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0524A - 황토와 한약재로 구성한 방향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황토와 한약재로 구성한 방향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0524A
KR19990000524A KR1019970023471A KR19970023471A KR19990000524A KR 19990000524 A KR19990000524 A KR 19990000524A KR 1019970023471 A KR1019970023471 A KR 1019970023471A KR 19970023471 A KR19970023471 A KR 19970023471A KR 19990000524 A KR19990000524 A KR 19990000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ocher
herbal medicine
medicinal herb
l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3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찬수
Original Assignee
정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찬수 filed Critical 정찬수
Priority to KR1019970023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0524A/ko
Publication of KR19990000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524A/ko

Links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와 잿물 및 솔나무 톱밥을 분말화된 한약재와 혼합반죽하여 이를 압출성형하여 제조되는 방향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방향제가 향의 발산을 위하여 휘발성 발산제를 첨가하여 액상 또는 고체의 상태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발산제로 인하여 두통 등을 초래하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한약재만을 이용하여 이를 환의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되는 것이 있으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발산제가 없기 때문에 외부의 공기접촉에 의한 피동적인 발산작용을 하도록 된 것에 불과한 것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발산효능이 있는 황토와 살균효과가 있는 재를 사용하고 여기에 한약재의 고유의 향이 강렬한 것과 은은한 것이 혼합될 경우에 은은한 향이 강렬한 향에 의하여 향이 소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나무의 톱밥을 사용함으로써 향의 분배가 되도록 하며 혼합되는 한약재의 성분을 정기를 우수하게 할 수 있는 한약재와 이들을 상승작용이 되도록 할 수 있는 한약재를 사용함으로써 향의 발산작용과 부폐방지 및 지속되는 은은한 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황토와 한약재로 구성한 방향제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황토와 잿물 및 솔나무 톱밥을 분말화된 한약재와 혼합반죽하여 이를 압출성형하여 제조되는 방향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방향제로는 방향성 화학물질을 배합하여 제조하거나 화초 등에서 추출한 방향성 정류성분에 휘발성 발산제를 첨가하여 액상 또는 고체의 상태로 제조하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방향제는 발산제의 휘발성분으로 인하여 발향효과가 강렬한 특성이 있으나 이로 인하여 향이 오래지속되지 못하여 방향제는 개폐장치가 형성된 용기에 수납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발산제는 인체에 유해하기 때문에 밀폐된 공간에서 장시간 흡입될 경우에는 두통 등을 초래하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이를 환의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되는 것이 있으나 이러한 것의 단점을 발산제가 없기 때문에 외부의 공기접촉에 의한 피동적인 발산작용을 하도록 된 것이 있으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한액제가 무기질이기 때문에 공기와의 접촉으로 부폐되는 단점으로 인하여 장시간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부폐방지를 위하여 소금을 혼합하여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소금이 단지 부폐를 방지하는 효능에 불과하여 시간이 경과될수록 부폐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발산효능이 있는 황토와 살균효과가 있는 재를 사용하고 여기에 한약재의 고유의 향이 강렬한 것과 은은한 것이 혼합될 경우에 은은한 향이 강렬한 향에 의하여 향이 소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나무의 톱밥을 사용함으로써 향의 분배가 되도록 하며 혼합되는 한약재의 성분을 정기를 우수하게 할 수 있는 한약재와 이들을 상승작용이 되도록 할 수 있는 한약재를 사용함으로써 향의 발산작용과 부폐방지 및 지속되는 은은한 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처리공정도.
제 2 도는 본 발명으로 제조된 상태의 제품사시도.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황토를 주성분으로하여 여기에 한약재를 분말화하고 소나무의 톱밥을 적당량 배합한 후 잿물로 반죽하여 이를 압출형태로 제조되는 것이다.
이때 황토는 발산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효능의 황토로는 대기상에 노출되거나 농작물을 재배한 것은 사용할 수 없고 신선한 황토로 사용하여야 하는 것이고 이는 노출되었을 경우에는 산성비로 인하여 황토의 고유향이 소멸되기 때문이고 만일 농작물을 재배하였을 경우에는 화학비료의 사용으로 인하여 황토의 변질이 발생되기 때문에 사용이 불가능한 것이다.
또한 잿물은 살균효과가 우수하여 무기질인 한약재 등이 부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잿물로의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재는 목재나 볏집을 태운 것을 사용하면 되고 나뭇잎을 태운 재료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톱밥으로 사용되는 소나무의 솔향은 향의 분산을 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이고 미세한 톱밥을 사용하여야 하고 톱밥의 대용으로는 솔잎을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배합예는 다음과 같고, 이러한 각각의 구성비는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실시예 1
황토 50%±20%
육종용3%-6%(보양약)
음양곽(삼지구엽초)3%-6%(보양약)
토사자(새삼씨)3%-6%(보양약)
정력자3%-6%(오줌내기약)
룡뇌3%-6%(살충약)
정향3%-6%(한증약)
안식향3%-6%
육계3%-6%(한증약)
목향3%-6%(리기약)(행기약)
애엽(약쑥잎)3%-6%(한증약)
볏집재7%-10%
톱밥(소나무)7%-10%
사삼(더덕)3%-6%(보음약)
길경(도라지)3%-6%(진해화담약)
이와 같은 배합비로 하여 우선적으로 한약재를 분말화하여 황토와 톱밥과 약 30분가량 충분히 교반시키고 그 후 재에 물을 첨가하여 잿물로 한 후 잿물로 반죽하는 것이다.
이때 반죽의 형태는 압출성형시에 형태의 성형이 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반죽되어야 하는 것이고 반죽시간으로는 약 30분간 반죽하였다.
이와 같이 반죽된 것을 가압압출에 의한 방법으로 뽑아내는 것이고 일정한 형태로 절단한 후 이를 한지로 감싸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황토 및 잿물과 소나무 톱밥을 이용하여 여기에 적당한 한약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우리가 원하고자 하는 향을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면서 종래와 같이 발산제를 사용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약재에 황토를 이용하여 발산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하고 잿물을 이용하여 무기질이 부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소나무 톱밥을 이용하여 향의 분산이 가능토록 함은 물론 한약재의 고유의 향을 노출시킴으로써 한약재의 향성분에 의하여 인체의 향 치료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한약재에 황토를 이용하여 발산효과를 우수하게 하고 잿물로 반죽함으로써 무기질이 부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소나무 톱밥을 사용함으로써 향의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된 황토와 한약재로 구성한 방향제.
  2. 한약재를 분말화하는 공정과 이를 톱밥 및 황토와 교반하는 공정과 교반된 것을 잿물을 이용하여 반죽하는 공정과 반죽된 것을 압출기로 성형하는 공정과 성형된 제품을 한지로 말아주는 공정으로 제조되는 황토와 한약재로 구성한 방향제의 제조방법.
KR1019970023471A 1997-06-05 1997-06-05 황토와 한약재로 구성한 방향제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005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3471A KR19990000524A (ko) 1997-06-05 1997-06-05 황토와 한약재로 구성한 방향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3471A KR19990000524A (ko) 1997-06-05 1997-06-05 황토와 한약재로 구성한 방향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524A true KR19990000524A (ko) 1999-01-15

Family

ID=65999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3471A KR19990000524A (ko) 1997-06-05 1997-06-05 황토와 한약재로 구성한 방향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05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803A (ko) * 2002-04-22 2003-11-01 김택열 솔잎추출물이 함유된 방향제 제조방법
KR20220045277A (ko) * 2020-10-05 2022-04-12 이상우 보양염소의 사육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803A (ko) * 2002-04-22 2003-11-01 김택열 솔잎추출물이 함유된 방향제 제조방법
KR20220045277A (ko) * 2020-10-05 2022-04-12 이상우 보양염소의 사육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4912A (ko) 일정한 발산농도로 장기간 균일한 발산특성을 나타내는 피톤치드 함유 방향성 복합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방향제 패키지
KR20180100642A (ko) 비상 해충 기피 제품 및 비상 해충 기피 방법
KR20090116513A (ko) 모기퇴치용 방향제의 제조방법
KR100719857B1 (ko) 탈취 조성물의 제조방법
JPH04247004A (ja) 害虫駆除組成物
KR19990000524A (ko) 황토와 한약재로 구성한 방향제 및 그 제조방법
CN1104852A (zh) 纯天然植物防虫剂
KR101772091B1 (ko) 항균성 방향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항균성 방향제 제조방법
KR101416984B1 (ko) 천연 모기향 및 이의 제조방법
CH467621A (de) Aus Drückzerstäuberdose aussprühbares Mittel zur Pflege und Behandlung von Lebewesen
CN104983645A (zh) 纯天然驱蚊虫护肤液
KR20080006158A (ko) 모기퇴치 기능을 구비한 비누 제조방법
KR101885368B1 (ko) 동물용 핥음 방지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WO2020137609A1 (ja) 消臭組成物、及び消臭方法、並びに悪臭害虫防除用組成物、及び悪臭害虫防除方法
KR20160128062A (ko) 해충기피 및 탈취효과가 우수한 식물성 오일 혼합물
JPH02200620A (ja) 消臭剤
JP2006326278A (ja) 有機系消臭成分の効力増強剤、ならびにこれを配合した消臭剤。
JP2006282624A (ja) 鼻の閉塞感を改善する香または線香
JP3233875B2 (ja) 炭窯木酢液を混入した消臭、清浄用の香
CN1106994A (zh) 参酮精液剂及其制备方法
KR102605231B1 (ko) 펠렛형 유해동물 기피제 및 그 제조방법
JP3051248U (ja) 抗菌性線香
KR100413144B1 (ko) 목걸이와 팔찌용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그 목걸이와 팔찌
KR20000061974A (ko) 향기치료 요법에 쓰는 약용식물을 사용한 기능성 벽지
JPH09124677A (ja) ゲットウを用いた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