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950A - 공통 지연 소자를 갖는 휘도/색차 분리필터 - Google Patents

공통 지연 소자를 갖는 휘도/색차 분리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950A
KR19990007950A KR1019970707473A KR19970707473A KR19990007950A KR 19990007950 A KR19990007950 A KR 19990007950A KR 1019970707473 A KR1019970707473 A KR 1019970707473A KR 19970707473 A KR19970707473 A KR 19970707473A KR 19990007950 A KR19990007950 A KR 19990007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ideo
noise
delay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7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8579B1 (ko
Inventor
윌리스도날드헨리
Original Assignee
리아오프랭크와이.
톰슨컨슈머일렉트로닉스,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아오프랭크와이., 톰슨컨슈머일렉트로닉스,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리아오프랭크와이.
Publication of KR19990007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5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48/00Television
    • Y10S348/908Convertible circuits, e.g. y/c separation or noise reduction

Abstract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는 잡음이 감소된 제 1 비디오 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잡음 감축 신호와 결합되고, 상기 잡음이 감소된 제 1 비디오 신호는 (i) 절반의 색 주기가 적은 1 라인, (ii) 1 라인 및 (iii) 절반의 색 주기가 많은 1 라인의 복수의 시간 주기만큼 지연되어, 제 1, 제 2 및 제 3의 시간 지연 신호 중 각 하나를 형성한다. 제 1 및 제 3 지연 신호는 평균 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되고, 상기 평균 신호로부터 감산기는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를 감산한다. 최종 차이 신호는 잡음 감축 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한된다. 잡음이 감소된 제 1 비디오 신호와 제 2 지연 비디오 신호는 출력 회로 내에서 결합되어, 잡음이 감소된 색차 및 휘도 출력 신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통 지연 소자를 갖는 휘도/색차 분리 필터
텔레비전 수상기 또는 모니터,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비디오 디스크 레코더/플레이어 유니트, 등과 같은 비디오 장치에 있어서, 빈번하게 합성 비디오 신호를 개별적인 휘도 및 색차 성분으로 분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리를 제공하는 단순한 방법은, 휘도 성분을 얻기 위하여 합성 신호를 저역 필터에 통과시키고, 색차 성분을 얻기 위하여 합성 신호를 고역 필터 또는 대역 필터에 통과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상기 성분들을 효율적으로 회복하지 못하고, 표시되는 영상에서 선명도의 손실을 초래한다. 합성 성분은 스펙트럼적으로 뒤섞이므로, 콤 필터링은 보다 효율적인 분리를 제공하고, 따라서 선명한 표시 화상을 제공한다.
합성 비디오 신호의 휘도(Y)와 색차(C) 성분의 콤 필터 분리의 장점은 공지되어 있다. 가장 기본적인 1개 라인 또는 1-H 형태의 콤 필터에 있어서, 한 라인 떨어져 위치한 화상요소(이후로는 픽셀로 언급)는, 독립된 휘도 성분을 생성하기 위해 삽입되고, 독립된 색차 성분을 생성하기 위해 감산된다. 이러한 필터는 예컨대 Y/C 분리의 저역/고역 필터 방법과 비교하여, 우수한 영상 세부(image detail)를 제공하지만, 특정 영상 특성에 대해 눈에 띄는 결함(예, 행잉 도트(hanging dots))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일부 두 라인(2-H) 콤 필터는 영상 세부에 필터를 적응시킴으로써 상술한 1-H 콤 필터에 대해 증대된 수행능력을 제공하여, 가시적인 결함에서의 상당한 감축을 얻는다. 원리적으로 이것은, 두 개의 선택된(combed) 색차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수직 방향에서 합성 신호를 두 번 콤 필터링하고, 이후 최소의 가시적인 결함을 갖는 신호(또는 신호의 혼합)를 선택하기 위하여 영상 특성의 분석에 기초하여 소프트 스위치로서 선택하거나 또는 이들을 혼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렇게 생성된 색차 신호는 이후, 독립된 휘도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합성 신호로부터 감산된다. 이러한 형태의 색차/휘도 신호 분리는 일반적으로 2-H 또는 두 라인 선택(combing)으로 공지되어 있고, 1-H 선택과 비교하여 감소된 가시적인 결함을 제공하고, Y/C 분리의 단순한 저역/고역 필터링 방법과 비교하여 개선된 영상의 세부를 제공한다. 2-H 콤 필터의 Y/C 분리 회로는, 예컨대 1988년 11월 22일 등록된 미국 특허 제 4,786,963호(TV 신호를 위한 적응 Y/C 분리 장치)에서 McNeely와 Willis에 의해 기술되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합성(composite) 비디오 신호의 휘도(luminance)와 색차(chrominance) 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회로, 특히 콤(comb) 필터를 사용하는 형태의 신호 분리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사용하는 휘도/색차 신호 분리기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수상기의 변형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수상기의 다른 변형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1, 2 및 3의 수상기에서 콤 필터링을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1,2 및 3의 예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평균 회로의 블록도.
도 7은 도 3의 예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소프트 또는 혼합 스위치의 블록도.
도 8 및 도 9는 도 1, 2 및 3의 예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리미터 회로의 전달 함수 도면.
도 10A 및 10B는 도 9의 전달 함수를 제공하기 위해 적합한 리미팅(limiting) 및 코어링(coring) 회로의 블록도.
도 11은 교차 기울기 처리(cross gradient processing)가 혼합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때, 도 3의 예의 동작에서 라인과 픽셀 관계를 도시하는 공간 도면.
도 12는 도 3의 예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교차 기울기 처리기의 블록도.
도 13은 도 1의 장치의 변형을 도시하는 블록도.
본 발명은, 휘도/색차 신호 분리를 위한 라인 콤 필터를 채용하는 텔레비전 장치에서 잡음 감축에 대한 요구 사항에 부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잡음을 감소시키고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의 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은, 잡음이 감소된 제 1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를 잡음 감축 신호와 결합시키는 단계와, 각각 다른 지연을 갖는 다수의 지연 비디오 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잡음이 감소된 제 1 비디오 신호를 지연시키는 단계와, 상기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를 상기 지연된 비디오 신호의 선택된 한 쌍과 결합시킴으로써 잡음 감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분리되고 잡음이 감소된 색차 및 휘도 출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잡음이 감소된 제 1 비디오 신호를 지연된 비디오 신호의 또 다른 하나와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잡음을 감소시키고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의 휘도 및 색차 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는, 잡음이 감소된 제 1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와 제공된 잡음 감축 신호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소스와, 상기 소스에 접속된 제 1 회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회로 수단에 접속된 제 2 회로 수단은 각각 다른 지연을 갖는 다수의 지연된 비디오 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잡음이 감소된 제 1 비디오 신호를 지연시킨다. 상기 소스와 상기 제 2 회로 수단에 접속된 제 3의 회로 수단은 상기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를 선택된 한 쌍의 지연된 비디오 신호와 결합시켜, 상기 제 1 회로 수단을 위한 잡음 감축 신호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및 제 3 회로 수단에 접속된 제 4 회로 수단은 상기 잡음이 감소된 제 1 비디오 신호를 다른 하나의 지연된 비디오 신호와 결합시켜, 분리되고 잡음이 감소된 색차 및 휘도 출력 신호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추가의 특성은, 유사한 소자가 유사한 참조 기호로서 나타낸 다음의 도면에 도시된다.
본 발명의 휘도/색차 분리 필터는 일반적인 용도를 위한 것이며, 합성 비디오 신호의 휘도 및 색차 성분으로의 분리가 요구되고, 잡음 감축이 요구되는 임의의 NTSC 표준 비디오 신호 처리 응용에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리기는 분리된 신호의 색차 및 휘도 성분 모두에서 잡음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제공된 잡음 감소는 2차원 공간 효과를 포함한다. 특히, 주된 잡음 감축은 휘도 및 색차 성분 모두를 위해 수직 방향으로 제공되고, IIR(무한 임펄스 응답:infinite impulse response) 또는 순환(recursive) 필터에 의해 제공된다. 수평 방향에서의 부가적인 잡음 감축은, 포개어진(nested) 콤 필터 즉, IIR 필터의 피드백 루프 내의 FIR(유한 임펄스 응답: finite impulse response) 콤 필터에 의해 제공된다.
전체 필터의 또 다른 장점은 잡음 감축과 분리 기능을 위한 지연 소자의 상당한 배분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사실, 소자의 분배는 효율적이어서, 2차원 잡음 감축의 이득은, 그렇지 않을 경우 어떠한 잡음 감축도 전혀 없이 신호 분리 기능만을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양의 메모리에 대해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잡음 감축과 분리 기능의 결합의 중요한 기술적 장점은, 신뢰성이 개선되는 상승 효과가 얻어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개선은, 예컨대 잡음 감축과 분리 필터를 단순히 직렬로 분리한 것과 비교하여, 부품의 수에서의 감소에 기인한다.
본 발명의 예에 있어서, 도 1 및 도 2는 하나의 수평 라인(이후로는 1-H로 언급)의 기본 지연을 채용하는 본 발명의 두 가지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3의 예는 보다 복잡하다, 즉 이 예는 적응 콤 필터 구성 내에서 두 개의 수평 라인(이후로는 2-H로 기재)에 대한 기본적인 네트워크 지연을 필요로 하고, 상기 적응 콤 필터 구성은 특정 화상 조건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종래의 1-H 콤 신호 분리기의 특정 결함(예, 행잉 도트) 특성을 억압한다.
도 1의 텔레비전 수상기(10)는 RF 입력 신호(S1A)를 동조시키고 베이스밴드(baseband)의 합성 비디오 출력 신호(S2)를 제공하기 위한 튜너 유니트(12)를 포함한다. 베이스밴드 합성 비디오 신호(S2) 또는 베이스밴드 보조 비디오 입력 신호(S1B)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14)가 제공되어, 다음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키네스코프(18)(또는 CCD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다른 적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처리되는 베이스밴드 합성 비디오 신호(S3)의 소스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를 위한 신호(S3)를 처리하기 위하여 수상기(10)는, 합성 비디오 신호(S3)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22)과, 분리되고 잡음이 감소된 휘도 출력 신호(S14)와 분리되고 잡음이 감소된 색차 성분 비디오 출력 신호(S13)를 각각 제공하기 위한 출력(14와 16)을 갖는 휘도/색차 신호 분리기(20A)(점선으로 표시)를 포함한다. 성분(S14 및 S13)은 휘도/색차(Y/C) 처리 및 매트릭스 유니트(16)에 인가되고, 이 유니트(16)는 밝기 및 콘트라스트 제어, 색조 및 채도 제어 등과 같은 종래의 기능을 제공하고 또한 키네스코프 디스플레이 유니트(18)를 위한 RGB 성분의 비디오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본 예에 있어서, 신호 분리 및 잡음 감축 유니트(20A)는 디지털 구성이고, 합성 비디오 신호(S3)를 샘플당 8비트의 해상도의 디지털 형태(S4)로 변환하기 위하여, 서브캐리어 클록(25)의 4배(즉, 4-fsc 샘플링)에 의해 클록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아날로그 성분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고, 아날로그 처리가 수행된다면, 클록(25)과 변환기(23)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본 예에 있어서, Y/C 처리 및 매트릭스 회로는 디지털 형태이고, 따라서 성분 출력 신호(S13 및 S14)를 위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가 필요하지 않다고 가정한다. 처리 및 매트릭스 유니트가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필요로 하는 아날로그 형태라면, 물론 이러한 출력 변환기가 삽입될 수 있다.
NTSC 표준 비디오 신호에 대해, 4-fsc 샘플링 속도의 사용은 수평 라인당 910개 샘플을 갖고 완전한(360도) 색 서브-캐리어 주기당 4개의 샘플을 갖는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서브-캐리어 주기는 두 개의 클록 펄스 또는 색 서브캐리어의 반 주기(180도)당 샘플에 대응한다. 다른 샘플 속도(3-fsc의 속도 또는 세 배의 색 서브캐리어 주파수와 같은)가 선택되는 경우, 또는 신호(S3)가 다른 라인 속도와 색 서브캐리어 주파수를 갖는 PAL 전송 포맷일 경우, 이들 파라메터는 적절하게 조정되어야만 한다.
디지털 형태로 변환 후, 합성 비디오 신호(S4)는 가산기(34)에 의해 잡음 감축 신호(S5)와 결합되고, 이에 의해 잡음이 감소된 제 1 비디오 신호(S6)를 형성한다. 이후, 신호(S6)는 순서대로 직렬 접속된 지연 유니트(38, 42 및 40)를 포함하는 다중 지연 회로에 인가된다. 유니트(38)는 색 서브캐리어의 시간 주기의 절반의 주기가 적은 1개 수평 라인의 지연을 제공한다. 디지털 샘플의 항에 있어서, 이러한 지연은, 908 샘플 또는 클록 주기의 유니트(38) 내에서의 네트워크 시간 지연을 위한 910 샘플(전체 라인) - 2 클록 주기(180도)에 대응한다. 유니트(42와 40)는 모두 색 서브캐리어의 절반 주기의 시간 지연을 가지며, 상기 색 서브캐리어는 주어진 샘플 속도(4-fsc)에서의 이러한 디지털 실시예를 위하여 두 개의 클록 주기 각각에 대응한다. 지연 유니트(38, 40 및 40)가 직렬로 접속되기 때문에, 네트워크 시간 지연은 908 클록, 910 클록 및 912 클록이다. 유니트(38, 42 및 40)에 의해 이와 같이 제공된 다중 지연은 따라서 (i) 절반의 색 주기가 적은 1 라인, (ii) 정확히 한 라인 및 (iii) 절반의 색 주기가 많은 1 라인에 대응한다. 지연된 신호는 비디오 신호(S7, S8 및 S9)의 각 하나로 간주된다.
상술한 다중 지연의 형성 이후, 가장 짧은 S7과 가장 긴 S9는 평균 신호(S10)를 제공하기 위하여 애버리저(36)(averager) 내에서 평균값이 취해진다. 신호(S10)의 평균값은 신호(S9)와 신호(S7)의 합을 둘로 나눈 것(즉, (S7+S9)/2)과 대응한다. 도 5 및 도 6은 적합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 애버리저의 예를 제공한다. 도 5에 있어서, 아날로그 신호(S7 및 S9)는, 출력이 감쇠기(502)에서 6 데시벨만큼 감소하는 합산 회로(500) 내에서 결합된다. 도 6은, 신호가 디지털이고 디지털 가산기(600)에서 더해지며 분할기(602)에서 2로 나누어지는 것을 제외하면, 유사하다. 실제적인 문제로서, 2진 디지털 처리에서의 2로 나눔은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필요한 모든 것은 2진 포인트의 1비트 이동이고, 이는 가산기로부터 LSB(최하위 비트)를 제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애버리저(36)에 의해 제공된 평균 신호(S10)는, 감산기(30) 내에서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S4)를 평균 신호(S10)와 감산적으로 결합시키고, 결과의 차이 신호(S11)를 리미터(32)로 제한함으로써, 비디오 잡음 감축 신호(S5)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8 및 도 9는 적합한 리미터 전달 함수의 예이다.
도 8에 있어서, 리미터(32)는 출력 신호(S5)의 음의 제한 레벨(800)과 양의 제한 레벨(804) 사이에서 선형 전달 함수(802)(즉, 일정 이득)를 나타낸다. 선형 영역의 기울기 m은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입력 신호가 없을 때 0으로의 수렴을 보장하기 위하여 1보다 적게(m1) 선택된다. 양호한 이득 범위는 0.5 와 0.9 사이값이다. 보다 높은 이득은 보다 많은 픽셀의 평균값을 취하고 따라서 보다 큰 잡음 감축을 야기하지만, 변화하는 장면의 내용에 대한 증가된 지연 또는 적응을 야기한다. 낮은 이득은 잡음 감축 목적을 위하여 평균되는 보다 적은 픽셀의 비용으로 빠른 응답을 제공한다. 0.5 m 0.9의 양호한 범위는 잡음 감축 효율과 장면 변화에 대한 응답성 사이의 바람직한 타협점을 나타낸다.
도 9는 리미터 전달 함수의 선형 영역(902 및 906) 사이의 불감대(dead zone) 또는 코어링 영역(904)을 포함하는 양호한 리미터 전달 함수를 도시한다. 도 8의 예에서와 같이, 전달 함수의 선형 세그먼트(902 및 906)의 기울기(m 값)는 1 보다 적거나 같고, 양호하게는 0.5 내지 1.0이다. 유리하게, 코어링 영역(904)은 전체 시스템의 이전에 설명한 수직 및 수평 잡음 감축 효과에 덧붙여 더욱 강화된 잡음 면역을 제공한다. 필수적으로, 코어링 영역은 신호의 작은 동요를 억압하고, 따라서 순환 필터링 루프 내의 재순환으로부터의 이러한 미세한 세부(fine detail) 또는 잡음을 유지한다.
코어링 특성은, 리미터 내에서의 직접 실현에 의해 또는 리미터를 코어러(corer)와 직렬 연결시킴으로써, 도 1의 예에 더해질 수 있다. 후자의 방법은 도 10A에 도시되었고, 여기에서 코어러(1000)는 리미터(1002)와 직렬로 연결된다. 리미터 내에서 코어링의 직접 실현의 선택은, 리미터를 위한 ROM(1004)을 사용하고 도 9의 전달 함수를 상기 ROM 내에 저장함으로써,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논의된 분리기(20A)의 부분의 동작에 있어서, 감산기(30)의 출력(S11)은 비디오 입력 신호(S4)와, 이전 라인의 잡음이 감소되고 평균된 비디오 신호(S10) 사이의 차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S4와 S10의 코히어런트 신호 성분은 상쇠되는 경향이 있고, S4와 S10의 각 잡음 성분 사이의 차이는 감산기 출력에서 S11로 나타난다. 이러한 잡음 차이 신호의 위상은 감산에 기인한 입력 신호 잡음 신호와는 반대이어서, S11이 궁극적으로 가산기(34) 내에서 S4에 더해질 때, S6 잡음 레벨의 감축이 이루어진다. 잡음이 감소된 신호(S6)는 한 라인만큼 지연되고 S10을 형성하기 위해 피드백되며, 잡음 감축 처리는 수신된 새로운 각 라인에 대해 제거되는 부가적인 잡음에 대해 순환적으로 반복된다. 입력 신호(S4)가 0으로 될 때, 순환 비디오 신호(S10)가 궁극적으로 0으로 감소하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리미터(32)의 이득은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1보다 적게 선택된다.
리미터(32)의 주 기능은, 잡음이 감소된 신호(S6)의 수직의 세부에 잡음 감축 시스템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감산기(30)가 현재의 픽셀을 이전의 한 라인으로부터 평균된 하나와 비교하는 것을 상기하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수평의 한 라인이 존재한다면, 상기 라인의 양 측 상의 픽셀은 크기에서 크게 다르고, 차이 신호(S11)는 나타내려 하는 잡음 차이 성분보다는 상당한 배수가 될 것이다. 리미터(32)는 신호(11)의 큰 값이 가산기(34)에 도달하는 것을 예방한다. 그러나, 제한 레벨은 충분히 높아 잡음 감축을 얻기 위해 잡음이 가산기(34)로 통과하도록 한다. 도시적으로,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수 IRE(신호 레벨 단위)의 범위의 제한 레벨이 바람직하다. 2 또는 3 IRE 단위 정도의 제한 레벨이 허용할만한 낮은 가시적인 결함을 갖는 적절한 잡음 감축을 제공하는 것으로 가시적인 시험에서 발견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잡음 감출 신호(S5)를 제한하는 것에 덧붙여, 도 9, 도 10A 및 도 10B에 대해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잡음 감축 신호를 코어링하는 것 또한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코어링은, 차이 신호(S11)의 적은 값의 통과를 차단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으로부터 낮은 진폭의 수직 세부의 제거를 유리하게 방지한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코어링 레벨은 제한 레벨의 값보다 낮아야만 한다. 도시적으로, 1 IRE 단위 가량의 코어링 레벨(또는 디지털 시스템에서 1 또는 2 LSB)은 2 또는 3 IRE 단위 범위의 제한에 대해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애버리저(36)는 순회 잡음 감축 루프의 중요한 부분을 수행하고, 여기에서 잡음 감축 시스템이 합성 비디오 신호에 대해 사용되도록 하기 위한 순회(피드백) 루프 내에서 재순환되는 색차 성분의 위상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목적이 합성 비디오 신호를 동시에 분리하고 잡음을 감소시키데 있음을 상기하자. 합성 NTST 비디오 신호에 있어서, 라인당 색 주기의 정수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 따라서 피드백 신호(S10)가 종래의 1-H 지연으로 정확히 한 라인만큼 지연된다면, 색 위상은 피드백 신호 내에서 반전되고, 이는 수직 세부가 없을 때조차 리미터를 구동하는 낮은 진폭의 색차를 야기한다.
상술한 관점에 있어서, 피드백 신호(S10)의 색 위상의 정정은 긴 라인(즉, 1 개 라인 + 색 주기의 절반)을 갖는 짧은 라인(즉, 색의 절반 주기가 적은 한 라인)을 평균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최종 신호(S10)는 평균적으로 한 라인만큼 지연되는데, 이는 양호한 순회 잡음 감축을 위해 필요하고, 평균값을 취하는 것은 입력 신호의 색 위상에 부합하는 피드백 신호 내의 색 위상을 생성한다. 결과적으로, 신호의 색 성분은 휘도 신호 성분과 함께, 잡음이 감소된다.
라인 지연된 피드백 신호(S10)를 생성하기 위해 긴 라인과 짧은 라인의 평균값을 취하는 다른 장점은, 두 개의 절반 주기 지연과 애버리저(36)에 의해 수평 필터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이의 효과는 부가적인 고주파수 잡음을 제거하는 것이다. 따라서 잡음은 두 개의 공간적인 차원에서의 필터링에 의해, 수평적으로는 평균 처리에 의해 또한 수직으로는 순회 필터링에 의해 감소된다.
도 1의 분리기(20A)의 나머지 요소는 두 개의 감산기(50 및 56)와 결합 회로를 구성하는 색차 대역 필터(52)를 포함한다. 이것은, 분리된 휘도 및 색차 신호 성분(S14 및 S13)을 생성하기 위하여, 가산기(34)에 의해 제공된 잡음이 감소된 비디오 신호(S6)를 반 주기 지연 유니트(42)의 출력에서 제공되는 잡음이 감소되고 한 라인 지연된 비디오 신호(S8)와 결합하는 분리기의 출력부이다. 특히, 라인 지연된 신호(S8)는 감산기(50) 내에서 신호(S6)로부터 감산되고, 최종 차이 신호는, 분리된 색차 성분(S13)을 생성하기 위하여, 색차 대역 필터(52)에서 대역 필터링된다.
라인 지연(38), 절반 주기 지연(42), 감산기(50) 및 색차 대역 필터(5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되고 잡음이 감소된 색차 신호(S13)를 생성하는 1-H(한 라인) 색차 콤 필터를 형성한다. 이러한 필터를 위한 진폭 응답 또는 전달 함수는 진폭 특성(402)으로 도 4에 도시되었다. 색차 신호의 통과 대역 폭은 대역 필터(52)에 의해 결정된다. 색차 통과 대역 내에서 순환 진폭 피크는 수평 라인 속도의 절반의 홀수 배의 주파수에서 생성된다.
분리된 휘도 성분(S14)은, 잡음이 감소된 비지연 비디오 신호(S6)로부터 분리된 색차 성분을 감산하는 감산기(56)에 의해 생성된다. 진폭 응답(400)에 의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색차 필터(52)의 하부 밴드 에지 아래의 모든 휘도 성분에 대해 1의 이득을 갖는 진폭 응답을 생성하고, 대역 필터(52)의 주파수 범위를 통해 콤 필터링되는 휘도 신호 내의 응답을 생성한다. 휘도 응답의 피크는 수평 라인 속도의 복수 배에서 발생하고, 응답 특성(400 및 402)에 의해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색차 신호 응답의 계곡과 일치한다.
도 2는 도 1의 예에서의 분리기(20A)의 개선을 도시하는데, 여기에서는 가산기(34)의 출력 신호(S6)를 반 주기 지연 유니트(42)의 출력 신호(S8)와 결합시키기 위해 1-H 콤 필터의 다른 위상 구성이 사용되어, 분리된 출력 신호(S13 및 S14)를 형성한다.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휘도 및 색차를 위한 최종 잡음이 감소된 콤 응답은, 도 2의 예에서 휘도 성분이 전체 휘도 신호 대역을 통해 처리 내의 잠정(interim) 단계로서 분리(comb)된다 할지라도, 도 1의 예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상세하게, 도 2의 분리기(20B)에 있어서, 도 1의 출력 신호 결합 소자(50, 52 및 56)는 두 개의 가산기(200 및 206), 한 개의 감산기(202), 하나의 저역 필터(204) 및 색차 대역 필터(208)로 대체된다. 분리된 색차 신호는 도 1의 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생성된다, 즉 감산기(202)는 비지연된 잡음이 감소된 신호(S6)로부터 라인 지연된 잡음이 감소된 신호(S8)를 감산하고, 최종 신호(S12)는 분리된 잡음이 감소된 색차 신호(S13)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터(208)에 의해 대역 필터링된다. 필터 응답은 도 4에서 응답(402)으로 도시되었고, 이전의 예와 동일하다.
도 1 및 도 2의 분리기(20A 및 20B) 사이의 차이는 휘도 신호 성분의 분리에 있다. 도 1의 분리기(20A)에 있어서, 도 4의 콤 필터 응답(400)을 생성하는 비지연 잡음 감소된 합성 비디오 신호(S6)로부터 분리된 색차 출력 신호(S13)를 감산함으로써, 휘도 성분이 얻어졌음을 상기하자. 도 2의 분리기(20B)에 있어서, 휘도 성분은, 라인 지연된 합성 비디오 신호(S8)에 합성 비디오 신호(S6)를 가산하는 가산기(200)에 의해 분리된다. 이것은 최종 휘도 신호(S15)가 전체 대역폭을 통해 선택(comb)되는 라인 콤 필터를 구성한다. 색차 대역 아래의 휘도 영역이 수직 세부를 전달하기 때문에, 선택(comb)된 휘도 신호(S15)는 수직 세부가 부족하게 된다. 그러나, 선택(comb)된 수직 세부는 감산기(202)의 출력에서 유용하고, 색차 대역 아래의 시호 성분을 통과시키는 저역 필터(204)의 수단에 의해 색차 성분으로부터 분리된다. 최종 수직 세부 신호(S16)는 가산기(206)의 수단에 의해 휘도 신호에 저장되며, 따라서 가산기(200)의 출력에서의 결합에 기인한 수직 세부 손실을 대체하고, 분리된 휘도 비디오 출력 신호(S14)를 생성한다. 휘도 응답(400)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도 성분은 색차 대역 내의 상부 영역에서만 선택(comb)되고, 수직 세부에서는 손실이 없게 된다. 이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이것은 분리기(20A)의 예에서 얻어지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결과이지만, 다른 회로 토폴로지를 갖는다.
도 1 및 도 2의 상기 예에 있어서, 지연(38 및 42)은 신호 분리를 위해 요구되는 지연의 100%와 수직 및 수평 잡음 감축을 위해 요구되는 지연의 99.78%(즉, 지연의 912 클록 주기 중 910 클록 주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들 두 개의 특정 회로 소자를 분배시킴으로써, 1-H 콤에 대한 부가적인 잡음 감축은(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렇지 않을 경우 한 라인 콤 필터 신호 분리를 위해 요구될 910 클록 지연 중에서, 오직 2 개의 부가적인 클록 지연만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비디오 신호 메모리 요구에 있어서, 잡음 감축이 없는 1-H 콤 분리기보다 오직 0.2%의 추가 메모리(지연)를 요구하는 크지 않은 메모리 경비로 1-H 콤 필터 분리기에 잡음 감축을 덧붙일 수 있다.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2-H 콤 분리기는 1-H 콤 필터 분리기와 비교하여 보다 적은 가시적인 결함을 갖는 보다 효율적인 분리를 제공한다. 도 3의 예에 있어서,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잡음 감축과 2-H 콤 분리의 장점은 보다 높은 메모리 효율로 얻어질 수 있다. 특히, 도시된 2-H 콤 분리기에 대해, 색 서브캐리어 주파수의 4 배의 간주된 속도의 샘플링으로, 지연의 1820 픽셀 또는 클록 주기가 라인 콤 목적을 위해 요구되고, 잡음 감축이 없는 콤 분리 기능을 위한 1826 픽셀의 전체를 제공하는 교차 기울기 처리를 위해 지연의 6 픽셀이 사용된다. 잡음 감축에 대해, 오직 두 개의 부가적인 픽셀 지연(색 주기의 절반에 임시적으로 대응하는)만이 2-H 분리를 위해 필요한 1826에 대해 요구된다.
도 3의 분리기(20C)에 있어서, 잡음이 감소된 합성 비디오 신호(S6)와 라인 지연 잡음 감소된 합성 비디오 신호(S8)는 분리된 성분 신호(S13 및 S14)를 형성하기 위해 소자(302 및 318)의 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간략한 개요로서, 이들 소자는 효과적으로 주어진 픽셀을 한 라인 전 및 한 라인 후의 픽셀의 블렌드(blend) 또는 혼합과 결합시키는 적응 콤 필터를 형성한다. 픽셀의 혼합은 스위치 제어 유니트(308)에 의해 차례로 제어되며, 상기 유니트는 감소된 가시적인 결함을 갖는 색차 신호(S21)를 생성하기 위하여 픽셀 열(도 11 참조)의 대각선을 분석한다. 휘도 신호(S14)는 라인 지연 잡음 감소된 합성 비디오 신호(S8)로부터 회복된 색차 신호(S21)를 감산함으로써 분리된다. 혼합의 제어는, McNeely와 Willis에 의한 미국 특허 제 4,786,963호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한 라인씩의 라인 대각선 기울기 측정 또는 교차 기울기이다. 완성을 위해, 도 12는 여기에서 NcNeely 등의 상세한 사항 즉 스위치 또는 혼합 제어 신호 발생기를 제공한다.
도 3에 있어서, 가산기(34)에 의해 제공된 잡음 감소 합성 비디오 신호(S6)와 1-라인 지연 잡음감소 합성 비디오 신호는, 색차 신호 대역(도시적으로 1.0-4.2 MHz)을 포함하는 대역폭을 갖는 대역 필터(306 및 302) 각각에 인가된다. 따라서 필터(306)는 도 11의 픽셀(g, h 및 I)의 바닥 라인에 대응하는 대역 제한 신호(Bb)를 생성한다. 필터(302)는 라인(N) 보다 한 라인 선행하여 발생하는 d, e 및 f에 대응하는 픽셀을 생성하고, 따라서 중간 라인 또는 Mb 신호를 형성한다. 라인(N-2)(도 11의 상부 라인)을 위한 픽셀(a, b 및 c)을 제공하기 위하여, 필터(302)의 신호(Mb)는 라인 지연 유니트(304) 내에서 완전한 한 라인만큼 지연된다.
분리된 색차 신호는 감산기(312)의 수단에 의해 형성되고, 이 감산기는 상부 라인 신호(Tb) 또는 바닥 라인 신호(Bb) 또는 이들 둘의 혼합을 중간 라인 비디오 신호(Mb)로부터 감산하여, 적응 콤 필터를 형성한다. 이러한 필터의 적응은 스위치 제어 유니트(308)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유니트(308)는 신호(Tb, Mb 및 Bb)를 수신하고, 이들의 대각선의 차이를 분석하고, 혼합 스위치(3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K)를 생성한다. 간략히 언급하면, 제어 유니트(308)는, 행잉 도트와 같은 가시적인 결함을 줄이도록, 라인(N-1)과 결합시키기 위한 라인(N 및 N-2)의 최상의 조합을 찾기 위하여, 픽셀(a-i)을 분석한다. McNeely등의 장치에 있어서, 이러한 분석은, 도 12에서 도시되고 이후에 논의되는 프로세서의 수단에 의해, 도 11에 도시된 9개의 픽셀(a-i)의 대각선의 측정에 기초한다. 유니트(308)에 의해 제공되는 화상 분석은 다음의 세 개의 관계식으로 표현된다.
XU = MAX{ ABS(a-f), ABS(c-d)}
XL = MAX{ ABS(d-i, ABS(f-g)}
K = XL / [XL + XU]
수학식 1에 있어서, XU는 상부 교차 기울기로 정의되고, 도 11, 라인(N-2) 및 라인(N-1)을 참조하여 이 기울기는 두 함수, 즉 픽셀 차이(a-f)의 절대값과 픽셀 차이(c-d)의 절대값의 최대값(MAX)과 동일하다. 바꾸어 말하면, 이 함수는 상부 및 중간 라인(N-2, N-1) 사이에서 발생하는, 두 개의 대각선의 기울기(a-f, c-d)의 가장 큰 값을 할당한다.
수학식 2에 있어서, XL은 하부 교차 기울기로 정의되고, 도 11, 라인(N-1) 및 라인(N)을 참조하여 이 기울기는 두 함수, 즉 픽셀 차이(d-i)의 절대값과 픽셀 차이(f-g)의 절대값의 최대값(MAX)과 동일하다. 바꾸어 말하면, 이 함수는 중간 라인(N-1) 및 바닥 라인(N) 사이에서 발생하는, 대각선의 기울기(d-i, f-g)의 가장 큰 값을 할당한다.
혼합 결정은 상기 K를 제공하는 수학식 3에 따라서 이루어지고, 제어 신호(K)는 두 개의 교차 기울기의 합에 의해 나누어지는 하부 교차 기울기의 값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예컨대, XL이 0이고(중간 및 바닥 라인 사이의 차이가 없고), XU가 0이 아니면, K는 0과 같고 스위치(310)로 하여금 감산기(312) 내에서 중간 라인 신호로부터의 감산을 위한 바닥 라인 신호(Bb)를 선택하도록 하여, 분할기(314)에 의해 제공되는(6dB 만큼 감소한 후) 콤 색차 신호(S21)를 생성한다.
역으로, 하부 기울기(XL)가 0 이 아니고 상부 기울기가 0 이면, K는 1이다. 이것은, 상부 및 중간 라인이 중간 및 바닥 라인보다는 선택(comb)을 위한 보다 양호한 선택을 제공하여, 스위치(310)가 감산기(312)에 대한 응용을 위하여 상부 라인 신호(Tb)를 선택하는 것을 나타낸다.
제 3의 조건은 XL과 XU가 모두 0이 아닐 때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를 위하여, 스위치 제어 유니트(308)는, 스위치(310)가 수학식 3에 따라서 상부 및 바닥 라인을 혼합하도록 하고, 이렇게 함에 있어서 신호는 라인 차이에 대한 최소 라인을 갖고 따라서 최소의 가시적인 결함을 제공한다.
도 3의 예에서의 휘도 성분의 회복은 감산기(316)에 의해 얻어지며, 상기 감산기(316)는, 반 주기 지연 유니트(42)에 의해 제공된 중간 라인의 전체 대역폭 잡음이 감소된 신호(S8)로부터, 분리되고 적응적으로 콤 필터링된 색차 성분을 감산한다. 색차 신호(S21)는 필터(302 및 306)에 의해 대역이 1.0 내지 4.2 MHz로 제한되기 때문에, 휘도 신호의 수직 세부 성분은, 신호(S14)가 1.0 MHz 이하로 선택(comb)되지 않기 때문에, 악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직 세부의 복구는 필요하지 않다. 신호(S21)의 대역폭은 정상보다 어느 정도 넓은 폭이기 때문에, 색차 신호 대역폭을 3.58 MHz에 대해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0.5 MHz로 제한하기 위하여, 추가의 대역 필터(318)가 제공된다.
도 3의 예에서 제어 신호(K)의 생성은 필수적으로 처리 지연을 야기한다. 본 발명의 원리의 응용에 있어서, 이러한 처리 지연은, 소프트 스위치(310)와 감산기(312)에 앞선 신호 경로에서 유사한 지연을 삽입함으로써 보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색차 신호 경로에서 처리 지연의 정정은, 이 예에 있어서 휘도 신호(S14)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색차 신호(S13)를 지연시키기 때문에, 감산기(316)에 선행된 휘도 신호 경로 내에서 부가적인 보상 지연을 첨가하여 적절한 휘도/색차 정합(registration)을 보장할 수 있다.
이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도 12는 수학식 1, 2 및 3을 실현하는 스위치 제어 유니트(308)의 현재의 양호한 실현을 제공한다. 픽셀(c, f 및 i)은 2 픽셀 지연 유니트(1202, 1204 및 1206)에서 신호(Tb, Mb 및 Bb)를 각각 지연시킴으로서 형성된다. 대각선의 차이(c-d, a-f, f-g 및 d-i)는 감산기(1208, 1210, 1212 및 1214)에 의해 각각 제공되고, 이들 감산기는, c로부터 d를, a로부터 f를, f로부터 g를, 또한 g로부터 i를 각각 감산한다. 감산기 출력의 절대값은 절대값 회로(1216, 1220, 1222 및 1226)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신호(XU)는 최대값 검출기(1218)에 의해 제공되고, 이 검출기는 절대값 회로(1216 및 1220) 출력의 최대값을 통과시킨다. 신호(XL)는 최대값 검출기(1224)에 의해 제공되고, 이 검출기는 절대값 회로(1222 및 1226) 출력의 최대값을 통과시킨다. 수학식 3은, 최대값을 더하는 가산기(1228)와, 제어 신호(K)를 형성하기 위해 가산기(1228)의 출력으로 최대값 회로(1224)의 출력을 나누는 분할기(1232)에 의해 실현된다. 저역 필터(1230 및 1234)는 고주파수 변동을 제어한다. 도 3의 시스템 내의 교차 기울기 처리기(308B)의 동작은, 스위치 제어 유니트(308)와 수학식 1 내지 3의 논의에서 상세히 설명한 것과 같다.
도 7은, 상부 라인 신호(Tb)로부터 바닥 라인 신호(Bb)를 감산하는 감산기를 포함하는 소프트 스위치(310)의 적절한 실현을 제공한다. 곱셈기(704)는 감산기(702) 출력을 제어 신호(K)로 곱하고, 이의 결과는 혼합된 출력 신호(S20)를 형성하기 위해 신호(Bb)에 더해진다. 동작 시, K가 0일 때, 바닥 라인 신호(Bb)는 색차 성분 출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선택(comb)을 위한 감산기(312)에 전달된다. K가 1인 경우, 신호(Bb)는 감산기(702)에 의해 반전되고, 따라서 색차 성분 출력 신호(S21)를 형성하기 위해 중간 라인 신호를 갖는 감산기 내에서 선택(comb)을 위한 상부 라인 신호(Tb)를 남겨둔채 가산기(706) 내에서 소거된다. 0과 1 사이의 K값에 대해, 상부 및 바닥 라인 신호는 K 값에 비례하여 혼합되어, S20은 {K·Tb+(1-K)·Bb}와 같다.
도 13은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S4)와 평균 피드백 신호(S10)로부터 차이 신호(S11)를 얻기 위한 선택을 제공하는 도 1의 분리기의 변형을 도시한다. 도 1의 예에 있어서, 신호(S11)는 평균 신호(S10)로부터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S4)를 감산하는 감산기(30)에 의해 얻어짐을 상기하자. 도 13의 변형된 회로에 있어서, 감산기(30)의 입력 단자는 반전된다. 따라서 이 예에 있어서, 차이 신호(S11)는 합성 비디오 신호(S4)로부터 평균 신호(S10)를 감산함으로써 얻어진다. 이전의 변화는 신호(S11)와 제한된 신호(S5)를 효과적으로 반전시키기 때문에, 잡음이 감소된 비디오 신호(S6)를 생성하기 위해 잡음 감축 신호가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S4)와 결합할 때, 잡음 감축을 제공하기 위해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에 대한 잡음 감축 신호의 위상이 적절한 극성이 되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제 2의 반전이 제공된다. 이러한 기능은 도 1의 가산기(34)를 감산기(1300)로 교체함으로써 도 13의 예에서 제공된다. 감산기는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로부터 제한된 차이 신호(S5)를 감산하도록 접속된다. 유리하게, 이들 변형은, 변형된 회로의 전체 동작을 변경함이 없는 잡음 감축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유용한 위상적인 대안을 설계 엔지니어에게 제공한다.
이전의 설명을 통해 사용된 바와 같이, 색 주기의 용어는 색차 신호 서브캐리어의 완전한 한 주기와 동일한 시간 주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 시간 주기는 360°(2π)에 대응한다. 따라서, 절반의 색 주기는 색 서브캐리어가 180°(π)를 통해 통과하는 시간 길이에 대응한다. 색 서브캐리어의 4배의 속도로 샘플링되는 디지털 시스템에 대해, 1 색 주기는 4개의 픽셀의 시간 주기에 대응하고, 절반의 색 주기는 2개 픽셀의 시간 간격에 대응한다. 디지털 시스템에 있어서, 색 서브캐리어의 4배속 샘플링이 선호되는데, 이 이유는 절반의 색 주기 지연(2 픽셀 = 0.5 색 주기)이 쉽게 얻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디지털 실현은 절반 주기의 지연을 얻기 위한 보간법을 사용함으로써 다른 샘플링 속도로 실현될 수 있다.

Claims (20)

  1.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의 잡음을 감소시키고, 성분을 분리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잡음이 감소된 제 1 비디오 신호(S6)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S4)를 잡음 감축 신호(S5)와 결합시키는 단계(34)와,
    각각 다른 지연을 갖는 다수의 지연된 비디오 신호(S7, S8, S9)를 각각 형성하기 위해, 상기 잡음이 감소된 제 1 비디오 신호(S6)를 지연시키는 단계(38, 42, 40)와,
    상기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S4)를 상기 지연된 비디오 신호의 선택된 한 쌍(S7, S9)과 결합시킴으로써(30) 상기 잡음 감축 신호(S5)를 형성하는 단계와,
    분리되고 잡음이 감소된 색차(S13) 및 휘도(S14) 성분 출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잡음이 감소된 제 1 비디오 신호(S6)를 상기 지연된 비디오 신호의 다른 하나(S8)와 결합시키는 단계(50, 52, 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의 잡음을 감소시키고, 성분을 분리시키기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연 비디오 신호(S7, S8, S9)는 절반의 색 주기가 적은 1 라인 지연을 갖는 제 1 지연된 비디오 신호(S7)와, 1 라인 지연을 갖는 제 2의 지연 비디오 신호(S8)와, 절반의 색 주기가 많은 1 라인 지연을 갖는 제 3의 지연 비디오 신호(S9)를 포함하고,
    상기 지연된 비디오 신호의 선택된 쌍(S7, S9)은 상기 제 1(S7) 및 제 3의 지연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지연된 비디오 신호의 상기 다른 하나(S8)는 상기 제 2(S8)의 지연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의 잡음을 감소시키고, 성분을 분리시키기 위한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감축 신호를 형성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 1 및 제 3 지연 비디오 신호를 평균하는 단계(36)와,
    최종 평균 신호(S10)와 상기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S4) 사이의 차이 신호(S11)를 형성하는 단계(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의 잡음을 감소시키고, 성분을 분리시키기 위한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이 감소된 제 1 비디오 신호(S6)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제 1 결합 단계(34)는,
    (i) 상기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S4)를 상기 잡음 감축 신호(S5)에 더하는 단계(34)와,
    (ii) 상기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로부터 상기 잡음 감축 신호(S5)를 감산하는 단계(1300) 중, 선택된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의 잡음을 감소시키고, 성분을 분리시키기 위한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감축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단계는,
    평균 신호(S10)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 1(S7) 및 제 3(S9) 지연 신호를 평균하는 단계(36)와,
    상기 평균 신호(S10)와 상기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S4) 사이의 차이 신호(S11)를 형성하는 단계(30)와,
    상기 차이 신호(S11)를 제한하는 단계(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의 잡음을 감소시키고, 성분을 분리시키기 위한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S4)와의 결합에 선행하여, 상기 잡음 감축 신호(S5)에 코어링(coring)을 인가하는 단계(10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의 잡음을 감소시키고, 성분을 분리시키기 위한 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단계(50, 52, 56)는,
    상기 잡음이 감소된 색차 성분(S13) 비디오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비디오 신호(S6)를 상기 제 2 지연 비디오 신호(S8)와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잡음이 감소된, 분리 휘도 성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비디오 신호(S6)로부터 상기 잡음이 감소된, 분리 색차 성분 신호(S13)를 감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의 잡음을 감소시키고, 성분을 분리시키기 위한 방법.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의 결합 단계는,
    상기 제 2 지연 비디오 신호(S8)를 한 라인씩 지연시키는 단계(304)와,
    상기 잡음이 감소된 색차 성분 비디오 출력 신호(S13)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비디오 신호(S6), 상기 제 2 지연 비디오 신호(S8) 및 상기 제 4 지연 비디오 신호(Tb)를, 영상 세부의 함수로서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잡음이 감소된 휘도 성분 비디오 출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분리되고 잡음이 감소된 색차 성분 비디오 출력 신호를 상기 제 2의 지연 신호와 감산적으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의 잡음을 감소시키고, 성분을 분리시키기 위한 방법.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 단계는,
    상기 잡음이 감소된 색차 성분 비디오 출력 신호와 수직 세부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비디오 신호를 상기 제 2 지연된 비디오 신호와 결합하는 단계와,
    감소된 수직 세부를 갖는 휘도 성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비디오 신호를 상기 제 2 지연 비디오 신호와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잡음이 감소된 휘도 성분 비디오 출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휘도 성분 신호를 상기 수직 세부 비디오 신호와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의 잡음을 감소시키고, 성분을 분리시키기 위한 방법.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연 비디오 신호를 절반의 색 주기만큼 지연시킴으로써 상기 제 3의 지연 비디오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지연 비디오 신호를 절반의 색 주기만큼 지연시킴으로써 상기 제 2의 지연 비디오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잡음이 감소된 제 1 지연 비디오 신호를 절반의 색 주기가 적은 1 라인만큼 지연시킴으로써 상기 제 1의 지연 비디오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의 잡음을 감소시키고, 성분을 분리시키기 위한 방법.
  11.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의 잡음을 감소시키고, 휘도 및 색차 성분을 분리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소스와,
    잡음이 감소된 제 1 비디오 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를 여기에 제공된 잡음 감축 신호와 결합하기 위한, 상기 소스에 접속된 제 1 회로 수단과,
    각각 다른 지연을 갖는 다수의 지연 비디오 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잡음이 감소된 제 1 비디오 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상기 제 1 회로 수단에 접속된 제 2 회로 수단과,
    상기 잡음 감축 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를 상기 잡음이 감소된 비디오 신호의 선택된 한 쌍과 결합시키기 위한, 상기 소스와 상기 제 2 회로 수단에 접속된 제 3 회로 수단과,
    분리되고 잡음이 감소된 색차 및 휘도 출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잡음이 감소된 제 1 비디오 신호를 상기 지연된 비디오 시호의 다른 하나와 결합시키기 위한, 상기 제 1 및 제 3 회로 수단에 접속된 제 4 회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을 감소시키고, 휘도 및 색차 성분을 분리시키기 위한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연된 비디오 신호는 (i) 절반의 색 주기가 적은 1 라인의 지연을 갖는 제 1 지연된 비디오 신호와, (ii) 1 라인의 지연을 갖는 제 2의 지연된 비디오 신호와, (iii) 절반의 색 주기가 많은 1 라인의 지연을 갖는 제 3의 지연된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지연된 비디오 신호의 상기 선택된 쌍은 상기 제 1 및 제 3 지연된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지연된 비디오 신호의 상기 다른 하나는 상기 제 2의 지연된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을 감소시키고, 휘도 및 색차 성분을 분리시키기 위한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의 회로 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지연된 비디오 신호를 평균하기 위한, 상기 제 2 회로 수단에 접속된 애버리저(averager)와,
    상기 최종 평균 신호와 상기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 사이의 차이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소스 및 상기 애버리저에 접속된 감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을 감소시키고, 휘도 및 색차 성분을 분리시키기 위한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로 수단은,
    (i) 상기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를 상기 잡음 감축 신호에 더하기 위한 가산기와,
    (ii) 상기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로부터 상기 잡음 감축 신호를 감산하기 위한 감산기 중,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을 감소시키고, 휘도 및 색차 성분을 분리시키기 위한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감축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제 3의 회로 수단은,
    평균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및 제 3 지연 신호를 평균하기 위한 애버리저와,
    상기 평균 신호와 상기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 사이의 차이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감산기와,
    상기 차이 신호를 제한하기 위한 리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을 감소시키고, 휘도 및 색차 성분을 분리시키기 위한 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비디오 입력 신호와의 결합에 선행하여, 상기 잡음 감축 신호에 코어링(coring)을 인가하기 위한 회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을 감소시키고, 휘도 및 색차 성분을 분리시키기 위한 장치.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4의 회로 수단은,
    상기 잡음이 감소된 색차 성분 비디오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비디오 신호를 상기 제 2 지연 비디오 신호와 결합시키기는, 상기 제 1 및 제 2 회로 수단에 접속된, 제 1 감산기와,
    상기 잡음이 감소된 분리 휘도 성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회로 수단에 의해 제공된 상기 제 1 비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제 1 감산기에 의해 제공된 상기 잡음이 감소된 분리 색차 성분 신호를 감산하는, 상기 제 1 감산기와 상기 제 1 회로 수단에 접속된, 제 2 감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을 감소시키고, 휘도 및 색차 성분을 분리시키기 위한 장치.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4의 회로 수단은,
    상기 제 2 지연 비디오 신호를 한 라인씩 지연시키는 지연 회로와,
    상기 잡음이 감소된 색차 성분 비디오 출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비디오 신호, 상기 제 2 지연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제 4 지연 비디오 신호를, 영상 세부의 함수로서 결합하는 결합 회로와,
    상기 잡음이 감소된 휘도 성분 비디오 출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분리되고 잡음이 감소된 색차 성분 비디오 출력 신호를 상기 제 2의 지연 신호와 감산적으로 결합시키는 감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을 감소시키고, 휘도 및 색차 성분을 분리시키기 위한 장치.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회로 수단은,
    상기 잡음이 감소된 색차 성분 비디오 출력 신호와 수직 세부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비디오 신호를 상기 제 2 지연된 비디오 신호와 결합하기 위한 감산기와,
    감소된 수직 세부를 갖는 휘도 성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비디오 신호를 상기 제 2 지연 비디오 신호와 결합하기 위한 제 1 가산기와,
    상기 잡음이 감소된 휘도 성분 비디오 출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가산기에 의해 제공된 상기 휘도 성분 신호를 상기 수직 세부 비디오 신호와 결합하기 위한 제 2의 가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을 감소시키고, 휘도 및 색차 성분을 분리시키기 위한 장치.
  20.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로 수단은,
    상기 제 2의 지연 비디오 신호를 절반의 색 주기만큼 지연시킴으로써 상기 제 3의 지연 비디오 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2의 지연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접속된 제 1의 지연 유니트와,
    상기 제 1 지연 비디오 신호를 절반의 색 주기만큼 지연시킴으로써 상기 제 2의 지연 비디오 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지연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접속된 제 2의 지연 유니트와,
    상기 잡음이 감소된 제 1 지연 비디오 신호를 절반의 색 주기가 적은 1 라인만큼 지연시킴으로써 상기 제 1의 지연 비디오 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잡음이 감소된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접속된 제 3의 지연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을 감소시키고, 휘도 및 색차 성분을 분리시키기 위한 장치.
KR1019970707473A 1995-04-21 1996-04-16 공통지연소자를갖는휘도/색차를분리시키기위한방법및장치 KR100388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423,710 1995-04-21
US08/423,710 US5519454A (en) 1995-04-21 1995-04-21 Luma/chroma separation filter with common delay element for comb filter separation and recursive noise reduction of composite video input signal
US08/423,710 1995-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950A true KR19990007950A (ko) 1999-01-25
KR100388579B1 KR100388579B1 (ko) 2003-11-14

Family

ID=23679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7473A KR100388579B1 (ko) 1995-04-21 1996-04-16 공통지연소자를갖는휘도/색차를분리시키기위한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519454A (ko)
EP (1) EP0821858B1 (ko)
JP (1) JP3393649B2 (ko)
KR (1) KR100388579B1 (ko)
CN (1) CN1140998C (ko)
AU (1) AU5485396A (ko)
DE (1) DE69603268T2 (ko)
ES (1) ES2133959T3 (ko)
MX (1) MX9708123A (ko)
MY (1) MY113601A (ko)
RU (1) RU2156550C2 (ko)
TR (1) TR199701214T1 (ko)
WO (1) WO19960335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2016A (en) * 1994-11-14 2000-09-19 U.S. Philips Corporation Video signal processing
JPH1023296A (ja) * 1996-07-05 1998-01-23 Canon Inc 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
US6349139B1 (en) * 1997-06-17 2002-02-19 Macrovi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chroma subcarrier instability caused by a video line scrambling system
US6912315B1 (en) * 1998-05-28 2005-06-28 Verance Corporation Pre-processed information embedding system
US7644282B2 (en) * 1998-05-28 2010-01-05 Verance Corporation Pre-processed information embedding system
US6737957B1 (en) 2000-02-16 2004-05-18 Verance Corporation Remote control signaling using audio watermarks
JP2002033942A (ja) * 2000-07-17 2002-01-31 Sanyo Electric Co Ltd 画像信号の雑音抑制方法及びこの雑音抑制方法を用いた画像信号処理装置
US20040028124A1 (en) * 2002-07-30 2004-02-12 Jukka Nuutinen Method of operating a communications system and a communications system
EP2782337A3 (en) 2002-10-15 2014-11-26 Verance Corporation Media monitor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system
WO2004114679A1 (en) * 2003-06-20 2004-12-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uminance and color separation
US20060239501A1 (en) 2005-04-26 2006-10-26 Verance Corporation Security enhancements of digital watermarks for multi-media content
US8020004B2 (en) 2005-07-01 2011-09-13 Verance Corporation Forensic marking using a common customization function
US8781967B2 (en) 2005-07-07 2014-07-15 Verance Corporation Watermarking in an encrypted domain
US8049820B2 (en) * 2007-08-06 2011-11-01 Mediatek Inc. Video processing circuits and methods using same buffer for video decoder and cross color suppressor
GB2460418B (en) * 2008-05-28 2010-04-14 Mirics Semiconductor Ltd Broadcast receiver system
US8259938B2 (en) * 2008-06-24 2012-09-04 Verance Corporation Efficient and secure forensic marking in compressed
KR20100101426A (ko) * 2009-03-09 2010-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00231799A1 (en) * 2009-03-10 2010-09-16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olor noises
US8838977B2 (en) 2010-09-16 2014-09-16 Verance Corporation Watermark extraction and content screening in a networked environment
US8923548B2 (en) 2011-11-03 2014-12-30 Verance Corporation Extraction of embedded watermarks from a host content using a plurality of tentative watermarks
US8682026B2 (en) 2011-11-03 2014-03-25 Verance Corporation Efficient extraction of embedded watermarks in the presence of host content distortions
US8533481B2 (en) 2011-11-03 2013-09-10 Verance Corporation Extraction of embedded watermarks from a host content based on extrapolation techniques
US8615104B2 (en) 2011-11-03 2013-12-24 Verance Corporation Watermark extraction based on tentative watermarks
US8745403B2 (en) 2011-11-23 2014-06-03 Verance Corporation Enhanced content management based on watermark extraction records
US9547753B2 (en) 2011-12-13 2017-01-17 Verance Corporation Coordinated watermarking
US9323902B2 (en) 2011-12-13 2016-04-26 Verance Corporation Conditional access using embedded watermarks
US9571606B2 (en) 2012-08-31 2017-02-14 Verance Corporation Social media viewing system
US9106964B2 (en) 2012-09-13 2015-08-11 Verance Corporation Enhanced content distribution using advertisements
US8869222B2 (en) 2012-09-13 2014-10-21 Verance Corporation Second screen content
US8726304B2 (en) 2012-09-13 2014-05-13 Verance Corporation Time varying evaluation of multimedia content
US9262793B2 (en) 2013-03-14 2016-02-16 Verance Corporation Transactional video marking system
US9251549B2 (en) 2013-07-23 2016-02-02 Verance Corporation Watermark extractor enhancements based on payload ranking
US9208334B2 (en) 2013-10-25 2015-12-08 Verance Corporation Content management using multiple abstraction layers
WO2015138798A1 (en) 2014-03-13 2015-09-17 Verance Corporation Interactive content acquisition using embedded codes
CN106937097B (zh) * 2017-03-01 2018-12-25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系统及移动终端
US10645337B1 (en) * 2019-04-30 2020-05-05 Analon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Video line inversion for reducing impact of periodic interference signals on analog video transmission
US11736815B2 (en) 2020-12-15 2023-08-22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Interferer removal for reducing impact of periodic interference signals on analog video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7623A (en) * 1978-03-27 1979-10-03 Nec Corp S/n improving device for television video signal
JPS60121885A (ja) * 1983-12-05 1985-06-29 Victor Co Of Japan Ltd 映像信号の雑音低減回路
JPH0695767B2 (ja) * 1985-09-26 1994-11-24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高画質テレビジヨンy/c分離装置
US4786963A (en) * 1987-06-26 1988-11-22 Rca Licensing Corporation Adaptive Y/C separation apparatus for TV signals
JPH0497686A (ja) * 1990-08-15 1992-03-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Y/c分離フィルター一体型ノイズ軽減回路
US5241375A (en) * 1991-06-26 1993-08-3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Chrominance noise reduction apparatus employing two-dimensional recursive filtering of multiplexed baseband color difference compon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393649B2 (ja) 2003-04-07
JPH11504174A (ja) 1999-04-06
CN1140998C (zh) 2004-03-03
DE69603268T2 (de) 1999-11-11
EP0821858B1 (en) 1999-07-14
DE69603268D1 (de) 1999-08-19
KR100388579B1 (ko) 2003-11-14
MX9708123A (es) 1998-04-30
US5519454A (en) 1996-05-21
AU5485396A (en) 1996-11-07
TR199701214T1 (xx) 1998-02-21
MY113601A (en) 2002-04-30
RU2156550C2 (ru) 2000-09-20
CN1187925A (zh) 1998-07-15
ES2133959T3 (es) 1999-09-16
WO1996033578A1 (en) 1996-10-24
EP0821858A1 (en) 1998-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8579B1 (ko) 공통지연소자를갖는휘도/색차를분리시키기위한방법및장치
MXPA97008123A (en) Luma / chrome separation filter with derressive element co
US5461426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modified NTSC television signals, with digital signals buried therewithin
CA1233240A (en) Video signal recursive filter with luma/chroma separation
EP0497222B1 (en) Video noise reduction system employing plural frequency bands
US5130798A (en) Dual band progressive television system with noise reduction
EP0546840B1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4644389A (en) Digital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KR930002142B1 (ko) 다중신호 전송장치 및 다중신호 수신장치
EP0549174B1 (en) Adaptive chrominance filtering control
KR930003178B1 (ko) 상관적응형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회로
JPH07118813B2 (ja) カラー映像信号エンコード方法
US4333104A (en) Color demodulating apparatus with cross-color cancellation
US5194942A (en) Variable bandwidth control apparatus for separating luminance and chrominance signals and the method thereof
US5140410A (en) Chrominance signal mixing circuit in a motion adaptive type signal separator
KR0123189B1 (ko) 파형등화기
CA1300741C (en) Signal separator having function of subsampling digital composite video signal
EP05971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uminance/chrominance separation
KR950004652Y1 (ko) 휘도 및 색신호분리장치
KR970007809B1 (ko) 동적응을 이용한 휘도 및 색신호 분리 방법
KR900004035B1 (ko) 칼라텔레비죤 수상기에 있어서 휘도신호 및 색신호 방해 경감회로
EP0729274B1 (en) Method, coder and decoder for the processing of helper signals within television signals
JP2685542B2 (ja) クロマ信号処理回路
JPS61141294A (ja) デジタルテレビジヨン回路
JPH09261684A (ja) 色信号分離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