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4339A - 텔레비젼에서 부화면을 이용한 화면 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텔레비젼에서 부화면을 이용한 화면 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4339A
KR19990004339A KR1019970028426A KR19970028426A KR19990004339A KR 19990004339 A KR19990004339 A KR 19990004339A KR 1019970028426 A KR1019970028426 A KR 1019970028426A KR 19970028426 A KR19970028426 A KR 19970028426A KR 19990004339 A KR19990004339 A KR 19990004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djustment
sub
state
vie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8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국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70028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4339A/ko
Publication of KR19990004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339A/ko

Links

Landscapes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화면 기능이 있는 텔레비젼에서 화면 조정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화면 조정시에 부화면 각각에 각기 다른 화면 조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하여, 시청자가 특정 채널이나 프로그램에 적합한 화면 조정 상태를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화면을 이용한 화면 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양식의 화면 조정 신호에 따라 수상관(700)에 나타나는 영상화면 상태가 조정되는 기능과 부화면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에서의 화면 조정 방법에 있어서: 시청자가 키입력부(220)를 통하여 화면 조정 사항들을 각각 조합한 화면 조정 상태를 소정 개수 설정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부(240)에 저장하는 제 1 과정과, 시청자가 상기 키입력부(220)를 통하여 화면 조정을 하려는 경우에 마이크로 프로세서(200)는 상기 제 1 과정에서 저장된 화면 조정 상태에 대한 정보들을 액세스하여, 액세스되는 정보에 따라 각 부화면들의 영상 상태를 조정하여 상기 수상관(700)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2 과정(S20)과, 시청자가 상기 키입력부(220)를 통해 선택한 부화면의 화면 조정 상태대로 상기 수상관(700) 전체의 화면 영상을 조정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 3 과정(S40)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텔레비젼에서 부화면을 이용한 화면 조정 방법
본 발명은 부화면 기능이 있는 텔레비젼에서 화면 조정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화면 조정시에 부화면 각각에 각기 다른 화면 조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하여 시청자가 특정 채널이나 프로그램에 적합한 화면 조정 상태를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화면을 이용한 화면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컬러 텔레비젼의 방송 영상 신호에는 일반적으로 휘도(Y) 신호(흑백 텔레비젼의 명암 신호에 해당)와 반송 색 신호가 포함되는데, 상기 반송 색 신호는 (NTSC 방식에서는) I 신호와 Q 신호로 이루어져 있다. 텔레비젼의 수상기에서는, 튜너로 수신한 방송 신호를 영상 프로세서에서 상기 I 신호, Q 신호 및 Y 신호를 복조한 후, 이를 적당한 비율로 합성한 결과인 R(적색), G(녹색), B(청색) 신호를 수상관(CRT)에 출력한다.
상기 적색, 녹색, 청색의 3 가지 색광을 합성하는 비율에 따라 여러 가지 색을 얻을 수 있는 원리로, 컬러 텔레비젼의 화소들 각각에서 색상을 재현한다. 다시 말하면,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화상의 재현성은 상기 3 색광의 적절한 비율로 합성하는 데에 달렸다. 이것이 화면의 색상(tint) 조정이다. 색상 조정에 의해 피부색을 보라색으로 또는 녹색으로도 나타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휘도 조정(밝기 조정)과 색상 조정 이외에도, 농도(color) 조정, 화질(sharp) 조정, 대비(contrast) 조정 등이 화면 조정에 속한다. 상기 콘트라스트 조정이란, 수상관에 가해지는 영상 전류를 조정하여 화면에 나타나는 물체와 배경과의 명암의 차이를 조정하는 것이다.
종래의 자동으로 화면이 조정되는 방식으로는, 상기 화면 조정 사항들의 조정 정도를 평균치로 자동 조정되는 방식이 일반적이며, 또한 소정의 조정치의 화면 조정 사항들이 조합된 화면 조정 상태들을 시청자가 설정하여 두면, 수상관에 차례대로 영상으로 제시하여 선택하게 하는 방식도 있다.
상기 평균치로 자동 조정되는 방법은, 각 채널 또는 각 프로그램마다 상이한 화면 특성을 가지므로 결국, 수동으로 각 화면 조정 사항의 조정 수치(보통 막대의 개수)를 증감시켜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화면 조정 사항들이 조합된 화면 조정 상태들이 영상으로 제시되는 방식은, 보다 자동화된 면이 있으나, 시청자가 이전에 디스플레이된 화면 조정 상태와 현재에 디스플레이된 화면 상태를 비교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시청자가 화면을 조정할 때에는 보통 상기 밝기 조정, 농도 조정, 대비 조정을 주로 하는데, 화면 조정 사항이 미묘한 정도로만 차이가 나는 경우, 여러 화면 조정 상태를 동시에 놓고 비교하지 않으면 최적의 화면 상태를 가려내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면 조정시에 부화면 각각에 각기 다른 화면 조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하여, 시청자가 특정 채널이나 프로그램에 적합한 화면 조정 상태를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화면을 이용한 화면 조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부화면 기능이 있는 텔레비젼의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부화면을 이용한 화면 조정 방법을 위한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마이크로 프로세서 210 : 타이머
220 : 키입력부 240 : 메모리부
400 : 영상 프로세서 420 : 필드 메모리
440 : 합성 처리부 700 : 수상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시청자에게 영상 화면을 보여주는 수단인 수상관(700)과, 상기 수상관의 화면에 부화면을 띄울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영상 프로세서(400)와, 시청자가 텔레비젼의 동작 모드를 입력 설정하는 수단인 키입력부(220)와, 텔레비젼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0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240)를 구비하며, 소정 양식의 화면 조정 신호에 따라 상기 수상관(700)에 나타나는 영상화면 상태가 조정되는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에서의 화면 조정 방법에 있어서: 시청자가 상기 키입력부(220)를 통하여 화면 조정 사항들을 각각 조합한 화면 조정 상태를 소정 개수 설정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240)에 저장하는 제 1 과정과, 시청자가 상기 키입력부(220)를 통하여 화면 조정을 하려는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00)는 상기 제 1 과정에서 저장된 화면 조정 상태에 대한 정보들을 액세스하여, 액세스되는 정보에 따라 각 부화면들의 영상 상태를 조정하여 상기 수상관(700)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2 과정(S20)과, 시청자가 상기 키입력부(220)를 통해 선택한 부화면의 화면 조정 상태대로 상기 수상관(700) 전체의 화면 영상을 조정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 3 과정(S40)으로 이루어지는 데에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부화면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의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인데, 텔레비젼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00)와, 튜너(100)에서 동조된 방송신호의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 프로세서(400)와, 처리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수상관(CRT, 700)과, 상기 영상 신호가 수상관 화면의 적소에 표시되도록 편향시키는 수평/수직 동기처리부(600)와, 시청자가 텔레비젼의 동작모드를 입력하는 수단인 키입력부(22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데이터 즉, 화면 조정 사항들이 조합된 화면 조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40)를 포함하고 있다.
부화면 기능이 있는 텔레비젼에서 상기 영상 프로세서(40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00)의 제어에 따라 자화면 영상을 나타내기 위해, 자화면의 영상신호를 압축 처리하여 두는 필드 메모리(420)과, 상기 필드 메모리에 저장되는 자화면 영상신호를 모화면에 부가시키기 위한 합성 처리부(440)와, 이에 필요한 A/D 변환기 등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텔레비젼 시스템의 본 발명에 따른 작동 관계를 도 2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화면을 이용한 화면 조정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시청자가 우선, 콘트라스트, 색상, 채도, 밝기 등의 화면 조정 사항들의 조정치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화면 조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키입력부(220)를 통해 상기 메모리부(240)에 일련 번호를 부여하여 저장한다. 상기 화면 조정 상태는 시청자의 수 도는 화면 특성이 상이한 채널의 수 등에 따라, 메모리 용량 범위 내에서 복수 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합된 화면 조정 상태의 개수를 부화면 개수와 동수로 함이 바람직하다. 넘는 경우에는 동시에 비교할 수 없으므로 효과가 감소한다.
한편, 마이크로 프로세서(200)는 항상 키입력을 대기하는데, 화면 조정을 위한 부화면 제시 기능에 대한 키입력이 있는 지도 체크한다(S10). 시청자가 수상관(700)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면 조정을 위해, 상기 키입력부(220)를 통해 일 예로 화면 조정 영상의 부화면 제시 기능키를 누르면(예), 각각의 부화면에 상기 설정된 화면 조정 상태에 따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20).
다시 말하면, 상기한 바람직한 예대로 상기 설정된 화면 조정 상태와 부화면 개수가 동수인 경우에, 모화면의 영상신호들을 압축하여 각 부화면의 필드 메모리(420)에 저장할 때에 화면 조정 사항들에 따라 영상신호를 조정하여 두고, 상기 합성 처리부(440)에서 각 부화면의 영상신호들을 합성하여 전화면의 영상신호로 만들므로써, 수상관(700) 화면에 부화면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한다.
시청자는 각기 다른 화면 조정 상태의 부화면들을 동시에 상호 비교하여 자신에게 적절한 화면 조정 상태를 선택한다(S30). 상기 키입력부(220)를 통하여 입력된 소정의(예를 들어, 부화면의 번호 등)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00)는 선택된 화면 조정 상태대로 영상을 수상관(700)의 전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40).
이상에서와 같이 동작되는 본 발명은, 부화면들에 시청자가 설정한 화면 조정 상태를 영상으로 제시하므로써, 각 화면 조정 상태들을 동시에 쉽게 비교하여 적절한 상태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화면 조정이 더욱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시청자에게 영상 화면을 보여주는 수단인 수상관(700)과, 상기 수상관의 화면에 부화면을 띄울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영상 프로세서(400)와, 시청자가 텔레비젼의 동작 모드를 입력 설정하는 수단인 키입력부(220)와, 텔레비젼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0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240)를 구비하며, 소정 양식의 화면 조정 신호에 따라 상기 수상관(700)에 나타나는 영상화면 상태가 조정되는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에서의 화면 조정 방법에 있어서: 시청자가 상기 키입력부(220)를 통하여 화면 조정 사항들을 각각 조합한 화면 조정 상태를 소정 개수 설정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240)에 저장하는 제 1 과정과, 시청자가 상기 키입력부(220)를 통하여 화면 조정을 하려는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00)는 상기 제 1 과정에서 저장된 화면 조정 상태에 대한 정보들을 액세스하여, 액세스되는 정보에 따라 각 부화면들의 영상 상태를 조정하여 상기 수상관(700)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2 과정(S20)과, 시청자가 상기 키입력부(220)를 통해 선택한 부화면의 화면 조정 상태대로 상기 수상관(700) 전체의 화면 영상을 조정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 3 과정(S4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에서 부화면을 이용한 화면 조정 방법.
KR1019970028426A 1997-06-27 1997-06-27 텔레비젼에서 부화면을 이용한 화면 조정 방법 KR199900043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8426A KR19990004339A (ko) 1997-06-27 1997-06-27 텔레비젼에서 부화면을 이용한 화면 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8426A KR19990004339A (ko) 1997-06-27 1997-06-27 텔레비젼에서 부화면을 이용한 화면 조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339A true KR19990004339A (ko) 1999-01-15

Family

ID=65987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8426A KR19990004339A (ko) 1997-06-27 1997-06-27 텔레비젼에서 부화면을 이용한 화면 조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43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424B1 (ko) * 2001-12-13 2004-08-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칼라변환계수 생성 칩셋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에이치디티브이시스템의 화질개선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424B1 (ko) * 2001-12-13 2004-08-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칼라변환계수 생성 칩셋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에이치디티브이시스템의 화질개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414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image quality by using moving image samples
US20080043031A1 (en) Picture adjustment methods and apparatus for image display device
US74280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screen
KR20050001057A (ko) 동시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247242B1 (ko) 평판디스플레이를 채용한 tv의 디지탈 특성 조정장치
KR20010033805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US5416534A (en) Monitor apparatus including video processing circuit for selecting image quality modes
JPH099171A (ja) 画像出力装置
US6515677B1 (en) Border display device
JP2002158941A (ja) 画質制御装置
EP0881842B1 (en) A device for providing a monitor output signal in a high-definition television
US55394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ifting a display position of a small-sized picture on a display screen of a television receiver
JPH0766992A (ja) Lcd画像再生装置
JPH077685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59544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9990004339A (ko) 텔레비젼에서 부화면을 이용한 화면 조정 방법
EP0603535A1 (en) Tuner signal switching apparatus
JP4948999B2 (ja) 調整パラメータの設定方法及び表示装置
KR19990004337A (ko) 텔레비젼의 화면 조정에서 메모리 이용 방법
KR0151057B1 (ko) 더블 와이드 텔레비젼에서 채널을 커서로 선택하는 방법
KR19990004338A (ko) 텔레비젼에서 화면 조정 사항에 따른 영상들의 제시 방법
JP3312631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5236387A (ja) テレビ受像機
JPH07162779A (ja) 多画面表示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S612477A (ja) 多画面表示テレビジヨン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