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7808B1 - 채수기 - Google Patents

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7808B1
KR100957808B1 KR1020070129742A KR20070129742A KR100957808B1 KR 100957808 B1 KR100957808 B1 KR 100957808B1 KR 1020070129742 A KR1020070129742 A KR 1020070129742A KR 20070129742 A KR20070129742 A KR 20070129742A KR 100957808 B1 KR100957808 B1 KR 100957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ocking
opening
closing
shaf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2470A (ko
Inventor
명철수
Original Assignee
(주)에코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션 filed Critical (주)에코션
Priority to KR1020070129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808B1/ko
Publication of KR20090062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해양, 호수, 강, 하천 등에서 수질검사를 위한 시료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채취할 수 있는 채수기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채수기는 개방되는 좌,우 양단이 밀폐되도록 좌,우측마개가 각각 구비되고 우측마개에 채수공이 형성된 중공형의 몸체와,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수질검사를 위한 시료의 채취 시 외력에 의해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 및 이동부재와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우측마개의 외부에 배치되고 이동부재의 이동 시 연결부재에 의해 당김되거나 당김이 해제되어 채수공을 개폐하기 위한 채수공 개폐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채수기에 의하면, 단순 구조로 이루어지고 몸체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이동부재에 의해 채수공을 개폐하여 수질검사를 위한 시료를 채취함으로써, 채수를 위한 조작이 간편하고 신속한 채취가 가능하게 되어 편의성이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채수, 수질검사

Description

채수기{WATER SAMPLER}
본 발명은 채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순 구조로 이루어지며 해양, 호수, 강, 하천 등에서 수질검사를 위한 시료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채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질검사는 물의 물리학적 성질이나 물에 포함된 화학적 성분, 미생물 등을 조사하는 것으로, 상수도 수원을 선정할 때, 수원의 오염이나 정화 작업을 점검 감시할 때, 수질기준에 대한 수돗물의 합격여부를 검사할 때, 바다나 호수, 강 또는 하천의 환경오염도를 측정할 때, 보건소 등에서 우물물의 음료적부를 판정할 때, 또는 공업용 수도나 하수도의 오염도를 검사할 때 등 다양한 목적에서 실시된다.
수질검사를 위해서는 현장에서 전체 수질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시료를 채수하여야 하는데, 수질검사의 대상이 바다, 호수, 강, 하천 등과 같이 수심이 깊은 경우에는 수심에 따라 수질이 달라지기 때문에 수질검사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수심 별로 시료를 채수하거나 기준이 되는 수심에서 평균적 수질을 갖는 시료를 채수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물 위에서 수심이 깊은 곳으로부터 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 채수기가 사용된다.
수심이 깊은 곳으로부터 시료 채수를 위해 사용되는 채수기는 로프나 와이어에 매달아 채수통을 개방된 상태로 침강시킨 다음 물 위에서 채수통을 밀봉하는 방식으로 채수하는 전도 채수기, 8∼12 개의 채수통이 구비되어 일정한 깊이에서 끌어올리는 것으로 수압에 따라 자동으로 여러 깊이의 시료를 채수하는 다통 채수기. 그리고 에보나이트나 고무로 절연되어 있으며 메신저 투하로 채수기를 밀봉하여 시료를 채수하고 끌어올린 다음에 수온을 측정할 수 있게 구성된 절연 채수기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채수기는 복잡한 구조로 형성되어 수질검사를 위한 시료의 채수 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간편하고 신속한 채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양, 호수, 강, 하천 등에서 수질검사를 위한 시료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채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소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개방되는 좌,우 양단이 밀폐되도록 좌,우측마개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우측마개에 채수공이 형성된 중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수질검사를 위한 시료의 채취 시 외력에 의해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상기 우측마개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 시 연결부재에 의해 당김되거나 당김이 해제되어 상기 채수공을 개폐하기 위한 채수공 개폐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직진 운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채수공 개폐구와 연결부재로 연결되는 피스톤부재와,
상기 피스톤부재와 다수의 연결바로 연결되어 피스톤부재가 직진성을 갖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 및
상기 안내부재에 외력을 전달하기 위한 축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피스톤부재의 외주연에는 상기 몸체의 내벽과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수밀부재가 구비된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는 탄성을 갖는 줄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좌측마개에는 시료의 채취 전,후에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부재로 연결된 상기 채수공 개폐구에 의한 상기 채수공의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이동재의 이동을 잠금하기 위한 잠금장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좌측마개의 외부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그 중앙부로 상기 축부재가 통과되는 잠금하우징과,
상기 잠금하우징의 내부에 복수가 대응되게 배치되고 대응면이 접하도록 탄성 지지되어 상기 축부재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걸림되기 위한 잠금부재와,
상기 잠금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 및
상기 잠금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잠금부재와 직교되도록 복수가 대응되게 배치되고 대응되는 각 일단이 잠금부재의 접하는 경계부에 밀착되어 상기 축부재 방향으로 이동 시 축부재(26)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해제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의 접하는 경계부에는 내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해제부재의 각 일단에는 상기 경사면에 밀착되는 구면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해제부재가 상기 축부재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축부재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경사면을 타고 이동되는 구면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의 접하는 대응면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을 이기고 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채수공에는 상기 채수공 개폐구가 밀폐되도록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채수공 개폐구는 고무 재질로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채수기는 단순 구조로 이루어지고 몸체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이동부재에 의해 채수공을 개폐하여 수질검사를 위한 시료를 채취함으로써, 채수를 위한 조작이 간편하고 신속한 채취가 가능하게 되어 편의성이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채수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채수기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개방되는 좌,우 양단이 밀폐되도록 좌,우측마개(12,14)가 각각 구비되고 우측마개(14)에 채수공(16)이 형성된 중공형의 몸체(10)와, 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수질검사를 위한 시료의 채취 시 외력에 의해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20), 이동부재(20)와 연결부재(32)로 연결되어 우측마개(14)의 외부에 배치되고 이동부재(20)의 이동 시 연결부재(32)에 의해 당김되거나 당김이 해제되어 채수공(16)을 개폐하기 위한 채수공 개폐구(30), 및 채수공 개폐구(30)에 의한 채수공(16)의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이동부재(20)의 이동을 잠금하기 위한 잠금장치(40)로 구성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몸체(10)는 좌,우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가 중 공되는 원통, 사각형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몸체(10)는 원통형 단면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 몸체(10)는 개방되는 좌,우 양단이 밀폐되도록 좌,우측마개(12,14)가 각각 나사결합되어 있다. 우측마개(14)에는 몸체(10)의 내부로 수질검사를 위한 시료가 채취되도록 채수공(16)이 형성되어 있다. 채수공(16)에는 채수공 개폐구(30)가 밀폐되도록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18)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부재(20)는 수질검사를 위한 시료의 채취 시 외력에 의해 몸체(10)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직진 운동되도록 구비되고 채수공 개폐구(30)와 연결부재(32)로 연결되는 피스톤부재(22)와, 피스톤부재(22)와 다수의 연결바(25)로 연결되어 피스톤부재(22)가 직진성을 갖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24), 및 안내부재(24)에 외력을 전달하기 위한 축부재(26)로 구성된 것이다.
또, 피스톤부재(22)의 외주연에는 몸체(10)의 내벽과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수밀부재(23)가 구비되어 있다. 수밀부재(23)는 오링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굳이 이에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또, 안내부재(24)는 피스톤부재(22)와 축부재(26) 사이에 구비되어 연결바(25)에 의해 피스톤부재(22)와 연결되어 있고, 축부재(26)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피스톤부재(22)가 몸체(10)의 내부에서 균일한 직진성을 갖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안내부재(24)의 연결바(25)는 피스톤부재(22)의 가장자리와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어 축부재(26)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이 안내부재(24)의 연결바(25)에 의해 피스톤부재(22)에 균일하게 전달됨으로써, 피스톤부재(22)는 몸체(10)의 내부에서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길이방향으로 균일한 직진 운동이 가능해진다.
또, 축부재(26)는 그 일부가 좌측마개(12)를 통해 몸체(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안내부재(24)와 연결되어 있고 외주연 소정의 위치에는 잠금장치(40)에 의해 걸림되기 위한 걸림홈(2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축부재(26)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을 안내부재(24)로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안내부재(24)에 가해지는 외력은 로봇(도면에 미도시)의 제어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이동부재(20)는 몸체(10)의 내부 좌측에 구비된 상태에서 축부재(26)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안내부재(24)와 피스톤부재(22)가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직진 운동하도록 이동되는 구조로 된 것이다.
채수공 개폐구(30)는 시료의 채취를 위한 이동부재(20)의 이동에 따라 몸체(10)의 우측마개(14)에 형성되는 채수공(16)을 개폐하는 것으로, 이동부재(20)의 피스톤부재(22)와 연결부재(32)로 연결되도록 우측마개(14)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채수공 개폐구(3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굳이 이에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또, 연결부재(32)는 탄성을 갖는 고무줄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굳이 이에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의 채수공 개폐구(30)는 이동부재(20)의 이동 시 연결부재(32)의 탄 성에 의해 이동부재(20)의 이동방향으로 당김되거나 당김이 해제되어 채수공(16)을 개폐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
잠금장치(40)는 시료의 채취 전,후에 채수공 개폐구(30)에 의한 채수공(16)의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이동부재(20)의 이동을 잠금하는 것으로, 좌측마개(12)의 외부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그 중앙부로 축부재(26)가 통과되는 잠금하우징(42)과, 잠금하우징(42)의 내부에 복수가 대응되게 배치되고 대응면이 접하도록 탄성 지지되어 축부재(26)의 걸림홈(28)에 걸림되기 위한 잠금부재(44)와, 잠금부재(44)가 걸림홈(28)에 걸림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46), 및 잠금하우징(42)의 내부에 잠금부재(44)와 직교되도록 복수가 대응되게 배치되고 대응되는 각 일단이 잠금부재(44)의 접하는 경계부에 밀착되어 축부재(26) 방향으로 이동 시 축부재(26)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해제부재(48)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잠금해제부재(48)는 축부재(26) 방향으로 이동 시 이탈이 방지되도록 잠금하우징(42)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잠금부재(44)의 접하는 경계부에는 내향 경사지는 경사면(43)이 형성되어 있고, 잠금해제부재(48)의 각 일단에는 경사면(43)에 밀착되는 구면(4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잠금해제부재(48)가 축부재(26) 방향으로 이동 시 경사면(43)을 타고 이동되는 구면(47)에 의해 축부재(26)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잠금부재(44)의 접하는 대응면이 탄성부재(46)의 탄성을 이기고 떨어지게 된다.
여기서, 잠금해제부재(48)의 이동은 축부재(26)와 마찬가지로 로봇의 제어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또, 탄성부재(46)는 잠금하우징(42)의 내부에 이탈이 방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잠금장치(40)는 시료의 채취 전,후에 이동부재(20)와 연결부재(32)로 연결된 채수공 개폐구(30)에 의한 채수공(16)의 막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잠금부재(44)가 탄성부재(46)의 탄성에 의해 축부재(26)의 걸림홈(28)에 걸림되어 축부재(26)의 이동이 고정되는 구조로 된 것이다.
아울러, 축부재(26)의 걸림 상태는 잠금해제부재(48)가 축부재(26) 방향으로 이동 시 경사면(43)을 타고 이동되는 구면(47)에 의해 잠금부재(44)의 접하는 대응면이 탄성부재(46)의 탄성을 이기고 떨어지게 됨으로써 해제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45”는 잠금하우징(42)의 내부에 결합되어 탄성부재(44)의 이탈 방지 및 탄성력 조절을 위한 볼트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볼트(45)가 조임되거나 풀림됨으로써 잠금부재(44)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46)의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48A”는 잠금해제부재(48)를 축부재(26)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장공을 나타낸 것이고, “49”는 잠금부재(44)에 의해 걸림된 축부재(26)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축부재(26) 방향으로 이동되는 잠금해제부재(48)를 안내장공(48A)에 의해 하우징(42)에서 이탈방지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핀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채수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심이 얕은 해양, 호수, 강, 하천 등에서 수질검사를 위한 시료를 채취하기 전에 이동부재(20)는 로봇의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몸체(10)의 내부에서 좌측으로 이동되어 잠금장치(40)에 의해 이동이 정지되도록 잠금되게 되고, 채수공(16)은 이동부재(20)와 연결부재(32)로 연결되어 이동부재(20)의 이동방향으로 당김되는 채수공 개폐구(30)에 의해 막히게 된다.
즉, 축부재(26)에 몸체(10)의 좌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안내부재(24)와 피스톤부재(22)가 몸체(10)의 내부에서 좌측으로 직진 운동되도록 이동하게 되고, 이동되는 축부재(26)의 걸림홈(28)으로 잠금하우징(42)의 내부에 탄성부재(46)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잠금부재(44)가 걸림되면 이동부재(20)의 이동이 정지되게 된다. 이때, 축부재(26)의 걸림홈(28)에 걸림된 잠금부재(44)는 탄성부재(46)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그 대응면이 접하게 되고, 잠금부재(44)의 접하는 경계부에 형성된 경사면(43)에는 잠금해제부재(48)의 구면(47)이 밀착되게 된다.
그리고, 피스톤부재(22)와 연결부재(32)로 연결된 채수공 개폐구(30)는 우측마개(14)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부재(32)의 탄성에 의해 이동부재(20)의 이동방향으로 당겨지게 되어 안착홈(18)에 밀폐되도록 안착되므로 채수공(16)이 막히게 된다. 이때, 축부재(26)는 잠금부재(44)에 의해 걸림되어 연결부재(32)의 탄성에 의한 당김력이 채수공 개폐구(30)에 계속 작용하게 되므로 채수공(16)의 막힘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수질검사를 위한 시료를 채취하려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가 해당 수심에 도달되면 로봇에 의해 잠금해제부재(48)를 축부재(26)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잠금부재(44)의 경사면(43)에 밀착된 잠금해제부재(48)의 구면(47)이 경사면(43)을 타고 축부재(26)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잠금해제부재(48)의 이동에 의해 잠금부재(44)의 접하는 대응면이 탄성부재(46)의 탄성을 이기고 떨어지게 되어 잠금부재(44)가 걸림홈(28)에서 이탈되도록 외측으로 밀리게 되므로 축부재(26)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그리고, 잠금해제부재(48)에 의해 축부재(26)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면 이동부재(20)는 로봇의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몸체(10)의 내부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채수공(16)은 이동부재(20)의 이동 시 연결부재(32)의 탄성에 따른 당김력이 해제되므로 채수공 개폐구(30)에 의한 막힘 상태가 해제되어 열리게 된다.
즉, 축부재(26)에 몸체(10)의 우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축부재(26)의 이동에 의해 안내부재(24)와 피스톤부재(22)가 몸체(10)의 내부에서 우측으로 직진 운동되도록 이동하게 된다.
이때, 피스톤부재(22)와 연결부재(32)로 연결된 채수공 개폐구(30)는 채수공(16)을 막도록 안착홈(18)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부재(20)의 이동에 따라 연결부재(32)의 탄성에 의한 당김력이 해제되므로 안착홈(18)에서 부력에 의해 이탈하게 되고, 이에 채수공(16)의 막힘 상태가 해제되어 열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채수공 개폐구(30)의 이탈에 의해 채수공(16)이 열리게 되어 몸체(10)의 내부에 수질검사를 위한 시료를 채취하게 되고, 몸체(10)의 내부에 시료가 채취된 후 도 4와 같이 로봇에 의해 이동부재(20)를 몸체(10)의 좌측으로 이동시켜 채수공 개폐구(30)로 채수공(16)을 막은 후 몸체(10)를 수면 위로 끌어올림으 로써 수질검사를 위한 시료의 채취가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수심이 깊은 심해의 수질검사를 위한 시료를 채취하려는 경우, 도 4와 같이 몸체(10)의 채수공(16)이 채수공 개폐구(30)에 의해 막힌 상태로 심해의 해당 수심에 도달되면 몸체(10)는 심해의 수압에 의해 찌그러짐 등의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즉, 채수공(16)이 채수공 개폐구(30)에 의해 막히게 되면 몸체(10)의 내부는 진공상태로 유지되어 심해에서 작용하는 수압에 의해 찌그러짐 등의 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이동부재(20)의 직진 운동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시료를 채취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심해에서 수질검사를 위한 시료를 채취 시에는 도 5와 같이 몸체(10)가 심해의 수압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채수공(16)이 열린 상태로 해당 수심에 도달되어 몸체(10)의 내부에 시료를 채취하게 되고, 시료의 채취 후 도 4와 같이 몸체(10)의 채수공(16)이 채수공 개폐구(30)에 의해 막힌 상태로 끌어 올려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채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채수기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채수기의 B-B선 단면도, 그리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채수기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2 : 좌측마개
14 : 우측마개 16 : 채수공
18 : 안착홈 20 : 이동부재
22 : 피스톤부재 24 : 안내부재
26 : 축부재 28 : 걸림홈
30 : 채수공 개폐구 32 : 연결부재
40 : 잠금장치 42 : 잠금하우징
44 : 잠금부재 46 : 탄성부재
48 : 잠금해제부재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개방되는 좌,우 양단이 밀폐되도록 좌,우측마개(12,14)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우측마개(14)에 채수공(16)이 형성된 중공형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수질검사를 위한 시료의 채취 시 외력에 의해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20), 및 상기 이동부재(20)와 연결부재(32)로 연결되어 상기 우측마개(14)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재(20)의 이동 시 연결부재(32)에 의해 당김되거나 당김이 해제되어 상기 채수공(16)을 개폐하기 위한 채수공 개폐구(30)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마개(12)에는 시료의 채취 전,후에 상기 이동부재(20)와 연결부재(32)로 연결된 상기 채수공 개폐구(30)에 의한 상기 채수공(16)의 막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이동부재(20)의 이동을 잠금하기 위한 잠금장치(40)가 구비되되,
    상기 잠금장치(40)는 상기 좌측마개(12)의 외부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그 중앙부로 축부재(26)가 통과되는 잠금하우징(42)과,
    상기 잠금하우징(42)의 내부에 복수가 대응되게 배치되고 대응면이 접하도록 탄성 지지되어 상기 축부재(26)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걸림홈(28)에 걸림되기 위한 잠금부재(44)와,
    상기 잠금부재(44)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46), 및
    상기 잠금하우징(42)의 내부에 상기 잠금부재(44)와 직교되도록 복수가 대응되게 배치되고 대응되는 각 일단이 잠금부재(44)의 접하는 경계부에 밀착되어 상기 축부재(26) 방향으로 이동 시 축부재(26)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해제부재(4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수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44)의 접하는 경계부에는 내향 경사지는 경사면(43)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해제부재(48)의 각 일단에는 상기 경사면(43)에 밀착되는 구면(47)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해제부재(48)가 상기 축부재(26) 방향으로 이동 시 경사면(43)을 타고 이동되는 구면(47)에 의해 상기 축부재(26)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잠금부재(44)의 접하는 대응면이 상기 탄성부재(46)의 탄성을 이기고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수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채수공(16)에는 상기 채수공 개폐구(30)가 밀폐되도록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1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수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채수공 개폐구(3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수기.
KR1020070129742A 2007-12-13 2007-12-13 채수기 KR100957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742A KR100957808B1 (ko) 2007-12-13 2007-12-13 채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742A KR100957808B1 (ko) 2007-12-13 2007-12-13 채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470A KR20090062470A (ko) 2009-06-17
KR100957808B1 true KR100957808B1 (ko) 2010-05-13

Family

ID=40991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742A KR100957808B1 (ko) 2007-12-13 2007-12-13 채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8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55256A (zh) * 2010-12-06 2012-05-16 山东六和集团有限公司 水下样品采集器
CN103484355A (zh) * 2013-09-06 2014-01-01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〇研究所 深海微生物开盖式培养舱
KR20190063039A (ko)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라스테크 채수기
KR102553691B1 (ko) * 2022-11-30 2023-07-10 유동규 자동 채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142B1 (ko) * 2012-06-15 2014-02-1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주상시료 채취장치용 안전장치
KR101361143B1 (ko) * 2012-06-15 2014-02-1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비교란 채취가 가능한 주상시료 채취기
KR101486285B1 (ko) * 2013-09-24 2015-02-0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개폐식 관정수 포집기
CN112414770B (zh) * 2020-09-29 2024-02-09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转动式底层水采集装置及水样采集方法
CN112857910B (zh) * 2021-01-11 2021-11-09 山东中正食品科技检测有限公司 一种深度可调的灌溉水检测用水样采集装置
KR102411548B1 (ko) * 2021-11-29 2022-06-22 이정원 자동 채수기
CN117516998B (zh) * 2023-11-14 2024-05-03 河北泽澜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水质检测分析仪样本采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230U (ko) * 1997-06-05 1999-01-15 양창모 채수기
JP2000145352A (ja) 1999-01-01 2000-05-26 Kajima Corp 地下水採水装置
KR200241120Y1 (ko) 2001-04-24 2001-10-12 아름다운 환경건설(주) 지하수 시료 채취기
JP2003139664A (ja) 2001-10-31 2003-05-14 Kanto Auto Works Ltd 地下水試料採取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230U (ko) * 1997-06-05 1999-01-15 양창모 채수기
JP2000145352A (ja) 1999-01-01 2000-05-26 Kajima Corp 地下水採水装置
KR200241120Y1 (ko) 2001-04-24 2001-10-12 아름다운 환경건설(주) 지하수 시료 채취기
JP2003139664A (ja) 2001-10-31 2003-05-14 Kanto Auto Works Ltd 地下水試料採取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55256A (zh) * 2010-12-06 2012-05-16 山东六和集团有限公司 水下样品采集器
CN103484355A (zh) * 2013-09-06 2014-01-01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〇研究所 深海微生物开盖式培养舱
CN103484355B (zh) * 2013-09-06 2015-03-18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〇研究所 深海微生物开盖式培养舱
KR20190063039A (ko)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라스테크 채수기
KR102553691B1 (ko) * 2022-11-30 2023-07-10 유동규 자동 채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470A (ko)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808B1 (ko) 채수기
CN210322458U (zh) 一种用于水质检测评价的取样系统
CN211235106U (zh) 一种油田矿区水质监测取样装置
CN104880336B (zh) 底层水分层采水装置
EP3519796B1 (en) A device for collecting water sample to concentrate diversified bacteria from different water depth
CN111122244B (zh) 一种水质监测用水样品收集装置
KR200476076Y1 (ko) 수중 퇴적물 시료채취기
CN117191478A (zh) 一种适用于污染物分析的采样设备及其使用方法
CN211877470U (zh) 一种水质监测用取样装置
CN213200023U (zh) 一种河流湖泊水质监测小型浮标装置
CN115326492A (zh) 一种用于生态环境检测的新型水质采样装置
US20230280326A1 (en) Water sampler
CN220231127U (zh) 一种用于河流湖泊管理的水样采集装置
KR101246644B1 (ko) 압력유지 및 오염 방지형 푸쉬코어
CN212410118U (zh) 一种用于深水水库的卡环式沉积物采样器
Cabelli et al. The movement of sewage sludge from the New York Bight dumpsite as seen from Clostridium perfringens spore densities
CN218937846U (zh) 一种水样采集装置
CN114771738B (zh) 一种生态环境监测用浮标装置
CN214473261U (zh) 一种河道环境管理的水质监测装置
CN110967224A (zh) 一种水文勘测用取样结构
KR102608166B1 (ko) 수중시료채취기
CN215894587U (zh) 一种河道水质检测装置
CN214146629U (zh) 一种常闭式浮动阀
SU44679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бора проб жидкости
CN212110703U (zh) 一种新型水质取样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