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2977U - 데크의 진동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데크의 진동 방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02977U KR19990002977U KR2019970016569U KR19970016569U KR19990002977U KR 19990002977 U KR19990002977 U KR 19990002977U KR 2019970016569 U KR2019970016569 U KR 2019970016569U KR 19970016569 U KR19970016569 U KR 19970016569U KR 19990002977 U KR19990002977 U KR 1999000297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bration
- deck
- outer case
- rubber
- elastic spring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MDP : Mini Disk Player)의 데크(deck)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크와 외곽 케이스를 연결하는 다수의 탄성 스프링과 상기 데크와 상기 외곽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방진 패드로 구성된 진동 방지부를 제공함으로써, 부품이 간소화되고 진동 방지 성능이 향상되어, 음악의 재생을 원활히 하고 가격 경쟁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데크의 진동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MDP : Mini Disk Play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악의 재생을 원활히 하기 위해 데크(deck)와 외곽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외곽 케이스로부터 상기 데크로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을 감쇄시키는 데크의 진동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MDP)는 광 기록 매체인 미니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시키는 역할을 하고, 데크는 상기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MDP)에서 음악이 연주되는 부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이 데크에 그대로 전달되면 음악의 재생이 불량하여 음질이 떨어지게 되므로, 원활한 음악의 재생을 위해서는 데크와 상기 데크를 둘러싸고 있는 외곽 케이스 사이에 진동 방지 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데크의 진동 방지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1)와, 상부가 개구되고 그 내부에 상기 데크(1)가 위치된 외곽 케이스(2)와, 상기 데크(1)와 외곽 케이스(2)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외곽 케이스(2)로부터 상기 데크(1)로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 및 진동을 감쇄시키는 진동 방지부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진동 방지부는 상기 데크(1)와 상기 외곽 케이스(2)를 연결하는 4개의 탄성 스프링(3)과, 상기 데크(1)에 부착된 4개의 절삭물(6)과, 상기 절삭물(6)이 끼워지도록 홈이 형성되고 그 내부가 오일(5)로 가득 채워져 상기 외곽 케이스(2)에 설치되는 4개의 방진 고무(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데크의 진동 방지 장치는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이 상기 외곽 케이스(2)로 전달되면, 상기 탄성 스프링(3)과 상기 방진 고무(4)가 함께 작용하여 충격, 또는 진동을 감쇄시킨 후에 상기 데크(1)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 방진 고무(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곽 케이스(2)에 설치되는 제 1 방진 고무(4a)와, 상기 절삭물(6)이 끼워지도록 홈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오일(5)을 채울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방진 고무(4a)와 결합되는 제 2 방진 고무(4b)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방진 고무(4)는 먼저 상기 제 2 방진 고무(4b)에 오일(5)을 가득 채운 다음, 상기 제 1 방진 고무(4a)와 제 2 방진 고무(4b)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오일(5)의 누설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 제 1 방진 고무(4a)와 제 2 방진 고무(4b)를 완전하게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부착용 조립 지그가 필요하게 된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 방지 장치의 진동 특성을 도 3에 도시된 그래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 (a)는 방진 고무와 탄성 스프링을 모두 사용했을 때의 진동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b)는 방진 고무 없이 탄성 스프링만을 사용했을 때의 진동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도면에 표시된 fa는 (a)와 (b)가 서로 교차되는 점, 즉 (a)와 (b)가 서로 같은 전달율을 가질 때의 주파수이며 전달율은 외곽케이스(2)로부터 데크(1)로 전달되는 진동량을 의미한다.
먼저, (b)를 살펴보면 fa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전달율이 아주 높지만 fa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낮은 전달율을 갖는다. 반면에, (a)를 살펴보면 fa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전달율이 낮지만 fa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b)보다 높은 전달율을 갖게 된다.
따라서, fa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방진 고무(4)와 탄성 스프링(3)을 모두 사용했을 경우의 진동 특성이 우수하고, fa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탄성 스프링(3) 만을 사용했을 경우의 진동 특성이 우수하다.
또한, 전 주파수 대역에 대해 고려했을 때는 전달율이 전 주파수 대역에 걸쳐 비교적 낮은 분포를 보이는 방진 고무(4)와 탄성 스프링(3)을 모두 사용했을 경우의 진동 특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데크의 진동 방지 장치는 방진 고무(4)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데크(1)에 절삭물(6)이 부착되고, 또 상기 방진 고무(4)를 조립할 때 별도의 부착용 조립 지그가 필요하므로 부품수가 늘어나고 조립 공정이 복잡하여 제품의 생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fa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 탄성 스프링(3) 만을 설치했을 때보다 상기 방진 고무(4)와 탄성 스프링(3)을 모두 설치했을 때의 전달율이 높기 때문에 오히려 진동 방지 장치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부품을 간소화하고 진동 방지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음악의 재생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가격 경쟁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데크의 진동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데크의 진동 방지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진 고무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 방식에 따른 진동 방지 장치의 진동 특성이 도시된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데크의 진동 방지 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진동 방지 장치의 진동 특성이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데크 52 : 외곽 케이스
53 : 탄성 스프링 54 : 방진 패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데크의 진동 방지 장치는 데크와, 상부가 개구되고 그 내부에 상기 데크가 위치된 외곽 케이스와, 상기 데크와 외곽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외곽 케이스로부터 상기 데크로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 및 진동을 감쇄시키는 진동 방지부로 구성된 데크의 진동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방지부는 상기 데크와 상기 외곽 케이스를 연결하는 다수의 탄성 스프링과 상기 데크와 상기 외곽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방진 패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기 방진 패드를 사용함으로써 부품수가 줄어들고 조립 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 비용이 감소되고, 진동 방지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데크의 진동 방지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51)와, 상부가 개구되고 그 내부에 상기 데크(51)가 위치된 외곽 케이스(52)와, 상기 데크(51)와 외곽 케이스(52)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외곽 케이스(52)로부터 상기 데크(51)로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 및 진동을 감쇄시키는 진동 방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진동 방지부는 상기 데크(51)와 외곽 케이스(52)를 연결하는 4개의 탄성 스프링(53)과, 상기 데크(51)와 외곽 케이스(52) 사이에 설치되는 8개의 방진 패드(5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진 패드(54)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외곽 케이스(52)에 부착되는데, 상기 데크(51)로부터 진동 여유 거리(s)만큼 떨어져 상기 외곽 케이스(52)의 측면에 4개가 설치되고, 상기 데크(51)로부터 진동 여유 거리(r)만큼 떨어져 상기 외곽 케이스(52)의 바닥 면에 4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방진 패드(54)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데크(51)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데크의 진동 방지 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이 가장 먼저 상기 외곽 케이스(52)로 도달되면, 상기 탄성 스프링(53)과 상기 방진 패드(54)로 이루어진 진동 방지부가 작용하여 충격, 또는 진동을 감쇄시킨 후에 상기 데크(51)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데크(51)의 진동량이 진동 여유 거리(r, s)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탄성 스프링(53)이 작용하여 진동을 억제하고, 데크(51)의 진동량이 진동 여유 거리(r, s)보다 클 경우에는 상기 탄성 스프링(53)과 함께 상기 방진 패드(54)가 작용하여 상기 데크(51)가 진동 여유 거리(r, s) 이상으로 진동하지 않도록 방진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방진 패드(54)가 상기 데크(51)의 진동을 억제할 때, 측면에 설치된 4개의 방진 패드(54)는 수평 방향의 진동을 억제하고, 바닥 면에 설치된 4개의 방진 패드(54)는 상하 방향의 진동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되는 진동 방지 장치의 진동 특성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서 (a)는 탄성 스프링만을 사용했을 경우의 진동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b)는 종래 방식, 즉 탄성 스프링과 방진 고무를 모두 사용했을 경우의 진동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c)는 본 고안, 즉 탄성 스프링과 방진 패드를 사용했을 경우의 진동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도면에 표시된 fa는 (a)와 (b)가 서로 교차되는 점, 즉 (a)와 (b)가 서로 같은 전달율을 가질 때의 주파수를 나타내며, 전달율은 외곽 케이스(52)로부터 데크(51)로 전달되는 진동량을 의미한다.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본 고안, 즉 탄성 스프링(53)과 방진 패드(54)로 구성된 진동 방지 장치를 사용하여 방진하면, fa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 데크(51)가 진동 여유 거리(r, s) 이상으로 진동하지 않도록 상기 방진 패드(54)가 탄성 스프링(53)과 함께 작용하여 억제하기 때문에 탄성 스프링(53) 만을 사용했을 경우보다는 훨씬 낮은 전달율을 갖지만, 종래 방식에 따른 진동 방지 장치를 사용했을 경우에 비해서는 다소 높은 전달율을 갖게 된다.
그러나, fa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 데크(51)가 진동 여유 거리(r, s)보다 작은 양으로 진동하여 상기 방진 패드(54)가 작용하지 않으므로, 탄성 스프링(53) 만을 사용했을 경우와 동일한 진동 특성을 갖게 되어, 종래 방식에 따른 진동 방지 장치를 사용했을 경우보다 상당히 낮은 전달율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진동 방지 장치와 종래 방식에 따른 진동 방지 장치를 비교했을 때, fa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진동 방지 장치가 다소 더 높은 전달율을 갖지만 fa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진동 방지 장치가 종래 방식에 따른 진동 방지 장치보다 상당히 낮은 전달율을 갖게 된다.
따라서, 전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전달율을 고려하면 탄성 스프링(53)과 방진 패드(54)로 구성된 진동 방지 장치를 사용했을 때, 전달율이 전 주파수 대역에 걸쳐 낮은 분포를 가지므로 데크(51)의 진동이 더욱더 효율적으로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되는 본 고안에 따른 데크의 진동 방지 장치는, 탄성 스프링(53)과 방진 패드(54)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외곽 케이스(52)로부터 상기 데크(51)로 전달되는 진동량을 의미하는 전달율이 전 주파수 대역에 걸쳐 낮은 분포를 갖게 되어 상기 데크(51)에 대한 진동 방지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방진 패드(54)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에 사용되었던 방진 고무와 절삭물, 그리고 상기 방진 고무의 조립시 필요했던 별도의 부착용 조립 지그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부품수가 감소되고 조립 공정이 단순화되어, 그에 따른 생산비용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 데크와, 상부가 개구되고 그 내부에 상기 데크가 위치된 외곽 케이스와, 상기 데크와 외곽 케이스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외곽케이스로부터 상기 데크로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 및 진동을 감쇄시키는 진동 방지부로 구성된 데크의 진동 방지 장치에 있어서,상기 진동 방지부는 상기 데크와 상기 외곽 케이스를 연결하는 다수의 탄성 스프링과, 상기 데크와 상기 외곽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방진 패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의 진동 방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16569U KR19990002977U (ko) | 1997-06-30 | 1997-06-30 | 데크의 진동 방지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16569U KR19990002977U (ko) | 1997-06-30 | 1997-06-30 | 데크의 진동 방지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02977U true KR19990002977U (ko) | 1999-01-25 |
Family
ID=69686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16569U KR19990002977U (ko) | 1997-06-30 | 1997-06-30 | 데크의 진동 방지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02977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7913A (ko) * | 2002-07-11 | 2004-01-28 | 주식회사 윈드포스 | 물체의 진동전달방지 구조 |
KR100938122B1 (ko) * | 2009-02-11 | 2010-01-25 | 오휘진 | 방진장치를 구비하는 디스크플레이어 |
-
1997
- 1997-06-30 KR KR2019970016569U patent/KR19990002977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7913A (ko) * | 2002-07-11 | 2004-01-28 | 주식회사 윈드포스 | 물체의 진동전달방지 구조 |
KR100938122B1 (ko) * | 2009-02-11 | 2010-01-25 | 오휘진 | 방진장치를 구비하는 디스크플레이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20013199A (ko) | 디스크 드라이브의 방진구 | |
KR19990002977U (ko) | 데크의 진동 방지 장치 | |
KR20000011922A (ko) | 디스크드라이브장치 | |
JPH0737375A (ja) | 防振支持装置 | |
JP2001126462A (ja) | 防振機構及び携帯型情報記録再生装置 | |
KR920002437Y1 (ko) | 옵티컬 픽업 플레이트(Optical Pick-up Plate)용 방진고무 | |
JP4349250B2 (ja) | ハー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 |
KR200171805Y1 (ko) | 디스크 드라이버의 픽업베이스 완충장치 | |
KR19990041892A (ko) | 씨디플레이어용 방진 및 완충 댐퍼 | |
KR100520947B1 (ko) | 디스크 매체 구동장치의 방진장치 | |
KR19990017010U (ko) | 오디오 씨디플레이어용 댐퍼 | |
KR100532993B1 (ko) | 광디스크 재생장치용 오일댐퍼 | |
KR0113425Y1 (ko) | 광디스크기기의 방전장치 | |
KR19980030725A (ko) | 진동 방지용 댐퍼 | |
EP0647942A1 (en) | Disk drive with inverted base and method for its assembly | |
KR19990017018U (ko) | 쿠션을 갖는 씨디플레이어용 댐퍼 | |
KR19990017014U (ko) | 쿠션을 갖는 씨디플레이어용 댐퍼 | |
KR19990013033U (ko) | 씨디플레이어용 댐퍼의 댐핑구조 | |
KR19990017188A (ko) | 씨디플레이어용 댐퍼의 댐핑구조 | |
KR19990017024U (ko) | 오디오 씨디플레이어의 댐퍼 조립구조 | |
KR19990017181A (ko) | 쿠션을 갖는 씨디플레이어용 댐퍼 | |
KR19990013032U (ko) | 씨디플레이어용 댐퍼의 댐핑구조 | |
KR19990041886A (ko) | 복합 모드 전자유동체를 이용한 씨디플레이어용 댐퍼 | |
KR19990009494U (ko) | 씨디플레이어용 댐퍼의 댐핑구조 | |
KR19990017019U (ko) | 쿠션을 갖는 씨디플레이어용 댐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