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2338U - 정수기의 급수밸브구조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급수밸브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2338U
KR19990002338U KR2019970015894U KR19970015894U KR19990002338U KR 19990002338 U KR19990002338 U KR 19990002338U KR 2019970015894 U KR2019970015894 U KR 2019970015894U KR 19970015894 U KR19970015894 U KR 19970015894U KR 19990002338 U KR19990002338 U KR 199900023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olenoid
supply valve
water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58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봉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700158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2338U/ko
Publication of KR199900023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338U/ko

Links

Landscapes

  • Check Valv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기의 급수밸브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적으로 작동되는 급수밸브의 솔레노이드부 상측 덮개에 발생되는 물방울의 발생을 방지하여 솔레노이드부의 내부에 설치된 전기동작부의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의 급수밸브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정수기의 급수밸브구조는 전기전인 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솔레노이드부(10)와 이 솔레노이드부(10)의 작동으로 인하여 파이프부(20)의 내부로 물을 통과하는 급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20)를 상기 솔레노이드부(10)의 덮개(11)에서 소정 간격을 이격시켜 고정 설치하되, 체크볼(13)과 연동하는 축(14)의 원주면에는 이 원주면을 감싸는 축지지부(15)가 솔레노이드부(10)의 덮개(11)와 파이프부(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지지부(15)의 양측에는 상기 솔레노이드부(10)의 덮개(11)와 파이프부(20)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정수기의 급수밸브구조
본 고안은 정수기의 급수밸브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적으로 작동되는 급수밸브의 솔레노이드부 상측 덮개에 발생되는 물방울의 발생을 방지하여 솔레노이드부의 내부에 설치된 전기동작부의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의 급수밸브구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수돗물 또는 약수와 같은 자연수 등에 섞여 있는 불순물, 냄새 등을 여과하기 위한 장치로서, 원수를 다양한 종류의 여과 수단에 통과시켜서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유해 물질을 제거하고 인체에 유익한 물질만이 포함되는 음용수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그래서 상기 정수기는 필터, 펌프,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수배관시스템과 이 수배관시스템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전기회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중에 비교적 저온의 물을 흐르게 하거나 차단하는 급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정수기의 급수밸브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수밸브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전기동작부(5)를 구비하고 있는 솔레노이드부(10)와 상기 솔레노이드부(10)의 동작에 의하여 물을 흐르게 하는 파이프부(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부(10)의 상측에 설치되는 덮개(11)는 상기 파이프부(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솔레노이드부(10)의 덮개(11)와 파이프부(20) 사이에는 지지부(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체크볼(13)과 연동하는 축(14)의 원주면에도 이 원주면을 감싸는 축지지부(15)가 솔레노이드부(10)의 덮개(11)와 파이프부(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12)의 내부에 위치한 덮개(11)의 중앙부는 공간으로 남아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급수밸브는 솔레노이드부(10)에 내장된 전기동작부(5)에 전기가 인가되면, 솔레노이드부(10)가 작동하여 축(14)을 회전시키고, 이 축(14)은 체크볼(13)을 회전하여 파이프부(20) 내에 물이 흐르게 한다.
한편 상기 전기동작부(5)에 전기가 공급되지 않으면 축(14)은 하부에 설치되는 리턴스프링(미도시)에 의하여 초기 상태로 리턴되어 상기 체크볼(13)을 다시 초기 상태로 회전하여 상기 파이프부(20) 내에 흐르는 물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상기 급수밸브는 전기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정수기의 급수밸브구조는 파이프부(20)의 외측 표면과 전기동작부(5)의 상면과 마주보고 있으므로 상기 파이프부(20)의 외측 표면에 발생하는 물방울이 전기동작부(5)의 표면으로 떨어져서 급수밸브의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급수밸브의 솔레노이드부 상측 덮개에 발생되는 물방울의 발생을 방지하여 솔레노이드부의 내부에 설치된 전기동작부의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의 급수밸브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정수기의 급수밸브구조는 전기전인 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솔레노이드부와 이 솔레노이드부의 작동으로 인하여 파이프부의 내부로 물을 통과하는 급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를 상기 솔레노이드부의 덮개에서 소정 간격을 이격시켜 고정 설치하되, 체크볼과 연동하는 축의 원주면에는 이 원주면을 감싸는 축지지부가 솔레노이드부의 덮개와 파이프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지지부의 양측에는 상기 솔레노이드부의 덮개와 파이프부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정수기의 급수밸브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의 급수밸브구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 - B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전기동작부10 : 솔레노이드부
11 : 덮개12 : 지지부
13 : 체크볼14 : 축
15 : 축지지부20 : 파이프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의 급수밸브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 - B선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의 급수밸브구조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전기동작부(5)를 구비하고 있는 솔레노이드부(10)와 상기 솔레노이드부(10)의 동작에 의하여 물을 흐르게 하는 파이프부(20)로 이루어지는 급수밸브에 적용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급수밸브구조는 상기 파이프부(20)를 상기 솔레노이드부(10)의 덮개(11)에서 소정 간격을 이격시켜 고정 설치하되, 체크볼(13)과 연동하는 축(14)의 원주면에는 이 원주면을 감싸는 축지지부(15)가 솔레노이드부(10)의 덮개(11)와 파이프부(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지지부(15)의 양측에는 상기 솔레노이드부(10)의 덮개(11)와 파이프부(20)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특히 상기 전기동작부(5)의 상측에는 덮개(11)가 위치하며, 상기 덮개(11)의 외측에 상기 파이프부(20)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의 급수밸브구조는 파이프부(20) 내부에 비교적으로 저온의 물이 흐르게 되어 파이프부(20)의 외부 표면에 물방울이 발생하더라고 상기 덮개(11)의 외측 표면에 떨어질 수 있으나 전기동작부(5)에 접촉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상기 솔레노이드부(10)에 내장된 전기동작부(5)에 전기가 인가되면 솔레노이드부(10)가 작동하여 축(14)을 회전하고, 이 축(14)의 회전으로 인하여 체크볼(13)이 소정 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파이프부(20)의 내부가 개통되어 물이 흐르게 된다.
한편 상기 전기동작부(5)에 인가되는 전기가 중단되면 상기 축(14)은 하부에 설치된 리턴스프링(미도시)에 의하여 초기 상태로 리턴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체크볼(13)이 리턴하게 되어 파이프부(20)의 내부가 다시 밀폐되어 물의 흐름이 중단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정수기의 급수밸브구조는 파이프부의 외측 표면에 발생되는 물방울이 솔레노이드부에 내장된 전기동작부에 닿지 않도록 덮개에 의하여 차단되기 때문에 전기동작부의 방전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전기적인 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솔레노이드부(10)와 이 솔레노이드부(10)의 작동으로 인하여 파이프부(20)의 내부로 물을 통과하는 급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20)를 상기 솔레노이드부(10)의 덮개(11)에서 소정 간격을 이격시켜 고정 설치하되, 체크볼(13)과 연동하는 축(14)의 원주면에는 이 원주면을 감싸는 축지지부(15)가 솔레노이드부(10)의 덮개(11)와 파이프부(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지지부(15)의 양측에는 상기 솔레노이드부(10)의 덮개(11)와 파이프부(20)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급수밸브구조.
KR2019970015894U 1997-06-26 1997-06-26 정수기의 급수밸브구조 KR1999000233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894U KR19990002338U (ko) 1997-06-26 1997-06-26 정수기의 급수밸브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894U KR19990002338U (ko) 1997-06-26 1997-06-26 정수기의 급수밸브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338U true KR19990002338U (ko) 1999-01-25

Family

ID=69686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5894U KR19990002338U (ko) 1997-06-26 1997-06-26 정수기의 급수밸브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233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73465C (en) Filter adaptor
CA2270278A1 (en) Filtering device
EP1987277A2 (en) Bypass valve with an integral flow sensor for a water treatment system
US20060222508A1 (en) Multi-purpose condensate shut-off switch with maintenance port accessory
KR20220132321A (ko) 정수기
WO2003027026A3 (de) Filtervorrichtung mit einer uvc-lampe und mit einer reinigungseinrichtung für die uvc-lampe
KR19990002338U (ko) 정수기의 급수밸브구조
JP2002059153A (ja) 浄水器
CN201485292U (zh) 曝气式即时净化型微孔陶瓷净水器
JP2606535Y2 (ja) 浄水器
KR100456080B1 (ko) 상수도용 자화수 생성관
JP2525892Y2 (ja) 切換弁を有する浄水装置
KR200270281Y1 (ko) 상수도용 자화수 생성관
KR930000137Y1 (ko) 세라믹 디스크(Ceramic Disk)를 이용한 보일러의 난방 및 온수용 쓰리웨이밸브(Three ways valve)
CN101580283B (zh) 曝气式即时净化型微孔陶瓷净水器
CN210286929U (zh) 整体式多功能直饮净水机
JP2553016Y2 (ja) スイッチ機構付浄水用水栓
KR950006625Y1 (ko) 가스보일러의 유수감지장치
KR19990019022A (ko) 정수기의 수위 센서 구조
KR19990009168U (ko) 정수기의 수위감지 플로트스위치 구조
KR200145021Y1 (ko) 정수탱크의 수위편차 방지장치
KR200145020Y1 (ko) 정수탱크의 수위편차 방지장치
KR900007784Y1 (ko) 액면 위치 제어장치
KR200173960Y1 (ko) 수도직결식 정수기용 체결부재가 구비된 수도꼭지
KR970070761A (ko) 유량감지 플로트(float)스위치 기능을 갖는 로터리 히터의 전자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