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0230U - 채수기 - Google Patents

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0230U
KR19990000230U KR2019970013455U KR19970013455U KR19990000230U KR 19990000230 U KR19990000230 U KR 19990000230U KR 2019970013455 U KR2019970013455 U KR 2019970013455U KR 19970013455 U KR19970013455 U KR 19970013455U KR 19990000230 U KR19990000230 U KR 199900002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ainer
guide
water collecting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3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창모
Original Assignee
양창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창모 filed Critical 양창모
Priority to KR2019970013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0230U/ko
Publication of KR199900002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230U/ko

Links

Landscapes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 호수, 하천 등의 수질을 검사하거나 조사하기 위해 시료수를 채집하기 위한 채수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하측에는 무게추가 연결되고 상측에는 연결줄이 연결되며 하부 일측에는 물배출 콕크가 형성된 채수통을 구비하는 채수기에 있어서, 상기 채수통의 상,하 채수구에는 가이드 돌기부를 구비하는 채수마개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의 끝단에는 채수마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며 채수통의 상,하 내측벽에 가이드공을 갖는 횡간부가 형성되어 채수마개의 가이드 돌기부가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되어 채수마개가 개폐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채수시에 솔레노이드나 DC 모터와 같은 별도의 작동장치를 구비한 개폐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히 수압만을 이용하여 채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채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채수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채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채수기
본 고안은 채수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호수, 강, 바다 등의 수질을 검사하거나 조사하기 위하여 물을 채집하기 위한 채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수, 강, 바다 등의 물을 채집하여 오염도, 세균, 생물 등의 수질검사를 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종류의 채수기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채수기는 채수통의 입구위에 덮개를 마련하고 이 덮개에 끈을 연결하여 채수기가 일정 깊이에 들어가면 끈을 잡아당겨 덮개를 열어 채수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덮개가 구비된 채수기는 사용할 때에 끈을 당기면 채수기가 따라 올라와 정확히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채수통의 상부에 솔레노이드나 DC 모터를 이용하는 개폐기를 설치하여 채수기가 일정 깊이에 도달하면 스위치를 작동시켜 필요한 채수가 이루어지게 하는 구조의 채수기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채수기는 솔레노이드나 DC 모터와 같은 작동장치를 이용하여 개폐기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채수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나 DC 모터와 같은 별도의 작동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단지 수압만을 이용하여 간편하고 용이하게 채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채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채수기는 하측에는 무게추가 연결되고 상측에는 연결줄이 연결되며 하부 일측에는 물배출 콕크가 형성된 채수통을 구비하는 채수기에 있어서, 상기 채수통의 상,하 채수구에는 가이드 돌기부를 구비하는 채수마개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의 끝단에는 채수마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며 채수통의 상,하 내측벽에 가이드공을 갖는 횡간부가 형성되어 채수마개의 가이드 돌기부가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되어 채수마개가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채수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채수기의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채수기를 물속으로 내릴 때의 작동단면도,
도 3b는 본 고안의 채수기를 물속에서 끌어 올릴때의 작동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채수통 12 : 상부 채수마개
14 : 하부 채수마개 16 : 상부 채수구
18 : 하부 채수구 20 : 가이드 돌기부
22 : 횡간부 24 : 가이드공
26 : 무게추 28 : 연결줄
30 : 물배출 콕크 32 : 걸림턱
이하, 본 고안의 채수기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채수기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채수기를 절개한 단면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고안의 채수기를 물속으로 내릴 때의 작동단면도이며, 도 3b는 본 고안의 채수기를 물속에서 끌어올릴때의 작동단면도로서, 도면중 부호 10은 채수통, 12는 상부 채수마개, 14는 하부 채수마개, 16은 상부 채수구, 18은 하부 채수구, 20은 가이드 돌기부, 22는 횡간부, 24는 가이드공, 26은 무게추, 28은 연결줄, 30은 물배출 콕크, 32는 걸림턱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채수기는 하측에는 무게추(26)가 연결되고 상측에는 연결줄(28)이 연결되며 하부 일측에는 물배출 콕크(30)가 형성된 채수통(10)을 구비하는 채수기에 있어서, 상기 채수통(10)의 상,하 채수구(16, 18)에는 가이드 돌기부(20)를 구비하는 채수마개(12, 14)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20)의 끝단에는 채수마개(12, 1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32)이 형성되며 채수통(10)의 상,하 내측벽에 가이드공(24)을 갖는 횡간부(22)가 형성되어 채수마개의 가이드 돌기부(20)가 가이드공(24)을 따라 이동되어 채수마개가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채수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수통(10)의 상,하부 채수구(16, 18)에 수압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채수마개(12, 14)를 구비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채수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합성수지재 채수통(10)의 상측에는 채수기를 물속으로 내리거나 끌어올리기 위한 연결줄(28)이 연결되어 있고 하측에는 채수기를 물속으로 가라앉게 하기 위한 무게추(26)가 연결되어 있으며, 채수통(10)의 하부 일측에는 채수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물배출 콕크(3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채수통(10)의 하부에 형성된 무게추(26)는 채수기를 물속으로 가라앉게 하기 위한 것이며 채수통(10)의 상부에 연결된 연결줄(28)은 채수작업후 채수기를 물속에서 끌어올리기 위한 것이다.
채수통(10)의 상,하 개방부에는 채수통내로 채수를 수행하고 채수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채수마개(12, 14)가 설치되며 채수마개의 중앙에는 채수마개의 개폐를 위한 가이드 돌기부(20)가 형성되며 돌기부(20)의 끝단에는 채수마개(12, 1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32)이 형성되어 있다.
채수통(10)의 상,하부 내측벽에는 상,하 채수마개(12, 14)를 지지하기 위한 횡간부(22)가 고정설치되며 그 횡간부의 중앙에 가이드공(24)이 형성되어 상,하 채수마개(12, 14)의 가이드 돌기부(20)가 가이드공(24)을 통하여 이동되어 채수마개가 개폐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채수기는 채수통의 외측에 수중물체에 부딪혀도 깨지지 않도록 보호망이 설치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채수기를 하천이나 바다에 던져 넣을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의 무게에 의해 채수기가 가라앉으면서 수압에 의해 하부 채수마개가 채수통의 안쪽으로 이동되어 열리면서 물이 채수통내로 인입되고 채수통내의 압력이 상승되어 수압에 의해 상부 채수마개를 열리게 되어 채수통내로 자연스럽게 물이 들어오게 된다. 채수통내에 어느 정도의 물이 채워져 연결줄을 끌어올릴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끌어올리는 힘에 의해 상부 채수마개에 수압이 가해져 상부 채수마개를 닫으면서 하방으로 작용되는 수압이 하부 채수마개를 닫아 채수통내의 물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여 채수작업을 완료하는 것이다.
채수작업의 완료후에는 채수통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물배출 콕크를 열어 필요한 양만큼의 물을 용기에 담아 수질을 검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채수기를 이용하여 채수작업을 수행할 경우, 채수기를 하천이나 바다에 던져 넣어 수압을 이용하여 간단히 채수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내용은 본 고안의 채수기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것이 본 고안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채수기는 솔레노이드나 DC 모터와 같은 별도의 작동장치를 구비한 채수기와는 달리 간단히 수압만을 이용하여 채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채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채수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하측에는 무게추가 연결되고 상측에는 연결줄이 연결되며 하부 일측에는 물배출 콕크가 형성된 채수통을 구비하는 채수기에 있어서, 상기 채수통의 상,하 채수구에는 가이드 돌기부를 구비하는 채수마개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의 끝단에는 채수마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며 채수통의 상,하 내측벽에 가이드공을 갖는 횡간부가 형성되어 채수마개의 가이드 돌기부가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되어 채수마개가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수통의 내측벽에 온도계가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수기.
KR2019970013455U 1997-06-05 1997-06-05 채수기 KR1999000023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455U KR19990000230U (ko) 1997-06-05 1997-06-05 채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455U KR19990000230U (ko) 1997-06-05 1997-06-05 채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230U true KR19990000230U (ko) 1999-01-15

Family

ID=69680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3455U KR19990000230U (ko) 1997-06-05 1997-06-05 채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0230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808B1 (ko) * 2007-12-13 2010-05-13 (주)에코션 채수기
KR101493350B1 (ko) * 2013-09-24 2015-02-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인입식 관정수 포집기
KR102052020B1 (ko) 2019-08-01 2019-12-04 (재)자연환경연구소 채수용 베일러
KR102387405B1 (ko) * 2021-06-08 2022-04-18 주식회사 메이텍엔지니어링 현탁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808B1 (ko) * 2007-12-13 2010-05-13 (주)에코션 채수기
KR101493350B1 (ko) * 2013-09-24 2015-02-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인입식 관정수 포집기
KR102052020B1 (ko) 2019-08-01 2019-12-04 (재)자연환경연구소 채수용 베일러
KR102387405B1 (ko) * 2021-06-08 2022-04-18 주식회사 메이텍엔지니어링 현탁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09976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reverse flow in drainage
KR19990000230U (ko) 채수기
JP4132488B2 (ja) 雨水貯水装置
CN215562478U (zh) 一种水面垃圾清理装置
JP2649327B2 (ja) 浮上油自動回収装置
US5739440A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hydrocarbons floating on water
CN113463741A (zh) 一种双井室过滤井
KR100403447B1 (ko) 무퇴수 부동전
KR100543435B1 (ko) 하수역류방지장치
CN213929670U (zh) 自动排液装置
KR900006587Y1 (ko) 채수기
KR101698686B1 (ko) 연통구를 구비한 토사 제거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토사 제거장치
CN216890204U (zh) 一种防倒流的污水处理箱
CN209815766U (zh) 一种防渣型滗水器
CN218952374U (zh) 一种道路用排污井
CN219451006U (zh) 可防止垃圾进入的道路排水用雨水篦子
CN211447185U (zh) 一种防溢返地漏
KR200262328Y1 (ko) 욕조용 배수트랩
CN2690463Y (zh) 一种浮压式防回流隔器
JP2004216274A (ja) 油水分離器
KR0115526Y1 (ko) 싱크대용 걸름망에 의한 배수관 개폐장치
KR200310562Y1 (ko) 절수형 변기
KR200206146Y1 (ko) 양변기의 절수장치
CA2196742C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hydrocarbons floating on water
KR0123325Y1 (ko) 침사통을 가지는 맨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