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3873U - 교통 신호등 - Google Patents

교통 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3873U
KR19990003873U KR2019980016474U KR19980016474U KR19990003873U KR 19990003873 U KR19990003873 U KR 19990003873U KR 2019980016474 U KR2019980016474 U KR 2019980016474U KR 19980016474 U KR19980016474 U KR 19980016474U KR 19990003873 U KR19990003873 U KR 199900038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traffic
traffic light
bulb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6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욱
허성관
Original Assignee
김성욱
허성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욱, 허성관 filed Critical 김성욱
Priority to KR2019980016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3873U/ko
Publication of KR199900038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873U/ko

Link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통신호등의 투광각도가 넓고 낮과 밤에 따라 불빛을 조절할수 있도록한 것이다.
즉, 투광렌즈(2)를 결합한 교통신호등본체(1)내에 전구소켓(4)과 반사경(3)이 장착되어 교통신호를 표시하는 통상의 신호등에 있어서, 상기의 투광렌즈(2)는 하나의 볼록렌즈부(2a) 외주면에 다수의 소형볼록렌즈부(2b)를 일체로 형성시킨 다초점방식으로 구성하며 상기의 전구소켓은 2개의 전구소켓(4)(4')을 구비하여 각각 전구(5)(5')를 끼우고 일측에 조도감지센서(6)를 설치하여 조도감지센서(6)의 전달신호에 의해 자동점등되어 선택적으로 불빛을 조절할수 있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이다.

Description

교통신호등
본 고안은 교통신호등의 투광각도가 넓고 낮과 밤에 따라 불빛을 조절할수 있도록한 것이다.
종래의 교통신호등은 단일초점방식의 투광렌즈를 사용하여 차량 및 보행자에게 교통신호를 표시하여 주기 때문에 불빛의 투광각도가 좁고 반사효율이 떨어질뿐만 아니라 높은 위치에 설치된 교통신호등을 바라볼 때 근거리에서는 투광각도의 사각지대가 발생하여 교통신호의 식별에 어려움이 많았다.
또, 신호등 주변의 조도에 관계없이 야간에도 항상 일정한 불빛을 비춰주므로 맑은날 주간에는 교통신호등 식별에 어려움이 많고 야간에는 필요이상으로 밝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많았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통신호등의 투광렌즈는 하나의 볼록렌즈부 외주면에 다수의 소형볼록렌즈부를 형성시킨 다초점방식으로 구성하여 반사효율을 향상시키고 투광각도가 넓어지게 하였으며 단일반사경에 2개의 전구를 설치하여 조도감지센서에 의해 전달된 신호에 의해서 2개의 전구가 동시에 점등되거나 1개의 전구만이 점등되는 방식으로 불빛세기를 자동으로 조절할수 있도록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교통신호등의 불빛제어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통신호등본체 2 : 투광렌즈
2a,2b : 볼록렌즈부 3 : 반사경
4,4' : 전구소켓 5,5' : 전구
6 : 조도감지센서
투광렌즈(2)를 결합한 교통신호등본체(1) 내에 전구소켓(4)과 반사경(3)이 장착되어 교통신호를 표시하는 신호등을 구성하되 상기 투광렌즈(2)는 하나의 볼록렌즈부(2a) 외주면에 다수의 소형볼록렌즈부(2b)를 일체로 형성시킨 다초점방식으로 구성하며, 상기 전구소켓은 2개의 전구소켓(4)(4')을 구비하여 각각 전구(5)(5')를 끼우고 일측에 조도감지센서(6)를 설치하여 조도감지센서(6)의 전달된 신호에 의해 2개의 전구가 동시에 점등되거나 1개의 전구만이 선택적으로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도 1에서와 같이 전구(5)에서 발생한 불빛이 반사경(3)을 통해 투광렌즈(2)의 1차볼록렌즈부(2a)와 다수의 2차 소형볼록렌즈부(2b)로 전달되므로 반사효율을 증가시켜 빛의 밝기를 높여주게 되고 다초점방식으로 불빛의 투광각도가 커져서 비교적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교통신호등의 교통신호를 원거리나 근거리에서 모두 용이하게 식별할수 있게된다.
또, 도 2에서는 2개의 전구(5)(5')가 설치되어 조도감지센서(6)에 의해 맑은날 주간에는 2개의 전구가 동시에 점등되어 밝은 불빛으로 교통신호식별을 용이하게 하고 어두운 야간이나 흐린날에는 1개의 전구만을 점등시키더라도 교통신호확인을 할수 있게 되므로 전기소비를 줄일수 있게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교통신호등은 다초점방식의 투광렌즈에 반사효율이 향상되고 투광각도가 넓어져서 교통신호 식별이 용이하며 주·야간의 교통신호등의 조도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불빛이 조절되므로 전기소비를 줄일수 있게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투광렌즈(2)를 결합한 교통신호등본체(1)내 전구소켓(4)과 반사경(3)이 장착되어 교통신호를 표시하는 통상의 신호등에 있어서, 상기의 투광렌즈(2)는 하나의 볼록렌즈부(2a) 외주면에 다수의 소형볼록렌즈부(2b)를 일체로 형성시킨 다초점방식으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전구소켓은 2개의 전구소켓(4)(4')을 구비하여 각각 전구(5)(5')를 끼우고 일측에 조도감지센서(6)를 설치하여 조도감지센서(6)의 전달신호에 의해 자동점등되어 선택적으로 불빛을 조절할수 있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KR2019980016474U 1998-08-29 1998-08-29 교통 신호등 KR1999000387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474U KR19990003873U (ko) 1998-08-29 1998-08-29 교통 신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474U KR19990003873U (ko) 1998-08-29 1998-08-29 교통 신호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873U true KR19990003873U (ko) 1999-01-25

Family

ID=69510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6474U KR19990003873U (ko) 1998-08-29 1998-08-29 교통 신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387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1836B2 (en) 2014-10-16 2017-08-0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tructure and formation method of damascene structure
KR20190033240A (ko) * 2017-09-21 2019-03-29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신호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1836B2 (en) 2014-10-16 2017-08-0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tructure and formation method of damascene structure
KR20190033240A (ko) * 2017-09-21 2019-03-29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신호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1844B2 (en) Optical module and automobile lamp
US6280480B1 (en) Indirect illumination taillamp assembly for a vehicle
EP2058584B1 (en) Lighting fixtures with LED lights for illumination of outside public areas
JP2010067415A (ja) Led照明灯具
CA2497545A1 (en) Compact light emitting diode retrofit lamp and method for traffic signal lights
JP2006049232A (ja) 車両用灯具
US10876702B2 (en) Dual light sources having similar solor temperatures and different spectral characteristics
KR101007772B1 (ko) 엘이디가 장착된 시선유도표지
KR19990003873U (ko) 교통 신호등
ATE296991T1 (de) Einbauleuchte mit einem domförmigen reflektor
CN112902099A (zh) 一种具有弯道照明功能的车灯
KR200285063Y1 (ko) 고휘도 엘이디를 이용한 엘이디후레쉬
KR200389317Y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등기구
KR20000030723A (ko) 발광다이오드 교통신호등용 렌즈체 및 이를 포함하는발광다이오드 교통신호등
TWI816531B (zh) 多光源照明模組及其汽車燈具
JPH09330495A (ja) 交通信号灯
CN218379244U (zh) 光学模块、用于车辆的前照灯和车辆
KR101361261B1 (ko) 엘이디용 렌즈장치
CN212510950U (zh) 一种自行车灯具的照明配光系统及自行车车灯
CN214306916U (zh) 一种具有弯道照明功能的车灯
CN219655904U (zh) 远光安全传感装置
CN218119638U (zh) 一种高辨识度的雾灯
KR0145819B1 (ko) 자동차용 헤드 램프
KR200249377Y1 (ko) 가로등 램프
CN2515524Y (zh) 中央光洁的封闭式照明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