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0446U - 자동차용 룸미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룸미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0446U
KR19990000446U KR2019970013730U KR19970013730U KR19990000446U KR 19990000446 U KR19990000446 U KR 19990000446U KR 2019970013730 U KR2019970013730 U KR 2019970013730U KR 19970013730 U KR19970013730 U KR 19970013730U KR 19990000446 U KR19990000446 U KR 199900004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housing
vehicle
auxiliary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37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철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700137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0446U/ko
Publication of KR199900004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446U/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룸미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자동차용 룸미러 어셈블리는 미러의 반사율이 높기 때문에 야간에 후방차량의 불빛으로 인한 산란이 크게 발생되어 기타 다른 후방 사물을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게 되고 이에 안전운전을 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이를 해결하고자, 차내 장착된 미러하우징(22)과, 상기 미러하우징(22)에 부착된 미러(24)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룸미러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미러하우징(22)에는 상단이 접철되어 개폐 가능하게 된 보조 미러하우징(32)이 결합되고, 상기 보조 미러하우징(32)에는 보조미러(34)가 부착된 자동차용 룸미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룸미러 어셈블리
본 고안은 자동차용 룸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간 또는 야간에 주행하는 경우에 각각에 맞는 미러를 선택 사용할 수 있어서 안전운행에 큰 도움을 주도록 된 자동차용 룸미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측면에는 사이드미러가 장착되고 차 실내에는 룸미러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사이드미러 및 룸미러에 의해 운전자는 운전중에 측방 또는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여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룸미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5) 실내 천장에 부착되어 있는 바, 상기 룸미러(10)는 크게 미러하우징(12)과, 상기 미러하우징(12)의 전면에 부착된 미러(14)와, 상기 미러하우징(12) 상측에 장착된 지지로드(16)와, 상기 지지로드(16) 단부에 장착되고 차량 천장에 고정되는 플레이트(17)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미러(14)에 비치는 후방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서 안전운전을 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룸미러(10)에 부착된 미러(14)는 주로 주간에 사용되기 때문에 후방의 사물이 명확히 비춰지도록 반사율을 높였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용 룸미러 어셈블리는 미러의 반사율이 높기 때문에 야간에 후방차량의 불빛으로 인한 산란도 크게 발생되어 기타 다른 후방 사물을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게 되고 이에 안전운전을 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 룸미러에 반사율을 낮춘 야간용 미러를 착탈시킬 수 있게 되어 있으나, 필요시마다 운전자가 상기 야간용 미러를 착탈 시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주간 및 야간 주행에 따른 미러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룸미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에서 룸미러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룸미러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의 (가)와 (나)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룸미러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2 : 보조 미러하우징34 : 보조 미러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행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내 장착된 미러하우징과, 상기 미러하우징에 부착된 미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룸미러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미러하우징에는 상단이 접철되어 개폐 가능하게 된 보조 미러하우징이 결합되고, 상기 보조 미러하우징에는 보조미러가 부착된 자동차용 룸미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도면에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룸미러 어셈블리를 도시한 것으로서, 차 실내에 설치되는 룸미러(20)는 미러하우징(22)과 미러(24)와 상기 미러하우징(22)을 지지하는 지지로드(26)와 상기 지지로드(26) 단부에 부착되고 차 실내에 결합시키는 플레이트(27)로 구성됨은 종래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미러하우징(22)에는 보조 미러하우징(32)이 장착되는데, 상기 미러하우징(22)의 상단과 상기 보조 미러하우징(32)의 상단이 접철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보조 미러하우징(32)이 개폐되도록 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미러하우징(20)의 상단부에는 축(36)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지지대(25a)(25b)가 부착되고, 상기 보조 미러하우징(32)의 상단부에도 또한 지지대(35)가 형성되어 상기 보조 미러 하우징(32)의 지지대(35)가 상기 미러 하우징(20)의 지지대(25a)(25b) 사이에 끼워진 후 상기 축(36)이 상기 지지대(25a)(25b)(35)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보조 미러 하우징(32)은 상기 미러 하우징(2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미러하우징(32)에는 보조 미러(34)가 부착되는데, 상기 보조 미러(34)는 야간용에 알맞도록 반사율이 낮은 미러를 사용하여 후방 차량의 헤드라이드 불빛 등이 덜 반사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 3의 (가)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간에 차량이 운행될 때에는 일반 미러(24)를 사용하기 위해 보조 미러하우징(32)을 열어 사용하고, 도 3의 (나)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야간에는 상기 보조 미러하우징(32)을 닫아 상기 보조 미러하우징(32)에 부착된 보조 미러(34)를 사용하여 야간에 용이하게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주간 및 야간에 후방시야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하는 미러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야간 주행시 후방 시야가 불명확하여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하나의 미러 하우징에 주간용과 야간용 미러를 결합시키게 됨으로써, 운전자는 편리하게 주간용 또는 야간용 미러를 전환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차량의 안전성과 상품성이 더욱 향상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하나의 실시예 만을 설명하였으나,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

  1. 차내 장착된 미러하우징(22)과, 상기 미러하우징(22)에 부착된 미러(24)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룸미러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미러하우징(22)에는 상단이 접철되어 개폐 가능하게 된 보조 미러하우징(32)이 결합되고, 상기 보조 미러하우징(32)에는 보조미러(34)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미러 어셈블리.
KR2019970013730U 1997-06-10 1997-06-10 자동차용 룸미러 어셈블리 KR1999000044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730U KR19990000446U (ko) 1997-06-10 1997-06-10 자동차용 룸미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730U KR19990000446U (ko) 1997-06-10 1997-06-10 자동차용 룸미러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446U true KR19990000446U (ko) 1999-01-15

Family

ID=69685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3730U KR19990000446U (ko) 1997-06-10 1997-06-10 자동차용 룸미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044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808753B1 (f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module de rangement escamotable
KR19990000446U (ko) 자동차용 룸미러 어셈블리
JPS61135838A (ja) ストツプランプ装置
KR100410923B1 (ko) 자동차의 엔진룸용 조명등 조립체
KR0113262Y1 (ko) 볼록렌즈를 구비한 자동차의 보조제동등
KR0126924Y1 (ko) 차량의 도어 열림 경고장치
KR200213833Y1 (ko) 자동차용 스토퍼
KR0125727Y1 (ko) 화장용 거울 및 독서등을 구비한 자동차 시트의 헤드 레스트
KR970005210Y1 (ko) 자동차용 룸램프차광판의 취부구조
KR100187858B1 (ko) 차량용 룸미러
KR950001829Y1 (ko) 경운기용 후방표시등 절첩장치
JP2000108796A (ja) 自動車用オーバヘッドコンソール構造
KR100427334B1 (ko) 자동차용 메모리 인사이드 미러
KR19990041616U (ko) 룸미러 반사 조절장치
KR19980056508A (ko) 자동차용 보조미러
KR19980044687U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KR19980062199U (ko) 횡측 볼록경을 갖는 자동차 아우터 미러
KR19980053763A (ko) 자동차의 경광등 취부구조
KR19980040716U (ko) 자동차의 접합 스위치
KR19980048514U (ko) 자동차의 전방 감시용 미러
KR19980055329U (ko) 자동차의 전방시야 확보 백미러
KR19980040860U (ko) 자동차용 보조미러
KR19980031196U (ko) 실내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룸미러
KR19980042644U (ko) 차량용 리어미러
KR19980015592U (ko) 램프 일체형 룸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