으며, 내측코어와 외측코어는 전극으로 사용되고, 피복부재의 단부는 내측코어 및 외측코어의 단부를 노출하기 위해 절단하며, 내측코어와 외측코어의 노출된 단부는 파괴물질에 침지되고, 내측코어의 단부는 파괴물질에 침지된 외측코어의 단부 주위를 감싸도록 되어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제4방전파괴장치는, 상기한 제3방전파괴장치에 사용된 내측코어의 단부가 파괴물질에 침지된 외측코어의 단부에 용접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제3 및 제4방전파괴장치는, 내측코어의 단부가 동축케이블의 피복부재의 단부를 절단하는 것에 의해 노출되고, 파괴물질에 침지되어 있으며, 외측코어와 파괴물질에 침지된 내측코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얇은 금속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저가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로, 이러한 방전파괴장치는 제조단가의 감소와 복잡한 제조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방전파괴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첫째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방전파괴장치(1)는, 주택지에서 암반 또는 암석 등을 작은 조각으로 파괴하거나, 파괴된 건물 또는 터널의 마무리를 위해 피파괴물(H1)을 파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방전파괴장치(1)는, 피파괴물(H1)을 파괴할 목적으로 형성된 장착홀(20a)에 고정되고, 압력전달용 파괴물질(3)이 충전된 파괴용기(2)를 보유한다. 밀봉스토퍼(2a)는 파괴용기(2)내에 고정되고, 미리 제작된 케이블(6)은 밀봉스토퍼(2a)를 개재하여 삽입되고, 또한 거기에 고정된다. 케이블(6)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피복부재(7)로 피복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도면에서는 2개) 금속코어(4),(4)(예컨대, 구리로 만듬)로 구성된다.
상기한 피복부재(7)의 단부는 코어(4),(4)의 단부를 노출하기 위해 절단하고, 상기한 코어의 노출된 단부는 파괴물질(3)에 침지되며, 파괴물질(3)에 침지된 코어의 단부는 전극(4a)으로 사용된다.
상기한 파괴용기(2)는, 소성고무(합성고무), 방수처리지 또는 유리로 만들어진다.
나아가,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에너지공급장치(9)는 전극(4a) 사이에서 배열된다. 이들 에너지공급장치(9)는 코어(4),(4)의 각 단부에 위치된 단자(5),(5)를 연결하는 전원공급유니트(10)로 구성되고, 캐패시터(13)는, 전원공급유니트(10)와 단자(5),(5) 사이에 평행하게 연결되고, 충전제어회로(11)는 캐패시터(13)에 축적된 전기에너지(충전된 전압치)의 양의 조절을 위해 캐패시터(13)와 전원공급유니트(10) 사이에 연결되고, 방전스위치(12)는 충전제어회로(11)와 하나의 단자(5),(5) 사이에 연결된다.
피파괴물은 방전파괴장치(1)를 이용하여, 뒤에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파괴된다.
방전파괴방법은, 파괴용기(2)내에 파괴물질(3)을 충전하는 단계와, 밀봉스토퍼(2a)를 개재하여 미리 만들어진 케이블(6)을 통과하는 단계와, 코어(4),(4)의 단부를 노출하기 위해 케이블(6)의 피복부재(7)의 단부를 절단하는 단계와, 파괴용기(2)내에 밀봉스토퍼(2a)를 고정하는 단계와, 그것에 의해 파괴물질(3)내로 코어(4),(4)의 노출된 단부를 침지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그리고, 파괴용기(2)는 피파괴물(H1)에 형성된 장착홀(20a)내에 장착되고, 에너지공급시스템(9)은 코어(4),(4)의 단자(5),(5)와 연결되고, 전기에너지는 캐패시터(13)에 축적된다.
도 4에 표시하는 그래프는, 전극(4a) 사이에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해 전극(4a) 사이에 인가된 최소전압(VP)과 전극(4a)사이의 거리(L(㎜))의 관계에 대한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 그래프에 의해 표시된 전극(4a) 사이의 방전을 발생시키도록 요구되는 전압(VP)에 대한 전극(4a) 사이의 거리(L)의 관계에서, 예컨대, 전극 사이의 거리(L)가 1㎜인 경우, 전극(4a) 사이의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해 100볼트의 전압이 요구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전압(VP)에 대한 전극(4a) 사이의 거리(L)의 관계가 다음 방정식(1)을 만족하는 경우, 방전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VP≥1000L --------------------------- (1)
추가로, 전기에너지는, 상기한 방정식(1)을 만족시킬 때까지 캐패시터(13)에 축적될 것이다.
방정식(1)을 만족할 때까지 전기에너지를 캐패시터(13)에 축적시킨 후, 방전스위치(12)를 전환시킬 경우, 방전은 전극(4a) 사이에서 발생하고, 파괴물질(3)은 급격하게 팽창되고, 따라서 피파괴물은 팽창에 의해 발생되는 팽창력에 의해 파괴되거나 붕괴된다.
서로 평행한 코어(4),(4)를 지지하는 미리 만들어진 케이블(6)의 피복부재(7)의 단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절단하고, 코어(4),(4)의 노출된 단부를 전극(4a)으로 이용하기 위해 파괴물질에 침지하기 때문에, 제1실시예는 전극(4a)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작업이 필요없고, 특별한 기술없이 방전파괴장치(1)를 쉽게 만들 수 있다. 나아가, 제1실시예는 방전파괴장치(1)의 제작을 위해 특별한 전극의 준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그것에 의해 저가로 방전파괴장치(1)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미리 만들어진 케이블(6)은 전극(4a) 사이의 거리(L)를 한정하고 있기 때문에, 제1실시예에 이용된 케이블(6)의 전극(4a) 사이의 거리(L)에 대응하는 전압(VP)을 만족하는 상술한 방정식(1)을 만족할 때까지, 캐패시터(13)에 전기에너지가 축적되는 것에 의해, 방전이 전극(4a) 사이에서 간단하게 발생되고, 캐패시터(13)에 축적되는 전기에너지의 조절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표시하는 방전파괴장치에서, 동축케이블(31)을 구성하는 내측금속코어(28) 및 외측금속코어(29)(실드선(shield wire)으로도 사용)의 부분은 전극(27),(27)으로 사용된다.
내측코어(28)와 외측코어(29)는 동축으로 배열되고, 피복부재(30)로 피복되어 있으며, 피복부재(30)의 단부는 코어의 단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절단하고, 노출된 단부는 전극(27),(27)으로 사용된다.
상술한 제1실시예에 사용되는 케이블(6)과 같이, 동축케이블(31)은, 전극(27),(27)을 파괴물질(2)에 충전되는 파괴물질(3)에 침지하기 위해, 파괴용기(2)에 고정된 밀봉스토퍼(2a)를 개재하여 통과한다.
에너지공급장치(9)는, 도 1과 동일하게, 코어(28),(29)의 단부에 배치된 단자(24) 사이에 연결된다.
위에서 설명한 방전파괴장치(1)에서, 피파괴물(H1)은 아래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파괴된다.
방전파괴방법은, 파괴용기(2)내에 파괴물질(3)을 충전하는 단계와, 밀봉스토퍼(2a)를 개재하여 동축케이블(31)을 통과하는 단계와, 내측코어(28) 및 외측코어(29)의 단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동축케이블(31)의 피복부재(30)의 단부를 절단하는 단계와, 파괴용기(2) 내에 밀봉스토퍼(2a)를 고정하는 것에 의해 파괴물질(3)내에 내측코어(28) 및 외측코어(29)의 노출된 단부를 침지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그후에, 파괴용기(2)는 피파괴물(H1)내에 형성된 장착홀(20a)에 고정되고, 에너지공급장치(9)는 내측코어(28)와 외측코어(29)의 단자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전극(27)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VP)에 대한 전극(27) 사이의 거리의 관계가 상술한 방정식(1)을 만족할 때까지, 전기에너지는 캐패시터(13)내에 축적된다.
방전스위치(12)가 이러한 상태에서 전환할 경우, 방전은 전극(27) 사이에서 발생되고, 파괴물질은 급격하게 기화되어, 피파괴물은 기화에 의해 발생된 팽창력에 의해 파괴 또는 붕괴된다. 미리 만들어진 케이블의 피복장치(30)의 단부가 절단되고, 내측코어(28) 및 외측코어(29)의 절단된 단부는 파괴물질(3)에 침지되어 전극(27),(27)으로 사용된다는 사실때문에, 제2실시예에서는 전극(27),(27) 사이의 거리조절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방전파괴장치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한 제2실시예는 방전파괴장치(1)를 제작하기 위한 특별한 전극의 설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저가로 방전파괴장치를 제작할 수 있고, 캐패시터(13)에 축적되기 위한 전기에너지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지금,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실시예로 실시하는 방전파괴장치(1)는, 미리 만들어진 동축케이블(35)이 파괴물질(3)을 충전한 파괴용기(2)의 밀봉스토퍼(2a)를 개재하여 통과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동축케이블(35)은 중앙에 배치된 내측금속코어(36)와, 상기한 내측코어(36)와 동축으로 배치된 외측코어(37)와, 내측코어(36) 및 외측코어(37)를 피복하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피복부재(3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 피복부재의 단부를 내측코어(36) 및 외측코어(37)의 단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절단하고, 상기한 내측코어(36) 및 외측코어(37)의 노출된 단부는 파괴물질(3)내에 침지되고, 외측코어(37)의 노출된 단부는 짧게 절단하여, 상기한 내측코어(36) 및 외측코어(37)의 노출된 단부를 전극으로 사용한다.
내측코어(36)의 노출된 단부는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외측코어(37) 주위에 감기고, 또한 내측코어(36)의 노출된 단부는 얇은 금속선(8)으로 사용된다.
제3실시예는, 상술한 제1 또는 제2실시예에 사용되는 에너지공급장치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전기공급장치(9)를 사용한다. 이 에너지공급장치(9)는 밀봉스토퍼(2a)로부터 돌출된 내측코어(36) 및 외측코어(37)의 단자(40)에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전파괴장치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피파괴물을 파괴시킨다.
방전파괴방법은, 파괴용기(2)에 파괴물질(3)을 주입하는 단계와, 밀봉스토퍼(2a)를 개재하여 동축케이블을 통과하는 단계와, 동축케이블(35)의 피복부재의 단부를 절단하는 단계와, 외측코어(37)를 짧게 절단하는 단계와, 외측코어(37)의 주위를 내측코어(36)로 감는 단계와, 파괴용기(2)내에 밀봉스토퍼(2a)를 고정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파괴용기(2)는 피파괴물(H1)에 형성된 장착홀(20a)내에 고정되고, 에너지공급장치(8)는 단자(40)에 연결되고, 전기에너지는 캐패시터(13)에 축적된다.
방전스위치(12)를 전환할 경우, 얇은 금속선(8)은 융해 및 기화되고, 파괴물질은 급격하게 기화되므로, 피파괴물(H1)은 기화에 의해 발생된 팽창력에 의해 파괴 또는 붕괴된다.
미리 만들어진 동축케이블의 피복부재의 단부가 내측코어(36) 및 외측코어(37)의 단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절단한다는 사실때문에, 내측코어(36)의 절단된 단부는 얇은 금속선(8)으로 사용되고, 내측코어(36) 및 외측코어(38) 또는 전극은 외측코어(38) 주위에 내측코어(36)의 노출된 단부를 감는 것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3실시예는 저가로 방전파괴장치(1)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제3실시예는 복잡한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방전파괴장치(1)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방전파괴장치(1)는, 파괴용기(2)의 밀봉스토퍼(2a)를 개재하여 통과하는 미리 만들어진 동축케이블(35)과, 내부코어 및 외부코어의 단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절단하는 동축케이블(35)의 피복부재(38)의 단부와, 이들 노출된 단부를 파괴물질(3)에 침지시키는 구조로 되어있다.
외측코어(37)의 노출된 단부는 짧게 절단하고, 내측코어의 노출된 단부는, 내측코어(36)의 노출된 단부의 중간부분을 얇은 금속선으로 사용되도록, 전기적인 접속을 위해 외측코어(37)에 용접 또는 납땜된다.
제4실시예의 다른 요소는 상기한 제3실시예와 동일하므로, 특별한 설명은 생략한다.
미리 만들어진 동축케이블(35)의 피복부재의 단부가 내측코어(36) 및 외측코어(37)의 단부의 노출을 위해 절단된다는 사실때문에, 외측코어(37)의 노출된 단부는 짧게 절단하고, 내측코어(36)의 노출된 단부는, 내측코어(36)의 노출된 단부의 중간부분을 얇은 금속선으로 사용하도록, 전기적인 접속을 위해 외측코어(37)에 감기므로, 제4실시예는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저가로 방전파괴장치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제4실시예는 복잡한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방전파괴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것으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방전파괴장치와 방전파괴방법은, 주택지의 암반파괴 및 암석을 작게 파괴하는 작업 또는 터널의 마무리작업을 위한 파괴와, 콘크리트 건물의 파괴 또는 해체에 사용된다.

Claims (6)

  1. 단시간에 전극사이 또는 캐패시터에 충전 또는 축적된 전기에너지를 공급 또는 방전시키는 것에 의한 압력전달용 파괴물질의 급격한 기화에 의해 발생된 팽창력으로 피파괴물을 파괴시키는 방전파괴장치에 있어서,
    금속코어의 단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절단한 피복부재로 피복된 케이블의 피복부재의 단부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금속코어로 이루어지고, 금속코어의 노출된 단부를 상기한 파괴물질에 침지시켜 전극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파괴장치.
  2. 단시간에 전극사이 또는 캐패시터에 충전 또는 축적된 전기에너지를 공급 또는 방전시키는 것에 의한 압력전달용 파괴물질의 급격한 기화에 의해 발생된 팽창력으로 피파괴물을 파괴시키는 방전파괴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내측코어 및 외측코어의 단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절단되는 피복부재로 피복된 동축케이블의 피복부재의 단부가 동축으로 형성된 상기한 내측코어 및 외측코어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내측코어 및 외측코어의 노출된 단부가 파괴물질에 침지되어, 전극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파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전파괴장치에 의해 피파괴물을 파괴하는 방전파괴방법에 있어서,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VP)에 대한 파괴물질에 침지된 상기한 전극 사이의 거리(L(㎜))의 관계가
    VP≥1000L
    의 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파괴방법.
  4. 얇은 금속선을 개재하여 서로 연결된 복수의 전극단부와, 상기한 전극의 각 단부에 연결된 캐패시터와, 압력전달용 파괴물질에 침지된 얇은 금속선으로 구성되고, 단시간에 상기한 전극을 개재하여 상기한 얇은 금속선으로 상기한 캐패시터에 이미 충전 또는 축적된 전기에너지를 공급 또는 방전하는 것에 의해 발생된 상기한 파괴물질의 급격한 기화 및 상기한 얇은 금속선의 용융-기화에 의해 발생된 팽창력으로 피파괴물을 파괴시키는 방전파괴장치에 있어서,
    내측금속코어 및 외측금속코어를 동축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피복부재로 피복한 동축케이블의 내측코어 및 외측코어를 전극으로 이용하고, 상기한 피복부재의 단부가 상기한 내측코어 및 외측코어를 노출시키기 위해 절단하고, 상기한 내측코어 및 외측코어의 노출된 단부는 상기한 파괴물질에 침지하며, 상기한 내측코어 및 외측코어는, 상기한 내측코어의 노출된 단부를 얇은 금속선으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한 외측코어의 노출된 단부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파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내측코어의 노출된 단부는 상기한 외측코어의 노출된 단부 주위에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파괴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내측코어의 노출된 단부는 상기한 외측코어의 노출된 단부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파괴장치.
KR1019970707496A 1995-07-24 1996-07-22 방전파괴장치및방전파괴방법 KR100261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86102 1995-07-24
JP95-186101 1995-07-24
JP07186101A JP3103016B2 (ja) 1995-07-24 1995-07-24 被破壊物の破壊装置および破壊方法
JP07186102A JP3103017B2 (ja) 1995-07-24 1995-07-24 被破壊物の破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972A true KR19990007972A (ko) 1999-01-25
KR100261458B1 KR100261458B1 (ko) 2000-07-01

Family

ID=26503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7496A KR100261458B1 (ko) 1995-07-24 1996-07-22 방전파괴장치및방전파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83555B1 (ko)
EP (1) EP0858874A4 (ko)
KR (1) KR100261458B1 (ko)
CN (1) CN1185130A (ko)
RU (1) RU2165526C2 (ko)
WO (1) WO19970037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61511B1 (en) * 2002-01-03 2005-10-26 Nxco International Limited Element for initiating propellant
KR100690368B1 (ko) * 2005-02-16 2007-03-09 주식회사 르빼이베르 플라즈마 파쇄제 카트리지
US8628146B2 (en) * 2010-03-17 2014-01-14 Auburn University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lasma blasting
SE539397C2 (en) * 2014-07-03 2017-09-12 Av Sootblower Ab A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a boiler
CA2890401C (en) 2015-01-21 2015-11-03 Vln Advanced Technologies Inc. Electrodischarge apparatus for generating low-frequency powerful pulsed and cavitating waterjets
CA2921675C (en) 2016-02-24 2017-12-05 Vln Advanced Technologies Inc. Electro-discharge system for neutralizing landmines
US11268796B2 (en) * 2018-02-20 2022-03-08 Petram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plasma blasting
US10866076B2 (en) * 2018-02-20 2020-12-15 Petram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plasma blasting
US10577767B2 (en) * 2018-02-20 2020-03-03 Petram Technologies, Inc. In-situ piling and anchor shaping using plasma blasting
US10844702B2 (en) * 2018-03-20 2020-11-24 Petram Technologies, Inc. Precision utility mapping and excavating using plasma blasting
US10767479B2 (en) * 2018-04-03 2020-09-08 Petra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pavement structures using plasma blasting
US11293735B2 (en) * 2018-12-17 2022-04-05 Petram Technologies, Inc Multi-firing swivel head probe for electro-hydraulic fracturing in down hole fracking applications
USD904305S1 (en) * 2019-02-25 2020-12-08 Petram Technologies, Inc. Electrode cage for a plasma blasting probe
CN112556523A (zh) * 2020-11-23 2021-03-26 浙江科技学院 一种双面对称式电爆聚能破岩设计方法
US11203400B1 (en) 2021-06-17 2021-12-21 General Technologies Corp. Support system having shaped pile-anchor foundations and a method of form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9007A (en) 1970-05-25 1972-07-25 Louis Richard O Hare Shock plasma earth drill
US4479680A (en) 1980-04-11 1984-10-30 Wesley Richard H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hydraulic fracturing of rock and the like
US4653697A (en) 1985-05-03 1987-03-31 Cee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ragmenting a substance by the discharge of pulsed electrical energy
ZA91612B (en) 1990-04-20 1991-10-30 Noranda Inc Plasma blasting method
JPH07145698A (ja) * 1993-09-28 1995-06-06 Hitachi Zosen Corp 被破壊物の破壊装置および破壊方法
US5425570A (en) 1994-01-21 1995-06-20 Maxwell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lasma blasting
US5482357A (en) 1995-02-28 1996-01-09 Noranda, Inc. Plasma blasting prob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83555B1 (en) 2001-09-04
CN1185130A (zh) 1998-06-17
WO1997003797A1 (fr) 1997-02-06
RU2165526C2 (ru) 2001-04-20
EP0858874A1 (en) 1998-08-19
EP0858874A4 (en) 1999-12-22
KR100261458B1 (ko) 200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1458B1 (ko) 방전파괴장치및방전파괴방법
EP1172630A1 (en) Electric discharge breaking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5381301A (en) Leak-tight and rupture proof, ultrasonically-welded, polymer-encased electrical capacitor with pressure sensitive circuit interrupter
US6935702B2 (en) Crushing apparatus electrode and crushing apparatus
US20080084267A1 (en) Fuse component
US20020101323A1 (en) High-voltage current-limiting fuse
KR19980064445A (ko) 고주파 케이블에 접속 부재를 방습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방법
JPS6019653B2 (ja) コンデンサ
RU98103340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разруш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им разрядом
KR830009668A (ko) 코로나충전 장치 및 방법
US4150419A (en) Electrical capacitor with a fuse
EP0677206B1 (en) A capacitor provided with internal protection
WO1998054425A1 (fr) Appareil et procede de destruction, et element de support utilise dans ce procede
JP3107718B2 (ja) 被破壊物の破壊方法
CA1077095A (en) Fuse with a free standing fuse element
JPH0929733A (ja) 被破壊物の破壊装置
JP3186943B2 (ja) 破壊装置の金属細線作成方法
EP1074034A1 (en) Electrical fuse element
JPH0929732A (ja) 被破壊物の破壊装置および破壊方法
JP2894938B2 (ja) 被破壊物の破壊装置および破壊方法
JP3770663B2 (ja) 被破壊物の破壊方法
US4144402A (en) Power supply with replaceable high-voltage bushing
US3368047A (en) Fuse having a sand core
JP2894963B2 (ja) 被破壊物の破壊装置
JP3373131B2 (ja) 破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