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7405B1 - 현탁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 - Google Patents

현탁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7405B1
KR102387405B1 KR1020210074237A KR20210074237A KR102387405B1 KR 102387405 B1 KR102387405 B1 KR 102387405B1 KR 1020210074237 A KR1020210074237 A KR 1020210074237A KR 20210074237 A KR20210074237 A KR 20210074237A KR 102387405 B1 KR102387405 B1 KR 102387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opening
plunger
cylindric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이텍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이텍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이텍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074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9/00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 E21B49/08Obtaining fluid samples or testing fluids, in boreholes or wells
    • E21B49/081Obtaining fluid samples or testing fluids, in boreholes or wells with down-hole means for trapping a fluid samp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06Dispersed solids
    • G01N2001/1012Suspensions
    • G01N2001/1025Liquid suspensions; Slurries; Mud; Slud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탁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에 관한 것으로, 메신저, 타겟 및 스프링을 이용하는 충격식 여닫이 방식(van Dorn 또는 Niskin 타입)이 아닌 상승 시 수압으로 내부에서 충격 없이 자연스럽게 닫히는 방식에 의해 저층수를 채수할 때 수중 바닥에서 현탁물질의 발생을 최소화 하는 한편, 수중 바닥(sediment)에서 부유하는 현탁물질이 발생하더라도 현탁물질의 내부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단부에는 승강용 로프가 연결되며 상면과 하면이 개구된 수직관 형태의 채수관; 상기 채수관 하단부에 결합되며 수중에서 하강할 때에는 플런저가 수압에 의해 상승하여 유로가 열리면서 상기 채수관 내부로 물의 유입을 허용하고 수중에서 상승할 때에는 플런저가 수압에 의해 하강하여 유로가 닫히면서 상기 채수관 내부로 유입된 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개폐부재; 상면과 하면이 개구되고 내부공간을 구비한 수직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채수관과 일렬로 연결되어 상기 채수관의 하단부가 수중 바닥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최소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면서 수중 바닥으로부터 발생한 인위적인 현탁물질이 상기 채수관의 하단부까지 도달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보호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탁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Non-impact plunger type water sampler to prevent inflow of suspended material}
본 발명은 채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신저, 타겟 및 스프링을 이용하는 충격식 여닫이 방식(van Dorn 또는 Niskin 타입)이 아닌 상승 시 수압으로 내부에서 충격 없이 자연스럽게 닫히는 방식에 의해 저층수를 채수할 때 수중 바닥에서 인위적인 현탁물질의 발생을 최소화 하는 한편, 수중 바닥(sediment)에서 부유하는 현탁물질이 발생하더라도 현탁물질의 내부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상에서 수환경 평가를 위하여 표층, 중층, 저층에서 채수를 실시한다.
수층별로 채수를 할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표층수는 수표면에서 1m, 중층수는 수심의 1/2 지점, 저층수는 수중 바닥면으로부터 1m 정도에서 채수하게 되며, 소나 등을 이용하여 채수할 지점의 수심을 관측하거나 로프에 수심을 체크하여 채수하게 된다.
표층수나 중층수를 채수하는 경우 현장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채수할 수 있으나 저층수를 채수하는 경우에는 수심 정도에 상관없이 채수기가 수중 바닥면에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순수한 물 외에 현탁물질이 빈번히 유입되곤 하였다. 이로 인해 채수작업의 어려움이 증가하고 수질 데이터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예컨대,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1997호(2002.01.14.)의 '채수기'의 경우 중공형 채수통과, 탄성수단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 하 마개를 포함하였으며, 충격 발생용 메신저를 낙하시키거나 수중 바닥과의 접촉으로 인해 충격이 가해지면 상, 하 마개가 채수통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개구부를 밀봉하면서 채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었다.
하지만 이처럼 여닫이 개폐방식의 마개가 작동하여 채수통의 개구부를 밀봉하였던 방식에 따르면 채수기의 접으로 인해 수중 바닥에서 발생한 인위적인 현탁물질을 걸러내지 못하고 그대로 채수할 수밖에 없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단시간 내에 수심별 채수를 용이하게 하고 수질분석 자료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외부 충격으로 인해 수중 바닥에서 발생한 인위적인 현탁물질이 채수기에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였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1997호(2002.01.14.)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신저, 타겟 및 스프링을 이용하는 충격식 여닫이 방식이 아닌 상승 시 수압으로 내부에서 충격 없이 자연스럽게 닫히는 방식에 의해 저층수를 채수할 때 수중 바닥에서 현탁물질의 발생을 최소화 하는 한편, 현탁물질의 채수기 내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는, 상단부에는 승강용 로프가 연결되며 상면과 하면이 개구된 수직관 형태의 채수관; 상기 채수관 하단부에 결합되며 수중에서 하강할 때에는 플런저가 수압에 의해 상승하여 유로가 열리면서 상기 채수관 내부로 물의 유입을 허용하고 수중에서 상승할 때에는 플런저가 수압에 의해 하강하여 유로가 닫히면서 상기 채수관 내부로 유입된 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개폐부재; 상면과 하면이 개구되고 내부공간을 구비한 수직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채수관과 일렬로 연결되어 상기 채수관의 하단부가 수중 바닥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최소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면서 수중 바닥으로부터 발생한 인위적인 현탁물질이 상기 채수관의 하단부까지 도달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보호관;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채수관의 하단부와 상기 보호관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채수관과 보호관을 일렬로 연결해주며 내주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관경을 좁혀주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원관형 본체와, 상기 원관형 본체 내부에서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상승하면 상기 원관형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를 열어주고 하강하면 둘레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된 상기 원관형 본체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유로를 닫아주는 원판형 플런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원관형 본체 상부를 가로지른 형태로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통공이 형성된 가이드패널과, 상기 플런저의 상면에서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패널의 통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플런저의 승강동작을 안내하는 수직 가이드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수관과 개폐부재 사이의 결합은 나사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부재와 보호관 사이의 결합은 상기 개폐부재의 하단부 외주면 설치된 복수의 후크에 상기 보호관의 상단부 외주면에 설치된 복수의 클램프를 걸어 체결하는 클램프 결합으로 이루어져서 휴대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수관은 내부가 관찰 가능하도록 투명한 플라스틱을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부재는 웨이트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채수관의 소재보다 비중이 높은 금속을 소재로 이루어져서 수중에서 채수관의 하단부가 조류 세기와 상관없이 하향하여 승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관형 본체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금속 소재의 웨이트링 다수를 더 구비하여, 저층수를 채수하기 위해 하강시켜야 할 지점의 수심이 깊거나 유속이 빠른 경우에 상기 원관형 본체에 대한 웨이트링의 체결 개수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관형 본체의 개방된 하면에는 제1메쉬망이 설치되어 현탁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수관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커버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채수관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물의 출입을 허용하는 상부 출입공이 형성된 커버부재 본체와, 상기 커버부재 본체의 상부 출입공에 설치되어 채수기의 상승 시 수중에 포함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2메쉬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관의 개방된 하면을 덮는 바닥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채수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물의 출입을 허용하는 하부 출입공이 형성된 바닥부재 본체와, 상기 바닥부재 본체의 하부 출입공에 설치되어 현탁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3메쉬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메쉬망은 제1메쉬망에 비해 격자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3메쉬망은 현탁물질을 부분적으로 걸러내면서 제1메쉬망에 비해 물의 저항이 약하게 형성되도록 하고, 제1메쉬망은 제3메쉬망에 비해 현탁물질을 더욱 철저히 걸러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는 메신저, 타겟 및 스프링을 이용하는 종래의 충격식 여닫이 방식을 탈피하여 승강 시 수압을 이용한 플런저의 동작으로 채수관을 내부에서 개폐하는 방식으로 저층수를 채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폐를 위한 구성이 단순해지고 오작동의 염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저층수를 채수할 때 보호관을 장착하도록 한 구성에 의해 채수관의 하단부와 수중 바닥과의 거리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킴으로써 수중 바닥에서 발생한 인위적인 현탁물질의 접근을 최소화 하는 한편, 상기 보호관에 의한 울타리 기능과 바닥부재의 제3메쉬망, 개폐부재의 제1메쉬망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다중 차단을 통해 현탁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상태로 저층수를 채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채수기가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승강하도록 하기 위해 개폐부재를 기본적인 웨이트로 활용하며, 개폐부재에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웨이트링을 구비한 추가 구성에 의해 유속이 빨라지고 수심이 깊어지더라도 채수기가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신속히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에서 채수모듈과 보호모듈의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에서 개폐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에서 개폐부재의 내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에서 개폐부재의 저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에서 개폐부재의 작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에서 바닥부재의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측면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에 채수모듈과 보호모듈의 분리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에서 개폐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에서 개폐부재의 내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에서 개폐부재의 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100)는 채수관(110), 개폐부재(120), 커버부재(130), 보호관(140), 바닥부재(150)를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하며, 본 발명은 이들 주요 구성요소들에 의해 스프링을 이용하였던 종래의 충격식 여닫이 방식(van Dorn 또는 Niskin 타입)을 완전히 탈피하고 승강 시의 수압을 이용하여 충격 발생 없이 자연스럽게 개폐되는 방식에 의해 저층수를 채수할 때 수중 바닥에서 현탁물질의 인위적인 발생을 최소화 하는 동시에 수중 바닥에서 미량의 현탁물질이 발생하더라도 보호관(140)을 활용한 다중의 유입방지 구조에 의해 현탁물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채수관(110)은 개폐부재(120) 및 커버부재(130)와 함께 수중에서 하강된 후 상승할 때 물을 채수하기 위한 채수모듈(100A)을 구성하면서 채수를 위한 임시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상기 채수관(110)은 상단부에 승강용 로프(L1)가 연결되며 상면과 하면이 개구된 수직한 원관 형태를 갖는다. 상기 채수관(110)은 내부가 관찰 가능하도록 투명한 플라스틱, 구체적으로는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나 고밀도폴리에틸렌을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부재(120)는 채수관(110) 하단부에 결합되며 도 7a와 같이 수중에서 하강할 때와 도 7b와 같이 수중에서 상승할 때 모두 수압에 의해 동작하는 플러저(123a)를 이용하여 채수관(110)의 개방된 하면 개구부(121a)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부재(120)는 채수관(110)의 하단부와 보호관(140)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채수관(110)과 보호관(140)을 일렬로 연결해주며 내주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관경을 좁혀주는 경사면(121b)으로 형성된 원관형 본체(121)와, 상기 원관형 본체(121) 내부에서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상승하면 원관형 본체(121)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를 열어주고 하강하면 둘레부가 경사면(121b)으로 형성된 상기 원관형 본체(121)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유로를 닫아주는 원판형 플런저(123a)와, 원관형 본체(121) 상부를 가로지른 형태로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통공(124a)이 형성된 가이드패널(124)과, 플런저(123a)의 상면에서 수직하게 설치되고 가이드패널(124)의 통공(124a)을 관통한 상태에서 플런저(123a)의 승강동작을 안내하는 수직 가이드봉(123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원관형 본체(121)의 개방된 하면 개구부(121a)에는 제1메쉬망(125)이 설치되어 보호관(140)의 내부를 통해 유입되는 물, 특히 저층수를 통과시키면서도 거기에 일부 현탁물질이 포함될지라도 그 현탁물질을 걸러내어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120)와 채수관(110) 사이의 결합은 나사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상기 개폐부재(120)의 원관형 본체(121)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암나사(121c)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채수관(110)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수나사(111)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재(120)는 웨이트 역할을 하도록 폴리카보네이트나 고밀도폴리에틸렌을 소재로 하는 채수관(110)보다 비중이 훨씬 높은 금속을 소재로 이루어져서 로프(L1)에 의해 상단부가 지지된 채수관(110)이 승강 시 보다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120)의 경우 도 9에 도시된 변형실시예와 같이 원관형 본체(121) 외주면에 수나사(121d)를 추가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장착되도록 한 금속 소재의 웨이트링(160) 다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링(160)을 구비하게 되면 저층수를 채수하기 위해 하강시켜야 할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원관형 본체(121)에 대한 웨이트링(160)의 장착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수심이 깊어지고 유속이 빨라져도 채수기를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신속하게 하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커버부재(130)는 채수관(110)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커버부재(13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커버부재(130)는 채수관(110)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물의 출입을 허용하는 상부 출입공이 형성된 커버부재 본체(131)와, 상기 커버부재 본체(131)의 상부 출입공에 설치된 제2메쉬망(132)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상기 커버부재(130)는 제2메쉬망(132)에 의해 채수기의 상승 시 물을 통과시키면서도 수중에 포함된 이물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상기 보호관(140)은 바닥부재(100B)와 함께 현탁물질의 차단을 위한 착탈식 차단모듈(100B)을 구성하는 것으로, 채수관(110)과 같이 상면과 하면이 개구되고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수직한 원관 형태로 형성되며 개폐부재(120)를 중심으로 채수관(110)과 일렬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보호관(140)은 채수관(110)과 마찬가지로 투명한 재질의 폴리카보네이트나 고밀도폴리에틸렌을 소재로 구비된다. 상기 개폐부재(120)와 보호관(140) 사이의 결합은 개폐부재(120)의 하단부 외주면 설치된 복수의 후크(126a)에 보호관(140)의 상단부 외주면에 설치된 복수의 클램프(126)를 걸어 체결하는 클램프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상기 보호관(140)이 채수관(110)과는 달리 개폐부재(120)에 대하여 나사 결합되지 않고 클램프 결합되도록 한 것은 보호관(140)의 경우 표층수나 중층수 채수 시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수중 바닥 인근에서 저층수를 채수할 때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보다 간편하게 휴대 및 보관하면서 수시로 착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보호관(140)이 개폐부재(120)의 하측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면 저층수 채수 시 채수관(110)의 하단부가 수중 바닥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일정 거리(보호관(140)의 길이)만큼 이격되면서 수중 바닥으로부터 현탁물질이 발생하더라도 채수관(110)의 하단부까지 도달하지 못하도록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수중 바닥에서 발생된 현탁물질 중 일부가 보호관(140)의 개방된 하면을 통해서 유입되더라도 보호관(140) 하단부에 설치된 바닥부재(150)의 제3메쉬망(152)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상기 바닥부재(150)는 보호관(140)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물의 출입을 허용하는 하부 출입공이 형성된 바닥부재 본체(151)와, 상기 바닥부재 본체(151)의 하부 출입공에 설치되어 현탁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3메쉬망(15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3메쉬망(152)은 결합부재의 제1메쉬망(125)에 비해 격자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된다. 이로써 현탁물질을 부분적으로 걸러내면서도 제1메쉬망(125)에 비해 물의 저항이 약하게 형성되도록 하고, 제1메쉬망(125)은 제3메쉬망(152)에 비해 현탁물질을 더욱 철저히 걸러내도록 한다. 이같은 바닥부재(150)가 구비된 구성에 따르면 수중 바닥에서 발생된 현탁물질 중 매우 일부만이 물과 함께 보호관(140)의 개방된 하면을 통해 유입되려고 할 때 제3메쉬망(152)에 의해 그 중 상단 부분을 걸러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0: 채수기 110: 채수관
120: 개폐부재 123a: 플런저
130: 커버부재 140: 보호관
150: 바닥부재 160: 웨이트링

Claims (10)

  1. 수중에서 채수하기 위한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로서,
    상단부에는 승강용 로프가 연결되며 상면과 하면이 개구된 수직관 형태의 채수관; 상기 채수관 하단부에 결합되며 수중에서 하강할 때에는 플런저가 수압에 의해 상승하여 유로가 열리면서 상기 채수관 내부로 물의 유입을 허용하고 수중에서 상승할 때에는 플런저가 수압에 의해 하강하여 유로가 닫히면서 상기 채수관 내부로 유입된 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개폐부재; 및 상면과 하면이 개구되고 내부공간을 구비한 수직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채수관과 일렬로 연결되어 상기 채수관의 하단부가 수중 바닥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최소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면서 수중 바닥으로부터 발생한 인위적인 현탁물질이 상기 채수관의 하단부까지 도달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보호관;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채수관의 하단부와 상기 보호관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채수관과 보호관을 일렬로 연결해주며 내주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관경을 좁혀주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원관형 본체와, 상기 원관형 본체 내부에서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상승하면 상기 원관형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를 열어주고 하강하면 둘레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된 상기 원관형 본체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유로를 닫아주는 원판형 플런저를 구비하며,
    상기 원관형 본체 상부를 가로지른 형태로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통공이 형성된 가이드패널과, 상기 플런저의 상면에서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패널의 통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플런저의 승강동작을 안내하는 수직 가이드봉을 더 구비하고, 상기 원관형 본체의 개방된 하면에는 제1메쉬망이 설치되어 현탁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하며,
    상기 채수관과 개폐부재 사이의 결합은 나사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부재와 보호관 사이의 결합은 상기 개폐부재의 하단부 외주면 설치된 복수의 후크에 상기 보호관의 상단부 외주면에 설치된 복수의 클램프를 걸어 체결하는 클램프 결합으로 이루어져지며,
    상기 채수관은 내부가 관찰 가능하도록 투명한 플라스틱을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부재의 원관형 본체는 웨이트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채수관의 소재보다 비중이 높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져서 수중에서 상기 채수관의 하단부가 조류의 세기와 상관 없이 하향하여 세워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원관형 본체의 외주면에는 수나사 형성되고, 상기 원관형 본체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암나사 형성된 금속 소재의 웨이트링 다수를 더 구비하여, 저층수를 채수하기 위해 하강시켜야 할 지점의 수심이 깊거나 유속이 빠른 경우에 상기 원관형 본체에 대한 웨이트링의 체결 개수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채수관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커버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채수관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물의 출입을 허용하는 상부 출입공이 형성된 커버부재 본체와, 상기 커버부재 본체의 상부 출입공에 설치되어 채수기의 상승 시 수중에 포함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2메쉬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관의 개방된 하면을 덮는 바닥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채수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물의 출입을 허용하는 하부 출입공이 형성된 바닥부재 본체와, 상기 바닥부재 본체의 하부 출입공에 설치되어 현탁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3메쉬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메쉬망은 제1메쉬망에 비해 격자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3메쉬망은 현탁물질을 부분적으로 걸러내면서 제1메쉬망에 비해 물의 저항이 약하게 형성되도록 하고, 제1메쉬망은 제3메쉬망에 비해 현탁물질을 더욱 철저히 걸러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74237A 2021-06-08 2021-06-08 현탁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 KR102387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237A KR102387405B1 (ko) 2021-06-08 2021-06-08 현탁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237A KR102387405B1 (ko) 2021-06-08 2021-06-08 현탁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7405B1 true KR102387405B1 (ko) 2022-04-18

Family

ID=81390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237A KR102387405B1 (ko) 2021-06-08 2021-06-08 현탁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740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0084A (ja) * 1995-02-15 1996-08-30 Kajima Corp 採水器
KR19990000230U (ko) * 1997-06-05 1999-01-15 양창모 채수기
KR200261997Y1 (ko) 2001-09-28 2002-02-06 주식회사 한국플랑크톤연구소 채수기
KR20140108446A (ko) * 2013-02-27 2014-09-11 현대제철 주식회사 채수기
KR20160139703A (ko) * 2015-05-28 2016-12-0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갯벌용 공극수 채취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0084A (ja) * 1995-02-15 1996-08-30 Kajima Corp 採水器
KR19990000230U (ko) * 1997-06-05 1999-01-15 양창모 채수기
KR200261997Y1 (ko) 2001-09-28 2002-02-06 주식회사 한국플랑크톤연구소 채수기
KR20140108446A (ko) * 2013-02-27 2014-09-11 현대제철 주식회사 채수기
KR20160139703A (ko) * 2015-05-28 2016-12-0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갯벌용 공극수 채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89927B (zh) 便携式保真柱状底泥采样器
CN103411791B (zh) 一种人工夯击辅助重力式柱状沉积物采集器
CN104849095B (zh) 一种惯性差动开锁弹簧冲击式水底泥沙样品的采集器
CN205580802U (zh) 野外雨水采样器
CN107677500B (zh) 双体自动耦合式海洋柱状采样器钻头
KR102387405B1 (ko) 현탁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
CN113834697A (zh) 深海可视液压驱动多管取样器
EP3775489B1 (en) An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integrity of a subsea well and a method thereof
CN216753258U (zh) 一种滤食性贝类生物沉降原位测定装置
DE202016001724U1 (de) Schwimmfähiges, gegen Austrag und Ausspülung schützendes Behältnis für Fraßköder zur Bekämpfung von Schadnagern in der Kanalisation
CN102450234A (zh) 一种新型底栖动物采样器
CN207003398U (zh) 水面垃圾收集装置
KR102052020B1 (ko) 채수용 베일러
DE10346351B3 (de) Vorrichtung zur Probennahme in Gewässern
CN210322415U (zh) 水污染表层油污取样装置
CN108106888A (zh) 一种用于高精度地球化学勘探的土壤气采集装置
CN211234620U (zh) 地下水水位监测仪专用保护装置
CN211527935U (zh) 一种河道取样的自动升降装置
KR100702598B1 (ko) 연안용 어류 포획장치
DE102019103753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eines schwimmfähigen Fundamentes, sowie Verwendung einer entsprechenden Vorrichtung
CN114323779B (zh) 一种施工海域悬浮物浓度取样监测的方法及装置
CN113863428B (zh) 一种大型软体水窖的固定方法
RU5031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бора проб жидкости
CN215573944U (zh) 一种水质取样检测装置
CN212059513U (zh) 一种自由升降取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