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5352U - 냉장고 외부에서 개폐 가능한 서랍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 외부에서 개폐 가능한 서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5352U
KR19990005352U KR2019970018663U KR19970018663U KR19990005352U KR 19990005352 U KR19990005352 U KR 19990005352U KR 2019970018663 U KR2019970018663 U KR 2019970018663U KR 19970018663 U KR19970018663 U KR 19970018663U KR 19990005352 U KR19990005352 U KR 199900053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refrigerator
opened
closed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86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미숙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186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5352U/ko
Publication of KR199900053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352U/ko

Link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에 음료 박스를 설치하여 냉장고 외부에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냉장고 외부에서 개폐 가능한 서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 외부에서 개폐 가능한 서랍 장치는 냉장고 내부에 서랍을 설치하여 냉장고 외부에서 서랍을 개폐하여 원하는 물건을 선택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의 한 단면으로부터 외측으로 개폐되는 서랍, 상기 서랍이 상기 냉장고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냉장고에 음료 박스를 설치하여 냉장고 외부에서 개폐가 가능하므로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여 손실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외부에서 개폐 가능한 서랍 장치
본 고안은 냉장고의 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에 음료 박스를 설치하여 냉장고 외부에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냉장고 외부에서 개폐 가능한 서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장고에는 식수만을 외부에서 이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소비자의 기호가 다양하므로 식수 뿐만 아니라 다른 음료수 또는 냉장을 원하는 물건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냉장고 문을 열어야 한다. 냉장고 문을 자주 여닫는 일은 전력 낭비 및 변질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냉장고에 서랍 설치하여 냉장고 외부에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냉장고 외부에서 개폐 가능한 서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 중 냉장고 외부에서 개폐 가능한 서랍 장치의 사시도 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서랍이 개방되었을 때의 좌측면도 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냉장고 외부에서 개폐 가능한 서랍 장치는 냉장고 내부에 서랍을 설치하여 냉장고 외부에서 서랍을 개폐하여 원하는 물건을 선택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의 한 단면으로부터 외측으로 개폐되는 서랍; 및 상기 서랍이 상기 냉장고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사시도는 냉장할 물건을 보관하여 냉장고의 한 단면에서 외측으로 개폐되는 서랍(100), 서랍(100)을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부(110)로 구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 중 냉장고 외부에서 개폐 가능한 서랍 장치의 사시도 이다.
도 2에 도시된 사시도는 외면부(101), 외면부(101) 내부 양 측단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냉장고의 내측으로 연이어진 측면 지지대(102), 측면 지지대(102)의 타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외면부(101)와 평행하게 배치된 내측 지지대(103), 서랍(100)이 닫혀 있는 동안 냉장고 외부로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 패킹(104), 서랍(100) 내부에 수납된 내용물을 하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저면부(105), 손잡이부(110) 하단과 외면부(101) 및 냉장고와 접속되어 서랍(100)의 개폐를 유지하는 잠금 고리(106), 서랍(100)을 회전하므로 서 개폐하기 위한 힌지(Hinge)(107)로 구성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서랍이 개방되었을 때의 좌측면도 이다.
도 3에 도시된 좌측면도는 서랍(100)이 냉장고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300)로 구성된다.
이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에 냉장고는 도 1의 사시도와 같이 서랍(100)이 닫혀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서랍(100)은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Door) 정면에 밀착되어 있게 되고 손잡이에 연결된 잠금 고리(106)가 냉장실 내부에 대해 닫혀 있기 때문에 냉장실의 도어를 개방하더라도 서랍(100)은 개방되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자가 서랍(100)속의 물건을 꺼내고자 할 때에는 먼저 손잡이부(110)를 이용하여 서랍(100)을 개방하게 된다. 이때 손잡이부(110) 하단에는 버튼이 있어 손가락으로 눌러 서랍을 개폐할 수 있도록 잠금 고리(106)가 연결되어 있다. 손잡이부(110)를 손가락으로 누르게 되면 냉장실 내부에 대해 닫혀 있던 서랍이 잠금 고리(106)가 풀리면서 서랍이 열리게 된다. 서랍(100)의 양 측면에는 도 3의 좌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100)이 냉장고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 장치(300)가 설치되어 있다. 서랍(100)이 개방되면 사용자는 서랍(100)속에서 원하는 물건을 선택한 후 다시 손잡이부(110)를 이용하여 서랍(100)을 원래의 위치로 옮겨 놓는다. 이와 같이 냉장고 도어를 직접 개방하지 않고 서랍(100)을 이용하여 서랍(100)에 저장된 물건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냉장고 도어를 직접 개방하므로 서 발생하는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서랍(100)의 모양은 도 2의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외면부(101) 상단의 중앙에 손잡이부(110)가 위치해 있다. 측면 지지대(102)는 외면부(101) 내부 양 측단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냉장고의 내측으로 연이어져 서랍(100)에 담겨진 용기가 측면으로 이탈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수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내측 지지대(103)는 측면 지지대(102)의 타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외면부(101)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측면 지지대(102)와 같이 서랍(100)에 담겨진 용기가 냉장고의 냉장실 내부로 이탈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수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측면 지지대(102)와 내측 지지대(103)는 본 발명에서는 바(Bar)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바 형태가 아닌 판 형상의 부재로 될 수도 있다. 고무 패킹(104)은 서랍(100)이 닫혀 있는 동안 냉장고 외부로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면부(101)의 일 측면에서 상단으로 이어져 타 측면까지 위치해 있다. 저면부(105)는 서랍(100) 내부에 수납된 내용물을 하방에서 지지하기 위해 판 형상으로 일 단면이 외면부(101) 안쪽의 하단에 내측 지지대(103)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힌지(107)는 서랍(100)을 회전하므로 서 개폐하기 위해 외면부(101)의 하단에 냉장실과 연결되어 있다. 다른 실시 예로 힌지(107)가 아닌 레일(Rail)을 냉장실에 부착하여 서랍(100)을 밀고 당겨 개폐가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서랍(100)이 냉장고 도어의 정면에 위치해 있으면 도어가 열릴 때 열리는 힘 때문에 서랍(100)이 열릴 위험이 있으므로 냉장고의 측면에 서랍을 위치시키면 스위치(110)를 이용하여 서랍(100)을 열지 않는 한 서랍(100)이 열릴 위험이 없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냉장고에 음료 박스를 설치하여 냉장고 외부에서 개폐가 가능하므로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여 손실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냉장고 내부에 서랍을 설치하여 냉장고 외부에서 서랍을 개폐하여 원하는 물건을 선택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의 한 단면으로부터 외측으로 개폐되는 서랍; 및
    상기 서랍이 상기 냉장고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냉장고 외부에서 개폐 가능한 서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은
    외면부;
    상기 외면부 내부 양 측단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냉장고 내측으로 연이어진 측면 지지부;
    상기 측면 지지부의 타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상기 외면부와 평행하게 배치된 내측 지지부;
    상기 서랍이 닫혀 있는 동안 상기 냉장고 외부로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수단;
    상기 서랍 내부에 수납된 내용물을 하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저면부;
    상기 외면부 외부의 상측 중앙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서랍을 개폐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 하단과 상기 외면부의 내부 및 상기 냉장고와 접속되어 상기 서랍의 개폐를 유지하는 잠금 장치를 더 부가하는 냉장고 외부에서 개폐 가능한 서랍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지지부 및 측면 지지부는 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외부에서 개폐 가능한 서랍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지지부 및 측면 지지부는 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외부에서 개폐 가능한 서랍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은 하단부에 힌지를 더 구비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서랍을 회전하므로 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외부에서 개폐 가능한 서랍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은 상기 냉장고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외부에서 개폐 가능한 서랍 장치.
KR2019970018663U 1997-07-15 1997-07-15 냉장고 외부에서 개폐 가능한 서랍장치 KR1999000535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663U KR19990005352U (ko) 1997-07-15 1997-07-15 냉장고 외부에서 개폐 가능한 서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663U KR19990005352U (ko) 1997-07-15 1997-07-15 냉장고 외부에서 개폐 가능한 서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352U true KR19990005352U (ko) 1999-02-18

Family

ID=69687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8663U KR19990005352U (ko) 1997-07-15 1997-07-15 냉장고 외부에서 개폐 가능한 서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535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7402A (zh) * 2022-04-25 2022-07-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盖板结构、冰箱抽屉、冰箱及控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7402A (zh) * 2022-04-25 2022-07-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盖板结构、冰箱抽屉、冰箱及控制方法
CN114777402B (zh) * 2022-04-25 2024-05-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盖板结构、冰箱抽屉、冰箱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415B1 (ko) 냉장고
EP2320180A1 (en) Refrigerator
EP1380802B1 (en) Device to lock the cover of a door shelf of a refrigerator
US20090167130A1 (en) A dual drawer bottom mount freezer and mullion
KR19990005352U (ko) 냉장고 외부에서 개폐 가능한 서랍장치
KR100848918B1 (ko) 냉장고
KR950004401Y1 (ko) 냉장고의 보조도어구조
KR200349032Y1 (ko) 김치저장고의 서랍식 도어
KR100828048B1 (ko) 홈바를 구비한 냉장고
KR100834107B1 (ko) 도어바스켓을 구비하는 냉장고 도어어셈블리
KR200298043Y1 (ko) 업소용 냉장고
KR100430217B1 (ko) 냉장고의 디스팬서용 물통
KR100412943B1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KR200198164Y1 (ko) 김치저장고의 잠금장치
KR100261815B1 (ko) 냉장고의 냉장실 구조
JP2003185336A (ja) 冷蔵庫
JPS6240306Y2 (ko)
KR100238974B1 (ko) 냉장고
KR200239615Y1 (ko) 도어가드를갖는냉장고
KR100652779B1 (ko) 소물함이 구비된 냉장고
KR19990017784U (ko) 냉장고용 와인 걸이 고정 구조
KR19980019182U (ko) 휴대용 아이스 박스
KR200187778Y1 (ko) 냉장고용 와인 걸이 고정 구조
KR19980057503U (ko) 냉장고의 야채실
KR20090049220A (ko) 장식장이 구비된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