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3609U - 전자파 제거용 자기코어 - Google Patents

전자파 제거용 자기코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3609U
KR19990003609U KR2019970017207U KR19970017207U KR19990003609U KR 19990003609 U KR19990003609 U KR 19990003609U KR 2019970017207 U KR2019970017207 U KR 2019970017207U KR 19970017207 U KR19970017207 U KR 19970017207U KR 19990003609 U KR19990003609 U KR 199900036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magnetic core
core
cable bundle
electromagnetic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72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민구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700172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3609U/ko
Publication of KR199900036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609U/ko

Links

Landscapes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파 제거용 자기코어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1)을 감싸는 코어(3)와, 상기 코어(3)의 양측에 형성된 관통구멍(3a)을 통과하되, 한 쪽 끝부분에는 걸림부재(5)가 연결되어 있고, 다른 쪽 끝부분에는 손잡이고리(7)가 연결되어 있으며, 중간부위에는 상기 케이블(1)이 통과한 후 묶여지도록 밴드(9)에 의해 올가미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묶음줄(11) 및, 상기 케이블묶음줄(11)이 당겨진 후 풀어지지 않고 항상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케이블묶음줄(11)에 설치된 당김수단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고압케이블 주위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제거하기 위해 고압케이블에 자기코어를 설치할 때, 작업자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자기코어를 고압케이블에 설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파 제거용 자기코어(A ferrite core for removing electromagnetic wave)
본 고안은 전자파 제거용 자기코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압케이블 주위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제거하기 위해 고압케이블에 자기코어를 설치할 때, 작업자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고압케이블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전자파 제거용 자기코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전압을 필요로 하는 모니터의 수상관은 주로 내장된 회로기판에 실장된 플라이백트랜스포머에 의해 고전압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는 바, 이 플라이백트랜스포머는 1 차 코일에서 발생된 전압을 승압하여 수상관에 제공되는 직류고전압인 애노드전압과, 이 애노드전압보다는 약간 낮은 전압값을 가지며, 수상관의 후방에 형성된 비디오회로기판에 제공되는 포커스 전압 및, 스크린 전압을 발생시킨다.
이와같이 발생된 전압은 각각 접속케이블을 매개로 해당 목적지로 전달되어지는데, 통상적으로, 고전압인 애노드전압은 수상관의 후면에 접속된 애노드단자와 연결된 애노드케이블을 통해 전달되어지고, 포커스전압과 스크린 전압은 플라이백트랜스포머에 접속된 포커스케이블과 스크린케이블을 매개로 모니터 수상관의 전자총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비디오회로기판으로 인가되어진다.
그런데, 수상관에 홀로 접속되는 애노드케이블과 달리, 상기 포커스케이블과 스크린케이블은 나란하게 비디오회로기판에 연결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에 전류가 흐르면서 케이블 주위에 발생된 자기장은 케이블 간에 상호작용되고, 그 결과, 그 자기장의 세기의 정도가 더욱 커지게 됨으로써, 회로기판에 실장된 전자부품 간에 교환되는 전기적 신호를 안정화시키지 못하고 정상적인 전기적 신호를 방해하는 전자파를 발생시키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파를 제거하기 위해 케이블을 감싸는 자기코어를 설치하여, 더 이상 케이블의 주변에 전자파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는 모니터의 회로기판(50)에 실장된 플라이백트랜스포머(51)에 포커스케이블(52)과 스크린케이블(53)이 나란하게 병렬로 접속되어 있고, 이 케이블(52,53)에 자기코어(54)가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자기코어(54)를 케이블(52,53)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자기코어(54)의 중심부에 상기 케이블(52,53)을 통과시킨 다음, 케이블(52,53)에 자기코어(54)를 케이블타이(55)로 묶어야 되는데, 이러한 조립 과정은 복잡하여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이러한 조립 과정은, 우선 자기코어(54)의 내주면 일측부에 상기 케이블(52,53)을 밀착시킨 후, 자기코어(54)의 중공부위에 케이블타이(55)를 통과시키는 과정과, 통과된 케이블타이(55)의 꼬리(55a) 선단부위를 머리부(55b)의 걸림구멍(55c)에 끼워 넣어서 잡아당기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어, 그 과정이 번거로와 작업자가 용이하게 케이블(52,53)에 자기코어(54)를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자기코어(54)의 중공부위에 케이블타이(55)를 통과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자기코어(54) 내의 케이블(52,53)이 두 개이상일 경우, 상기 케이블타이(55)의 통과 가능 면적이 더욱 좁아져 조립과정이 더욱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압케이블에 주위에 설치되는 자기코어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전자파 제거용 자기코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케이블을 감싸는 코어와, 상기 코어의 양측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과하되, 한 쪽 끝부분에는 걸림부재가 연결되어 있고, 다른 쪽 끝부분에는 손잡이 고리가 연결되어 있으며, 중간부위에는 상기 케이블이 통과한 후 묶여지도록 밴드에 의해 올가미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묶음줄 및, 상기 케이블묶음줄이 당겨진 후 풀어지지 않고 항상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케이블묶음줄에 설치된 케이블당김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한 기술 구성에 의하면, 케이블묶음줄을 이용하여 케이블을 올가미식으로 묶고, 케이블당김수단으로 묶음줄이 풀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자는 케이블에 자기코어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파 제거용 자기코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묶음줄을 당기는 당김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케이블에 자기코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당김수단이 작동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당김수단이 작동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기술 구성에 따라 자기코어가 케이블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케이블 3-코어
5-걸림부재 7-손잡이고리
9-밴드 11-케이블묶음줄
17-몸체 23-끼움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파 제거용 자기코어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자기코어는, 케이블(1)을 감싸는 코어(3)와, 상기 코어(3)의 양측에 형성된 관통구멍(3a)을 통과하되, 한 쪽 끝부분에는 걸림부재(5)가 연결되어 있고, 다른 쪽 끝부분에는 손잡이고리(7)가 연결되어 있으며, 중간부위에는 상기 케이블(1)이 통과한 후 묶여지도록 밴드(9)에 의해 올가미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묶음줄(11) 및, 상기 케이블묶음줄(11)이 당겨진 후 풀어지지 않고 항상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케이블묶음줄(11)에 설치된 당김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케이블묶음줄(11)은 탄성있는 끈, 예컨대, 고무줄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당김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 자 형태로 일측이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부(13)의 양측벽부(15)에 상기 케이블묶음줄(11)이 통과하는 통과구멍(15a)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7)와, 상기 몸체(17)의 양측벽부(15)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5b)을 따라 활주하도록 양외측면에 가이드돌기(19)가 돌출되어 있고, 상단부에 걸림판(21)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17)의 개구부(13)사이로 끼워들어가 상기 케이블묶음줄(11)이 상기 몸체(17)에 고정되게 하는 끼움부재(2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기술 구성에 의해, 상기 코어(3)를 케이블(1)에 설치하는 작업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케이블(1)을 상기 코어(3)의 중공부에 통과시키되, 상기 케이블묶음줄(11)의 올가미에 걸리도록 통과시킨다.
다음에 상기 케이블묶음줄(11)의 손잡이고리(7)를 잡아당기면, 상기 올가미에 의해 케이블(1)이 죄이면서 완전히 묶여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묶음줄(11)이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끼움부재(23)를 상기 몸체(17)에 끼우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는 바, 상기 케이블묶음줄(11)은 상기 걸림부재(5)와 상기 당김수단에 의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한 채 상기 케이블(1)을 견고하게 묶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상기 당김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a는 상기 끼움부재(23)가 상기 몸체(17)에 완전히 끼워지기 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케이블묶음줄(11)이 팽팽하게 당겨져 있고, 상기 끼움부재(23)의 가이드돌기(19)는 상기 몸체(17)의 가이드홈(15b)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몸체(17)의 양측벽부(15)가 이 끼움부재(23)의 가이드돌기(19)에 의해 약간 벌려진 상태로 있다. 즉, 상기 몸체(17)와 상기 끼움부재(23)는 서로 가압접촉하는 상태로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상태에서 몸체(17)에 끼움부재(23)를 완전히 끼워넣으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는 바, 상기 끼움부재(23)의 가이드돌기(19)는 상기 통과구멍(15a)에 걸리게 되고, 상기 케이블묶음줄(11)은 상기 끼움부재(23)에 의해 압착된 상태로 있게 되어, 상기 당김수단은 상기 케이블묶음줄(11)의 장력을 유지한 채 케이블묶음줄(11)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기술 구성에 의하면, 케이블(1)에 코어(3)를 설치하기 위해 단지 상기 손잡이고리(7)를 잡아당긴 후, 상기 당김수단을 조작하면 되므로, 그 조립작업이 용이해진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전자파 제거용 자기코어에 의하면, 케이블에 자기코어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향상된 데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케이블(1)을 감싸는 코어(3)와,
    상기 코어(3)의 양측에 형성된 관통구멍(3a)을 통과하되, 한 쪽 끝부분에는 걸림부재(5)가 연결되어 있고, 다른 쪽 끝부분에는 손잡이고리(7)가 연결되어 있으며, 중간부위에는 상기 케이블(1)이 통과한 후 묶여지도록 밴드(9)에 의해 올가미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묶음줄(11) 및,
    상기 케이블묶음줄(11)이 당겨진 후 풀어지지 않고 항상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케이블묶음줄(11)에 설치된 당김수단으로 이루어진 전자파 제거용 자기코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묶음줄(11)이 탄성있는 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제거용 자기코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수단이, ㄷ 자 형태로 일측이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부(13)위의 양측벽부(15)에 상기 케이블묶음줄(11)이 통과하는 통과구멍(15a)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7)와,
    상기 몸체(17)의 양측벽부(15)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5b)을 따라 활주하도록 양외측면에 가이드돌기(19)가 돌출되어 있고, 상단부에 걸림판(21)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17)의 개구부(13)사이로 끼워들어가 상기 케이블묶음줄(11)이 상기 몸체(17)에 고정되게 하는 끼움부재(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제거용 자기코어.
KR2019970017207U 1997-06-30 1997-06-30 전자파 제거용 자기코어 KR199900036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207U KR19990003609U (ko) 1997-06-30 1997-06-30 전자파 제거용 자기코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207U KR19990003609U (ko) 1997-06-30 1997-06-30 전자파 제거용 자기코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609U true KR19990003609U (ko) 1999-01-25

Family

ID=69671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7207U KR19990003609U (ko) 1997-06-30 1997-06-30 전자파 제거용 자기코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360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05342A (ja) 横型コイル部品及びボビン、並びに巻線端末の接続固定方法
KR19990003609U (ko) 전자파 제거용 자기코어
JPH0714637A (ja) 高圧ケーブル用の封止部付き接続部材を具えている装置
KR0121523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포커스 케이블의 노이즈 방지용 코아 결합장치
KR0121524Y1 (ko)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 포커스 케이블의 노이즈 방지용 코아 결합장치
FI93406B (fi) Ruuviton liitoskiristin
KR19980024490U (ko) 플라이백트랜스포머 접속케이블의 전자파 제거 구조
JPH08273954A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ファーマー(fbt)の同期ケーブル結合装置
KR0128579Y1 (ko) 플라이 백 트랜스 포머의 포커스 유니트 리드선 결합장치
KR200258817Y1 (ko) 편향요크의터미널보드고정장치
KR200228981Y1 (ko) 편향요크의 터미널보드
KR100308738B1 (ko) 안정기의 이엠아이 필터
KR0133218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애노드 와이어 고정용 고정돌기의 설치구조
KR200160631Y1 (ko) 플라이 백 트랜스 단자핀 고정구조물
KR200179765Y1 (ko) 편향요크의 보빈캡 조립체
KR200154841Y1 (ko) 편향요크의 리어커버구조
JP3520556B2 (ja) 電気器具
KR200250019Y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더미코일 설치구조
KR200153201Y1 (ko) 음극선관의 디가우싱 코일 고정장치
JPH06349343A (ja) 分岐回路付フラットケーブル
KR100222189B1 (ko) 각종 전자관 모니터의 전자파 차단캡의 고압전선 조립구조
KR200144098Y1 (ko) 모니터의 수상관 회로기판 지지구조
KR100356286B1 (ko) 편향요크
KR200153885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애노드 케이블 결합장치
KR200298230Y1 (ko) 전선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