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960U - 데이터 송수신 안정화회로 - Google Patents

데이터 송수신 안정화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960U
KR19990006960U KR2019970020453U KR19970020453U KR19990006960U KR 19990006960 U KR19990006960 U KR 19990006960U KR 2019970020453 U KR2019970020453 U KR 2019970020453U KR 19970020453 U KR19970020453 U KR 19970020453U KR 19990006960 U KR19990006960 U KR 199900069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ter
serial port
data
data transmission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04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9387Y1 (ko
Inventor
전병진
Original Assignee
김영창
주식회사 우진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창, 주식회사 우진산전 filed Critical 김영창
Priority to KR20199700204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387Y1/ko
Publication of KR199900069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9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3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3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6Dc level restoring means; Bias distortion correction ; Decision circuits providing symbol by symbol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80Optical 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optical transmission for specific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10/03 - H04B10/70, e.g. optical power feeding or optical transmission through water
    • H04B10/801Optical 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optical transmission for specific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10/03 - H04B10/70, e.g. optical power feeding or optical transmission through water using optical interconnects, e.g. light coupled isolators, circuit board inter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 또는 디지탈 통신기기에서 내부의 장치와 장치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장치에 노이즈가 함유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노이즈에 의한 송수신데이타의 에러 발생을 방지하면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 송수신 안정화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컴퓨터 또는 디지탈 통신기기에서 내부의 장치와 장치간에 DC/DC 콘버터와, RS 232 직렬포트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장치와 상기 RS 232 직렬포트간에 입력되는 DC 전압을 상기 DC/DC 콘버터로 부터 출력되는 DC 전압(±12V)을 일정한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콘버터를 분리하고, 이분리된 DC/DC 콘버터로 부터 RS 232 직렬포트의 20mA 루우프전류 유지 및 레벨전압을 출력하는 전류 루우프 콘버터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송수신 안정화회로
본 고안은 데이터 송수신 안정화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컴퓨터 또는 디지탈 통신기기에서 내부의 장치와 장치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장치에 노이즈가 함유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노이즈에 의한 송수신데이타의 에러 발생을 방지하면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 송수신 안정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또는 디지탈 통신기기에서 내부의 장치와 장치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상기 각각의 장치에는 안정된 전원이 공급되어야 장치가 안정되게 동작하여 안정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컴퓨터 또는 디지탈 통신기기에서 내부의 장치와 장치간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상기 장치와 장치간에 통신방식이 동일한 경우에는 별문제가 없지만, 상기 통신방식이 다른 경우, 상기 장치간에 원활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하여 인터페이스나 DC/DC 콘버터를 접속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나 DC/DC 콘버터의 경우 장치와의 전원단이 분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되어, 상기 전원으로 부터 노이즈가 함유된 채 장치에 입력되게 되므로 이 노이즈에 의하여 전송데이터의 에러를 발생시키거나, 장치의 내부소자에 파손을 야기시키게 되어 장치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컴퓨터 또는 디지탈 통신기기에서 내부의 장치와 장치간에 RS 232 직렬포트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전원을 입력하는 전원단을 분리하여, 이 분리된 전원단으로 부터 장치에 일정 레벨전압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장치와 장치간에 데이터 전송시 전원단의 분리로 인하여 장치에 노이즈가 유입되지 않게 되어 전송되는 데이터에 에러발생 방지는 물론, 상기 노이즈로 인한 소자에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컴퓨터 또는 디지탈 통신기기에서 내부의 장치와 장치간에 DC/DC 콘버터와, RS 232 직렬포트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장치와 상기 RS 232 직렬포트간에 입력되는 DC 전압을 상기 DC/DC 콘버터로 부터 출력되는 DC 전압(±12V)을 일정한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콘버터를 분리하고, 이분리된 DC/DC 콘버터로 부터 RS 232 직렬포트의 20mA 루우프전류 유지 및 레벨전압을 출력하는 전류 루우프 콘버터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 데이터 송수신 안정화회로의 전체 블록도
도 2 는 본 고안 데이터 송수신 안정화회로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장치 30;DC/DC 콘버터
31; 전류 루우프 콘버터 40; RS 232 직렬포트
INV; 인버터 PC1,PC2; 포토커플러
ZD1,ZD2; 제너다이오드 R1-R4; 저항
C1,C2; 콘덴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 데이터 송수신 안정화회로의 전체 블록도 이고, 도 2 는 본 고안 데이터 송수신 안정화회로의 회로도 로서, 컴퓨터 또는통신기기에서 장치(10)와 장치(20)간에 DC/DC 콘버터(30)와, RS 232 직렬포트(40)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장치(10)와 상기 RS 232 직렬포트(40)간에 상기 DC/DC 콘버터(30)를 분리 구성하고, 이 분리 구성된 DC/DC 콘버터(30)로 부터 출력되는 DC 전압(±12V)을 일정한 레벨의 20mA 루우프전류를 유지하는 전류 루우프 콘버터(31)를 구성하되, 상기 전류 루우프 콘버터(31)는 상기 DC/DC 콘버터(30)로 부터 출력되는 레벨전압(DC 12V)을 20mA 전류 루우프로 유지하는 저항(R1-R3), 콘덴서(C1), 제너다이오드(ZD1), 포토커플러(PC1)와, 상기 포토커플러(PC1)에서 출력되는 레벨전압을 반전하여 상기 RS 232 직렬포트(40)의 데이터수신단자(RX)에 출력하는 인버터(INV)와, 상기 RS 232 직렬포트(40)의 데이터송신단자(TX)를 통해서 출력되는 레벨전압을 상기 인버터(INV)를 통해서 반전하여 20mA 전류 루우프인 레벨전압을 유지하면서 상기 장치(10)의 데이터수신단자(RX)에 출력하는 포토커플러(PC2), 제너다이오드(ZD2), 저항(R4), 콘덴서(C2)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장치(10)와 장치(20)간에 DC/DC 콘버터(30)와 RS 232 직렬포트(40)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상기 DC/DC 콘버터(30)에서는 전원입력단(DC 12V)으로 부터 입력되는 전압(12V)을 ± 12V 로 변환하여 상기 장치(A)의 전원단자(P24)(N24)와,전류 루우프 콘버터(31)의 포토커플러(PC1)(PC2), 인버터(INV)각각에 구동전압을 공급하게 되면, 상기 전류 루우프 콘버터(31)에서는 상기 DC/DC 콘버터(30)로 부터 장치(10)의 전원단자(P24)를 통해서 공급되는 전압(DC 12V)을 저항(R1)(R2),콘덴서(C1),제너다이오드(ZD1)를 통해서 20 mA의 루우프 전류를 유지하면서 포토커플러(PC1)에 인가하게 되고, 상기 포토커플러(PC1)에 인가되는 20mA 루우프 전류는 포토커플러(PC1)의 포토다이오드(도시되지않음)을 통해서 장치(10)의 데이터송신단자(TX)로 유입된다.
상기 장치(10)의 데이터송신단자(TX)로 유입된 20mA 루우프 전류는 장치(10)의 데이터수신단자(RX)를 통해서 저항(R4),콘덴서(C2),제너다이오드(ZD2)를 통해서 포토커플러(PC2)의 포토다이오드(도시되지않음)를 통해서 상기 DC/DC 콘버터(30)의 전원단자(N24)로 유입되어 일정한 20mA 루우프 전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같이 20mA 루우프 전류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장치(10)의 데이터송신단자(TX)로 부터 레벨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이 레벨신호는 전류루우프 콘버터(31)의 저항(R1)(R2),콘덴서(C1),제너다이오드(ZD1)를 통해서 일정한 레벨전압을 유지하면서 포토커플러(PC1)에 인가되고, 상기 포토커플러(PC1)에서는 발광하여 20mA 레벨전압을 출력하게 되며, 이 출력되는 레벨전압은 인버터(INV)에 의하여 원상태로 반전되어 RS 232 직렬포트(40)를 통해서 장치(20)로 출력되면서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장치(20)의 데이터송신단자(TX)로 부터 송신되는 레벨전압은 RS 232 직렬포트(40)를 통해서 상기 전류 루우프 콘버터(31)의 인버터(INV)에 인가되고, 상기 인버터(INV)에서는 입력된 신호를 반전하여 원래신호로 복귀시켜 상기 전류루우프 콘버터(31)의 포토커플러(PC1)에 입력하면 상기 포토커플러(PC1)의 포토다이오드(도시되지않음)는 발광하면서 20mA 레벨전압을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여 저항(R3),콘덴서(C2),제너다이오드(ZD2)를 통해서 일정한 레벨전압을 유지한후 장치(10)의 데이터수신단자(RX)에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장치(10)와 장치(20)간에는 전원에 의한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지 않으면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컴퓨터 또는 디지탈 통신기기에서 내부의 장치와 장치간에 RS 232 직렬포트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전원을 입력하는 전원단을 분리하여, 상기 장치에 일정 레벨전압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장치와 장치간에 데이터 전송시 전원단의 분리로 인하여 장치에 노이즈가 유입되지 않게 되어 전송되는 데이터에 에러발생 방지할 수 있고, 뿐만아니라 상기 노이즈로 인한 장치의 오동작이나 소자에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컴퓨터 또는통신기기에서 장치(10)와 장치(20)간에 DC/DC 콘버터(30)와, RS 232 직렬포트(40)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장치(10)와 상기 RS 232 직렬포트(40)간에 상기 DC/DC 콘버터(30)를 분리 구성하고, 이 분리구성된 DC/DC 콘버터(30)로 부터 DC 전압을 일정한 레벨의 20mA 루우프전류를 유지하는 전류 루우프 콘버터(31)를 구성하되, 상기 전류 루우프 콘버터(31)는 상기 DC/DC 콘버터(30)로 부터 출력되는 레벨전압(DC ±12V)을 20mA 전류 루우프로 유지하면서 출력하는 저항(R1-R3), 콘덴서(C1), 제너다이오드(ZD1), 포토커플러(PC1)와, 상기 포토커플러(PC1)에서 출력되는 레벨전압을 반전하여 상기 RS 232 직렬포트(40)의 데이터수신단자(RX)에 출력하는 인버터(INV)와, 상기 RS 232 직렬포트(40)의 데이터송신단자(TX)를 통해서 출력되는 레벨전압을 상기 인버터(INV)를 통해서 20mA 전류 루우프인 레벨전압을 유지하여 상기 장치(10)의 데이터수신단자(RX)에 출력하는 포토커플러(PC2), 제너다이오드(ZD2), 저항(R4), 콘덴서(C2)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안정화 회로.
KR2019970020453U 1997-07-30 1997-07-30 데이터 송수신 안정화회로 KR2001693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453U KR200169387Y1 (ko) 1997-07-30 1997-07-30 데이터 송수신 안정화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453U KR200169387Y1 (ko) 1997-07-30 1997-07-30 데이터 송수신 안정화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960U true KR19990006960U (ko) 1999-02-25
KR200169387Y1 KR200169387Y1 (ko) 2000-02-01

Family

ID=19506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0453U KR200169387Y1 (ko) 1997-07-30 1997-07-30 데이터 송수신 안정화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38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387Y1 (ko) 200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44243A (en) Fiber optic signal conditioning circuit
CA1138071A (en) Digital data communication system
KR0159663B1 (ko) 광데이타 전송 이중화를 구현한 광데이타 전송장치
US90578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bsea optical can buses
US5530748A (en) Power supplying system for terminal
US7359433B1 (en) Data transmission system
KR19990006960U (ko) 데이터 송수신 안정화회로
US4046959A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using photocouplers
CN213960082U (zh) 隔离电路和通讯电路
CN112737699A (zh) 用于lin总线系统的电流分离装置
KR940004962B1 (ko) 선로점검이 가능한 2선식 양방향 데이타 통신회로
CN210405271U (zh) 一种串口信号调制电路
KR100333048B1 (ko) 시디엠에이 교환기의 각종 보드내 알에스-232 포트 안정화 회로
KR810002109B1 (ko) 통신 접속부 회로
KR970004822B1 (ko) 일반전화기/키폰전화기 자동선택회로
KR910004807B1 (ko) 텔레메터링 시스템에서 모기와 자기간의 직렬 데이타 통신회로
KR20000035106A (ko) 전화 가입자 루프에 공급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 장치
EP0651540B1 (en) Telephone subscriber circuit with galvanic isolating element
KR920009155B1 (ko) 데이타 통신 및 단말장치의 전류루프 정합회로
KR0171701B1 (ko) 펄스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직렬 데이터 송/수신회로
KR200195844Y1 (ko) 점검장치와 전자제어장치간 통신 장치
KR940008105B1 (ko) 수신선로 극성 자동 전환회로
KR100326184B1 (ko) 송수신보호회로
JPH03254246A (ja) Lan用伝送システム
KR900007677B1 (ko) 다기능 전송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