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840A - 포개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크레이트 - Google Patents

포개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크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840A
KR19990007840A KR1019970707363A KR19970707363A KR19990007840A KR 19990007840 A KR19990007840 A KR 19990007840A KR 1019970707363 A KR1019970707363 A KR 1019970707363A KR 19970707363 A KR19970707363 A KR 19970707363A KR 19990007840 A KR19990007840 A KR 19990007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te
pylons
floor
wall portion
pyl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7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6879B1 (ko
Inventor
압스윌리암피.
코에펠다제랄드알.
Original Assignee
윌리엄 에이치.블로치
레리그퍼시픽캄파니,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엄 에이치.블로치, 레리그퍼시픽캄파니,인크. filed Critical 윌리엄 에이치.블로치
Publication of KR19990007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8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70Trays provided with projections or recesses in order to assemble multiple articles, e.g. intermediate elements for st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7/00Envelopes or like essentially-rectangular containers for postal or other purposes having no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ckages (AREA)
  • Toys (AREA)
  • Bedding Item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성형되며 양호하게는 일인분 용량의 병을 위한 얕은 깊이의 포개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크레이트(20)에 관한 것이다. 크레이트는 바닥(22)과 바닥으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바닥(22)의 외주 주위에 연장된 벽 구조물(24)의 두 개의 기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바닥(22)은 양호하게는 개방된 격자 구조를 가지며 용기 지지 구역을 포함한다. 바닥(22)의 하부면은 아래의 유사한 크레이트(20) 내의 병의 상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벽 구조물(24)은 바닥에 인접한 하부 벽 부분과 크레이트 주위로 배치된 다수의 일체로 형성된 파이론(28, 30, 31)을 포함한다. 핸들은 대향 벽 상의 파이론 사이에 연장되도록 일체로 성형되어 파이론의 상부와 같은 높이의 핸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포개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크레이트
참고관련출원
본 출원은 1994년 2월 3일 출원된 함께 계류중인 미국 의장 특허 출원 제29/018,317호의 일부 계속(CIP) 출원인, 1994년 6월 30일 출원된 함께 계류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08/268,997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다.
본 발명은 용기를 반송하고 저장하기 위한 포개질 수 있는(nestable) 디스플레이 크레이트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본 발명은 병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높은 시인성(visibility)과 함께 포갬성(nestability) 및 높은 강도를 갖는 크레이트(crate) 또는 트레이(tray)에 관한 것이다.
유통 단계(distribution stages)에서 (특히, 청량 음료 등의 음료용) 병은 통상 크레이트 또는 트레이 내에 저장되어 반송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크레이트(crate) 또는 트레이(tray)는 크레이트와, 트레이와, 바닥 및 외주 측벽 구조물을 갖는 유사한 용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크레이트는 일반적으로 병이 로딩될 때 서로 상부에 적층되며 병이 없을 때 서로 포개지도록 형성된다. 플라스틱 크레이트는 저장 공간의 절약과 효율적이고 용이한 취급과 재생 가능성과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포개질 때 크레이트의 저장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리고 비용 및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 오늘날 많은 크레이트들은 얕은 외주의 측벽 구조물(shallow peripheral sidewall structure)로 제조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얕은 깊이(low depth)의 크레이트라 불리며, 얕은 깊이의 크레이트에서는 위에 적층된 크레이트들의 부하의 대부분을 병이 지지한다. 보다 높은 외주 측벽을 가지며 병과 대체로 같은 높이의 크레이트는 전체 깊이(full depth)의 크레이트라 불리며, 전체 깊이의 크레이트에서는 위에 적층된 크레이트의 부하의 대부분을 크레이트 자신이 지지한다.
얕은 깊이의 크레이트는 일반적으로 유사하게 구성된 전체 깊이의 크레이트보다 값싸며 무게가 가볍다. 따라서, 얕은 깊이의 크레이트가 널리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얕은 깊이의 크레이트는 바닥에 상부 밴드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칼럼으로 설계되었다. 깡통용의 이러한 얕은 깊이의 트레이의 일 예가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 제5,184,748호에서 개시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출원의 내용이 전체적으로 참조되었다. '748호 특허에서 개시된 트레이는 포개질 수 있는 트레이이며, 이는 동일한 빈 트레이가 판매 및 보관 공간을 절약하도록 서로 포개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일인분 용량(single serve capacity)의 병을 위한 공지의 얕은 깊이의 병 크레이트의 다른 예는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 제5,060,819호에서 개시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출원의 내용이 전체적으로 참조되었다. '819호 특허의 병 크레이트는 수직 인접 패널을 갖는 측벽 구조물을 가지며, 패널은 하부 면이 바닥 위로 이격되도록 교대로 상승된다. 측벽의 상부 및 하부 엣지는 빈 트레이가 서로 포개질 수 있도록 물결 형상(undulating configuration)을 갖는다.
일인분용(single serve) 병은 일반적으로 소매점으로 선적을 위해 또는 저장을 위해 케이스 등의 용기 내에 한 케이스에 여러 병들이 바틀러(bottler)에 의해 패킹된다.
병들의 케이스는 통상 서로 상부에 적층된다. 병들의 케이스를 취급하는 한가지 방법은 지게차에 의해 승강되고 이동될 수 있는 팰릿 상에 케이스를 적층하는 것이다. 케이스의 칼럼을 서로 연결하는 기술은 교차적층(cross-stacking)이라 불리며, 케이스 적층의 안정성을 개선하도록 또는 소매점에서 디스플레이를 위해 종종 사용된다. 적층되어 교차적층된 로딩된 케이스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며 이러한 케이스의 적층된 칼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특히 소매 매장에서 병의 최대 시인성을 제공하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 병 케이스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종래의 포개질 수 있는 크레이트, 특히, 특히, 일인분용 병을 위한 크레이트와 관련된 문제점들 중 하나는 몇몇 매장에서 사용될 때 강도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060,819호의 트레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매우 거칠게 취급될 때 견디지(stand up) 못하는 측벽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반복적이고 거친 취급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필요 강도(strength) 및 강성(rigidity)을 갖는 재사용 가능하고 포개질 수 있는 크레이트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종래의 포개질 수 있는 크레이트가 가질 수 있는 다른 문제점은 병 또는 용기 라벨의 시인성이 약간 제한된다는 점이다. 또한, 미국 특허 제5,184,748호에서 개시된 것과 같은 칼럼 및 밴드 트레이는 많은 라벨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게 하지만, 밴드는 어느 정도 용기의 시계(view)를 방해한다. 마찬가지로, 미국 특허 제5,060,819호의 트레이의 물결 모양의 측벽은 약간의 시인성을 가능하게 한다. 개선된 구조 강도를 가지며 병 또는 용기의 시인성을 증가시키는 포개질 수 있는 크레이트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많은 예에서 동일하거나 또는 비슷한 용량을 갖는 병들은 다양한 크기의 병 상부를 가질 수도 있다. 아래의 비슷한 크레이트 내에 다양한 크기의 병 상부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단일 크레이트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비었을 때 다른 유사한 크레이트와 포개질 수 있으며 용기의 저장, 디스플레이 및 반송을 위해 병 또는 용기로 로딩될 때 다른 유사한 크레이트와 적층 또는 교차 적층될 수 있는 얕은 깊이의 병 크레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크레이트는 빈 크레이트를 포개어 놓기 위한 그리고 로딩된 크레이트를 안정되게 적층 또는 교차 적층하기 위한 특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복되고 거친 취급을 견디기에 충분한 구조 강도를 갖는 얕은 깊이의 포개질 수 있는 크레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를 위해 병 또는 용기의 최대 시인성을 제공하는 얕은 깊이의 포개질 수 있는 견고한 크레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로딩되어 적층될 때 그리고 빈 상태로 포개질 때 모두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얕은 깊이의 포개질 수 있는 크레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르면, 병을 위한 얕은 깊이의 포개질 수 있는 신규의 크레이트가 제공된다. 양호한 형상은 16 또는 20 온스 용량의 일인분 용량의 병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에가 병을 유지하도록 성형되었으나, 크레이트는 임의의 종류의 용기를 저장 도는 반송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크레이트는 바닥과 바닥으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바닥의 외주 주위로 연장된 벽 구조물의 두 개의 기본적인 요소를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바닥은 양호하게는 불필요한 유체가 크레이트로부터 배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적은 재질을 필요로 하며 따라서 일체형(solid) 바닥 구조 보다 가벼운 개방된 격자 구조를 갖는다. 바닥은 양호하게는 배열로 된 용기 지지 구역을 또한 갖는다.
크레이트의 바닥은 아래의 유사한 크레이트 내의 병의 상부를 수용하도록 성형된 외부 도는 하부면을 갖는다. 양호하게는, 바닥 하부면은 아래의 유사한 크레이트 내에 담긴 병의 상부를 수납하도록 배치된 상향으로 오목한 수납 구역을 갖는다. 수납 구역은 병을 수직 직립으로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며, 이는 적층된 로딩된 크레이트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수납 구역들은 적어도 두 개의 다른 크기의 병 상부를 견고히 수납하도록 각각 구성된다. 수납 구역들은 크레이트가 아래의 크레이트 내의 병의 상부를 다라 자유로이 활주되는 것을 또한 방지한다. 크레이트가 수직 축에 대해 회전되어 0일단 분리되면 병의 상부를 분리시킬 수 있으며 취급을 용이하게 하도록 아래의 크레이트 내의 병의 상부를 따라 크레이트가 활주될 수 있도록 수납 구역의 외주 면은 베벨된다.
벽 구조물은 바닥에 인접한 하부 벽 부분과 크레이트의 바닥의 외주 주위로 배치된 다수의 일체로 성형된 파이론을 포함한다. 파이론(pylon)은 상향 연장된 중공 칼럼 또는 기둥을 표시한다. 중공 파이론은 이중 벽 하부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하부 벽 부분은 이중 벽 구조이다. 중공 파이론은 양호하게는 크레이트의 내부를 향해 경사지며 상부 벽 부분에서 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며 하부 벽 부분에서 보다 큰 단면을 가져서 빈 크레이트의 파이론이 서로 포개질 수 있도록 경사진다.
양호하게는, 파이론은 크레이트의 대향 측벽들을 따라 배치된다. 각 파이론은 바닥의 인접 지지 구역 사이에 위치되어, 크레이트의 측벽은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톱니형 외관을 갖는다. 파이론은 각 모서리에 위치된다. 크레이트 내에 로딩된 병은 파이론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통해 볼 수 있다. 크레이트의 단부벽은 손바닥 상향 파지 또는 손바닥 하향 파지가 가능하도록 성형된 일체로 성형된 핸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크레이트는 병의 최대한의 방해받지 않는 시인성과 함께 이중 벽의 구조에 의해 제공된 충분한 강도를 갖는 포개질 수 있는 크레이트의 장점을 갖는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특징을 보다 완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크레이트의 측벽의 측면도이다.
도2는 도1의 크레이트의 단부벽의 단부 측면도이다.
도3은 도1의 크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4는 도1의 크레이트의 저면도이다.
도5는 도3의 선 5-5를 따른 크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6은 도3의 선 6-6을 따른 크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7은 도3의 선 7-7을 따른 크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8은 도3의 선 8-8을 따른 크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9는 도3의 선 9-9를 따른 크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10은 도4의 선 10-10을 따른 크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11은 도4의 선 11-11을 따른 크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12는 도3의 선 12-12를 따른 크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13은 도3에서 도시된 구역 13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14는 도1의 크레이트의 모서리 구역의 확대된 부분 사시도이다.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충분한 강도를 제공하는 구조적인 특징을 가지며 빈 크레이트의 포개짐과 로딩된 크레이트의 안정된 적층 및 교차적층을 용이하게 하며 병 또는 용기에 대한 최대 시인성을 제공하는 얕은 깊이의 크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일인분 용량의 유리 또는 플라스틱 병에 적합하다.
도1 및 도2에서, 크레이트(20)는 바닥(22)과 벽 구조물(24)의 두 개의 기본 요소를 포함한다. 크레이트(20)의 외주를 한정하는 벽 구조물은 하부 벽 부분(26)과, 모서리 파이론(28) 및 측면 파이론(30, 31)을 포함하는 다수의 파이론을 포함한다. 크레이트(20)는 양호하게는 사각형이며, 벽 구조물은 측벽(25) 및 단부벽(27)을 포함한다. 직사각 크레이트가 도시되고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동일한 길이의 측벽 및 단부벽을 포함하여 정사각 크레이트가 될 수도 있다.
바닥(22)은, 양호하게는, 평면도 및 저면도를 각각 도시하는 도3 및 도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공간 패턴을 갖는 격자형 구조를 갖는다. 개방된 바닥 구조에 의해 크레이트가 경량으로 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임의의 액체가 바닥(22)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플라스틱 랩과 같이 여러 팩의 병들 주위의 2차 랩 또는 결합 수단과 인터페이스 되지 않도록 바닥은 일반적으로 편평하며 개방되어 있다.
도1 내지 도4에서, 바닥(22)은 일반적으로 편평한 상부 면(32)를 가지며, 병을 지지하는 양호하게는 원형 지지 구역 또는 링(34)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관점에서 지지 구역(34)과 유사한 모서리 지지 구역(35)이 크레이트(20)의 모서리에 배치되며,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지지 구역(34)과 또한 유사하며 후술되는 단부벽 지지 구역(35a)이 단부벽을 따라 배치된다. 지지 구역(34, 35, 35a)은, 서로에 대해 수직하게 바닥(34)을 가로지르는 격자형의 종방향 스트러트(36) 및 측방향 스트러트(38)와,지지 구역(34)으로부터 양호하게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대각 스트러트(40) 시스템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틈새가 있는 격자 부재(42)는 양호하게는 지지 구역(34, 35) 사이에 위치된 원형 요소이며 종방향, 측방향 및 대각 스트러트와 일체로 형성된다. 수직 스트러트(36, 38)는 일반적으로 바닥(22)의 전체 길이 및 폭으로 연장되며, 지지 구역(34, 35, 35a)의 열 및 칼럼을 연결한다. 몇몇 수직 스트러트(36, 38)는 원형 격자 부재(42)에 방사상으로 연결된다. 대각 스트러트(40)는 격자 부재(42) 및 지지 구역(34, 35, 35a)을 방사상으로 연결한다. 격자 부재(42)는 양호하게는 단부벽으로부터 단부벽까지 크레이트의 종방향 축을 따라 위치된 세 개의 큰 원형 격자 부재(43)를 제외하고는 균일한 크기이다. 원형 격자 부재(43a)는 도12의 단면도에서 도시되어 있으며, 사출 성형 크레이트(20)를 위한 사출 지점(44)의 양호한 위치이다.
지지 구역은 열 및 칼럼으로 배치되며 그에 의해 하나 이상의 배열을 한정한다. 하나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4 X 6 배열은 24 개의 16 또는 20 온스의 병을 수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일 리터 병이 12 개의 3 X 4 배열 또는 15 개의 3 X 5 배열로 배치될 수도 있다. 지지 구역은, 배열 내의 병이 취급 중 병의 부딪힘을 방지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근접된 관계로 유지되도록 형성된다. 위에 적층되거나 또는 교차적층된 병의 부하를 가장 유리하게 지지하도록 수직 직립 자세로 병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병의 과도한 운동은 방지된다.
각 지지 구역 또는 링(34, 35, 35a)은 병을 안착시킬 정도의 크기이며 수직 스트러트(36, 38) 및 대각 스트러트(40)에 의해 다른 지지 구역에 연결된다. 지지 구역(34, 35, 35a)은, 양호하게는 견고하며 배수 구멍(46)을 갖는 크레이트의 외주 주위의 지지 구역과 편평한 면을 갖는다. 도13은 도3에서 표시된 단부벽 지지 구역(35a)의 부분 상세도이다.
바닥(22)은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 하부면(48)을 갖는다. 바닥 하부면(48)은 로딩된 크레이트의 적층 또는 교차적층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교차적층은 수직 축에 대해 90도로 상부 크레이트를 회전시켜 아래의 크레이트(들)에 하강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선적 및 취급 중 크레이트들은 기계에 의해 이동될 수도 있으며, 안정된 적층 또는 교차적층될 수 있는 크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크레이트가 소매 매장(retail setting)에서 용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될 때, 소매점은 디스플레이를 위해 또는 공간적인 이유로 크레이트를 교차적층하는 것을 원할 수도 있다.
바닥 하부면(48)은 도11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상향으로 오목한 병 상부 수납 구역(50)을 갖는다. 오목한 수납 구역(50)의 외주는 바닥 하부면(48)과 일체로 성형되어 그의 일부를 형성하는 원(52) 및 호(54)에 의해 한정된다. 원(52) 및 호(54)의 위치는 아래의 로딩된 크레이트의 병 상부가 위치되어 안정된 적층 및 교차적층이 가능한 범위를 제공하도록 결정된다. 수납 구역(50)은, 위에 적층되거나 또는 교차적층된 병의 부하를 지지하도록 수직 직립 위치에서 병을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일반적으로, 외주 수납 구역(50), 즉, 호(54)에 의해 한정된 벽 구조물에 인접한 구역 및 중심 수납 구역은 원(52)에 의해 한정된다. 바닥 하부면 상에 중심에 위치된 수납 구역(50)은 벽 구조물에 보다 근접된 구역보다 대응 지지 구역(34)으로부터 덜 오프셋된다. 원(52)의 부분의 상세한 단면은 도10에서 도시되어 있다.
수납 구역(50)의 외주 면은 베벨면(56)이다. 적층되거나 또는 교차적층된 위치에서, 수납 구역은 크레이트가 하부 크레이트 내의 병 상부를 따라 자유로이 활주되는 것을 방지하며, 일단 수납 구역이 유지 위치, 즉, 적층되거나 또는 교차적층된 위치로부터 분리되면, 상부 크레이트는 하부 크레이트 내의 병 상부를 따라 활주될 수 있어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베벨면(56)에 의해, 상부 크레이트가 수직 축에 대해 약간 회전될 때 크레이트(20)가 하부 크레이트 내의 병 상부를 올라탈 수 있다.
도11의 수납 구역(50)의 상세도는 수납 구역이 단순한 만입부 이상임을 도시한다. 수납 구역(50)은 하나 이상의 병 상부의 크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외부 지대(50a) 및 내부 지대(50b)의 실제적인 두 동심 수납 지대가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외부 재대(50a)는 수납 구역(50)의 외주 주위에 베벨면(56)에 의해 한정되며, 38 mm 직경을 갖는 병 상부를 수용할 수 있다. 베벨면(56)의 바로 내부의 구역은 양호하게는 편평한 구역(57)이며, 양호한 제1 실시예에서는 약 5 mm의 폭이다. 내부 지대(50b)는 양호하게는 엣지가 베벨면(56)에 동심인 구면(58)에 의해 한정된다. 구면(58)은 수납 구역(50)보다 상향으로 더 오목하며, 양호한 제1 실시예에서는 28 mm 직경을 갖는 병 상부를 꼭 맞게 결합한다. 구면(58)의 엣지는 병 상부를 따라 크레이트를 활주시키도록 아래의 병 상부를 분리하기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치수가 변화되면서 내부 및 외부 수납 지대가 상술된 바와 같이 특정 크레이트에 대해 적절한 비율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크레이트(20)는 상대적으로 근접 패킹된 병 배치를 유지하며, 크레이트는 병 상부를 따라 활주될 수도 있다. 이는 보다 수직으로 안정되는 경향을 갖는 근접 패킹된 병 배치 때문이다.
벽 구조물(24)은 대향 측벽(25) 및 대향 단부벽(27)을 갖는 크레이트(20)의 외주를 한정한다. 벽 구조물(24)은 하부 벽 부분(26)을 가지며, 그 내부(60)는 바닥(22)과 일체로 된다. 크레이트(20)의 모서리는 둥글며 하부 벽 부분(26)과 일체형이다. 모서리 파이론(28)은 각 모서리(20)에 형성된다. 모서리 파이론에 더하여, 다수의 측면 파이론(30)이 측벽(25)을 따라 배치되며 단부 파이론(31)이 단부벽(27)을 따라 배치된다. 모든 파이론(28, 30, 31)은 하부 벽 부분(26) 및 바닥과 일체로 성형된다. 파이론(28, 30, 31)은 양호하게는 중공형이며,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하부 벽 부분(26)의 상부면을 지나 연장된다. 빈 크레이트의 포개짐이 가능하도록, 파이론(28, 30, 31)은 양호하게는 크레이트의 내부를 향해 경사지며, 상부에서 단면이 하부 벽 부분 근처의 단면보다 작도록 경사진다.
크레이트(20)의 단부벽(27)은 한 단부 파이론(31)으로부터 다른 단부 파이론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성형된 핸들(90)을 포함한다. 핸들(90)은 파이론(31)의 상부와 같은 높이이다. 핸들(90)의 길이는 양호하게는 단부벽을 따라 두 개의 용기 지지 구역에 걸쳐있다.
로딩된 크레이트 취급 시, 손바닥 상향 위치(palm-up position)는 손바닥이 일반적으로 위로 그리고 내향으로 향하도록 외부로부터 손잡이 바아(90) 아래로 손가락이 삽입될 때 사용자의 손의 위치를 의미한다. 손바닥 하향 위치(palm-down position)는 손등이 서로 대향하며 손바닥이 일반적으로 아래로 그리고/또는 외향으로 향하도록 크레이트의 내부로부터 핸들 바아(90) 아래로 손가락이 삽입될 때 사용자의 손의 위치를 의미한다. 핸들(90)의 높이 및 두 개의 용기 지지 구역인 핸들의 길이는 사용자의 손이 손바닥 상향 위치 또는 손바닥 하향 위치에서 행들을 파지하기에 충분한 간극을 갖는 것을 보장한다. 사용자에게 손바닥 상향 위치 또는 손바닥 하향 위치에서 크레이트 취급의 선택을 제공함으로써 자연스러운 파지 운동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피로가 경감되며 손목 부상이 방지된다. 이러한 특징의 중요성은 크레이트가 병으로 로딩될 때 이해될 수 있다. 종래 크레이트 또는 트레이 상의 핸들은 몇몇 사용자의 손에는 너무 갑갑하며(constricting), 특히 무거운 로딩된 크레이트를 상승 또는 취급할 때 많은 사람에게 어색하고 해로운 손/손목 위치를 필요로 한다.
단부벽 지지 구역 상에 위치된 용기가 견고히 지지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짧은 단부 칼럼(92)이 단부 지지 구역 사이에 핸들(90) 아래에 배치된다. 단부벽 칼럼(92)은 바닥(22)과 일체로 성형되며 양호하게는 단부벽 지지 구역 상의 인접 병들 사이에서 약간 연장되도록 성형된다.
도5 및 도6과 도7 내지 도9의 단면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론(28, 30, 31)은 내부 하부 벽 부분(60)과 그리고 외부 하부 벽 부분(62)과 일체로 된다. 내부 하부 벽 부분 또는 패널(60) 및 외부 하부 벽 부분 또는 패널(62)은 크레이트(20)에 이중 벽 구조를 제공하도록 결합되며 이들은 파이론의 내부 및 외부 면과 각각 연속된다. 하부 벽 부분의 상부(86)는 외부 하부 벽 부분(62)에 내부 하부 벽 부분(60)을 매끄럽게 연결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크레이트(20)가 여러 가지 취급 상태에 대해 충분한 강도 및 강성을 갖는 것이 보장된다.
크레이트 형상을 도시하는 도1, 도2, 도5 및 도6에서 외부 하부 벽 부분(62)이 양호하게는 바닥 하부면(48)과 완전히 같은 높이가 아니며 바닥면(48)은 형상이 약간 돌출되어(exposed) 유지된다. 바닥 하부면(48)보다 약간 높은 외부 하부 벽 부분(62)을 남기는 것은 핸드 트럭(hand trucks)이 크레이트 아래에서 용이하게 활주될 수 있게함으로써 취급을 용이하게 하며, 크레이트가 상술된 바와 같이 병 상부를 따라 활주될 때 외부 하부 벽 부분이 병 상부에 포획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닥 하부면(48)의 외주는 베벨된 엣지(49)로 마무리된다. 또한, 원(52) 및 호(54)의 하부면은 바닥 하부(48)의 가장 낮은 면이다. 이들은 도1, 도2 및 도4 내지 도6에의 바닥면과 같이 함께 라벨링(collectively labeled)된다. 바닥면(53)의 엣지는 또한 베벨면(55)으로 마무리된다. 따라서, 크레이트(20)가 평면 상에 놓일 때, 바닥면(53)은 평면을 접한다. 베벨(49, 55)은 크레이트의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도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벽 부분(26)은 빈 크레이트가 서로 포개질 수 있도록 개방된 하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많은 장점이 크레이트의 포갬성에 관한 것이다. 도5, 도6 및 도15를 참조하여 포개짐을 가능하게 하며 용이하게 하는 구조적인 특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빈 크레이트(20, 20')가 포개질 때, 상부 크레이트(20)의 파이론(28, 30, 31)은 하부 크레이트(20')의 대응 파이론(28', 30', 31')에 또는 그 위에 포개져서 실제로 파이론(28', 30', 31')는 각각 파이론(28, 30, 31)의 내부에서 상향으로 이동된다.
측면 파이론(30, 31)은 인접 지지 구역(34)(또는 35일 수도 있다) 사이에 배치되며 사이에 공간 또는 창(63)을 한정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크레이트(20)에 지지 구역(34, 35) 상에 안착되는 병이 로딩될 때, 병의 측면을 창(63)을 통해 볼 수 있어서, 특히, 소매 매장에서 참신한 디스플레이가 될 것이다.
양호하게는 모서리 파이론(28)은 아래에 포개진 모서리 파이론이 포개지거나 도는 이동될 수 있기에 충분한 간극을 허용하도록 내부 면 상에 배치된 개구(64)를 갖는다. 도14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파이론(28)의 개구는 모서리 지지 구역(35)이 아래에 포개진 모서리 파이론을 클리어하기 위해 절단부(66, cut-away)를 갖도록 성형된다. 모서리 파이론(28)의 상부 내부 부분은 개구(64)로 모서리 파이론의 상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된 모서리 패널(65)을 포함한다. 도4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패널(70)은 하부면(75)을 한정한다. 슬롯(31)은 파이론(28)의 상부와 모서리 패널(65) 사이의 연결부에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측면 파이론(30, 31)은 아래에 포개진 측면 파이론이 포개지기에 충분한 간극을 허용하도록 성형된다. 측면 파이론(30, 31)의 내부면은 개구(68)를 갖지만, 개방되어 유지되는 대신에, 상부 패널 부분(72) 및 하부 패널 부분(74)을 갖는 일체형 중심 패널(70)이 바닥(22)으로 하향 연장된다. 중심 패널(70)은 양호하게는 바닥으로부터 파이론의 상부를 향해 외향으로 경사지며, 바닥에 파이론을 연결시킨다. 이러한 방식에서, 크레이트(20)가 병으로 로딩될 때 중심 패널(70)은 인접 병들 사이에 약간 연장될 것이다. 슬롯(31)은 파이론(30, 31)의 상부와 상부 패널 부분(72) 사이의 연결부에 또한 제공된다.
파이론의 내부에서 이동 범위를 제어하기 위해, 양호하게는 적어도 두 종류의 확실한 멈치가 제공된다. 포개진 크레이트가 서로 끼이는(wedged)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리고 반복된 사용 및 위에 포개진 크레이트의 중량을 지지함에 의해 파이론 또는 벽 구조물이 손상되거나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멈치가 제공된다. 제1 멈치는 중공 파이론의 내부에 있으며 제2 멈치는 파이론의 외부에 있다. 외부 파이론 멈치(76)는 측면 파이론(30, 31)의 하부 패널 부분(74) 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자형 구조물이다. 멈치(76)는 바닥(22)으로부터 수직으로 위로 연장되며, 멈치의 멈치 렛지(78)는 크레이트(20, 20')가 포개질 때 패널 하부면(75)에 대한 지지면으로서 작용한다. 다수의 패널 하부면(75)이 아래에 포개진 트레이의 렛지(78') 상에 놓일 수도 있지만, 양호한 실시예에서, 모서리 파이론(28)에 바로 인접한 측벽(25) 상에 위치된 네 개의 측면 파이론에서 접촉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도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크레이트(20)의 패널 하부면(75)은 두 개의 크레이트가 포개질 때 하부 크레이트(20')의 멈치(76')의 엣지(78') 약간 위에 배치된다. 포개짐에 대한 확실한 멈치로서 작용하는 것 이외에, 멈치(76)는 바닥에 파이론을 연결시키는 중심 패널(70)의 강도를 또한 향상시킨다. 멈치(76)는 양호하게는 모든 측면 파이론(30, 31) 상에 제공되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멈치(76)는 몇몇 파이론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부 엣지(78)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중심 패널(70)과 일체의 리브(79)가 멈치(76)와 연결된다. 리브(79)는 파이론의 중심 패널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내부 파이론 멈치 또는 연결 리브(80)는 파이론(28, 30, 31) 내부의 중공 공간에 일체로 형성된다. 연결 리브(80)는 도5, 도6 및 도15에서 단면이 가장 잘 도시되어 있으며, 예시적인 연결 리브(80)가 도15의 크레이트(20) 상에 은선으로 도시된다. 리브(80)는 양호하게는 파이론(28, 30, 31)의 상부 부분에 위치되며, 측면 파이론(30, 31)의 상부 패널 부분(72) 및 모서리 파이론(28)의 모서리 패널(65)에 의해 가려져 있다. 도4는 리브(80)가 파이론(28, 30, 31)의 내부에 양호하게 연장되어 내부면과 외부면을 연결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크레이트가 포개질 때, 리브(80)는 파이론(28, 30, 31)의 상부에 대해 지지된다. 도15에서, 크레이트(20)의 리브(80)는 하부 크레이트(20')의 파이론(28', 30', 31')의 상부에 놓인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로고, 광고 등을 성형을 위해 외부 하부 벽 부분(62)의 일부로서 형성된 편평한 라벨 부분(84)이 제공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크레이트는 포갬성, 강도 및 시인성의 특징을 통합한다. 크레이트 구성 시, 많은 설계 변수가 상술된 특징 중 어느 것도 부당하게 희생시키지 않으면서 상술된 특징을 개선시키도록 결정되어야 한다. 참신한 디스플레이 및 병을 제거하지 않고 창(63)을 통해 병의 측면 상의 UPC 라벨의 판독 또는 스캐닝이 모두 가능하기 위해 시인성이 중요하다. 병의 시인성을 증가시키는 것, 즉, 파이론 수단 사이의 창(63)을 확대시키는 것은 파이론의 크기가 감소되어 전체적으로 강도의 감소를 야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큰 창은 창을 통해 크레이트로부터 병 돌출(bottles hopping)의 기회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강도 및 포갬성을 희생시키지 않으면서 그 크기에 대한 최대의 시인성을 제공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에게는 본 발명의 다수의 변경,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이러한 모든 변형은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Claims (6)

  1. 배열된 용기들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 구역을 갖는 바닥 상부면 및 바닥 하부면을 갖는 바닥과, 상기 바닥과 일체로 되어 바닥의 외주 주위로 연장되며 대향 측벽들 및 단부벽들을 포함하는 벽 구조물을 갖는, 용기용 크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트의 측벽을 따라 이격되어 있고 인접한 지지 구역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크레이트 내에 로딩된 용기들을 볼 수 있는 공간을 한정하는 측면 파이론과 상기 크레이트의 모서리에 배치된 모서리 파이론과 상기 크레이트의 단부벽을 따라 배치된 단부 파이론을 포함하는, 바닥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다수의 경사진 파이론과;
    이중 벽 구조이며, 상부면에 의해 연결된 외부 하부 벽 부분 및 내부 하부 벽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크레이트의 측벽을 따라 측면 파이론 사이에 연장되며, 상기 바닥과 일체로 되어 그에 인접한 하부 벽 부분과;
    상기 크레이트의 각 단부벽 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적어도 두 개의 인접 지지 구역에 대해 연장되어 상기 크레이트의 단부 파이론과 일체로 형성되며, 그 상부가 상기 단부 파이론의 상부와 같은 높이로 되어 사용자의 손으로 안락하게 파지하기에 충분한 간극을 제공하는 핸들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벽 지지 구역 상에 용기가 직립 자세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상기 인접 단부벽 지지 구역 사이에 상기 각 핸들 구조물 아래에 배치된 단부벽 칼럼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론은 상기 크레이트 내부를 향해 경사지며, 상기 파이론이 아래의 유사한 크레이트 내의 대응 파이론에 포개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부가 중공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파이론은 모서리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파이론은 바닥과 일체로 된 상기 측면 파이론의 상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중심 패널 및 포개지는 개구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중심 패널은 상기 포개지는 개구를 두 부분으로 나누며, 상기 모서리 개구 및 상기 포개지는 개구는 상기 파이론이 아래에 포개지는 유사한 크레이트의 대응 파이론을 포개어 수납하기에 충분한 간극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트.
  5. 배열된 용기들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 구역을 갖는 바닥 상부면 및 바닥 하부면을 갖는 바닥과, 상기 바닥과 일체로 되어 바닥의 외주 주위로 연장되며 대향 측벽들 및 단부벽들을 포함하는 벽 구조물을 갖는, 용기용 크레이트에 있어서,
    이중 벽 구조이며, 내부 하부 벽 부분 및 외부 하부 벽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에 인접하여 그와 일체로 된 하부 벽 부분과;
    바닥으로부터 위로 그리고 상기 하부 벽 부분의 상부를 지나 연장되며, 상기 바닥의 외주를 따라 이격되어 상기 크레이트 내에 로딩된 용기를 볼 수 있는 사이의 공간을 한정하며, 상기 크레이트의 내부를 향해 경사지며, 아래에 유사한 빈 크레이트의 대응 파이론에 포개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부 부분을 통해 중공으로 되며, 내부면이 상기 내부 하부 벽 부분과 일체로 되고 외부면이 상기 외부 벽 부분과 일체로 된 다수의 경사진 파이론과;
    바닥으로부터 위로 그리고 상기 하부 벽 부분의 상부를 지나 연장되며, 상기 바닥의 외주를 따라 이격되어 상기 지지 구역 중 인접한 지지 구역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 구역 상에 로딩된 용기를 볼 수 있는 사이의 공간을 한정하는 다수의 경사진 파이론과;
    상기 단부 파이론들 중 인접한 파이론 사이에 연장되어 그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크레이트의 각 단부벽 상에 적어도 두 개의 인접 지지 구역을 확장시키며, 그 상부가 단부 파이론의 상부와 같은 높이로 되어 사용자의 손으로 안락하게 파지하기에 충분한 간극을 제공하는 핸들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벽 지지 구역 상의 용기가 수직 자세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상기 인접 단부벽 지지 구역 사이에 상기 각 핸들 구조물 아래에 배치된 단부벽 칼럼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트.
KR1019970707363A 1995-04-18 1995-10-17 포개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크레이트 KR1003568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2334795A 1995-04-18 1995-04-18
US08/423,347 1995-04-18
US8/423,347 1995-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840A true KR19990007840A (ko) 1999-01-25
KR100356879B1 KR100356879B1 (ko) 2003-05-09

Family

ID=23678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7363A KR100356879B1 (ko) 1995-04-18 1995-10-17 포개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크레이트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EP (1) EP0817750B1 (ko)
JP (1) JPH11503699A (ko)
KR (1) KR100356879B1 (ko)
CN (1) CN1070804C (ko)
AT (1) ATE263059T1 (ko)
AU (1) AU691994B2 (ko)
BR (1) BR9510576A (ko)
CA (1) CA2218138C (ko)
CZ (1) CZ291736B6 (ko)
DE (1) DE69532823T2 (ko)
ES (1) ES2221668T3 (ko)
HK (1) HK1008204A1 (ko)
MX (1) MX9707997A (ko)
PL (1) PL181533B1 (ko)
RU (1) RU2138431C1 (ko)
WO (1) WO1996033104A1 (ko)
ZA (1) ZA9587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9366B2 (en) 2013-01-11 2017-11-07 Parmalat Canada Inc. Stackable trays for jugs, stacked arrangements and stacking methods
CA153484S (en) 2013-10-15 2014-11-19 Parmalat Canada Inc Tray for jugs
USD750975S1 (en) 2013-10-15 2016-03-08 Parmalat Canada Inc. Tray for jugs
CA153482S (en) 2013-10-15 2014-11-19 Parmalat Canada Inc Tray for jugs
EP2980512B1 (en) * 2014-07-31 2017-03-29 Plastic Frost B.V. Spacer
RU2686795C2 (ru) * 2014-12-08 2019-04-30 Корнинг Инкорпорейтед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ержания и сохранения стеклянных изделий
JP6574485B2 (ja) * 2015-01-23 2019-09-11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ガラス物品を保持し、保有するための装置
CN113562227B (zh) * 2021-09-26 2022-01-07 潍坊新松机器人自动化有限公司 一种板条箱、装箱机器人工作站及装箱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1049A (en) * 1977-03-10 1978-07-18 Hopple Plastics, Inc. Shipping tray for fruit
GB8720422D0 (en) * 1987-08-28 1987-10-07 Procter & Gamble Self-supporting storage shipping & display assembly
US5060819A (en) * 1988-04-26 1991-10-29 Rehrig-Pacific Company, Inc. Nestable low depth tray
US4978002A (en) * 1988-04-26 1990-12-18 Rehrig-Pacific Company, Inc. Cross-stacking bottle case
US4928841A (en) * 1988-05-13 1990-05-29 Scepter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 Bottle tray
DE4014454A1 (de) * 1990-05-06 1991-11-07 Schoeller Plast Ag Stapelbarer behaelter aus kunststoff zur aufnahme von gegenstaenden, insbesondere dosen
US5421477A (en) * 1994-05-11 1995-06-06 International Container Systems, Inc. Ergonomic container c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9707997A (es) 1997-11-29
EP0817750B1 (en) 2004-03-31
EP0817750A1 (en) 1998-01-14
ATE263059T1 (de) 2004-04-15
AU691994B2 (en) 1998-05-28
DE69532823D1 (de) 2004-05-06
ES2221668T3 (es) 2005-01-01
AU3945695A (en) 1996-11-07
PL324401A1 (en) 1998-05-25
CA2218138C (en) 2002-05-28
EP0817750A4 (en) 1998-07-15
KR100356879B1 (ko) 2003-05-09
WO1996033104A1 (en) 1996-10-24
CA2218138A1 (en) 1996-10-24
CZ291736B6 (cs) 2003-05-14
BR9510576A (pt) 1999-01-05
HK1008204A1 (en) 1999-05-07
DE69532823T2 (de) 2005-02-17
CN1070804C (zh) 2001-09-12
CN1185137A (zh) 1998-06-17
PL181533B1 (pl) 2001-08-31
RU2138431C1 (ru) 1999-09-27
JPH11503699A (ja) 1999-03-30
ZA958785B (en) 1996-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88118B2 (ja) ボトル用嵌め合わせ可能展示枠体
US5855277A (en) Nestable display crate for bottles with handle feature
US8672161B2 (en) Nestable display crate for bottle carriers
US5979654A (en) Nestable display crate for bottle carriers
KR100390135B1 (ko) 깊이가낮은적층가능병케이스
US6457599B1 (en) Stackable low depth bottle case
US5495945A (en) Low depth nestable tray for bottles or the like
AU777659B2 (en) Stackable low depth case with handle structure
US7086531B2 (en) Stackable low depth bottle case
KR100356879B1 (ko) 포개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크레이트
WO1996040566A1 (en) Case with integral sidewall logo
WO1998041453A1 (en) Nestable display crate for bottle carriers
AU705846B2 (en) Stackable low depth bottle case
MXPA98009790A (en) Nestable display crate for bottle carri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