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521U -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다이얼링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다이얼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521U
KR19990007521U KR2019970021039U KR19970021039U KR19990007521U KR 19990007521 U KR19990007521 U KR 19990007521U KR 2019970021039 U KR2019970021039 U KR 2019970021039U KR 19970021039 U KR19970021039 U KR 19970021039U KR 19990007521 U KR19990007521 U KR 199900075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ceived
dtmf tone
data
ton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10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호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20199700210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7521U/ko
Publication of KR199900075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521U/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호출기에 수신된 호출번호를 이에 대응되는 다이얼 톤신호로 출력함으로써 이 다이얼 톤신호에 의해 일반전화기의 다이얼링을 실행할 수 있도록 된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다이얼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RF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와, 수신된 신호를 데이터화 하기 위한 복조부, 복조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 수신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구비한 무선호출기에 있어서;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수신 저장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DTMF톤 신호를 발생시키는 DTMF톤발생부, 이 DTMF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수신된 데이터를 DTMF톤신호로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버튼이 구비된 키입력부 및, 수신된 데이터를 DTMF톤신호로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버튼의 입력이 있게 되면 수신 저장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DTMF톤 신호를 상기 DTMF톤발생부를 통해 발생시켜 출력부를 통해 출력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다이얼링장치
본 고안은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다이얼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호출기에 수신된 호출번호를 이에 대응되는 다이얼 톤신호로 출력함으로써 이 다이얼 톤신호에 의해 일반전화기의 다이얼링을 실행할 수 있도록 된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다이얼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호출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은 안테나이고, 2는 이 안테나(1)를 통하여 수신된 RF신호를 증폭하고 이 증폭된 RF신호와 국부발진회로(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생성되는 발진주파수를 믹스하여 중간주파수신호(IF신호)를 생성하는 RF(Radio Frequency)리시버이다.
또한, 참조번호 3은 상기 RF리시버(2)로부터 입력되는 IF신호를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원래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코더(Decoder)이고, 4는 이 디코더(3)로부터의 입력신호와 이후에 설명할 키버튼(7)으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호출기능을 수행하는 마이컴이다.
또한, 참조번호 5는 LCD표시부로서, 이는 당 페이저의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호출신호가 입력되면 송신자의 전화받고자하는 번호 등을 표시하며 평상시에는 현재의 시각을 표시하게 되고, 6은 알람시간 등의 시간데이터나 호출된 전화번호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메모리이다.
또한, 참조번호 7은 가입자가 페이저 외부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고 호출번호를 확인하거나 알람시간 등을 설정하는 등의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버튼이고, 8은 호출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부저, 9는 상기 마이컴(4)의 제어를 받아 부저(8)를 구동하는 부저구동부이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는 송신자가 페이저를 호출하기 위하여 전화기의 다이얼 버튼을 조작하면 통신사업자가 전화국을 통해서 무선기지국으로부터 RF변조된 호출신호를 발사하게 되고, 이 RF신호는 각 페이저의 RF리시버(2)를 통해 수신된다.
그리고, 이 호출신호가 디코더(3)에서 원래의 데이터로 디코딩되어 마이컴(4)에 입력되면, 마이컴(4)은 호출데이터를 LCD표시부(5)를 통하여 수신된 전화번호를 표시함과 동시에 부저구동부(9)를 제어하여 부저(8)를 통해 호출경고음을 출력하게 된다.
이어, 마이컴(4)은 상기 LCD표시부(5)를 통해 현재의 시각을 표시하는 평상시 상태로 출력되도록 하게 되고, 수신된 전화번호 데이터는 데이터메모리(6)에 저장해 두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키버튼(7)을 조작하여 호출번호 표시를 요구하게 되면 마이컴(4)은 데이터메모리(6)에 저장되어 있는 번호데이터를 독출하여 LCD표시부(5)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LCD표시부(5)에 표시된 호출번호를 보고 전화기를 이용해 전화를 걸게 된다.
그런데, 상기 무선호출기의 LCD표시부(5)에 표시된 호출번호는 짧은 시간동안만 표시되고 다시 현재 시각을 표시하는 초기상태로 복귀하게 되므로, 표시된 호출번호를 다이얼링하는 도중에 현재 시각으로 바뀐 표시상태를 키버튼(7)을 조작하여 호출번호가 다시 표시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표시된 호출번호를 기억지 못할 경우에는 다이얼링이 끝날때까지 호출번호가 표시되도록 키버튼(7)을 매번 조작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고, 또한 상기 표시된 호출번호를 보면서 다이얼링 할 때 호출번호의 자리수가 많을 경우에는 잘못 다이얼링 우려가 있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무선호출기에 수신된 호출번호를 이에 대응되는 다이얼 톤신호로 출력함으로써 이 다이얼 톤신호에 의해 일반전화기의 다이얼링을 실행할 수 있도록 된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다이얼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호출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1 실시예에 따른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다이얼링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3은 도 2의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테나 2 : RF리시버
3 : 디코더 4 : 마이컴
5 : LCD표시부 6 : 데이터메모리
7 : 키버튼 8 : 부저
9 : 부저구동부 11 : DTMF톤신호발생부
12 : 스피커 13 : 키입력부
13a : 확인버튼 13b : 기능버튼
14 : 제어부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다이얼링장치는 RF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와, 수신된 신호를 데이터화 하기 위한 복조부, 복조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 수신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구비한 무선호출기에 있어서;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수신 저장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DTMF톤 신호를 발생시키는 DTMF톤발생부, 이 DTMF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수신된 데이터를 DTMF톤신호로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버튼이 구비된 키입력부 및, 수신된 데이터를 DTMF톤신호로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버튼의 입력이 있게 되면 수신 저장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DTMF톤 신호를 상기 DTMF톤발생부를 통해 발생시켜 출력부를 통해 출력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에 의하면, 무선호출기에 수신된 호출번호 데이터를 DTMF톤 신호로 출력하게 되고, 이 출력되는 DTMF톤 신호를 일반전화기의 송화기에 입력하게 됨으로써 다이얼링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1 실시예에 따른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다이얼링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도시된 도 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서, 참조번호 11은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수신 저장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DTMF톤 신호를 발생시키는 DTMF톤신호발생부이고, 12는 이 DTMF신호발생부(11)를 통해 발생된 DTMF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13은 수신된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버튼(13a)과 수신된 데이터를 DTMF톤신호로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버튼(13b)이 구비된 키입력부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14는 수신된 데이터를 DTMF톤신호로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버튼(13b)의 입력이 있게 되면 수신 저장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DTMF톤 신호를 상기 DTMF톤신호발생부(11)를 통해 발생시켜 스피커(12)를 통해 출력제어하는 제어부이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도 3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무선호출기의 안테나(1)를 통해 RF신호의 수신이 있게 되면(ST1 단계), 수신된 RF신호는 디코더(3)를 통해 원래의 데이터로 디코딩되어 제어부(14)에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4)는 수신된 호출번호 데이터를 데이터메모리(6)에 저장하게 됨과 더불어 부저구동부(9)를 제어하여 부저(8)를 통해 호출경고음을 출력하게 되고(ST2 단계), 또한 호출번호 데이터를 LCD표시부(5)를 통하여 표시하는 통상적인 제어처리를 수행하게 된다(ST3 단계).
이어, 제어부(14)는 상기 키입력부(13)를 통해 기능버튼(13b)의 입력이 있는가를 판단하게 되는 바(ST4 단계), 기능버튼(13b)이 입력되지 않으면 현재 시각 등을 표시하는 통상적인 제어처리를 수행하게 된다(ST5 단계).
그러나, 상기 키입력부(13)를 통해 기능버튼(13b)의 입력이 있게 되면(ST4 단계), 제어부(14)는 데이터메모리(6)에 저장되어 있는 호출번호 데이터를 독출하여 이에 대응되는 DTMF톤신호를 상기 DTMF톤신호발생부(11)를 통해 발생시키게 된다(ST6 단계).
이어, 상기 DTMF톤신호발생부(11)를 통해 발생된 DTMF톤신호는 스피커(12)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ST7 단계).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무선호출기에서 발생된 DTMF톤 신호를 전화기의 송화기에 입력시키게 됨으로써 전화기는 무선호출기의 호출번호를 다이얼링 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호출기에 수신된 호출번호를 이에 대응되는 DTMF톤신호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된 무선호출기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무선호출기에 수신된 호출번호를 자동 다이얼링 할 수 있는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다이얼링장치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RF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와, 수신된 신호를 데이터화 하기 위한 복조부, 복조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 수신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구비한 무선호출기에 있어서;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수신 저장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DTMF톤 신호를 발생시키는 DTMF톤발생부,
    상기 DTMF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수신된 데이터를 DTMF톤신호로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버튼이 구비된 키입력부 및,
    수신된 데이터를 DTMF톤신호로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버튼의 입력이 있게 되면 수신 저장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DTMF톤 신호를 상기 DTMF톤발생부를 통해 발생시켜 출력부를 통해 출력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다이얼링장치.
KR2019970021039U 1997-07-31 1997-07-31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다이얼링장치 KR199900075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039U KR19990007521U (ko) 1997-07-31 1997-07-31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다이얼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039U KR19990007521U (ko) 1997-07-31 1997-07-31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다이얼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521U true KR19990007521U (ko) 1999-02-25

Family

ID=6967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1039U KR19990007521U (ko) 1997-07-31 1997-07-31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다이얼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752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319B1 (ko) * 2000-07-06 2002-09-12 김우정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무선 자동다이얼링 방법
KR20040044776A (ko) * 2002-11-22 2004-05-3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국선전화기용 듀얼톤 다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319B1 (ko) * 2000-07-06 2002-09-12 김우정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무선 자동다이얼링 방법
KR20040044776A (ko) * 2002-11-22 2004-05-3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국선전화기용 듀얼톤 다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4579A (en) Dual mode mobi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function for transmitting remote control data
US6751483B1 (en) Method of displaying a local time of a called party in a portable mobile terminal
EP168449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porting a speakerphone call mod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to a calling partner
MX2007010781A (es) Integracion de terminal inalambrica fija con dispositivos receptores de radio difusion.
KR10069521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상호 작용 가능한 애넌시에이터제공 방법 및 장치
JPH11196159A (ja) 携帯型通信装置および表示データ変換装置
KR19990007521U (ko)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다이얼링장치
JP2000115302A (ja) 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この装置を使用したスケジュール報知方法
KR0151346B1 (ko) 통화중에서의 타전화 수신표시장치
KR100346226B1 (ko) 이동무선단말기의 자동 문자 메시지 응답 방법
KR100539957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단문 문자서비스 메시지 확인방법
KR19990056913A (ko) 무선호출기의 자동 다이얼링 방법
GB2340338A (en) A telephone arranged to generate a waiting message
KR20000044488A (ko) 휴대전화기의 착신링 발생 방법
KR100827084B1 (ko) 매너모드에서 알람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US67990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aling announcement in a telephone terminal
KR100241779B1 (ko) 씨티-2 단말기에서 직접통화 서비스 접속방법
JP2000196713A (ja) 電話機の着信通知方法
KR100918757B1 (ko) 호 수신을 알리는 방법
KR100258688B1 (ko) 이동단말기의 파워 온시 네트워크 서비스상태 표시장치 및 그표시방법
JP2001308986A (ja) 携帯電話装置及びそのdtmf音発生方法
JPH1084409A (ja) 電話番号記憶・表示装置、携帯電話機、電話発呼装置及び電話発呼方法
JP2004318435A (ja) メール送信状態報知方法及び通信機器
KR100573481B1 (ko) 벨 모드 자동 전환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알림방법
KR20040044695A (ko) 특정 메뉴를 대기 화면으로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