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459A - 월드 와이드 웹상의 타이틀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 Google Patents

월드 와이드 웹상의 타이틀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459A
KR19990006459A KR1019980017670A KR19980017670A KR19990006459A KR 19990006459 A KR19990006459 A KR 19990006459A KR 1019980017670 A KR1019980017670 A KR 1019980017670A KR 19980017670 A KR19980017670 A KR 19980017670A KR 19990006459 A KR19990006459 A KR 19990006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
client
subset
subset list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틴 제임스 로난 헐리
Original Assignee
포맨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맨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포맨 제프리 엘
Publication of KR19990006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45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4Navigation, e.g. using categorised brow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상에 저장된 데이터 포맷 및 그 데이터 포맷을 이용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및 서버 컴퓨터를 제공하며, 데이터 포맷은 항목의 메인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리스트내의 각각의 항목은 그 항목의 타이틀 및 그 항목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는 서버 컴퓨터 장치내에 저장된 HTML 파일을 식별하는 범용 자원 로케이터와 관련된 하이퍼텍스트 링크이고, 상기 HTML 파일은 항목의 상기 메인 리스트의 부분집합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다.

Description

월드 와이드 웹상의 타이틀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컴퓨터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지난 수년간 인터넷으로서 알려진 전세계적으로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 특히 인터넷의 첨단에서 제공되는 기능중 하나인 월드 와이드 웹(WWW)의 이용이 폭발적으로 성장해왔다. WWW는 많은 상이한 서버 컴퓨터 시스템에 걸쳐 분산된 많은 정보 페이지 또는 파일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페이지에 저장된 정보는 예를 들어, 회사의 조직의 세부사항, 교섭 데이터, 제품 데이터 및 회사 뉴스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텍스트, 그래픽스,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의 조합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컴퓨터 시스템(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페이지는 범용 자원 로케이터(Universal Resource Locator:URL)에 의해 식별된다. URL은 서버 머신 및 그 머신상의 특정 파일 또는 페이지를 모두 표시한다. 단일 서버상에 많은 페이지 또는 URL이 존재할 수 있다.
WWW를 이용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은 웹익스플로러(WebExplorer)(IBM사의 OS/2 운영체제의 일부로서 제공됨) 또는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스 코포레이션(Netscape Communications Corporation)으로부터 이용가능한 네비게이터(Navigator) 프로그램과 같은, 그래픽 웹 브라우저로서 알려진 소프트웨어의 일부를 실행시킨다. WebExplorer, OS/2 및 IBM은 인터네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의 상표이며, Navigator 및 Netscape는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스 코포레이션의 상표이다.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은 특정 URL을 선택하기 위해 브라우저와 대화하며, 이 URL은 브라우저로 하여금 그 URL 또는 페이지에 대한 요구를 그 URL에서 식별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서버는 요구된 페이지를 검색하고, 그 페이지를 요구한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함으로써 이 요구에 응답한다(클라이언트/서버 대화는 하이퍼텍스트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TTP)에 따라 수행된다). 이 페이지는 다음에 클라이언트 스크린 상에서 이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다. 클라이언트는 또한 서버로 하여금, 예를 들어, 특정 토픽과 관련하여 WWW 페이지를 검색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웹 페이지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로서 알려진 언어로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라 포맷된다. 이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의 그래픽 브라우저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데이터 뿐만 아니라 그 데이터를 어떻게 디스플레이할 것인지 브라우저에게 알려주는 포맷팅 명령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통상적인 웹 페이지는 태그(tags)로서 불리는 내장된 포맷팅 명령과 함께 텍스트를 포함하며, 이 태그는 폰트 크기, 폰트 스타일(예, 이탤릭체 또는 볼드체), 텍스트를 레이-아웃하는 방법 등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웹 브라우저는 지정된 포맷에 따라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HTML 스크립트를 구문분석(parses)한다. HTML 태그는 또한 그래픽스, 오디오 및 비디오가 어떻게 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저를 통해 이용자에게 명시되는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대부분의 웹 페이지는 또한, 원래의 페이지와 동일한 서버상에 존재할 필요가 없는 다른 웹 페이지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레퍼런스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레퍼런스는 일반적으로 이용자가 스크린상의 특정 로케이션(locations)을 선택함으로써, 통상적으로는 마우스 제어 버튼을 (두번) 클릭함으로써 활성화될 수 있다. 이들 레퍼런스 또는 로케이션은 하이퍼링크로서 알려져 있으며, 통상적으로 브라우저에 의해 특정 방식으로(예를 들어, 하이퍼링크와 관련된 텍스트가 상이한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플래그된다. 만일 이용자가 그 하이퍼링크를 선택하면, 레퍼런스된 페이지가 검색되어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페이지와 대체된다.
HTML 및 WWW에 관한 더 이상의 정보에 대해서는, Dr Dobbs Journal(1994년 12월), p18-26의 Douglas McArthur에 의한 World Wide Web and HTML 및 Ian Graham(미국 뉴욕, 죤 윌리, 1995)에 의한 The HTML SourceBook에서 찾아볼 수 있다.
종종, 뉴스 항목(item)과 같은 관련된 레코드의 타이틀 리스트가 웹 사이트에 제공되며,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새로운 항목의 타이틀과 연관된 하이퍼텍스트 링크에 클릭함으로써 특정 레코드의 전체 내용(텍스트)을 관찰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회사가 그 프레스 릴리스(press releases)의 리스트를 웹을 통해 대중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길 원할 수도 있다. 그러면, 그 회사는 그 프레스 릴리스(press release) 타이틀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웹 사이트 준비하게 되는데, 이 리스트내의 각각의 타이틀은 대응하는 프레스 릴리스(press release)의 전체 텍스트에 대한 하이퍼텍스트 링크가 된다. 이용자가 이 리스트내의 한 타이틀을 클릭하면, 대응하는 프레스 릴리스(press release)의 전체 텍스트가 이용자의 컴퓨터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다음에, 이용자는 타이틀 리스트로 되돌아가 다른 타이틀을 선택할 수 있으며, 그러면, 그 다른 타이틀의 텍스트가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비록 이것은 관련된 레코드 그룹을 대중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이지만, 이것은 심각한 결점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리스트는 연대순으로 구성되며, 따라서 (그 내용과 무관하게) 가장 최근의 프레스 릴리스(press release)가 리스트의 상부에 리스트된다. 만일 한 이용자가 리스트의 어떤 멤버가 특정 토픽을 다루고 있는지 빠르게 판단하길 원한다면, 그는 전체 리스트를 스크롤링하여 각각의 타이틀을 검사해야 한다. 이것은 매우 많은 시간을 소비한다. 또한, 종종 타이틀 단독으로는 이용자가 어떤 항목이 특정 토픽과 관련되어 있는지 판단하기 위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게 되며, 그러므로, 이용자는 각각의 기사(articles)의 전체 텍스트를 읽어야할 필요가 있게 된다.
대안으로, 웹 사이트는 이용자로 하여금 특정 토픽을 묘사하는 워드(또는 수개의 워드)를 타이핑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소정 형태의 검색 엔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검색 엔진(서버측에 위치됨)은 리스트상의 모든 엔트리를 상세히 조사하여 특정 토픽과 관련된 타이틀을 분류한다.
이러한 후자의 검색 엔진 기술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단점이 존재한다. 첫 번째로, 이용자는 그가 검색 엔진으로 입력하는 워드를 정확하게 맞춤법에 따라 철자할 수 있어야 하며, 이것은 특히, 인명, 지명 또는 회사명이 검색에 사용되는 경우에 문제가 된다. 만일 이용자가 검색 용어를 정확하게 철자하지 못하면, 검색 엔진이 타이틀을 찾지 못하게 된다.
두 번째로, 이용자가 검색 엔진을 이용하길 원할 때마다, 웹 사이트의 호스트가 되는 서버 컴퓨터는 검색 용어에 대응하는 타이틀의 부분집합 리스트를 형성하기 위해 소정의 작업을 동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이것은 서버 머신에 부담이 될 수 있으며, 특히, 많은 클라이언트가 그 서버에 억세스하기 위해 시도하는 경우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클라이언트에게도 부담이 되는데, 그 이유는 서버가 타이틀의 부분집합 리스트를 작성하는것과 관련된 동적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대기해야 하기 때문이다. 클라이언트의 온-라인 시간은 비용이 매우 비싸기 때문에, 이것은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매우 빠르게 응답하지 못하는 웹 사이트에 억세스하는 것을 단념하도록 할 수도 있는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제1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컴퓨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항목의 완전한 리스트의 부분집합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며, 이 장치는, 클라이언트가 요구하고 있는 특정 부분집합 리스트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특정 부분집합 리스트에 대한 클라이언트 요구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클라이언트 요구에 의해 요구된 상기 특정 부분집합 리스트에 대응하는 저장된 부분집합 리스트에 억세스하기 위해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저장된 부분집합 리스트를 상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클라이언트가 요구하고 있는 상기 특정 부분집합 리스트의 상기 식별자는 범용 자원 로케이터 명칭으로서 클라이언트에 의해 제공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된 부분집합 리스트는 상기 범용 자원 로케이터 명칭과 관련된 HTML 파일이다. 바림직하게는, 상기 저장된 부분집합 리스트는 상기 클라이언트 요구를 수신하는 것과 무관하게 작성된다. 이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상기 식별자를 클라이언트가 인덱스 식별자를 이용하여 요구할 수 있는 저장된 인덱스 리스트로 수집하기 위한 수단; 상기 인덱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요구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인덱스 리스트에 억세스하기 위해 상기 인덱스 식별자를 이용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인덱스 리스트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덱스 식별자는 범용 자원 로케이터 명칭으로서 클라이언트에 의해 제공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된 인덱스 리스트는 상기 범용 자원 로케이터 명칭과 관련된 HTML 파일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된 인덱스 리스트는 상기 클라이언트 요구를 수신하는 것과 무관하게 작성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출력 장치 및 포인팅 입력 장치를 구비한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항목의 완전한 리스트의 부분집합 리스트를 서버 컴퓨터로부터 요구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장치는 항목의 완전한 리스트 - 상기 리스트내의 각각의 항목은 그 항목의 타이틀 및 그 항목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포함함 - 를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이용자가 상기 포인팅 입력 장치로 상기 완전한 리스트내의 한 키워드를 지시하는 것에 응답하여, 특정 부분집합 리스트에 대한 요구로서 상기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한 특정 부분집합 리스트의 식별자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인팅 입력 장치에 의해 지시된 상기 키워드는 하이퍼텍스트 링크이고, 상기 식별자는 상기 하이퍼텍스트 링크와 관련된 범용 자원 로케이터이며, 상기 범용 자원 로케이터는 상기 서버 컴퓨터내에 저장된 HTML 파일을 식별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상에 저장된 데이터 포맷을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 포맷은 항목의 메인 리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리스트내의 각각의 항목은 그 항목의 타이틀 및 그 항목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는 서버 컴퓨터 장치내에 저장된 HTML 파일을 식별하는 범용 자원 로케이터와 관련된 하이퍼텍스트 링크이고, 상기 HTML 파일은 항목의 상기 메인 리스트의 부분집합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서버 컴퓨터상에서 실행될 때 클라이언트 컴퓨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항목의 완전한 리스트의 부분집합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며, 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의 제1 관점에서 전술한 수단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디스플레이 출력 장치 및 포인팅 입력 장치를 구비한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며, 상기 프로그램 제품은 항목의 완전한 리스트의 부분집합 리스트를 서버 컴퓨터로부터 요구하기 위해 제공되고, 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의 제2 관점에서 전술한 수단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6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버 컴퓨터에서, 클라이언트 컴퓨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항목의 완전한 리스트의 부분집합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본 발명의 제1 관점에서 전술한 수단에 대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7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출력 장치 및 포인팅 입력 장치를 구비한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항목의 완전한 리스트의 부분집합 리스트를 서버 컴퓨터로부터 요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본 발명의 제2 관점에서 전술한 수단에 대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응답하여 항목의 저장된 부분집합 리스트를 검색하는 능력을 제공함으로써, 부분집합 리스트가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로 매우 빠르게 제공된다. 클라이언트 이용자는 키워드를 철자하는 방법을 알 필요가 없으며, 그 이유는 이용자는 단지 디스플레이된 리스트에 나타난 키워드에 클릭하면 되기 때문이다. 또한, 서버의 견지에서,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부분집합 리스트를 요구할 때마다 부분집합 리스트를 조립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대신에, 서버는 부분집합 리스트를 조립하여 그것을 저장하고 있다가,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응답하여 그 리스트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면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각각의 키워드와 함께 뉴스 기사의 연대순으로 리스트된 타이틀의 컴퓨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도1에 도시된 완전한 리스트의 부분집합인 뉴스 기사의 부분집합 리스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하이퍼링크된 키워드의 인덱스 리스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도2 및 도3의 부분집합 리스트를 작성하는데 수반되는 단계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날짜 칼럼 12:타이틀 칼럼
13:관련 토픽 칼럼 14,15,16,17:목록
18:하이퍼텍스트 링크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1에서, 본 발명의 한 양호한 실시예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컴퓨터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테이블을 포함한다. 본 예에서, 이 테이블은 인터넷의 월드 와이드 웹 상의 페이지를 통해 뉴스 공급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다수의 뉴스 리포트의 타이틀을 리스트하고 있다. 이 테이블은 3개의 칼럼, 즉, 뉴스 리포트의 날짜를 리스트하는 제1 칼럼(11), 뉴스 리포트의 타이틀을 리스트하는 제2 칼럼(12) 및 뉴스 리포트에 포함된 관련된 토픽 또는 키워드를 리스트하는 제3 칼럼을 포함하고 있다(비록 여기서 키워드란 용어가 사용되었지만, 이 용어는 합동 참모본부(Joint Chiefs of Staff) 와 같이 키프레이즈(keyphrase) 또는 워드 그룹을 언급하고자 의도된 것이다).
첫 번째 목록(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포트의 날짜는 1997년 6월 5일 이며, 뉴스 리포트 타이틀은 샤리카쉬빌리는 추문에도 불구하고 랄스톤을 지지하다(Shalikashvili supports Ralston despite affair) 이다. 이 뉴스 리포트는 미국 국방성 합동 참모본부의 수석 국방 고문(Shalikashvili 씨)이 랄스톤씨의 불륜 추문(extra-marital affair)에도 불구하고 그 후계자로서 랄스톤씨를 지지한다는 사실을 논하고 있다. 칼럼(13)에 리스트된 키워드는 Shalikashvili, Joint Chiefs of Staff, William Cohen 및 affair이다. 키워드 Shalikashvili 및 William Cohen은 하이퍼링크이며, 따라서 하이퍼링크가 아닌 다른 키워드 Joint Chiefs of Staff 및 affair와 구별하기 위해 밑줄과 함께 칼럼(13)에 도시되어 있다. 하이퍼링크된 워드는 청색으로 디스플레이하고 하이퍼링크되지 않은 워드는 흑색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하이퍼링크가 보다 일반적으로 표시되게 되지만, 특허 도면의 흑백 특성으로 인해 여기서는 밑줄이 사용되었다.
웹 페이지의 저자가 새로운 목록(14)을 테이블에 배치할 때, 그는 칼럼(13)에 배치될 키워드의 리스트를 선택한다. 그는 또한 하이퍼링크될 키워드와 하이퍼링크되지 않을 다른 키워드를 선택한다. 하이퍼링크될 키워드는 예를 들어, 웹 페이지 저자가 테이블의 다수의 다른 엔트리에 나타나도록 기대하는(또는 그것들이 이미 나타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키워드이다.
일단 클라이언트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컴퓨터 스크린상에 칼럼(12)의 테이블을 디스플레이하면, 클라이언트 이용자는 1997년 6월 5일자 뉴스 기사의 전체 텍스트의 디스플레이를 시작하도록 엔트리(14)에 대한 칼럼(12)내의 타이틀 샤리카쉬빌리는 추문에도 불구하고 랄스톤을 지지하다에 클릭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는 엔트리(14)에 대한 칼럼(13)의 하이퍼링크된 키워드 샤리카쉬빌리에 클릭할 수 있으며, 이것은 뉴스항목 엔트리의 부분집합 리스트(도1에 도시된 완전한 리스트의 부분집합)를 포함하는 보다 작은 테이블(도2 참조)의 디스플레이를 시작하게 되며, 이 테이블도 또한 그 테이블내의 각각의 엔트리의 칼럼(13)에 키워드 샤리카쉬빌리를 포함한다.
즉, 이용자는 그가 테이블의 칼럼(13)에서 키워드 샤리카쉬빌리를 보고 그 키워드에 간단히 클릭할 수 있으며, 이용자는 다음에 그 용어와 관련된 뉴스항목의 부분 리스트를 제공받는다. 중요한 것은 이용자가 어떻게 샤리카쉬빌리와 같은 어려운 이름을 정확하게 철자할 것인지에 대해 알아야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만일 웹 사이트가 종래 기술에서의 칼럼에서와 같은 검색 엔진을 사용한 경우에 이용자는 이 이름을 정확하게 철자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리카쉬빌리와 관련된 2개의 뉴스 기사가 있으며, 이들 2개의 기사는 부분집합 리스트에 디스플레이된다. 다음에, 이용자는 각각의 뉴스 기사의 전체 텍스트를 읽기 위해 엔트리(14,16)중 하나에 클릭할 수 있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이용자는 또한, 엔트리(15)의 칼럼(13)내의 하이퍼링크된 키워드 비틀즈(Beatles)에 클릭했을 수도 있다. 이용자는 음악 그룹, 비틀즈에 관련된 모든 뉴스 기사의 독립된 리스트를 보길 원하는 경우에 이것을 수행하게 된다. 이 하이퍼링크에 클릭하면, 도3의 테이블이 디스플레이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틀즈와 관련된 2개의 뉴스 기사가 있다. 다음에, 이용자는 각각의 뉴스 기사의 전체 텍스트를 읽기 위해 엔트리(15,17)중 하나에 클릭할 수 있다.
도2 및 도3의 부분집합 테이블은 웹 페이지 저자에 의해 오프-라인으로 준비된다. 즉, 이 부분집합 테이블은 클라이언트가 그 부분집합 테이블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요구하기 전에 준비된다. 도3의 부분집합 테이블을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웹 페이지 저자는 도1의 전체 테이블을 조사하고, 칼럼(13)의 하이퍼링크된 워드 비틀즈의 각각의 사건에 대해, 각각의 엔트리(15,17)가 보다 작은 테이블(도3)로 카피된다. 이러한 도3의 부분집합 테이블은 독립된 HTML 파일로서 준비되고, 도1의 테이블과는 다른 URL이 부여되며, 따라서, 클라이언트가 도1의 칼럼(13)내의 하이퍼텍스트 링크 비틀즈에 클릭하면, 도3의 부분집합 테이블의 URL이 호출된다.
전술한 카피하는 작업은 사람이 행하는 수동적인 연산이 될 수 있으며, 또는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자동적인(프로그램된) 연산이 될 수도 있다. 만일 이것이 자동적으로 수행되면, 다른 개선된 방법은 키워드가 하나 이상의 뉴스 기사에 나타나는 경우에만, 하이퍼링크를 위해 그 키워드가 선택되도록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안에 포함된 오직 하나의 뉴스 기사를 가진 부분집합 리스트가 작성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모든 하이퍼링크된 키워드의 인덱스 리스트도 역시, 오프-라인으로 작성되며, 그 고유의 URL을 부여받는다. 그러므로, 클라이언트는 독립된 부분집합 테이블이 준비되어 있는 알파벳 순서로된 모든 키워드의 완전한 리스트에 억세스하기 위해 도1의 상부 가까이 있는 하이퍼텍스트 링크(18)에 클릭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 테이블은 그 고유의 부분집합 리스트(도2 및 도3)를 가진 각각의 키워드(예, 샤리카쉬빌리 비틀즈)의 리스트(44)를 제공한다. 리스트(44)의 하이퍼텍스트 링크 비틀즈에 클릭함으로써, 도3의 부분집합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리스트(44)의 하이퍼텍스트 링크 샤리카쉬빌리에 클릭하면, 도2의 부분집합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 각각의 알파벳 문자는 인덱스의 상부 근처에 리스트되고(42), 각각의 문자는 독립된 하이퍼텍스트 링크가 되며, 따라서 키워드의 알파벳 목록이 쉽게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록(42)의 하이퍼텍스트 링크 B에 클릭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컴퓨터 포인터(커서)는 리스트(44)의 키워드 비틀즈로 이동하게 된다. 도4에서, 클라이언트는 또한, 도1의 뉴스 기사의 완전한 리스트로 복귀하기 위해 하이퍼텍스트 링크(41)에 클릭할 수 있다. 이 하이퍼텍스트 링크(41)는 또한 도2 및 도3의 각각의 부분집합 리스트에도 제공될 수 있다.
이제, (도1의) 완전한 리스트로부터 (도2 및 도3의) 부분집합 리스트를 작성하는데 수반되는 단계에 대해 도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게 된다.
단계(501)에서, 완전한 리스트(도1)의 각각의 뉴스 기사 타이틀 엔트리(14-17)에 대해, 키워드 칼럼(13)의 각각의 키워드를 스캔한다. 단계(502)에서는, 키워드 칼럼(13)내의 각각의 키워드에 대해, 그 키워드가 완전한 리스트상의 어떤 다른 뉴스 기사 타이틀 엔트리에 대해서도 칼럼(13)에 나타나 있는지 판단한다. 만일 나타나 있지 않으면, 그 키워드는 오직 한 번만 나타나 있는 것이며, 따라서, 부분집합 리스트를 작성할 필요가 없으며, 제어는 흐름도의 종료(end)로 진행한다. 이와 달리, 만일 이 키워드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뉴스 기사 타이틀 엔트리에 대해 키워드 칼럼(13)에 나타나 있으면, 제어는 단계(503)으로 진행한다. 단계(503)에서는, 이 키워드에 대한 뉴스 기사 타이틀 엔트리의 부분집합을 저장하기 위해 셋업된 HTML 파일에 이 뉴스 기사 타이틀 엔트리가 추가된다. 다음에, 단계(504)에서는, 완전한 리스트 및 부분집합 리스트에서, 키워드 칼럼(13)내의 키워드를 단계(503)에 관해 전술한 HTML 파일을 지시하는 URL 하이퍼링크로 대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완전한 리스트의 칼럼(13)에 한 번 이상 나타나는 각각의 키워드에 대해 부분집합 리스트가 작성된다.
인덱스 테이블(도4)은 또한, 단계(504)로부터의 HTML 부분집합 리스트를 지시하는 URL 하이퍼링크 각각의 알파벳 순서의 목록을 포함하는 다른 HTML 파일을 형성함으로써(단계 505) 작성될 수 있다.
도2 및 도3의 부분집합 테이블은 정적(static)이기 때문에(클라이언트 요구를 수신하기 전에 그와 무관하게 준비됨), 클라이언트는 하이퍼링크를 클릭한 이후에 서버가 부분집합 테이블을 조립할 때까지 대기할 필요가 없다. 클라이언트가 검색 엔진을 통해 검색 용어를 입력하는 경우의 종래 기술에서는 대기가 요구되는데, 그 이유는 테이블이 검색 엔진을 실행하는 서버에 의해 진행중에(on the fly) 동적으로 작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정적으로 작성된 부분집합 테이블은 또한, 서버 작업부하를 크게 감소시키는데, 그 이유는 클라이언트가 부분집합 테이블을 요구할 때마다 서버가 그 부분집합 테이블을 조립하는 것과 관련된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 부분집합 테이블은 이미 작성되어 있으며, 단지 요구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되는 것만이 필요로 된다.
하이퍼링크된 키워드와 하이퍼링크되지 않은 키워드를 관련 토픽 칼럼(13)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관련 토픽 칼럼은 2가지 목적을 제공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첫 번째로, 이것은 (예를 들어, 정상적인 흑색 대신에 청색 문자를 이용하여, 또는 밑줄이나 볼드체를 이용하여) 어떤 키워드가 부분집합 리스트에 하이퍼링크되어 있는지를 클라이언트에게 알려준다. 두 번째로, 이것은 기사의 어떤 주요 토픽이 있는지에 관한 약간의 아이디어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고, 이들 주요 토픽은 반드시 부분집합 리스트에 하이퍼링크될 필요는 없으며, 따라서, 각각의 기사와 관련된 주요 토픽을 리스트하는 이러한 후자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이 칼럼에 사용하기 위한 보다 큰 그룹의 가능한 키워드를 제공한다.
또한, 도1의 관련 토픽 칼럼(13)에 리스트된 키워드는 쉽게 변경될 수 있으며, 따라서, 어떤 키워드가 어떤 뉴스 기사와 관련되어 있는지에 관해 갱신이 허용된다. 예를 들어, 만일 한 뉴스 기사가 최초에 한 셋트의 키워드를 갖고 있었지만, 나중에 웹 페이지 저자가 몇 개의 새로운 키워드가 추가되어야 한다고 결정하였다면, 이것은 도1의 스크린의 칼럼(13)에 더 많은 키워드를 추가하는 간단한 문제이다. 이와 달리, 만일 최초에 선택된 키워드가 더 이상 중요한 것으로 생각되지 않으면, 칼럼(13)으로부터 삭제할 수 있다. 만일 (전술한 바와 같이) 부분집합 리스트를 작성하는 프로그램된 방법이 사용되면, 도1의 완전한 리스트에서의 변경에 따라 자동적으로 새로운 부분집합 리스트가 작성되게 된다.
본 발명은 간단하고 인식가능하며 네비게이팅이 용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관련된 그룹지워진 토픽에 대한 신속한 억세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응답하여 항목의 저장된 부분집합 리스트를 검색하는 능력을 제공함으로써, 부분집합 리스트가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로 매우 빠르게 제공되며, 클라이언트 이용자는 키워드를 철자하는 방법을 알 필요가 없으며,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부분집합 리스트를 요구할 때마다 부분집합 리스트를 조립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서버 컴퓨터에서, 클라이언트 컴퓨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항목의 완전한 리스트의 부분집합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클라이언트가 요구하고 있는 특정 부분집합 리스트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특정 부분집합 리스트에 대한 클라이언트 요구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클라이언트 요구에 의해 요구된 상기 특정 부분집합 리스트에 대응하는 저장된 부분집합 리스트에 억세스하기 위해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저장된 부분집합 리스트를 상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부분집합 리스트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가 요구하고 있는 상기 특정 부분집합 리스트의 상기 식별자는 범용 자원 로케이터 명칭으로서 클라이언트에 의해 제공되는
    부분집합 리스트 제공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부분집합 리스트는 상기 범용 자원 로케이터 명칭과 관련된 HTML 파일인
    부분집합 리스트 제공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부분집합 리스트는 상기 클라이언트 요구를 수신하는 것과 무관하게 작성되는
    부분집합 리스트 제공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식별자를 클라이언트가 인덱스 식별자를 이용하여 요구할 수 있는 저장된 인덱스 리스트로 수집하기 위한 수단;
    상기 인덱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요구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인덱스 리스트에 억세스하기 위해 상기 인덱스 식별자를 이용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인덱스 리스트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부분집합 리스트 제공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식별자는 범용 자원 로케이터 명칭으로서 클라이언트에 의해 제공되는
    부분집합 리스트 제공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인덱스 리스트는 상기 범용 자원 로케이터 명칭과 관련된 HTML 파일인
    부분집합 리스트 제공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인덱스 리스트는 상기 클라이언트 요구를 수신하는 것과 무관하게 작성되는
    부분집합 리스트 제공 장치.
  9. 디스플레이 출력 장치 및 포인팅 입력 장치를 구비한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항목의 완전한 리스트의 부분집합 리스트를 서버 컴퓨터로부터 요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항목의 완전한 리스트 - 상기 리스트내의 각각의 항목은 그 항목의 타이틀 및 그 항목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포함함 - 를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이용자가 상기 포인팅 입력 장치로 상기 완전한 리스트내의 한 키워드를 지시하는 것에 응답하여, 특정 부분집합 리스트에 대한 요구로서 상기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한 특정 부분집합 리스트의 식별자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부분집합 리스트 요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입력 장치에 의해 지시된 상기 키워드는 하이퍼텍스트 링크이고, 상기 식별자는 상기 하이퍼텍스트 링크와 관련된 범용 자원 로케이터이며, 상기 범용 자원 로케이터는 상기 서버 컴퓨터내에 저장된 HTML 파일을 식별하는
    부분집합 리스트 요구 장치.
  11.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상에 저장된 데이터 포맷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포맷은 항목의 메인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리스트내의 각각의 항목은 그 항목의 타이틀 및 그 항목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는 서버 컴퓨터 장치내에 저장된 HTML 파일을 식별하는 범용 자원 로케이터와 관련된 하이퍼텍스트 링크이고, 상기 HTML 파일은 항목의 상기 메인 리스트의 부분집합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포맷.
  12.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서버 컴퓨터상에서 실행될 때 클라이언트 컴퓨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항목의 완전한 리스트의 부분집합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다음의 기능, 즉,
    클라이언트가 요구하고 있는 특정 부분집합 리스트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특정 부분집합 리스트에 대한 클라이언트 요구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클라이언트 요구에 의해 요구된 상기 특정 부분집합 리스트에 대응하는 저장된 부분집합 리스트에 억세스하기 위해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는 기능; 및
    상기 저장된 부분집합 리스트를 상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기능
    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부분
    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3.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디스플레이 출력 장치 및 포인팅 입력 장치를 구비한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 상기 프로그램 제품은 항목의 완전한 리스트의 부분집합 리스트를 서버 컴퓨터로부터 요구하기 위해 제공됨 - 에 있어서,
    다음의 기능, 즉,
    항목의 완전한 리스트 - 상기 리스트내의 각각의 항목은 그 항목의 타이틀 및 그 항목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포함함 - 를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및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이용자가 상기 포인팅 입력 장치로 상기 완전한 리스트내의 한 키워드를 지시하는 것에 응답하여, 특정 부분집합 리스트에 대한 요구로서 상기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한 특정 부분집합 리스트의 식별자를 형성하는 기능
    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부분
    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4. 서버 컴퓨터에서, 클라이언트 컴퓨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항목의 완전한 리스트의 부분집합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가 요구하고 있는 특정 부분집합 리스트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특정 부분집합 리스트에 대한 클라이언트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요구에 의해 요구된 상기 특정 부분집합 리스트에 대응하는 저장된 부분집합 리스트에 억세스하기 위해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부분집합 리스트를 상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분집합 리스트 제공 방법.
  15. 디스플레이 출력 장치 및 포인팅 입력 장치를 구비한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항목의 완전한 리스트의 부분집합 리스트를 서버 컴퓨터로부터 요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항목의 완전한 리스트 - 상기 리스트내의 각각의 항목은 그 항목의 타이틀 및 그 항목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포함함 - 를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이용자가 상기 포인팅 입력 장치로 상기 완전한 리스트내의 한 키워드를 지시하는 것에 응답하여, 특정 부분집합 리스트에 대한 요구로서 상기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한 특정 부분집합 리스트의 식별자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분집합 리스트 요구 방법.
KR1019980017670A 1997-06-28 1998-05-15 월드 와이드 웹상의 타이틀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99900064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713625A GB2326746A (en) 1997-06-28 1997-06-28 Displaying a subset of a list of titles
GB9713625.3 1997-06-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459A true KR19990006459A (ko) 1999-01-25

Family

ID=10815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670A KR19990006459A (ko) 1997-06-28 1998-05-15 월드 와이드 웹상의 타이틀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9990006459A (ko)
GB (1) GB23267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052B1 (ko) * 1999-12-27 2002-07-24 전생수 와일드 카드를 이용한 웹 주소 처리방법
KR100396356B1 (ko) * 1999-11-30 2003-09-13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편재 컴퓨팅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프레퍼런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0870052B1 (ko) * 2001-03-20 2008-11-2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전자 장비 및 객체 설명의 특정 버전을 전달하는 방법, 및 전자 문서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담고 있는 저장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86440A (en) * 2002-03-12 2003-09-17 Univ Hertfordshire Searching and navigating an information source
FR2839233B1 (fr) * 2002-04-30 2004-09-10 Thomson Licensing Sa Procede de navigation affichant un document, recepteur mettant en oeuvre le procede, et interface graphique pour la presentation du proced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356B1 (ko) * 1999-11-30 2003-09-13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편재 컴퓨팅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프레퍼런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0345052B1 (ko) * 1999-12-27 2002-07-24 전생수 와일드 카드를 이용한 웹 주소 처리방법
KR100870052B1 (ko) * 2001-03-20 2008-11-2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전자 장비 및 객체 설명의 특정 버전을 전달하는 방법, 및 전자 문서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담고 있는 저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713625D0 (en) 1997-09-03
GB2326746A (en) 1998-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6091B2 (en) User driven computerized selection, categorization, and layout of live content components
JP3258263B2 (ja) 複数のurlを同時にアクティブに維持できるブラウザを提供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317401B1 (ko) 관련된웹페이지를인쇄하기위한장치및방법
JP4424909B2 (ja) ドキュメントにユーザ・コメントを関連付ける方法、データ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KR100320980B1 (ko) 웹페이지포맷장치및방법
JP2963087B2 (ja) アクセス機構、記憶媒体、データ処理システム、アクセス方法、ウェブ・ページ処理方法およびアクセス機構を設ける方法
US5737560A (en) Graphical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information on a communications network
KR100355853B1 (ko) 웹문서의비동기식인쇄방법및그시스템
US20040205514A1 (en) Hyperlink preview utility and method
US7756849B2 (en) Method of searching for text in browser frames
US71626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search results
US200300186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a destination document to a source document during a save process
JP3384745B2 (ja) インターネット・ウェブ・ページの階層においてネットワーク・ページに迅速に戻る装置および方法
US7895337B2 (en) Systems and methods of generating a content aware interface
US7032185B1 (en) Graphical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information on a communications network
US8037420B2 (en) Maintaining browser navigation relationships and for choosing a browser window for new documents
US200501145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rking of web pages
US200302258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versing Web pages in a network data processing system
US67546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wsing and storing data in a distributed data processing system
KR19990006459A (ko) 월드 와이드 웹상의 타이틀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GB2328297A (en) Hyperlinked index entries have adjustable text according to context
US200300529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one bookmark to replace another
KR20030026404A (ko) 인터넷을 이용한 특정동영상 검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