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1568U -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1568U
KR19990001568U KR2019970015031U KR19970015031U KR19990001568U KR 19990001568 U KR19990001568 U KR 19990001568U KR 2019970015031 U KR2019970015031 U KR 2019970015031U KR 19970015031 U KR19970015031 U KR 19970015031U KR 19990001568 U KR19990001568 U KR 199900015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rotating plate
hopper
contain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50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균
단덕화
Original Assignee
단덕화
이상욱
주식회사 지구사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덕화, 이상욱, 주식회사 지구사랑 filed Critical 단덕화
Priority to KR20199700150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1568U/ko
Publication of KR199900015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568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을 위한 호퍼; 상기 호퍼와 연통하여 호퍼로부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파쇄를 위한 다수의 홈과 복수개의 나이프가 측벽에 형성된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 및 파쇄된 쓰레기의 외부로의 배출을 위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파쇄를 위한 한 쌍의 센터 나이프와 회전이 가능한 한 쌍의 햄머가 상부면에 설치되고,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하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을 통해 배출된 쓰레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 피더가 하부면에 설치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토출피더로부터 토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이송하기 위한 토출구; 및 상기 회전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장치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대용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키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또는 미생물에 의해 음식물쓰레기를 분해시켜 소멸처리하는 장치 등에는 발효나 분해처리에 앞서 우선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부수는 파쇄단계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 파쇄기가 설치되어야 한다.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기는 주로 주방의 싱크대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기종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평3-110099 호에 게재된 스크류 식과 한국 특허 공보 제 91-4230 호에 게재되어 있는 분쇄 식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분쇄기들은 모두 이물질 등이 혼입되었을 경우 장치의 작동이 중단되거나 고장이 일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쌍의 스크류만으로 압착하거나 햄머로 분쇄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분쇄효율이 낮고 많은 에너지가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물질의 혼입시에도 작동이 중단되거나 고장이 이 일어나지 않는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쇄효율이 우수한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의 컨테이너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호퍼 2 : 내부 컨테이너
3 : 회전판 4 : 토출구
5 : 외부 컨테이너 6 : 구동모터
15 : 제한 스위치 16 : 호퍼 뚜껑
17 : 팩킹 21 : 내부 컨테이너 뚜껑
22 : 샤워노즐 23 : 전자밸브
28 : 홈 29 : 나이프
31 : 센터 나이프 32 : 햄머
33 : 관통공 34 : 토출 피더
61 : 풀리 62 : 샤프트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을 위한 호퍼; 상기 호퍼와 연통하여 호퍼로부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파쇄를 위한 다수의 홈과 복수개의 나이프가 측벽에 형성된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 및 파쇄된 쓰레기의 외부로의 배출을 위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파쇄를 위한 한 쌍의 센터 나이프와 회전이 가능한 한 쌍의 햄머가 상부면에 설치되고,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하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을 통해 배출된 쓰레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 피더가 하부면에 설치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토출피더로부터 토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이송하기 위한 토출구; 및 상기 회전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의 컨테이너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본 고안의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장치는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을 위한 호퍼(1); 상기 호퍼(1)와 연통하여 호퍼로부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컨테이너(2); 상기 컨테이너(2)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 및 파쇄된 쓰레기의 외부로의 배출을 위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회전판(3); 상기 회전판(3)으로부터 토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이송하기 위한 토출구(4); 상기 내부 컨테이너(2) 및 회전판(3)을 수용하는 외부 컨테이너(5); 및 상기 회전판(3)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6)로 구성된다.
호퍼(1)의 상부에는 호퍼(1)의 개폐여부와 관련하여 구동모터(6)의 작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한 스위치(15)가 설치되어 있다. 즉, 호퍼(1)를 개방하는 경우 이 제한스위치(15)에 의해 구동모터(6)의 작동이 중지되어 쓰레기 투입시 조작자가 파쇄기에 의해 손상을 입거나 파쇄중인 쓰레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 호퍼(1)의 뚜꺼(16)을 닫은 경우에만 구동모터(6)가 작동하여 회전판이 돌아가며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가 일어나도록 되어 있다. 뚜껑(16)의 하부면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파쇄되는 동안 내부 컨테이너(2)를 완전히 밀폐하기 위한 팩킹(17)이 부착되어 있다.
내부 컨테이너(2)의 측벽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회전하며 부딪히는 경우 파쇄를 촉진하기 위한 홈(28)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판(3)의 햄머(32)와 함께 음식물을 파쇄하기 위한 나이프(29)가 부착되어 있다(도 2 참조). 이 나이프(29)는 대칭되도록 짝수개로 형성되며, 2개 4개 또는 6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판(3)은 구동 모터(6)에 의해 회전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면에는 중앙에 한쌍의 센터 나이프(31)(도 2 참조)와 가장자리 쪽으로 한쌍의 햄머(32)가 형성되어 이중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한다. 햄머(32)는 나사못 등에 의해 회전판(3)에 움직일 수 없도록 완전히 고정된 것이 아니라 핀(320)에 의해 끼워져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만약 햄머(32)와 컨테이너(2)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나이프(29) 사이에 이물질이 삽입되는 경우에는 햄머(2)가 회전하여 회전판(3)의 중심부쪽으로 돌아가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이 중단되거나 이물질에 의해 파쇄기가 고장나는 등의 문제점이 없어지게 된다. 회전판(3)에는 다수의 관통공(33)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토출피더(34)가 부착되어 있다.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회전판(3)의 원심력에 의해 관통공(33)을 통해 토출 피더(34)로 공급되고 토출 피더(34) 역시 회전판(3)과 함께 회전하므로 그 원심력에 의해 다시 토출구(4)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구동 모터(6)의 힘은 풀리(61)를 통해 샤프트(62)로 전달되어 회전판(3)을 구동시키게 된다.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한다.
구동모터(6)가 정지한 상태에서 호퍼(1)의 뚜껑(16)을 열고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 후 뚜껑(16)을 닫고 스위치(15)를 켜면 모터(6)의 구동에 의해 회전판(3)이 돌아가기 시작한다. 샌터 나이프(31)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들이 절단되는 한편, 햄머(32)와 나이프(29)의 작용으로 음식물 쓰레기들이 파쇄되고 측벽에 형성된 홈에 의해서도 파쇄가 일어난다. 완전히 파쇄된 쓰레기들은 관통공(33)을 통해 토출 피더(34)로 공급되어 토출구(4)로 배출된다.
토출구는 미생물에 의한 분해조(도시하지 않음)나 발효조(도시하지 않음)등으로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 또는 분해처리하게 된다.
상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는 이물질 등에 의한 작동 중단이나 고장 등의 부작용 없이 음식물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파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대용량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등에 장착되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효율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Claims (2)

  1.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을 위한 호퍼; 상기 호퍼와 연통하여 호퍼로부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파쇄를 위한 다수의 홈과 복수개의 나이프가 측벽에 형성된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 및 파쇄된 쓰레기의 외부로의 배출을 위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파쇄를 위한 한 쌍의 센터 나이프와 한 쌍의 햄머가 상부면에 설치되고,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하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을 통해 배출된 쓰레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 피더가 하부면에 설치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토출피더로부터 토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이송하기 위한 토출구; 및 상기 회전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햄머는 핀에 의해 끼워져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
KR2019970015031U 1997-06-20 1997-06-20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 KR199900015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031U KR19990001568U (ko) 1997-06-20 1997-06-20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031U KR19990001568U (ko) 1997-06-20 1997-06-20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568U true KR19990001568U (ko) 1999-01-15

Family

ID=41129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5031U KR19990001568U (ko) 1997-06-20 1997-06-20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156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8830A1 (en) * 2008-01-04 2009-07-16 Emerson Electric Co. Food waste disposer with grinding mechanism with windowed grind ring
US7735760B2 (en) 2004-02-27 2010-06-15 Emerson Electric Co. Food waste disposer grinding mechanis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5760B2 (en) 2004-02-27 2010-06-15 Emerson Electric Co. Food waste disposer grinding mechanism
US7753297B2 (en) 2004-02-27 2010-07-13 Emerson Electric Co. Food waste disposer with grinding mechanism with windowed grind ring
WO2009088830A1 (en) * 2008-01-04 2009-07-16 Emerson Electric Co. Food waste disposer with grinding mechanism with windowed grind 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3322B1 (ko) 음식물쓰레기의 압착분쇄기
KR200384273Y1 (ko) 음식물쓰레기의 파봉 파쇄 장치
KR19990001568U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
KR20041479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63303B1 (ko) 음식물 쓰레기 자동선별 파쇄기
KR200700821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87258B1 (ko) 음식물 처리기
KR102148519B1 (ko) 파쇄장치
KR100950698B1 (ko) 음식물 쓰레기의 미분말 분쇄 장치
JP7345862B2 (ja) 破砕装置
KR200204230Y1 (ko) 음식물 파쇄기
KR20100042096A (ko) 음식물류 폐기물 순간분쇄기
KR100650132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파쇄구
KR101711578B1 (ko)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CN101284279A (zh) 厨房废弃物处理方法及系统
KR200284246Y1 (ko) 다목적 분쇄장치
KR19990020542U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586867B1 (ko) 펌프를 구비하는 유기성 폐기물 파쇄기
KR20190134416A (ko) 과일 아채 분쇄기
KR20190140294A (ko) 과일 야채 뼈 파쇄기
KR20040082452A (ko) 쓰레기 봉투 파봉 장치
KR102369787B1 (ko) 폐가전제품 파쇄장치
KR102400590B1 (ko) 전자클러치가 적용된 파쇄기가 장착되는 음식물 처리기
KR20010025710A (ko) 음식물쓰레기 선별파쇄기
KR200298878Y1 (ko) 분쇄날의 교체가 용이한 다목적 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