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3970A - Pdp-tv의 pip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Pdp-tv의 pip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3970A
KR19990003970A KR1019970027965A KR19970027965A KR19990003970A KR 19990003970 A KR19990003970 A KR 19990003970A KR 1019970027965 A KR1019970027965 A KR 1019970027965A KR 19970027965 A KR19970027965 A KR 19970027965A KR 19990003970 A KR19990003970 A KR 19990003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pip
sub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7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석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70027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3970A/ko
Publication of KR19990003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970A/ko

Links

Landscapes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DP텔레비젼에서 PIP(Picture In Picture)기능을 갖는 화면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텔레비젼의 PIP구현 신호처리와는 달리 PDP텔레비젼에 적합한 PIP를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튜너회로부에서 출력된 주신호와 부신호를 입력으로 한 PIP모듈부에 있어서, 아날로그 주신호는 바로 스위칭부로 인가되고, 부신호는 동기검파부에서 동기된 신호를 PLL부에서 입력 동기신호에 동기한 후, 샘플링 구간 설정부에서 수직·수평위치를 결정해서 디지탈신호로 메모리에 저장한 후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스위칭부로 인가된다. 또한, 메인튜너회로부에서 출력된 주신호는 동기검파되어 판독발생부로 인가되고, 동기된 주신호를 입력으로 한 판독발생부에서는 주화면의 일측부인 부화면의 영역에 영상신호가 있으면 블랭크 신호를 내보낸다. 이렇게 해서 스위칭부에서는 주화면에 대한 아날로그 영상신호와 부화면에 대한 아날로그 영상신호 그리고 블랭크의 아날로그 신호를 스위칭함으로서 간편하게 PIP를 구현할 수 있는 PDP-TV의 PIP기능을 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PDP-TV의 PIP 구동장치.(An apparatus for driving PIP of PDP-TV)
본 발명은 PIP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의 화면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튜너부에서 일정의 과정을 거쳐 출력된 주신호(Main Signal) 및 부신호(Sub Signal)의 아날로그 TV신호를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PIP모듈부에 인가하고, PIP모듈부에 인가된 주신호 및 부신호의 동기신호들을 검파해서 동기화된 영상신호 즉,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스위칭 함으로서 좀 더 쉽게 PDP-TV에서 PIP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PIP구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은 각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방송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화면에 해당하는 방송이 디스플레이 되는 것으로 방송국에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물의 영상은 화상 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화상 신호는 일정한 고주파에 실어서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게 된다. 상기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된 고주파는 각 가정에 설치된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어 텔레비전에 인가된다. 상기 텔레비전에 수신된 고주파는 튜너회로를 통해 수신되어 텔레비전에 인가된다. 상기 텔레비전에 수신된 고주파는 튜너회로를 통해 일정 주파수로 변환된 후 화상 신호 및 음성신호로 분리되어 일정한 단계를 거친 후 화상 신호는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고,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사용자가 채널 변환 스위치를 이용하여 텔레비전을 통해 수신할 방송채널을 선택하게 되면 화면에는 해당하는 방송국의 프로그램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상기 수신 안테나에 접속되는 튜너회로는 PIP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의 경우에 두 개의 튜너회로로 구성된다. 즉, 텔레비전의 전체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상신호를 수신하는 메인튜너회로와, 전체화면의 일측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상신호를 수신하는 서브튜너회로로 구성된다. 따라서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고주파는 메인튜너회로와 서브튜너회로에 동시에 인가되고, 메인튜너회로에 수신된 화상신호는 화면의 전체에 디스플레이 되고, 서브튜너회로에 수신된 화상신호는 PIP기능의 선택에 의해 나타나는 작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PIP기능을 갖는 화면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압축된 주화면의 영상신호를 원래의 영상신호로 복원하는 영상복호기1(10a)과, 도 2에 도시한, 가변장 부호화된 부화면 영상신호를 일정한 길이의 부호로 복원한 다음 특정 프레임(I-프레임)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로부터 주화면 및 부화면에 필요한 디지털값을 추출하여 축소된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복호기2(10b)와, 상기 영상복호기2(10b)에서 출력되는 축소된 영상데이터를 공급받고, 화면크기신호에 따라 그 영상데이터를 보간하거나 감쇄시켜 부화면의 영상데이터를 확대 또는 축소된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보간 및 감쇄기(12)와, 상기 보간 및 감쇄기(12)에서 출력되는 부화면의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6)와, 상기 영상복호기1(10a)에서 출력되는 주화면의 영상데이터와 메모리(16)에서 출력되는 부화면의 영상데이터를 합성하는 스위칭부(22)와, 부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크기신호 및 윈도우팬을 출력하는 마이크로컴퓨터(14)와, 상기 윈도우사이즈신호의 제어를 받아 유효한 부화면용 영상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상기 메모리(16)에 어드레스를 공급하는 어드레스 발생기(18)와, 상기 화면크기신호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22) 및 어드레스 발생기(18)에 타이밍신호를 공급하는 타이밍발생기(20)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제 3도 및 제 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압축된 영상 비트스트림(Bit Stream)은 A채널과 B채널로 동시에 입력된다고 가정한다. 이때, A채널과 B채널의 영상 비트스트림은 전송선로상으로 전송되어진 신호를 복조하여 에러정보를 정정하고, 트랜스포트 비트스트림에서 영상에 관한 정보만을 추출해낸 결과만을 일컫는다. A채널인 주채널 즉, 시청자가 주화면으로 보기를 원하는 화면에 대한 채널을 말하고, B채널은 부채널 즉, 시청자가 부화면으로 보기를 원하는 화면에 대한 채널을 말한다. 상기 B채널이 제 2도에서는 1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2개 이상 다수가 존재할 수 있다. 만일 PIP기능이 존재하지 않고 주채널의 영상만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A채널의 신호만이 영상복호기1(10a)을 통해 압축된 비트스트림이 원래의 영상신호로 복원된다. 상기 영상복호기1(10a)은 MPEG와 같은 방법으로 압축되어 있는 영상을 복호화하는 블록으로서 이는 어떤 공지된 복호기로도 대체될 수 있다.
부채널 즉, B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는 상기 영상복호기1(10a)의 축소형으로서 이의 구현 예를 제 2도에서 보여주고 있다. 제 2도에서, B채널의 영상신호는 가변장복호기(24)를 통하여 다른 복호기와 마찬가지로 일정한 길이의 부호로 복원되는데, 여기서 만일 영상신호가 움직임에 대한 보상을 해주는 부호화가 되어 있으면 그 가변장복호기(24)에서 움직임이 없는 프레임 즉, I-프레임에 대한 데이터만이 추출된다. 다시 말해서 MPEG의 경우와 같이 하나의 I-프레임 뒤에 여러 개의 P-프레임과 B-프레임(움직임보상프레임)들이 따라오게 되면 이들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들을 모두 제거해 버리고 I-프레임에 대한 데이터만을 추출해 낸다. 상기 가변장복호기(24)의 출력신호가 DC값보정기(26)에 공급되어 I-프레임에 대한 데이터 중에서 PIP에 필요한 DC값만 추출되는데, MPEG와 같은 경우에서는 8×8블록에 대한 DC값을 의미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가변장복호기(24)는 통상의 영상데이터 더 간단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게 되는데, 즉 움직임 보상에 관련된 회로가 불필요하게 되며 그로 인해 발생되는 부호 테이블 등이 불필요하며, 단지, I-프레임에 대한 데이터를 가변장 부호에서 복호해주는 테이블만을 필요로 하게된다. DC값은 통상적으로 가변장이 아닌 부호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DC값은 DC값보정기(26)에 의해 축소화된 영상데이터로 복원되는데 이때, 축소된 영상데이터는 DCT블록의 수평, 수직사이즈만큼 축소된 영상이며, MPEG의 경우에는 가로, 세로로 1/8만큼 축소된 영상데이터이다.
상기 가변장복호기(24)의 동작원리는 제 4도와 같으며, 이 원리는 어떠한 기존의 가변장복호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픽처헤더(Picture Header)를 체크하여 I-프레임인지를 확인하여 I-프레임 데이터이면 가변장복호기(24)를 통하여 가변장복호를 복원하고, 아니면 계속해서 그 다음의 픽쳐헤드를 체크하여 I-프레임이 검출될 때까지 스킵한다. 상기의 가변장복호화 과정을 종료한 후 DC값만을 추출하기 위하여 DC값인지를 확인해서 DC값이 아니면 데이터를 소거하고 DC값이면 출력한다.
영상복호기2(10b)를 통해 출력되는 축소된 영상데이터는 보간 및 감쇄부(12)에 공급되어 부화면의 사이즈가 조정된다. 즉, 생산과정에서 큰 사이즈의 화면을 원할 경우에는 보간(Interpolation)과정을 통해 축소된 데이터를 좀더 큰 사이즈의 영상데이터로 복원시키고 작은 사이즈의 화면을 원할 때에는 다시 감쇄시키게 된다.
이때, 보간은 단순히 줌을 이용하거나 인접 화소간의 연산과정을 통해 계산해 낼 수 있으며, 이때 적용되는 보간과 감쇄회로는 어떠한 공지기술로서도 가능하다. 이렇게 원하는 사이즈의 영상데이터가 만들어지면 이는 메모리(16)에 저장되는데, 이 메모리에 저장된 작은 사이즈의 부화면 데이터는 스위칭부(22)에 의해 영상복호기1(10a)로부터 입력되는 주화면의 영상데이터와 합성된다.
이때, 상기 스위칭부(22)는 타이밍발생기(20)에서 출력되는 타이밍신호에 의해 제어되는데, 그 타이밍발생기(20)는 주화면용 영상신호와 부화면 영상신호의 스위칭되는 시점을 결정해 주고, 동시에 어드레스발생기(18)에서 메모리(16)의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출력하는 어드레스의 발생시점을 결정해준다.
마이크로컴퓨터(14)는 생산자와 사용자가 원하는 윈도우 팬(Window pan) 즉, 부화면 영상의 위치와 화면크기 즉, 부화면의 크기와 정보들을 출력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타이밍발생기(20)측으로 출력하고, 그 타이밍발생기(20)에서는 부화면 영상데이터가 삽입되는 타이밍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4)는 상기 보간 및 감쇄기(12)에 윈도우의 사이즈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사이즈의 부화면용 영상데이터를 생성토록 하고, 상기 타이밍발생기(20)에도 그 사이즈정보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그 타이밍발생부에서 출력되는 해당 타이밍신호에 의해 상기 메모리(16)에서 유효한 부화면의 영상데이터가 출력된다.
MPEG와 같은 I-프레임 뒤에 P-프레임이나 B-프레임이 연속해서 따라오는 경우에는 P-프레임이나 B-프레임은 제거되기 때문에 I-프레임을 축소한 영상이 다음 I-프레임을 축소한 영상이 다음 I-프레임이 발생될 때까지 중복하여 출력된다. 이때, 상기 메모리(16)에 이미 I-프레임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원하는 만큼의 프레임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제 1도에서 보간 및 감쇄기(12)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제 4도에서와 같이 영상복호기의 출력을 그대로 일정용량의 램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기록된다.
그리고, 2배의 줌영상일 경우 상기 어드레스발생기(18)는 한 어드레스의 데이터를 중복하여 읽어내도록 어드레스를 발생시키고, 1/2로 축소시킬 경우에는 그 메모리(16) 내의 어드레스를 하나씩 건너 뛰어서 발생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화면을 2배로 줄이거나 확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40″이상의 대형화와 칼라화가 쉬우며 넓은 시야각을 갖는 등 다른 평판 소자보다 유리한 특징을 갖고 있는 PDP-TV는 종래의 CRT와는 그 구동 방법이 상이하므로 상기와 같은 PIP구현 방법을 그대로 적용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방송국에서 PIP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에 송신하는 주신호 및 부신호를 PIP모듈부로 인가하고 PIP모듈부에 인가된 아날로그 주신호와 아날로그 부신호 및 부화면에 영상신호가 있을 때 출력시키는 블랭크신호를 스위칭함으로서 좀 더 쉽게 PIP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PIP기능을 갖는 PDP-TV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텔레비전의 PIP구현에 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복호기2의 상세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변장복호기의 동작원리에 대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DP텔레비전에서 PIP구현에 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5는 도 5에 나타낸 PIP모듈부에 관한 상세도.
도 6은 도 6에 나타낸 PIP모듈에서 위상동기루프부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8 : PIP구동 회로부 28a : PIP모듈부
28b : 비디오 디코더 28d : 신호 전환부
30 : 메모리부 30a : 쉬프트 레지스트부
32 : 멀티플렉스 36 : 동기 검파부
38 : PLL부 40 : 샘플링 구간 설정부
42 : 판독발생부 44 : 어드레스 발생부
46 : 신호 컨버터부 48 : 스위칭부
58 : 신호 제어부
우선 본 발명의 구성은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메인튜너회로를 거친 주화면에 대한 신호와 서브튜너회로를 거친 부화면에 대한 신호를 입력 신호로해서 PIP를 구현하는 즉, 본 발명에서 핵심부인 PIP모듈부,
PIP모듈부에서 일정의 과정을 거쳐 출력된 신호를 입력으로 받아서 RGB(청,녹,적)신호의 포맷으로 전환하고, 해상도를 결정하는 비디오 디코더부,
상기 비디오 디코더부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ADC(Analog / Digital Converter)부,
상기 ADC에서 출력된 디지탈신호 즉, 비월모드에 대한 신호를 순차모드 신호로 전환하는 라인더블러부와, 시청자가 원하는 해상도로 전환할 수 있게 한 리사이징부로 구성된 신호전환부,
신호전환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쉬프트 시키고 프레임메모리A, B를 사용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서 인가된 영상신호를 데이터스트림으로 출력되게 하는 멀티플렉스부(Multiplex)와 PDP부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텔레비전 방송국으로부터 PIP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에 송신되는 아날로그 TV신호 즉, 주화면의 영상신호와 부화면의 영상신호가 메인튜너회로와 서브튜너회로를 거쳐 일정한 신호로 전환되어 PIP모듈부(28a)에 인가된다. 본 발명에서 핵심부인 PIP모듈부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상기 PIP모듈부(28a)로 인가된 주화면의 영상신호와 부화면의 영상신호는 제 1동기 검파부(36)와 제 2동기 검파부2(36b)에서 검파되어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로 출력된다. 제 2동기 검파부(36b)에서 출력된 신호는 위상동기루프부(PLL : 38)로 인가되고, 위상동기루프부(38)는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입력 동기 신호의 위상(Reference)루프에서 출력된 가변 펄스의 위상을 비교하는 위상검파부( 50), 전압제어발생기(VCO : 54)의 제어전압을 출력하는 루프필터부(52), 제어전압에 의해 발진하는 전압제어발생기(54), 그리고 전압제어발생기의 출력을 분주하여 위상 비교펄스를 출력하는 프로그래머블 카운터(PC:56)로 구성되어, 입력 동기신호에 동기된 클럭을 출력한다. 만약 입력 동기 신호에 동기된 클럭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수직 직선성(Vertical Linearity)이 보장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의 위상동기루프부(38)에서 출력된 동기 클럭신호와 제 1동기 검파부(36a)의 수평 영상신호는 샘플링구간 설정부로 인가된다. 샘플링 구간은 수직위치와 수평위치로 설정하며, 수직 위치 구간은 입력 신호중 영상 정보가 있는 라인만을 설정하는 펄스이고, 수평 위치 구간은 수직 위치로 설정된 라인중 영상 정보가 있는 시간만을 설정하는 펄스이다. 상기의 수직 위치구간과 수평 위치구간은 샘플링을 하는 기준이 된다. 본 시스템에서 설정한 수직 위치구간은 홀수/짝수 필드 각각 240라인씩, 총 480라인이 선택된다. 수평 위치구간은 선택된 라인마다, 최소 640개의 샘플링 클럭이 존재할 수 있는 시간이 되어야 한다.
한편, 튜너회로에서 출력된 부신호와 샘플링구간 설정부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들은 A/D컨버터부(46a)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부(46a)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다시 D/A컨버터부(46c)에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된다. 또한, 제 1동기 검파부(36a)에서 출력된 신호들은 판독발생부(42)로 인가되며, 주화면에 대한 판독발생부에서 부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키는 부분은 블랭크신호를 출력시킨다. 따라서, 스위칭부(48)에서는 주화면의 아날로그 영상신호와 부화면의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스위칭해서 비디오 디코더부(28b)로 인가한다.
비디오 디코더부(28b)에서는 상기의 아날로그 신호를 RGB 24비트로 출력되게 하고, 이때 해상도는 640×480, 720×480 또는 853×480 등으로 선택해서 출력되게 한다. 상기 비디오 디코더부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는 비월모드 방식이므로 신호전환부(28)의 라인더블러부(28e)는 순차모드의 신호로 전환하는 기능을 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각각의 화면에 대한 주사방식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음극선관은 한 화면을 주사하는 데 한 줄 건너 두 번의 주사로 전체의 면을 주사하는 방식 즉, 1 회째는 홀수 필드를 주사하고, 두 번째는 짝수필드를 주사하여 하나의 화면을 만들어 내는 비월 주사방식이고, PDP-TV의 계조 방식은 비월 주사와는 대비적으로 일시에 한 라인을 구동해야하는 순차 주사방식을 채용하므로 라인더블러부에서 모드를 전환하게된다. 또한, 이렇게 함으로서 순차 주사방식인 멀티기능을 내장한 컴퓨터의 모니터와도 호환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리사이징부(Resizing : 28f)는 비디오 디코더부(28b)에서 출력되는 해상도를 시청자가 원하는 해상도로 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예를들어, 비디오 디코더부(28b)에서 출력되는 해상도가 640×480인데 시청자가 720×480의 해상도로 보고자 할 때 리사이징부(28f)는 마이컴(도시안됨)에서 720×480의 해상도로 제어해서 선택하게된다. 이렇게 선택된 신호전환부의 출력신호는 쉬프트 레지스트부(30a)로 인가된다.
쉬프트 레지스트부(30a)는 쉬프트 레지스터, D-FF(플립플롭) 멀티플렉서, 그리고 3-상태 버퍼(Tri-State Buffer)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가중치(Weight)별로 디스플레이 시키므로 병렬(Most Significant Bit∼Least Significant Bit)로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의 한 어드레스에 동일한 가중치를 갖는 비트들로 저장되도록 데이터를 재배열(Reordering)한다. 즉, 병렬로 입력된 데이터를 직렬로 출력하는 데이터의 재배열기능을 한다. 상기의 데이터는, 쉬프트 레지스트부에서 2개의 쉬프트 레지스트로 나누어 한쪽이 8개 샘플(Sample)의 영상 데이터를 로드하는 동안, 다른쪽은 이전에 로드되었던 8개 샘플의 영상 데이터를 최상위 8비트부터 최하위 8비트까지 순차적으로 쉬프트하면서 출력한다. 즉, 영상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재배열하기 위해, 쉬프트 레지스트 2개를 교번으로 로드와 쉬프트동작을 반복하도록 한다. 또한, 한 장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프레임 메모리 2개를 마련하여 이들이 프레임 단위로 쓰고, 읽는 동작을 교번으로 수행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저장,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2개의 3-상태 버퍼는 D-FF 멀티플렉서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라이트 모드(Write Mode)에 있는 프레임 메모리로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어드레스 발생부(44)에서는, 본 시스템이 비월방식으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순차방식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므로, 기록(Write) 주소지정(Addressing)과 판독(Read) 주소지정의 순서가 다르게된다. 즉, 메모리에 저장된 1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는 1라인 분량의 Odd 라인 데이터 판독 후, Even 라인 데이터 기록을 반복 수행하게된다. 또한, PDP 계조 처리 상, 1 필드를 몇 개의 서브필드로 나누고, 각 서브필드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차례로 판독하여 PDP부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부로 제공하여야 하므로, 기록순서와는 구조적으로 아주 다른 판독순서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기록 발생기와 판독 발생기가 필요하며, 주소 선택(Address Selector)은 프레임 메모리 A, B의 각 동작모드(기록, 판독 모드)에 따라 해당 어드레스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의 과정에 의해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들은 교번으로 읽고 쓰는 기능에 의해서 멀티플렉스부로 인가되어 데이터 스트림으로 출력되며, 출력된 데이터는 PDP부(34)에 인가된다. PDP부에서는 한 라인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기입하고, 기입한 후 데이터를 빠른 주파수로 교번으로 켜 주게끔 되어서 한 장의 주화면과 부화면을 만들어 낸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은 PDP 텔레비전의 수상기에서 PIP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PIP모듈부는 주화면에 대한 아날로그 영상신호와 일정의 과정을 거친 부화면에 대한 아날로그 영상신호 및 부화면에 대한 블랭크신호를 스위칭함으로서 좀더 쉽게 PIP를 구현할 수 있게 하며, 또한, 라인더블러부는 음극선관의 비월 주사방식을 PDP-TV에서 채용한 순차 주사방식으로 전환해서 PC와의 호환도 용이하게 하며, 리사이징부는 시청자가 원하는 해상도(Resolution)로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방송국에서 송신되는 주신호는 수상기의 주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부신호는 수상기의 일측부에 해당하는 부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키므로서 한 화면으로 2채널을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복합영상신호의 입력부와 PIP구동부, 메모리부, 멀티플렉스부 및 PDP부로 구성된 PIP기능을 갖는 PDP-TV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PIP구동부(28)는, 주화면에 대한 아날로그 영상신호와 부화면에 대한 아날로그 영상신호 및 부화면에 대한 블랭크신호를 스위칭부에서 스위칭하는 PIP모듈부(28a), 상기 PIP모듈부의 신호를 RGB신호로 전환하고, 일정한 해상도를 갖는 포맷으로 전환하는 비디오 디코더부(28b), 상기 비디오 디코더부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는 ADC부(28c), 상기 ADC부에서 출력된 비월 주사신호를 순차 주사신호로 전환하는 라인더블러부(28e)와 비디오 디코더부에서 출력되는 일정의 해상도를 시청자가 원하는 해상도로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리사이징부(28f)로 이루어진 신호전환부(28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TV의 PIP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IP모듈부(28a)는 튜너회로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로 검파하는 동기 검파부(36), 상기의 동기검파부에서 출력된 부신호를 입력 동기신호에 동기된 클럭으로 출력하는 위상동기루프부(38)와 상기의 클럭으로 수직·수평위치를 설정하는 샘플링구간 설정부(40), 동기검파된 주신호를 판독하는 판독 발생부(42) 및 어드레스 발생부(44)로 이루어진 신호제어부(50), 상기의 신호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전환하는 컨버터부(46) 및 스위칭부(4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TV의 PIP구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의 신호 컨버터부(46)는 샘플링구간 설정부(40)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튜너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부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A/D컨버터부(46a)와 상기의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46b) 및 메모리에 저장한 영상신호를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컨버터(46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TV의 PIP구동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의 스위칭부(48)는 주신호에 대한 영상신호와 신호컨버터부에서 출력되는 부신호의 영상신호 및 부화면의 블랭크신호를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TV의 PIP구동장치.
KR1019970027965A 1997-06-27 1997-06-27 Pdp-tv의 pip 구동장치 KR199900039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965A KR19990003970A (ko) 1997-06-27 1997-06-27 Pdp-tv의 pip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965A KR19990003970A (ko) 1997-06-27 1997-06-27 Pdp-tv의 pip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970A true KR19990003970A (ko) 1999-01-15

Family

ID=6598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7965A KR19990003970A (ko) 1997-06-27 1997-06-27 Pdp-tv의 pip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39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866B1 (ko) * 2000-11-24 2002-09-12 엘지전자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영상 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866B1 (ko) * 2000-11-24 2002-09-12 엘지전자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영상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38048B2 (ja) フィールド形式整合システム
CA2241457C (en) High definition television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plural images contained in broadcasting signals of mutually different broadcasting systems
US20020033899A1 (en) Multi-screen display appartus and video switching processing apparatus
JP3617573B2 (ja) フォーマット変換回路並びに該フォーマット変換回路を備えた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4568468B2 (ja) 2つの異なるビデオプログラムを同時に記録及び表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657734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izing an analog video signal
JPH05183833A (ja) 表示装置
JP3068988B2 (ja) インターレース型及びノンインターレース型ビデオ信号表示装置
MXPA02008943A (es) Metodo y aparato para grabar y desplegar en forma simultanea dos diferentes programas de video.
KR100394288B1 (ko) 제1및제2수신비디오신호의비디오픽쳐디스플레이방법과비디오디스플레이장치
CN101461232B (zh) 共享存储器多视频通道显示装置和方法
KR19990003971A (ko) Pdp-tv의 pip 구동장치
KR19990003970A (ko) Pdp-tv의 pip 구동장치
KR100385975B1 (ko) 비디오 포맷 변환장치 및 방법
CN101461233A (zh) 共享存储器多视频通道显示装置和方法
JPH11239347A (ja) 画像データ符号化装置及び画像データ符号化方法
KR100253228B1 (ko) 디지탈 위성방송 수신기의 더블화면 디스플레이장치
KR0176914B1 (ko) 2화면 표시기능을 갖는 화면 종횡비 변환장치
KR100413471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영상 처리 장치
JP3712287B2 (ja) ビデオ画像表示方式
JPS61208981A (ja) 2画面表示機能付高画質テレビジヨン受信機
JP2545631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EP0838944A1 (en) TV receiver with teletext function
JPH0998393A (ja) 文字多重放送用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50107694A (ko) 영상 재생 시스템의 화면 모드 절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