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0015U - 전기 보온밥솥 - Google Patents

전기 보온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0015U
KR19990000015U KR2019970013158U KR19970013158U KR19990000015U KR 19990000015 U KR19990000015 U KR 19990000015U KR 2019970013158 U KR2019970013158 U KR 2019970013158U KR 19970013158 U KR19970013158 U KR 19970013158U KR 19990000015 U KR19990000015 U KR 199900000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rice cooker
auxiliary
electric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3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상대
Original Assignee
마용도
주식회사 용마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용도, 주식회사 용마전기 filed Critical 마용도
Priority to KR2019970013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0015U/ko
Publication of KR199900000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015U/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소정량의 물과 정미된 쌀을 포함한 각종 곡식류 등을 각각 분리 수용한 상태로 본체의 내부에 투입하여 취사하도록 하는 전기 보온밥솥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 보온밥솥에 있어서, 내솥의 내부 상부에 그 상단 주연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가 상기 내솥의 상단에 걸쳐지고 밑면이 상기 내솥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원통형 용기 형상으로 바닥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보조내솥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내솥 상단에 보조내솥을 삽입하는 이중 구조로 형성하고, 내솥과 보조내솥에 각기 다른 음식물을 분리 수용한 상태로 취사하게 되며, 이렇게 취사된 음식물은 상호 섞임 현상이 없이 취사됨에 따라 각 음식물의 고유한 맛을 형성 유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 보온밥솥
본 고안은 전기 보온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량의 물과 정미된 쌀을 포함한 각종 곡식류 등을 각각 분리 수용한 상태로 본체의 내부에 투입하여 취사하도록 하는 전기 보온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기 보온밥솥(1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용기 형상으로 발열부(12)를 포함한 전기 장치(도시 안됨)가 내장된 본체(14)가 있고, 이 본체(14)의 상단 일측에 본체뚜껑(16)이 힌지 결합되어 회동에 의해 본체(14) 내부를 개폐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본체(14)의 내부에는 금속 재질로 제작된 용기 형상으로 내부에 소정량의 물과 정미된 쌀을 포함한 각종 음식물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내솥(18)이 삽입된다.
상술한 내솥(18)의 상단부 형상은 주연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렇게 돌출된 부위는 본체(14)의 상단 부위에 걸쳐져 지지된다.
그리고, 내솥(18)의 밑면은 본체(14) 바닥 부위에 구비된 발열부(12)에 접촉되어 안착 위치된다.
한편, 본체뚜껑(16)의 내면에는 내솥(18)의 상단 주연 부위를 커버하는 내솥뚜껑(22)이 설치되며, 이 내솥뚜껑(22)은 본체뚜껑(16)의 개폐에 따라 내솥(18)을 개폐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술한 내솥(18) 내부에 소정량의 물과 정미된 쌀 또는 각종 곡식류를 수용하고, 본체뚜껑(16)과 내솥뚜껑(22)을 차단한 상태에서 발열부(12)를 포함한 전기 장치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취사하게 된다.
한편, 이렇게 취사되는 음식물로는 팥밥, 콩밥, 찰밥 등의 밥 종류와 이들 밥과 함께 취사 가능한 떡 또는 죽 그리고 밤, 감자, 고구마 등의 곡식류를 포함하여 그 종류가 다양하다.
그러나, 이러한 음식물의 취사 조건은 각기 다르며,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내솥의 형상은 단일의 용기 형상으로 상술한 음식물 중 하나의 음식물을 수용하여 취사하도록 되어 있음에 따라 각각의 음식물을 함께 수용하여 취사할 경우 음식물이 상호 섞여 분리하기 어렵고, 또 음식물 고유의 맛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각기 다른 다양한 음식물을 함께 수용하여 취사함에 있어 각각의 취사 조건을 형성하고, 음식물 상호간에 섞이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또 각 음식물 고유의 맛을 유지하도록 하는 전기 보온밥솥을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종래 전기 보온밥솥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내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내솥과 보조내솥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의 내솥과 보조내솥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기 보온밥솥12: 발열부
14: 본체16: 본체뚜껑
18, 30: 내솥 22: 내솥뚜껑
32: 보조내솥34: 구멍
36: 돌기38: 손잡이
40: 지지부42: 돌기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기 보온밥솥에 있어서, 내솥의 내부 상부에 그 상단 주연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가 상기 내솥의 상단에 걸쳐지고 밑면이 상기 내솥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원통형 용기 형상으로 바닥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보조내솥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내솥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보조내솥의 외벽에 원주상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내솥의 저면 주연 부위에 원주상 일정 간격으로 받침용 돌기부를 복수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내솥의 상부 내측 주연에 손잡이가 대향되게 설치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보조내솥의 재질은 가볍고 내열성이 좋은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보온밥솥의 구성에 대하여 도3과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내솥과 보조내솥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의 내솥과 보조내솥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 보온밥솥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온밥솥의 본체 내부에 삽입되는 용기 형상의 내솥(30)과, 상기 내솥(30)의 내부에 삽입되는 용기 형상의 보조내솥(32)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내솥(30)은 상측 단부 형상이 상단부 주연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본체의 상단부에 걸쳐지도록 형성되고, 내솥(30)의 저면은 상기 본체 내부로 삽입됨에 있어 본체의 바닥 부위에 구비된 발열부에 접촉되어 안착된다.
한편, 상술한 보조내솥(32)은 상측 단부 형상이 상단부 주연을 따라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내솥(30)의 상단부에 걸쳐지게 되고, 이때 보조내솥(32)의 저면은 내솥(3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어 위치되는 구성으로 형성된다.
또한, 보조내솥(32)의 바닥면에는 내솥(30)의 바닥 부위의 가열에 의해 승강하는 수증기가 관통하여 승강하도록 다수개의 구멍(34)이 형성되어 있고, 발열부에 의해 가열된 내부 온도에 의해 처짐 현상을 방지하도록 엠보싱 형성된 지지부(40)와, 밑면 가장자리 소정 위치에 식탁 또는 테이블 등에 위치시키기 용이하도록 받쳐 지지하는 돌기부(42)가 복수개 형성된다.
상술한 내용에 있어서 보조내솥(32)의 바닥 부위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저면으로부터 장방형 또는 환형으로 돌출된 형상의 비드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보조내솥(32)의 외측벽에는 각 방향에 대하여 소정 길이 돌출된 돌기(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기(36)에 의해 보조내솥(32)의 외측벽이 내솥(30)의 내벽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이루며 지지되어 내솥(30)의 내부에 삽입함에 있어 보조내솥(32)의 수평 방향에 대한 유동이 없이 안착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보조내솥(32)의 상측 단부에 근접된 내벽에는 사람으로 하여금 내솥(30) 내부로부터 보조내솥(32)의 삽입 및 인출이 용이하도록 소정 길이 돌출된 손잡이(38)가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의 보조내솥(32)은 통상 가볍고 내열성이 좋은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전기 보온밥솥에 의하면, 내솥(30) 내부에 소정량의 물과 정미된 쌀을 수용하고, 이어서 보조내솥(32)에 증기압에 의해 취사 가능한 곡식류를 담아 내솥(32)에 삽입한 상태에서 발열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취사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가지 이상의 음식을 수용하여 함께 취사함에 있어 음식물 상호간에 섞임 현상이 방지되고, 음식 고유의 맛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일회의 실시로 복수개 음식을 취사하게 됨에 따라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상술한 내용에 있어 본 고안은 전기 보온밥솥 뿐만 아니라 보온밥통의 보온용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내솥 상단에 보조내솥을 삽입하는 이중 구조로 형성하고, 내솥과 보조내솥에 각기 다른 음식물을 분리 수용한 상태로 취사하게 되며, 이렇게 취사된 음식물은 상호 섞임 현상이 없이 취사됨에 따라 각 음식물의 고유한 맛을 형성 유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회의 전원 공급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식물을 취사하게 됨에 따라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5)

  1. 전기 보온밥솥에 있어서,
    내솥의 내부 상부에 그 상단 주연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가 상기 내솥의 상단에 걸쳐지고 밑면이 상기 내솥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원통형 용기 형상으로 바닥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보조내솥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보온밥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내솥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보조내솥의 외벽에 원주상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전기 보온밥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내솥의 저면 주연 부위에 원주상 일정 간격으로 받침용 돌기부가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전기 보온밥솥.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내솥의 상부 내측 주연에 손잡이가 대향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전기 보온밥솥.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내솥의 재질은 가볍고 내열성이 좋은 플라스틱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전기 보온밥솥.
KR2019970013158U 1997-06-02 1997-06-02 전기 보온밥솥 KR199900000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158U KR19990000015U (ko) 1997-06-02 1997-06-02 전기 보온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158U KR19990000015U (ko) 1997-06-02 1997-06-02 전기 보온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015U true KR19990000015U (ko) 1999-01-15

Family

ID=69697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3158U KR19990000015U (ko) 1997-06-02 1997-06-02 전기 보온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001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261B1 (ko) * 2009-10-20 2012-05-02 안영민 전기 압력 보온밥솥용 밥 건조방지장치
KR102457988B1 (ko) * 2022-03-14 2022-10-24 박윤석 보온 밥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261B1 (ko) * 2009-10-20 2012-05-02 안영민 전기 압력 보온밥솥용 밥 건조방지장치
KR102457988B1 (ko) * 2022-03-14 2022-10-24 박윤석 보온 밥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2308A (en) Steam cooker
US4373511A (en) Cooking vessel
EP1030583B1 (en) Cooking utensil
CA2109044C (en) Microwave cooker
US4859822A (en) Microwaveable container
US4649811A (en) Steam cooking device
US3778594A (en) Positive liquid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KR19990000015U (ko) 전기 보온밥솥
US3982479A (en) Energy saving cooking utensil
JP7323923B2 (ja) 保温調理器
JP3163168U (ja) 調理器具
JPH058916Y2 (ko)
KR200150940Y1 (ko) 음식물 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GB2049400A (en) Cooking vessel
KR200297361Y1 (ko) 전기보온밥솥의 보조용기 구조
CN213248346U (zh) 烹饪器具
CN214230898U (zh) 烹饪器具
KR200223060Y1 (ko) 조리용 용기
CN214230899U (zh) 烹饪器具
CN209391679U (zh) 蒸笼及烹饪器具
KR200175058Y1 (ko) 찜통
JP2528619Y2 (ja) 電子レンジ用釜
KR200148845Y1 (ko) 보온밥통의 보온용기 구조
KR200175049Y1 (ko) 다용도 보조용기를 구비한 보온밥통
KR200297362Y1 (ko) 전기보온밥솥의 보조용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