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701B1 - 펄스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직렬 데이터 송/수신회로 - Google Patents

펄스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직렬 데이터 송/수신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1701B1
KR0171701B1 KR1019960038690A KR19960038690A KR0171701B1 KR 0171701 B1 KR0171701 B1 KR 0171701B1 KR 1019960038690 A KR1019960038690 A KR 1019960038690A KR 19960038690 A KR19960038690 A KR 19960038690A KR 0171701 B1 KR0171701 B1 KR 0171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transformer
resistor
diode
sign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8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0262A (ko
Inventor
성 철 허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38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1701B1/ko
Publication of KR19980020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7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23Control system configuration, i.e.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53Procedure or protocol for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저가(低價)의 펄스 트랜스포머와 T-케이블을 이용하여 E/L시스템간의 직렬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엘리베이터카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여 해당 엘리베이터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E/L전체제어부(10)와, 상기 컴퓨터의 제어하에 해당 엘리베이터카를 구동제어하는 엘리베이터카 제어부(60)를 갖추어 구성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E/L전체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데이터에 따른 소정의 전압신호를 생성하는 송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1)와, 상기 송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1)로부터의 전압신호를 수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2)에 전송하는 T-케이블, 상기 T-케이블를 매개로 전송된 전압신호에 따른 신호파형을 형성하는 수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2), 상기 수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2)로부터의 신호파형을 정형하는 파형정형부(40) 및, 상기 파형정형부(40)로부터 출력되어 인버터(I3,I4)를 거쳐 입력된 전압신호를 근거로 상기 E/L전체제어부(10)로부터 출력된 제어데이터를 복원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카 제어부(60)로 인가하는 신호복원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저가의 T-케이블과 펄스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전송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펄스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직렬 데이터 송/수신회로
본 발명은 펄스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직렬 데이터 송/수신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조로 구성된 송/수신 펄스 트랜스포머와 T-케이블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E/L) 시스템간의 직렬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펄스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직렬 데이터 송/수신회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E/L(elevator)시스템의 분산제어화를 추진하는데 있어서, 엘리베이터카(CAR)측과 컴퓨터간의 데이터 전송, 소자와 소자간의 데이터 전송시 등에 필요한 직렬 데이터 송/수신 기술이 요구되어 진다.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일반적인 통상의 E/L시스템의 원거리 직렬 데이터 전송시스템은 485 통신용 소자와 통신 케이블을 사용하여 구현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술되어진 종래의 E/L시스템의 원거리 직렬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 채용되는 485 통신용 소자와 통신 케이블 등이 비교적 고가인 바, 그 전송시스템의 설치비용을 절감시키기 위하여 종래의 전송시스템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면서 저가(低價)의 설치비용으로 구현가능한 E/L시스템의 원거리 직렬 데이터 전송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되어진 것으로, 저가(低價)의 펄스 트랜스포머와 T-케이블을 이용하여 E/L시스템간의 직렬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된 펄스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직렬 데이터 송/수신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카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여 해당 엘리베이터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E/L전체제어부와, 상기 E/L전체제어부의 제어하에 해당 엘리베이터카를 구동제어하는 엘리베이터카 제어부를 갖추어 구성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E/L전체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데이터에 따른 소정의 전압신호를 생성하는 송신측 펄스 트랜스포머와, 상기 송신측 펄스 트랜스포머로부터의 전압신호를 수신측 펄스 트랜스포머에 전송하는 T-케이블, 상기 T-케이블를 매개로 전송된 전압신호에 따른 신호파형을 형성하는 수신측 펄스 트랜스포머, 상기 수신측 펄스 트랜스포머로부터의 신호파형을 정형하는 파형정형부 및, 상기 파형정형부로부터 출력되어 인버터를 거쳐 입력된 전압신호를 근거로 상기 E/L전체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제어데이터를 복원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카 제어부로 인가하는 신호복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펄스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직렬 데이터 송/수신회로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신호복원부는 D-플립플롭으로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E/L전체제어부와 송신측 펄스 트랜스포머의 1차측 일단 사이에는 인버터와 인버터 및 저항이 직렬연결되어 있고, 그 인버터와 인버터의 접속점에는 저항이 연결되고, 그 저항의 타단이 상기 송신측 펄스 트랜스포머의 1차측 타단과 접속되어 진다.
또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파형정형부는 다이오드, 저항 및, 다이오드가 직렬연결되고, 그 저항와 다이오드의 사이에 송신측 펄스 트랜스포머의 2차측 일단이 접속되며, 다이오드, 저항 및, 다이오드가 직렬연결되고, 그 저항와 다이오드의 사이에 송신측 펄스 트랜스포머의 2차측 타단이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가 병렬연결되고 상기 다이오드와 상기 저항의 접속점과 상기 다이오드와 상기 저항의 접속점이 접지되어 진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E/L전체제어부에서 출력된 디지탈 성분의 제어데이터에 따른 소정의 전압신호가 송신측 펄스 트랜스포머에 의해 생성되어지면 그 전압신호는 T-케이블을 매개하여 수신측 펄스 트랜스포머로 전송되어 지는데, 이때 상기 수신측 펄스 트랜스포머는 상기 전압신호에 따른 신호파형을 출력하며 해당 신호파형은 파형정형부에서 정형된 상태로 D-플립플롭으로 인가되어지며 상기 D-플립플롭가 복원되어진 디지탈성분의 제어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송신측 CPU와 수신측 CPU간의 직렬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 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펄스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직렬 데이터 송/수신회로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장치에서의 신호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D-플립플롭의 입출력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송신측 CPU, 40:파형정형부,
50:D-플립플롭, 60:수신측 CPU,
I1,I2,I3,I4:인버터, T1,:송신측 펄스 트랜스포머,
T2:수신측 펄스 트랜스포머, R1,R2,R3,R4:저항,
D1,D2,D3,D4:다이오드.
이어, 첨부되어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펄스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직렬 데이터 송/수신회로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동 도면에서 참조번호 10은 원거리에서 엘리베이터카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해당 엘리베이터카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컴퓨터에 설치된 제어수단으로서의 송신측 CPU(10)이고, T1은 상기 CPU(10)로부터 출력된 제어데이터에 의한 소정의 신호파형을 형성하는 송신 펄스 트랜스포머이며, T2은 상기 송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1)로부터 인가된 신호파형에 반응한 소정의 신호파형을 형성하는 수신측 펄스 트랜스포머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40은 상기 수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2)로부터 출력된 신호파형을 정형하기 위한 파형정형부이고, 50은 상기 파형정형부(30)로부터 출력되어 인버터(I3,I4)를 거쳐 입력된 레벨신호를 근거로 소정의 디지탈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송신측 CPU(10)로부터 출력된 제어데이터를 복원하는 신호복원수단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신호복원수단(30)으로 D-플립플롭을 채용하였다.
또, 참조번호 60은 엘리베이터카내에 구성되어 상기 D-플립플롭(50)으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신호를 근거로 해당 엘리베이터의 구동상태를 제어하는 수신측 CPU(60)이다.
이어,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송신측 CPU(10)의 출력단은 인버터(I1)와 인버터(I2) 및, 저항(R2)과 직렬연결되어 있으며 그 저항(R2)의 타단은 송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1)의 1차측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그 인버터(I1)와 인버터(I2)의 접속점에는 저항(R1)이 연결되어 있고, 그 저항(R1)의 타단은 송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1)의 1차측 타단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송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1)의 2차측과 수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2)의 1차측에는 일반 전선으로 사용되는 T-케이블이 통신선로로서 연결되어 있으며, 그 수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2)의 2차측에는 파형정형부(40)가 접속되어 있는데, 그 파형정형부(30)는 4개의 다이오드(D1,D2,D3,D4)와 저항(R3,R4)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파형정형부(40)는 다이오드(D1), 저항(R3) 및, 다이오드(D2)가 직렬연결되고, 그 저항(R3)와 다이오드(D2)의 사이에 송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2)의 2차측 일단이 접속되며, 다이오드(D3), 저항(R4) 및, 다이오드(D4)가 직렬연결되고, 그 저항(R4)와 다이오드(D4)의 사이에 송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2)의 2차측 타단이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다이오드(D1,D3)의 캐소드와 상기 다이오드(D2,D3)의 애노드가 병렬연결되고 상기 다이오드(D1)와 상기 저항(R3)의 접속점과 상기 다이오드(D3)와 상기 저항(R4)의 접속점이 접지되어 구성된다.
그 파형정형부(40)에서의 다이오드(D2)와 저항(R3)의 접속점에는 인버터(I3)를 매개하여 D-플립플롭(50)의 PS(Pre-set)단이 연결되어 있고, 그 파형정형부(40)에서의 저항(R4)와 다이오드(D4)의 접속점에는 인버터(I4)를 매개하여 D-플립플롭(50)의 C(clear)단이 연결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펄스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직렬 데이터 송/수신회로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신측 CPU(10)로부터 일정 주기를 갖는 구형파신호가 출력되면 그 구현파신호는 상기 인버터(I1)에서 반전되어 저항(R1)을 매개로 송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1)의 1차측으로 인가되어짐과 동시에 인버터(I2)에서 재반전되어 저항(R2)을 매개하여 상기 송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1)의 1차측으로 인가되어 진다.
이에, 상기 송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1)의 1차측에는 '반시계'방향 및 '시계방향'의 전류가 형성되어 합성되고, 그 합성된 1차측 전류에 의해 상기 송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1)의 2차측에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톱니파가 출력되어 진다.
이어, 상기 송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1)의 2차측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신호는 T-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수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2)의 1차측으로 전송되며, 상기 T-케이블에 의해 전송된 전압신호에 의해 상기 수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2)의 2차측에는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톱니파가 출력되어 진다.
한편, 여기서 상기 수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2)의 2차측 상단으로부터 입상의 톱니파가 출력되면 그 톱니파에 의한 전압신호가 접속점(A)→저항(R3)→다이오드(D1)→다이오드(D4)에 따른 폐회로가 형성되어 상기 수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2)의 2차측 하단으로 인가되는 반면, 상기 수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2)의 2차측 하단으로부터 입하의 톱니파가 출력되면 그 톱니파에 의한 전압신호가 접속점(B)→저항(R4)→다이오드(D3)→다이오드(D2)에 따른 페회로가 형성되어 상기 수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2)의 2차측 상단으로 인가된다.
이때, 상기 접속점(A)에 연결된 인버터(I3)로는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의 전압신호가 입력되는데, 그 전압신호는 상기 저항(R3), 다이오드(D1), 다이오드(D4)에 의해 파형정형된 전압신호이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접속점(B)에 연결된 인버터(I4)로는 도 2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의 전압신호가 입력되는데, 그 전압신호는 상기 저항(R4), 다이오드(D3), 다이오드(D2)에 의해 파형정형된 전압신호이다.
한편, 상기 인버터(I3)로 입력되어진 전압신호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버터(I3)에 의해 위상이 반전되어 D-플립플롭(5)의 PS단자로 입력되어지고, 상기 인버터(I4)로 입력되어진 전압신호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버터(I4)에 의해 위상이 반전되어 D-플립플롭(50)의 C단자로 입력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D-플립플롭은 출력단(Q')로부터 '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PS단자로부터 '로우'레벨신호가 입력되면 그 위상을 반전하여 상기 출력단(Q')로 '로우'레벨신호를 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출력단(Q')로부터 '로우'레벨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C단자로부터 '로우'레벨신호가 입력되면 그 위상을 반전하여 상기 출력단(Q')로 '하이'레벨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압신호가 상기 D-플립플롭(50)의 PS단자로 입력됨과 동시에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압신호가 상기 D-플립플롭(50)의 C단자로 입력되어지면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압신호가 상기 D-플립플롭(50)의 출력단(Q')를 통해서 출력되어진다.
한편, 상기 D-플립플롭(50)의 출력단(Q')으로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압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상기 D-플립플롭(50)의 다른 출력단(Q)으로는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압신호가 출력되어 수신측 CPU(60)로 전송되는데, 이때 상기 D-플립플롭(50)의 출력단(Q)으로부터 상기 수신측 CPU(60)로 전송되어진 신호데이터(RX)는 상기 송신측 CPU(10)로부터 출력된 신호데이터(TX)(도 2의 (a)참조)와 동일한 형태의 디지탈신호가 된다.
따라서, 상기 송신측 CPU(10)에서 전송되어진 소정의 제어신호가 상기 수신측 CPU(60)로 정확하게 전송됨에 따라 상기 송신측 CPU(10)와 상기 수신측 CPU(60)간의 직렬데이터 송/수신이 원할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펄스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직렬 데이터 송/수신회로에 의하면, E/L시스템에서 컴퓨터와 엘리베이터카간의 직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전송시스템을 저가의 설치가능한 펄스 트랜스포머와 T-케이블을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써 해당 전송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엘리베이터카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여 해당 엘리베이터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E/L전체제어부(10)와, 상기 컴퓨터의 제어하에 해당 엘리베이터카를 구동제어하는 엘리베이터카 제어부(60)를 갖추어 구성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E/L전체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데이터에 따른 소정의 전압신호를 생성하는 송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1)와,
    상기 송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1)로부터의 전압신호를 수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2)에 전송하는 T-케이블,
    상기 T-케이블를 매개로 전송된 전압신호에 따른 신호파형을 형성하는 수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2),
    상기 수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2)로부터의 신호파형을 정형하는 파형정형부(40) 및,
    상기 파형정형부(40)로부터 출력되어 인버터(I3,I4)를 거쳐 입력된 전압신호 를 근거로 상기 E/L전체제어부(10)로부터 출력된 제어데이터를 복원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카 제어부(60)로 인가하는 신호복원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직렬 데이터 송/수신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복원부(50)는 D-플립플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직렬 데이터 송/수신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L전체제어부(10)와 송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1)의 1차측 일단 사이에는 인버터(I1)와 인버터(I2) 및 저항(R2)이 직렬연결되어 있고, 그 인버터(I1)와 인버터(I2)의 접속점에는 저항(R1)이 연결되고, 그 저항(R1)의 타단이 상기 송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1)의 1차측 타단과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직렬 데이터 송/수신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정형부(40)는 다이오드(D1), 저항(R3) 및, 다이오드(D2)가 직렬연결되고, 그 저항(R3)와 다이오드(D2)의 사이에 송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2)의 2차측 일단이 접속되며, 다이오드(D3), 저항(R4) 및, 다이오드(D3)가 직렬연결되고, 그 저항(R4)와 다이오드(D4)의 사이에 송신측 펄스 트랜스포머(T2)의 2차측 타단이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다이오드(D1,D3)의 캐소드와 상기 다이오드(D2,D3)의 애노드가 병렬연결되고 상기 다이오드(D1)와 상기 저항(R3)의 접속점과 상기 다이오드(D3)와 상기 저항(R4)의 접속점이 접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직렬 데이터 송/수신회로.
KR1019960038690A 1996-09-06 1996-09-06 펄스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직렬 데이터 송/수신회로 KR0171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690A KR0171701B1 (ko) 1996-09-06 1996-09-06 펄스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직렬 데이터 송/수신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690A KR0171701B1 (ko) 1996-09-06 1996-09-06 펄스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직렬 데이터 송/수신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262A KR19980020262A (ko) 1998-06-25
KR0171701B1 true KR0171701B1 (ko) 1999-03-30

Family

ID=19472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8690A KR0171701B1 (ko) 1996-09-06 1996-09-06 펄스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직렬 데이터 송/수신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170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262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47713B (zh) 双向总线系统和操作双向总线的方法
US7288982B2 (en) Signal converting circuit
US3476879A (en) Line relay for d.c. telegraph systems
KR0171701B1 (ko) 펄스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직렬 데이터 송/수신회로
CN1086091C (zh) 数据存取装置
US4274082A (en) Transmission system for the digital control of devices
CN101751772B (zh) 用于控制家用电器的红外遥控系统及其遥控方法
KR100680613B1 (ko) 절연형 알.에스485 통신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N101364199B (zh) 串行通信监测系统及监测设备
CN216599583U (zh) 一种通信电路、电子设备及通信系统
US4648132A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SU119383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опр жени с двухпроводной линией трактов приема и передачи
KR200376518Y1 (ko) 데이터의 입출력단이 절연된 알에스-232/알에스-485 변환기
CN114465611A (zh) 具有用于驱动功率半导体开关的多个驱动设备的驱动装置
SU112964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сигналов по лини м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US20110116580A1 (en) Data translation system and method
RU2313914C1 (ru) Опто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дискретных сигналов в линию связи
JP3147734B2 (ja) 遠隔制御システム
JPS60500233A (ja) 遠隔通信端末
SU1116549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опр жени телеграфного передатчика с линией св зи Гришина Ю.К.
KR20030039081A (ko) 반이중 통신 시스템
RU2042278C1 (ru) Сопрягающее телеграф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H07245652A (ja) ディジタル回線接続装置用試験装置
JPH04360436A (ja) 信号送受信装置
JPH01273439A (ja) 信号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