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2751A - 복합조리기의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조리기의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2751A
KR19990002751A KR1019970026457A KR19970026457A KR19990002751A KR 19990002751 A KR19990002751 A KR 19990002751A KR 1019970026457 A KR1019970026457 A KR 1019970026457A KR 19970026457 A KR19970026457 A KR 19970026457A KR 19990002751 A KR19990002751 A KR 19990002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ode
induction heating
microwave
heating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6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1445B1 (ko
Inventor
김정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26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445B1/ko
Publication of KR19990002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4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5Heating plates with pan detec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High-Frequency Heating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조리기의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유도가열 조리기능일 경우에는 자성용기, 전자레인지 기능일 경우에는 유리그릇 용기에 한해서 사용이 가능하므로 알루미늄이나 스텐레스 304 3중바닥용기인 비자성용기는 사용할 수 없어서 용기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고, 유도가열조리 기능일 경우 사용위치가 높아서 불편할 뿐아니라 국물이 끊어넘칠 경우 제품의 고장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드 종류에 상관없이 음식물을 담은 용기(27)를 탑재할 수 있도록 한 세라믹 판(22)과, 상기 세라믹 판(22)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자계는 투과시키고 마이크로웨이브는 반사시키는 차폐판(23)과, 상기 차폐판(23) 아래에 유도가열 조리를 위하여 순차적으로 부착되는 워킹코일(24), 워킹코일 받침판(25) 및 페라이트(26)와, 전자레인지 가열모드시엔 상기 고압트랜스(36)로 입력전원을 제공하고 유도가열 조리모드시엔 입력전원을 상기 워킹코일(24)로 제공하기 위한 제2릴레이(RY2)와, 입력전압을 정류한 전압값과 기준전압값을 비교하여 용기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 판별한 용기종류에 맞게 가열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여 용기의 제한에 따른 불편함을 없애고, 유도가열조리시 사용위치를 낮추어 사용상의 불편함을 없애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조리기의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의 기능과 유도가열조리기의 기능을 겸용한 복합조리기의 구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열실 내에 놓여진 용기를 판정하고, 그 판정한 용기에 해당하는 모드로 가열하도록 한 복합조리기의 구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합조리기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실(1)과 음식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판(2) 및 회전모터(3)와, 상기 가열실(1) 상면에 유도가열조리를 위해 순차적으로 탑재한 워킹코일 받침판(4) 및 워킹코일(5)과, 상기 워킹코일(5) 위에 탑재하여 워킹코일(5)을 보호함과 아울러 조리용기(7)를 올려놓기 위한 세라믹판(6)과, 상기 워킹코일(5)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유도가열 조리부(8)와,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하는 마그네트론(9)의 출력을 제어하는 마그네트론 출력조절부(10)와, 사용자가 유도가열 조리시 사용하기 위한 제1 키입력부(14)와,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시 사용하기 위한 제2 키입력부(15)와, 상기 제1, 제2 키입력부(14)(15)의 입력상태에 따라 유도가열 조리인지 전자레인지 조리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3)와,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자레인지 조리를 위한 턴테이블 모터(3), 고압트랜스(17), 팬 모터(15) 및 오븐램프(19)를 제어하는 출력 구동부(16)와,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신호에 따라 인버터부(11)를 제어하여 상기 유도가열 조리부(8) 및 마그네트론 출력조절부(10)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자레인지 가열에 대하여 살펴보면, 사용자가 가열실(1)의 중앙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판(2) 위에 음식물이 든 유리그릇을 올려놓고 전자레인지의 문을 닫는다.
이후에 사용자가 제2 키입력부(15)에 구비되어진 기능중 하나를 선택한 후 시작키를 온하면, 제어부(13)에서는 전자레인지 기능과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선택되었음을 인식한다.
상기 기능을 인식한 제어부(13)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켜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먼저 출력구동 제어부(12)로 마그네트론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출력구동 제어부(12)는 제어부(13)의 마그네트론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인버터부(11)의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시킨다.
상기 인버터부(11)의 스위칭동작에 의해 마그네트론의 출력 듀티비가 조절되면, 이를 마그네트론 출력조절부(10)가 인식하고 마그네트론(9)을 구동한다.
상기 마그네트론(9)이 구동됨에 따라 마이크로웨이브가 발생하여 가열실(1)내의 회전판(2) 위에 있는 음식물로 전달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제어부(13)의 제어출력에 따라 출력구동 제어부(12), 인버터부(11), 마그네트론 출력조절부(10)를 통해 마그네트론(9)을 구동할 때, 출력 구동부(16)는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출력에 따라 고압트랜스(17), 팬모터(18) 및 요리진행 상황을 볼 수 있도록 한 오븐램프(19)를 구동하고 아울러 음식물의 균일 가열을 위한 회전모터(3)를 제어하여 회전판(2)이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회전판(2)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판(2) 위에 있는 음식물은 균일하게 가열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동작에 의해 전자레인지에 의한 요리가 진행된다.
다음으로 유도가열 조리에 대하여 살펴보면, 사용자가 세라믹 판(6)의 윗면에 음식물이 든 자성용기(7)를 올려놓는다.
이후에 사용자가 외부에 위치해 있는 제1 키입력부(14)에 있는 여러 가지 기능중 원하는 기능 키를 선택한 후 시작키를 온한다.
그러면 제어부(13)는 요리기능을 인식함과 아울러 유도가열 조리기능임을 인식한다.
그런다음 유도가열 조리를 위한 출력 제어신호를 출력구동 제어부(12)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출력구동 제어부(12)는 인버터부(11)의 스위칭 소자를 스위칭시켜 유도가열 조리부(8)를 구동한다.
상기 유도가열 조리부(8)가 구동함에 따라 워킹코일(5)과 미도시된 공진콘덴서에 의한 LC 공진에 의해 자성용기(7)에 고주파 전류가 유도된다.
상기 유도된 고주파 전류에 의해 자성용기(7)가 가열되어지고, 이 가열되어진 자성용기(7)내에 들어있는 음식물이 가열되어 원하는 요리가 진행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전자레인지 기능에 의한 요리와 유도가열조리 기능에 의한 요리가 모두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유도가열 조리기능일 경우에는 자성용기, 전자레인지 기능일 경우에는 유리그릇 용기에 한해서 사용이 가능하므로 알루미늄이나 스텐레스 304 3중바닥용기인 비자성용기는 사용할 수 없어서 용기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고, 유도가열조리 기능일 경우 사용위치가 높아서 불편할 뿐아니라 국물이 끊어넘칠 경우 제품의 고장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종류에 따라 전자레인지 기능인지 유도가열조리 기능인지를 판정하고, 그 판정한 각각의 모드로 가열되도록 한 복합조리기의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도가열조리 모드로 가열시 자성용기인지 비자성용기인지 판정하고, 그 판정한 용기의 종류에 맞게 가열하도록 한 복합조리기의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도가열조리시 사용위치를 낮추어 사용상의 불편함을 없애도록 한 복합조리기의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가열 모드로 선택하여 가열함으로써 용기의 제한에 따른 불편함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복합조리기의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복합조리기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 복합조리기의 구동 제어장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 복합조리기의 구동 제어장치의 회로 구성도.
도 4는 용기 종류에 따른 전압 테이블.
도 5는 본 발명 복합조리기의 구동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과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가열실22 : 세라믹 판
23 : 차폐판24 : 워킹코일
25 : 워킹코일 받침판26 : 페라이트
27 : 용기28 : 인버터부
29 : 구동 제어부30 : 주파수 발생부
31 : 제어부32 : 출력 구동부
33 : 마그네트론34 : 오븐 램프
35 : 팬 모터36 : 고압트랜스
37 : AC입력전원38 : 전류 검출부
39 : 정류부RY1~RY3 : 릴레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 가열모드 또는 유도가열 조리모드에 상관없이 음식물을 갖는 용기를 탑재할 수 있도록 한 세라믹 판과, 상기 세라믹 판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자계는 투과시키고 마이크로웨이브는 반사시키는 차폐판과, 상기 차폐판 아래에 유도가열 조리를 위하여 순차적으로 부착되는 워킹코일, 워키코일 받침판 및 페라이트와, 가열실의 외부벽면에 부착되어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가열실의 상부중앙으로 안내하여 음식물로 전달시키기 위한 도파관과, 요리상황을 볼 수 있도록 한 오븐램프와, 외부부품을 냉각시켜주기 위한 팬 모터와, 상기 마그네트론에 전원을 공급하는 고압트랜스와, 상기 마그네트론, 오븐램프, 팬 모터 및 고압트랜스를 제어하는 출력 구동부와, 전자레인지 가열모드시엔 입력전원을 상기 고압트랜스로 제공하고 유도가열 조리모드시엔 입력전원을 상기 워킹코일로 제공하기 위한 릴레이와, AC 입력전원의 일측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검출하고 이 검출한 전류에 비례하는 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전류 검출부와, 상기 전류 검출부의 출력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로 부터 입력되는 전압과 내부에 테이블화 되어있는 전압을 비교하여 용기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 판별한 용기종류에 맞게 가열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주파수를 발생하는 주파수 발생부와, 상기 주파수 발생부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구형펄스를 인버터부의 스위칭소자로 발생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요리시작 키 입력시 유도가열 조리모드에서 용기판정을 위한 주파수를 선택하고 용기의 종류를 판정하기 위하여 자성모드를 선택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자성모드를 선택한 후 워킹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전류값을 전압값으로 변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변환된 전압값과 테이블화 되어있는 기준 전압값을 비교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어느 일정범위값에 해당하느냐에 따라 자성모드, 비자성모드, 전자레인지 가열모드로 판정하고 그 판정한 모드로 가열하도록 하는 제4단계를 수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복합조리기의 구동 제어장치의 일실시예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드 종류에 상관없이 음식물을 담은 용기(27)를 탑재할 수 있도록 한 세라믹 판(22)과, 상기 세라믹 판(22)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자계는 투과시키고 마이크로웨이브는 반사시키는 차폐판(23)과, 상기 차폐판(23) 아래에 유도가열 조리를 위하여 순차적으로 부착되는 워킹코일(24), 워킹코일 받침판(25) 및 페라이트(26)와, 가열실(21)의 외부벽면에 부착되어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33)과, 상기 마그네트론(33)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가열실(21)의 상부중앙으로 안내하여 음식물을 담은 용기(27)로 전달시키기 위한 도파관(40)과, 요리상황을 볼 수 있도록 한 오븐램프(34)와, 외부부품울 냉각시켜주기 위한 팬 모터(35)와, 상기 마그네트론(33)에 전원을 공급하는 고압트랜스(36)와, 상기 마그네트론(33), 오븐램프(34), 팬 모터(35) 및 고압트랜스(36)를 제어하는 출력 구동부(32)와, 전자레인지 가열모드시엔 상기 고압트랜스(36)로 입력전원을 제공하고 유도가열 조리모드시엔 입력전원을 상기 워킹코일(24)로 제공하기 위한 제2릴레이(RY2)와, AC 입력전원(37)의 일측에서 워킹코일(24)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검출하고 이 검출한 전류에 비례하는 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전류 검출부(38)와, 상기 전류 검출부(38)의 출력전압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부(39)와, 상기 정류부(39)로 부터 입력되는 전압과 내부에 테이블화 되어있는 전압을 비교하여 용기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 판별한 용기종류에 맞게 가열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1)와, 상기 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주파수를 발생하는 주파수 발생부(30)와, 상기 주파수 발생부(30)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구형펄스를 인버터부(28)의 스위칭소자로 발생하는 구동 제어부(29)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워킹코일(24)을 L1과 L2로 분리하고, 이 분리된 워킹코일을 하나만 사용하거나 분리된 두 개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용기절환 릴레이(RY3)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전자레인지 가열모드시 상기 제어부(31)에 의해 제어받는 1차안전스위치(41)와 모니터 스위치(4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열실(21)내의 세라믹 판(22) 위에 음식물이 든 임의의 용기(27)를 올려놓고 미도시된 요리 기능키를 선택한 후 시작키를 누르면 제어부(31)는 유도가열 조리모드에서 용기의 종류를 판정하기 위한 임의의 주파수대(약 50KHz)를 선택한다.
이후에 용기절환 릴레이(RY3)을 온시켜 자성모드에서 용기를 판정하도록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유도가열 조리모드의 자성모드로 둔 상태에서 AC입력전원(37)에 전원을 공급하면, 상기 전원은 제2릴레이(RY2)를 거쳐 브리지 다이오드(BD)에서 직류전압으로 변환되고, 쵸크코일(LA)과 콘덴서(Ca)를 거쳐 평활되어 인버터부(28)로 제공되고, 상기 인버터부(28)에 제공된 전압은 스위칭되어 워킹코일(L1)로 공급된다.
이때 전류 검출부(38)는 상기 AC입력전원(37)의 일측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이 검출한 전류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변환시켜 정류부(39)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정류부(38)는 입력되는 전압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하여 제어부(31)로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31)는 입력되는 전압값(Va)과 내부에 미리 테이블화 되어있는 전압과 비교하여 전자레인지 가열모드인지, 유도가열조리 모드인지 판정하고, 그리고 유도가열조리 모드인 경우 자성모드인지 비자성모드인지를 판정한다.
즉, 제어부(31)로 입력되는 전압값(Va)이 α값 범위이면((Va=α) 알루미늄이나 스텐레스 304 3중바닥으로 구성되어진 비자성 용기로 판정하고, 입력되는 전압값(Va)이 β값 범위이면((Va=β) 범랑이나 스텐레스 430으로 구성된 자성용기로 판정하고, 입력되는 전압값(Va)이 γ값 이상이면 스텐레스 304 전용으로 구성된 전골냄비로 자성용기로 판정하고, 입력되는 전압값(Va)이 δ값 이하이면 유리용기 또는 세라믹 용기로 판정한다.
여기서 용기종류에 따라 제어부(31)의 내부에 미리 테이블화되어 있는 전압 테이블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다.
상기에서 이때 순수 304(전골냄비)와 같이 비자성체이면서도 전압값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용기자체의 두께가 얇아서 저항이 자성에 가까워서 높게나타나는 것으로 이 경우는 용기자체가 비상이지만 자성모드로 가열할 경우 더 높은 효율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자성용기로 판정한다.
가령, 제어부(31)로 입력되는 전압값(Va)이 α값 범위이면 알루미늄이나 스텐레스 304 3중바닥 으로 구성된 비자성용기로 판정하고 용기절환 릴레이(RY3)를 오프시키고, 주파수 발생부(30)로 비자성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주파수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주파수 발생부(30)는 구동 제어부(29)로 주파수에 대응하는 구형펄스를 출력하여 인버터부(28)의 스위칭소자(S1)(S2)를 교대로 온 또는 오프시켜 해당 전압을 워킹코일(L1)(L2)로 공급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워킹코일(L1,L2)과 공진콘덴서(C1,C2,C3)에 의한 LC공진에 의해 자계가 형성되고, 그 자계는 차폐판(23)을 통해 세라믹 판(27)위에 놓여져 있는 용기를 유도가열한다.
그리고, 제어부(31)로 입력되는 전압값(Va)이 β값 범위이면 범랑이나 스텐레스 430으로 구성된 자성용기로 판정하고, 용기절환 릴레이(RY3)를 온시키고, 주파수 발생부(30)로 비자성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주파수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주파수 발생부(30)는 구동 제어부(29)로 주파수에 대응하는 구형펄스를 출력하여 인버터부(28)의 스위칭소자(S1)(S2)를 교대로 온 또는 오프시켜 해당 전압을 워킹코일(L1)로 공급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워킹코일(L1)과 공진콘덴서(C2,C3)에 의한 LC공진에 의해 용기를 유도가열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31)로 입력되는 전압값(Va)이 γ값 이상이면 스텐레스 304 전용으로 구성된 전골냄비로 판정하고, 자성모드로 가열하기 위하여 용기절환 릴레이(RY3)를 오프시키지 않고 계속 가열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31)는 자성모드로 가열하기 위한 주파수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주파수 발생부(3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주파수 발생부(30)는 구동 제어부(29)로 주파수에 대응하는 구형펄스를 출력하여 인버터부(28)의 스위칭소자(S1)(S2)를 교대로 온 또는 오프시켜 해당 전압을 워킹코일(L1)로 공급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워킹코일(L1)과 공진콘덴서(C2,C3)에 의한 LC공진에 의해 상기 세라믹판(22) 위에 놓여진 용기를 유도가열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31)로 입력되는 전압값(Va)이 δ값 이라이면 유리용기 또는 세라믹용기로 판정하고 전저레인지 가열모드로 행하기 위하여 제2릴레이(RY2)의 접점이 a에서 b쪽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1차안전스위치(41)는 온상태고, 모니터 스위치(42)는 오프가 된다.
이후에 제어부(31)는 출력 구동부(32)로 마그네트론(33)의 출력량과 그외의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출력 구동부(32)는 고압트랜스(36)를 구동시켜 마그네트론(33)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전원을 공급받은 마그네트론(33)을 구동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하도록 하고, 오븐 램프(34)를 온시켜 요리진행 상황을 볼 수 있도록 하고, 팬 모터(35)를 구동시켜 상기 고압트랜스(36) 뿐만아니라 가열된 외부부품을 냉각시키도록 한다.
상기 마그네트론(33)에서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는 도파관(40)을 통해 가열실(21)의 상부중앙으로 안내되고, 그 안내된 마이크로웨이브를 가열실(21) 내부에 위치한 용기(27)로 전달된다.
이렇게 전달된 마이크로웨이브는 용기(27)를 투과함과 아울러 세라믹 판(22)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용기(27)를 투과하면서 상기 용기(27)내의 음식물을 가열한다.
이에 따라 음식물은 원하는 요리를 진행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음식물이 든 용기(27)를 가열실(21)내의 세라믹 판(22) 위에 올려놓고 행하고자 하는 요리기능 키를 선택하고 시작키를 온시키면, 그 용기에 따라 최적의 가열 모드로 선택되어 가열된다.
결국 용기의 제한에 따른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동작에 대하여 도 5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음식물이 든 용기(27)를 가열실(21)에 놓고 원하는 요리기능 키를 선택한 후 시작키를 온하면 유도가열 조리모드에서 용기를 판정하기 위하여 제2릴레이(RY2)의 접점을 a로 절환한 후(S1) 용기를 판정하기 위한 임의의 주파수대를 선택한다(S2).
이후에 용기절환 릴레이(RY3)를 온시켜 자성모드에서 용기를 판정하도록 한다(S3).
상기에서와 같이 임의의 주파수대를 선택하고, 자성모드로 둔 상태에서 워킹코일로 제공되는 전류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전류에 대응하는 전압값(Va)을 읽어들여 미리 테이블화 되어 있는 전압과 비교한다(S4).
비교 결과, 읽어들인 전압값(Va)이 α값 범위에 있으면 알루미늄이나 스텐레스 304 3중바닥으로 구성되어진 비자성용기로 판정하고 비자성 모드로 가열하기 위하여 용기절환 릴레이(RY3)를 오프시켜 분리된 워킹코일(L1,L2)과 공진콘덴서(C1,C2,C3)에 의한 LC공진에 의해 유도가열하도록 한다(S5).
그리고, 상기 S4단계에서 읽어들인 값(Va)이 β범위에 있으면 범랑용기나 스텐레스 430 계열로 이루어진 자성용기로 판정하고 자성모드로 가열하기 위하여 용기절환 릴레이(RY3)를 온시켜 워킹코일(L1)과 공진콘덴서(C2,C3)에 의한 LC공진에 의해 유도가열하도록 한다(S6).
또한, 상기 S4단계에서 읽어들인 값(Va)이 γ값 이상이면 스텐레스 304 전용인 전골냄비로 판정하고 자성모드로 가열하기 위하여 계속해서 용기절환 릴레이(RY3)를 온시켜 워킹코일(L1)과 공진콘덴서(C2,C3)에 의한 LC공진에 의해 유도가열하도록 한다(S7).
마지막으로, 상기 S4단계에서 읽어들인 값(Va)이 δ이하이면 유리용기 및 세라믹 용기로 판정하고 전자레인지 가열모드로 가열하기 위하여 제2릴레이(RY2)의 접점이 a에서 b쪽으로 절환되도록 한 후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음식물이 가열하도록 한다(S8).
결과적으로, 용기의 종류에 상관없이 음식물을 넣고 요리기능 키를 선택한 후 시작키를 선택하게 되면 최적의 가열모드를 선택하고 그 선택한 가열모드를 이용하여 요리를 행하므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에 종류에 상관없이 음식물을 넣고 시작키를 누르면 용기의 종류를 판정하고, 그 판정한 용기에 따라 최적의 가열모드를 선택하여 요리를 행함으로써 용기의 제한에 따른 불편함을 없애고, 유도가열조리시 사용위치를 낮추어 사용상의 불편함을 없애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자레인지 가열모드와 유도가열 조리모드를 모두 수행하는 복합조리기에 있어서, 가열모드에 상관없이 음식물을 담은 용기를 탑재할 수 있도록 하는 세라믹 판과, 상기 세라믹 판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자계는 투과시키고 마이크로웨이브는 반사시키는 차폐판과, 상기 차폐판 아래에 유도가열 조리를 위하여 순차적으로 부착되는 워킹코일, 워키코일 받침판 및 페라이트와, 전자레인지 가열모드시 가열실의 외부벽면에 부착되어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과, 전자레인지 가열모드시엔 입력전원을 고압트랜스로 공급하고 유도가열 조리모드시엔 워킹코일로 입력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릴레이와, 입력전원의 일측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검출하고 이 검출한 전류에 비례하는 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전류 검출부와, 상기 전류 검출부의 출력전압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로 부터 입력되는 전압값과 기준전압값을 비교하여 용기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 판별한 용기종류에 맞게 가열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아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리기의 구동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용기종류에 따라 실험되어진 전압값으로 미리 테이블화하여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리기의 구동 제어장치.
  3. 요리시작 키 입력시 유도가열 조리모드에서 용기판정을 위한 주파수를 선택하고 용기의 종류를 판정하기 위하여 자성모드를 선택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자성모드를 선택한 후 워킹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전류값을 전압값으로 변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변환된 전압값과 테이블화 되어있는 기준 전압값을 비교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어느 일정범위값에 해당하느냐에 따라 자성모드, 비자성모드, 전자레인지 가열모드로 판정하고 그 판정한 모드로 가열하도록 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리기의 구동 제어방법.
KR1019970026457A 1997-06-23 1997-06-23 복합조리기의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41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457A KR100241445B1 (ko) 1997-06-23 1997-06-23 복합조리기의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457A KR100241445B1 (ko) 1997-06-23 1997-06-23 복합조리기의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751A true KR19990002751A (ko) 1999-01-15
KR100241445B1 KR100241445B1 (ko) 2000-04-01

Family

ID=19510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6457A KR100241445B1 (ko) 1997-06-23 1997-06-23 복합조리기의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144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993A (ko) * 2017-06-26 202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기 감지 센서 및 용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KR20210064156A (ko) * 2020-01-13 2021-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기 감지 센서 및 용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KR102261568B1 (ko) * 2019-12-11 2021-06-07 (주)쿠첸 피가열체를 감지하는 가열 장치
US11153938B2 (en) 2017-06-26 2021-10-19 Lg Electronics Inc. Cooking vessel sensor and induction heating device including a cooking vessel sensor
US11178732B2 (en) 2017-06-26 2021-11-16 Lg Electronics Inc.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a cooking vessel on an induction heat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574B1 (ko) * 2004-10-14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레인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993A (ko) * 2017-06-26 202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기 감지 센서 및 용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US11153938B2 (en) 2017-06-26 2021-10-19 Lg Electronics Inc. Cooking vessel sensor and induction heating device including a cooking vessel sensor
US11178732B2 (en) 2017-06-26 2021-11-16 Lg Electronics Inc.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a cooking vessel on an induction heating device
US11770881B2 (en) 2017-06-26 2023-09-26 Lg Electronics Inc. Cooking vessel sensor and induction heating device including a cooking vessel sensor
US11785680B2 (en) 2017-06-26 2023-10-10 Lg Electronics Inc.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a cooking vessel on an induction heating device
KR102261568B1 (ko) * 2019-12-11 2021-06-07 (주)쿠첸 피가열체를 감지하는 가열 장치
KR20210064156A (ko) * 2020-01-13 2021-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기 감지 센서 및 용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1445B1 (ko) 200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3872B2 (en) Cooking tool
JP2617279B2 (ja) 誘導加熱機能付電子レンジ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905662B1 (ko) 자성 및 비자성 용기 겸용 유도가열 조리기
EP2618633A1 (en) Induction heat cooker
KR20140014934A (ko) 유도가열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
US6492627B1 (en) Heating unit and control system for cooktops having capability to detect presence of a pan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KR20110092071A (ko) 유도가열 조리기기
KR100241445B1 (ko) 복합조리기의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US20130161317A1 (en)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32211B1 (ko) 자성 및 비자성 용기 겸용 유도가열 조리기
KR20110092073A (ko) 유도가열 조리기기
KR100346977B1 (ko) 전자렌지
KR20110092069A (ko) 유도가열 조리기기
JP4302592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220095898A (ko)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0241449B1 (ko)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의 소물부하 판정장치 및 방법
KR20210109249A (ko) 유도 가열 구현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00013597A (ko) 유도 에너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360224B1 (ko) 복합조리기및그의제어방법
JPH08187169A (ja) 電気調理器
KR0182525B1 (ko) 복합조리기의 구동제어장치 및 그 구동제어방법
EP4033858B1 (e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0176814B1 (ko) 유도가열조리 겸용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JP4372801B2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
KR0152836B1 (ko) 유도가열조리기의 주파수대역 변환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