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0568U - 파이프 고정구 - Google Patents

파이프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0568U
KR19990000568U KR2019970013887U KR19970013887U KR19990000568U KR 19990000568 U KR19990000568 U KR 19990000568U KR 2019970013887 U KR2019970013887 U KR 2019970013887U KR 19970013887 U KR19970013887 U KR 19970013887U KR 19990000568 U KR19990000568 U KR 199900005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sertion hole
fixture
bolt inser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38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교영
Original Assignee
장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교영 filed Critical 장교영
Priority to KR2019970013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0568U/ko
Publication of KR199900005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568U/ko

Links

Landscapes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파이프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일측에 지지홈(2)이 상하로 형성되고, 중앙에 파이프 안착부(3)가 원호형으로 형성되며, 타측에 볼트 삽입공(4)이 천공된 파이프 고정구(1)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안착부(3)에 다수의 돌기(5)를 돌출시키고, 상기 볼트 삽입공(4)을 일측으로 돌출시킨 후 내측에 나사산을 형성시킴으로서 파이프의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파이프 고정구를 볼트로 체결할 경우 높은 공간에서 불안정한 상태로 작업을 할 경우에도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부품수의 감소로 설치비가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 고정구
본 고안은 파이프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파이프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파이프 고정구의 내측에 다수의 돌기를 돌출시키고, 한쌍의 파이프 고정구로 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 삽입공에 나사산을 형성시킴으로서 파이프의 고정을 견고하게 함과 아울러 볼트의 체결을 용이하게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정이나 측벽에 인접하여 파이프를 설치할 경우 파이프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천정이나 벽에형의 찬넬을 고정한 후 한쌍의 파이프 고정구를 상기 찬넬에 설치하여 파이프를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파이프 고정구는 일측에 지지홈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파이프 안착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볼트 삽입공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었다.
즉, 중앙의 파이프 안착부가 단순히 원호형태로 형성되고, 볼트삽입공이 천공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안착부에 도 1과 같이 파이프가 지지될 경우 안착부 전체표면이 파이프에 접촉하게 되어 파이프의 지지력이 약하여 파이프의 내측으로 유체가 이동될 때 파이프의 흔들림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되었으며, 파이프 고정구에 천공된 볼트삽입공이 단순히 구멍이 천공된 형상이기 때문에 한쌍의 파이프 고정구를 볼트로써 고정할 경우 볼트 삽입공에 볼트를 삽입한 후 별도의 너트로 고정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에 어려움이 많았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파이프 고정구는 파이프 고정구의 안착부와 파이프가 면접촉을 하기 때문에 파이프의 내측으로 유체가 이동할 때, 특히 스팀용 파이프인 경우에는 파이프가 떨리게 되어 소음이 발생되었으며, 한쌍의 파이프 고정구를 고정시키는 볼트의 체결을 별도의 너트로서 체결하였기 때문에 높은 공간에서 불안정한 상태로 작업을 많이 해야만 하는 파이프 고정구의 고정작업에 어려움이 많아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었을 뿐만 아니라 부품수의 증가로 인하여 설치비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파이프 고정구의 안착부와 파이프가 선접촉을 하도록 함으로써 파이프가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접지력을 향상시키는 파이프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볼트 삽입공에 프레스 작업을 하여 볼트 삽입공을 일측으로 돌출시킨 후 내측에 나사산을 형성시킴으로서 파이프 고정구를 볼트로 체결할 경우 높은 공간에서 불안정한 상태로 작업을 할 경우에도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부품수의 감소로 설치비가 절감되는 파이프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이프 고정구2 : 지지홈
3 : 안착부4 : 볼트삽입공
5 : 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일측에 지지홈이 상하로 형성되고, 중앙에 파이프 안착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되며, 타측에 볼트 삽입공이 천공된 파이프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안착부에 다수의 돌기를 돌출시키고, 상기 볼트삽입공을 일측으로 돌출시킨 후 내측에 나사산을 형성시킨 구조로 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도면부호중 1은 파이프 고정구, 2는 지지홈, 3은 안착부, 4는 볼트삽입공, 5는 돌기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찬넬(7)에 한상의 파이프 고정구(1)로 파이프(8)가 지지되도록 볼트(6)를 체결하는 파이프 고정구(1)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고정구(1)의 일측에 지지홈(2)을 상하로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파이프 안착부(3)를 형성하되, 상기 파이프 안착부(3)에 다수의 돌기(5)를 돌출시켜 상기 돌기(5)가 파이프(8)와 접촉하도록 하여 파이프 고정구(1)와 파이프(8)가 선접촉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 고정구(1)이 타측에는 볼트 삽입공(4)을 천공하되, 상기 볼트 삽입공(4)을 프레스 작업으로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후 그 내부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볼트(6)가 체결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파이프(8)를 파이프 고정구(1)로 지지하여 고정할 경우 파이프의 내측으로 유체가 이동되어 파이프에 파장이 발생되더라도 파이프(8)와 파이프 고정구(1)가 선접촉을 하게 되므로 접지력이 향상되어 파이프(8)가 떨리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 고정구(1)의 일측에 천공된 볼트 삽입공(4)의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여건이 좋지 않은 불안정한 상태로 작업을 할 경우에도 종래와 같이 너트를 파지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볼트(6)의 체결이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너트가 필요없게 되므로 부품수의 감소로 설치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본 고안은 볼트 삽입공(4)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과 형성되지 않은 것을 한쌍으로 조합하여 볼트를 체결하여 파이프를 지지할 수도 있고, 한쌍을 모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조합하되 볼트의 머리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볼트를 사용하여 파이프 고정구를 체결하여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파이프 고정구의 안착부와 파이프가 선접촉이 되어 접지력이 향상되도록 파이프의 떨림으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볼트 삽입공에 프레스 작업을 하여 볼트 삽입공을 일측으로 돌출시킨 후 내측에 나사산을 형성시킴으로서 파이프 고정구를 볼트로 체결할 경우 높은 공간에서 불안정한 상태로 작업을 할 경우에도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부품수의 감소로 설치비가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일측에 지지홈(2)이 상하로 형성되고, 중앙에 파이프 안착부(3)가 원호형으로 형성되며, 타측에 볼트 삽입공(4)이 천공된 파이프 고정구(1)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안착부(3)에 다수의 돌기(5)를 돌출시키고, 상기 볼트 삽입공(4)을 일측으로 돌출시킨 후 내측에 나사산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구.
KR2019970013887U 1997-06-11 1997-06-11 파이프 고정구 KR199900005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887U KR19990000568U (ko) 1997-06-11 1997-06-11 파이프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887U KR19990000568U (ko) 1997-06-11 1997-06-11 파이프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568U true KR19990000568U (ko) 1999-01-15

Family

ID=69685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3887U KR19990000568U (ko) 1997-06-11 1997-06-11 파이프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056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1085Y1 (ko)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US5824952A (en) Ceiling fan outlet box
KR19990000568U (ko) 파이프 고정구
KR200155141Y1 (ko) 칸막이받침대
KR200180946Y1 (ko) 선반받침용 브라켓과 지주의 체결구조
SU1368509A1 (ru) Шпоночное соединение
KR200245849Y1 (ko) 냉장고의압축기고정장치
KR200162074Y1 (ko) 벽걸이용 소형 시스템의 확장 모듈 고정장치
KR200326845Y1 (ko) 지그 고정용 조립부재
JPH06200912A (ja) パイプ接続具
KR200398842Y1 (ko) 매입등의 소켓 고정 구조
KR0128669Y1 (ko) 모니터의 시그널 케이블 접지구조
KR19990034800A (ko) 원터치타입의 전선연결용 단자대
KR100503320B1 (ko) 자동차용 엔진마운팅 체결 구조
KR200275506Y1 (ko) 천정에 등(燈)기구의 협착장치
KR200491032Y1 (ko)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조명등
KR20000019330U (ko) 낙석방지책용 와이어 고정크립
CN107461636B (zh) 灯具
KR100433382B1 (ko) 기계가공용 원자재 지지장치
KR200183360Y1 (ko) 형광등용 현수장치의 구조
JPH0323627Y2 (ko)
US5240208A (en) Terminal block panel mount
KR870003180Y1 (ko) 분전반용 자동차단기 지지대
KR200253947Y1 (ko) 벽등용 벽등커버 고정 장치
KR200230595Y1 (ko) 프레스 금형 고정용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