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1045U - 영상 음향 기기용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음향 기기용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1045U
KR19990001045U KR2019970014437U KR19970014437U KR19990001045U KR 19990001045 U KR19990001045 U KR 19990001045U KR 2019970014437 U KR2019970014437 U KR 2019970014437U KR 19970014437 U KR19970014437 U KR 19970014437U KR 19990001045 U KR19990001045 U KR 199900010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
input
connection
video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4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삼섭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14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1045U/ko
Publication of KR199900010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045U/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상하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설치된 회로가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커트 잭을 구비한 접속 잭; 상기 기판에 일단부가 용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타단부에 연결된 입출력 잭;을 포함하는 영상음향기기용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텔레비젼이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드등의 영상음향기기를 접속시키는 접속 장치를 일체형으로 제조함으로써, 출력측 기기의 영상이나 음성 신호를 접속 수단의 매개없이 전달가능하므로 깨끗한 화질이나 음성을 입력측 기기로 전달하게 된다.

Description

영상음향기기용 접속장치
본 고안은 영상음향기기용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디오나 텔레비젼등의 영상음향기기를 상호 접속시 용이하게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영상음향기기용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에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ideo tape recorder)나 캠코더(camcorder) 등과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화상 신호나 음성 신호를 입력받기 위하여, 그 외부 기기의 단자가 접속되는 접속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 장치는 텔레비젼,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캠코더 등이 NTSC 또는 PAL 방식이냐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므로 영상음향기기의 접속 방식에 따라 수요자는 해당되는 접속 장치를 구비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접속 장치(15)(20)를 통하여 영상음향기기가 상호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텔레비젼(11)의 배면에는 외부 기기로부터 신호를 입력 및 출력하기 위하여 입출력 단자(1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3)의 배면에도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입출력 단자(14)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3)로부터 출력 또는 입력되는 화상 신호나 음성 신호를 텔레비젼(11)으로 입력 또는 출력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접속 장치(15)가 필요하다. 이 접속 장치(15)는 상기 텔레비젼(11)의 입출력 단자(12)와 연결되는 입출력 잭(15a)과, 상기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3)의 입출력 단자(14)측과 연결되는 입출력 잭(15b)과, 상기 입출력 잭(15a)(15b) 각각의 단부와 연결되는 유연성을 가진 케이블(15c)를 포함한다.
이때, 유럽지역 등에서 사용되는 PAL 방식의 텔레비젼은 NTSC 방식으로 나오는 텔레비젼의 입출력 단자(12)와 접속되는 구조가 상이하므로 상기 접속 장치(15) 이외에 별도의 접속 잭(20)를 구비하여야 한다.
도 2는 종래의 접속 잭(20)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접속 잭(20)은 상하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된 상하부 하우징부(21)(22)와, 상기 하우징부(21)(22)의 내부에 장착되는 PCB 기판(printed circuit board,23)과, 상기 텔레비젼(11)의 입출력 단자(도 1,12) 측과 결합되는 스커트 잭(skirt jack,24)과, 상기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13)의 입출력 단자(도 1,14) 측과 결합되는 코드 잭(code jack,25)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스커트 잭(24)은 본체(24a)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24a)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홈부(24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부(24b)에는 접속단(24c)이 인입된다. 상기 접속단(24c)의 단부는 상기 본체(24a)의 배면으로 소정 길이 돌출하여 회로가 형성된 상기 PCB 기판(23)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코드 잭(25)은 몸통부(25a)와, 상기 몸통부(25a)에 관통하여 인입된 다수개의 연결부(25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25b)는 상기 PCB 기판(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접속 장치(15)와 접속 잭(20)을 이용한 영상음향기기의 접속은, 상기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3)의 입출력 단자(14)에 접속 장치(15)의 입출력 잭(15b)이 연결되고, 케이블(15c)을 통하여 연결되는 상기 입출력 잭(15a)의 단부는 상기 접속 잭(20)과 상호 연결된다. 이때, 상기 입출력 잭(15a)은 상기 접속 잭(20)의 연결부(25c)와 상호 접속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스커트 잭(24)에 마련된 접속단(24c)은 텔레비젼(11)에 형성된 입출력 단자(12) 측에 접속되어 상기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3)로부터 입력 또는 출력되는 화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접속 장치(15)와 접속 잭(20)은 각각의 단품별로 제작되고, 또 다른 공정에서 조립되므로 작업 공정이 번거롭고, 보관시나 운송시에 별도로 관리해야 하며, 이에 따라 분실이나 파손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 접속 장치(15)와 접속 잭(20)을 상호 접속되게 하는 입출력 잭(15a)과 연결부(25c)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접촉 불량으로 깨끗한 화질의 영상을 제공하지 못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디오 테이프 레코드와 텔레비젼등의 영상음향기기의 상호 접속시 접속 장치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접속이 용이한 영상음향기기용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접속 장치가 영상음향기기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영상음향기기용 접속 잭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속 장치가 영상음향기기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영상음향기기용 접속 잭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1. 텔레비젼12. 입출력 단자
13. 비디오 테이프 레코드 14. 입출력 단자
15,30. 접속 장치15a. 입출력 잭
15b,35b. 입출력 잭15c,35c. 케이블
21,41. 상부 하우징22,42. 하부 하우징
23,43. 기판24,44. 스커트 잭
24a,44a. 본체 24b,44b. 홈부
24c,44c. 접속단 25. 코드 잭
25a. 몸통부 25b. 연결부
20,40. 접속 잭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영상음향기기용 접속 장치는, 상하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설치된 회로가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커트 잭을 구비한 접속 잭; 상기 기판에 일단부가 용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타단부에 연결된 입출력 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영상음향기기용 접속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장치(30)를 이용한 텔레비젼(11)과 비디오 테이프 레코드(13)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텔레비젼(11)의 배면에는 외부의 기기로부터 신호를 입력 및 출력하기 위한 입출력 단자(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비디오 테이프 레코드(13)의 배면에도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입출력 단자(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입출력 단자(12)(14)에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별도의 접속 장치(3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접속 장치(30)에는 상기 텔레비젼(11)의 입출력 단자(12) 측과 접속 가능한 접속 잭(40)과, 상기 비데오 테이프 레코드(13)의 입출력 단자(14) 측과 연결되는 입출력 잭(35b)과, 상기 접속 잭(40)과 입출력 잭(35b)를 상호 연결하는 유연한 케이블(35c)을 구비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잭(40)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접속 잭(40)은 상하로 분리가능한 상하부 하우징부(41)(42)가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부(41)(42)의 내면에는 회로가 형성된 기판(43)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43)의 일측에는 스커트 잭(44)이 설치되어 상기 텔레비젼(11)의 입출력 단자(12)와 연결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기판(43)의 타측에는 케이블(35c)이 기판(43)과 직접적으로 접속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커트 잭(44)에는 본체(44a)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44a)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홈부(44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부(44b)에는 접속단(44c)이 인입하여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접속단(44c)의 단부는 상기 본체(44a)의 배면으로 소정 길이 돌출하여 상기 기판(43)과 납땜된다.
또한,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상기 케이블(35c)의 단부에는 별도의 잭을 구비하지 않고 회로가 형성된 기판(43)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즉, 다수개의 상기 케이블(35c)은 상기 기판(43)에 형성된 회로를 따라 입출력 잭(35b)으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를 상기 스커트 잭(44)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기판(43)에 각각 납땜하여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영상음향기기용 접속 장치(30)의 작용을 살펴보면, 상기 비디오 테이프 레코드(13)의 배면에 형성된 입출력 단자(14)에 상기 접속 장치(30)의 입출력 잭(35b)을 접속하고, 상기 텔레비젼(11)의 입출력 단자(12)에 접속 잭(40)을 연결하여 상기 비디오 테이프 레코드(13)로부터 영상 내지 음성 신호를 출력 받아 텔레비젼(12) 측으로 그 신호를 입력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영상음향기기용 접속 장치는 텔레비젼이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드등의 영상음향기기를 접속시키는 접속 장치를 일체형으로 제조함으로써, 출력측 기기의 영상이나 음성 신호를 접속 장치의 매개없이 전달가능하므로 깨끗한 화질이나 음성을 입력측 기기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접속 장치의 조립시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고, 이동이나 보관시 부품의 보관이 용이하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상하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설치된 회로가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커트 잭을 구비한 접속 잭;
    상기 기판에 일단부가 용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타단부에 연결된 입출력 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향기기용 접속장치.
KR2019970014437U 1997-06-16 1997-06-16 영상 음향 기기용 접속장치 KR199900010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437U KR19990001045U (ko) 1997-06-16 1997-06-16 영상 음향 기기용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437U KR19990001045U (ko) 1997-06-16 1997-06-16 영상 음향 기기용 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045U true KR19990001045U (ko) 1999-01-15

Family

ID=69685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4437U KR19990001045U (ko) 1997-06-16 1997-06-16 영상 음향 기기용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104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4119B2 (en) Connector adapted to handling of different kinds of signals including high-speed signals
EP0293135B1 (en) Cable adapter including a switch
KR101103920B1 (ko)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구조 및 이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조립체
KR19990001045U (ko) 영상 음향 기기용 접속장치
KR100905838B1 (ko) 튜너의 콘넥터
KR100274318B1 (ko) 전자제품용 연결코드의 접속구조
US8011947B2 (en) HDMI assembly and HDMI port for the same
KR100461724B1 (ko) 튜너 샤시 결합형 핀 커넥터를 갖는 rf 모듈레이터
JP4780367B2 (ja) マルチプラグおよびマルチジャック
US5882225A (en) Jack connector device
JP3321571B2 (ja) 光電共用伝送装置、保持体、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および機器
CN212277444U (zh) 具有fpc的插针模组
KR200167802Y1 (ko) 스카트 커넥터
JPH0119837Y2 (ko)
KR100754946B1 (ko) 컴퓨터 하드디스크의 커넥터용 접속단자
KR200142877Y1 (ko) 고체촬상소자의 역삽입 방지장치
KR940002997B1 (ko) 전자제품의 터미널 보드 연결장치
KR20000012476U (ko) 전자제품용 입출력 단자의 유동방지구조
KR0113961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커넥터 조립구조
KR940008148Y1 (ko) Vtr의 입출력단자 결합장치
KR100566430B1 (ko)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
KR100828650B1 (ko) 튜너
JPS62190669A (ja) Catv伝送機器の中継接続端子
JPS6325801Y2 (ko)
US20040101256A1 (en) Optical fiber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23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