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3885A - 권취코어의 도입의 제어를 구비한 밴드형상재의 롤용재권취기 - Google Patents

권취코어의 도입의 제어를 구비한 밴드형상재의 롤용재권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3885A
KR19980703885A KR1019970707286A KR19970707286A KR19980703885A KR 19980703885 A KR19980703885 A KR 19980703885A KR 1019970707286 A KR1019970707286 A KR 1019970707286A KR 19970707286 A KR19970707286 A KR 19970707286A KR 19980703885 A KR19980703885 A KR 19980703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core
roll
neck
wind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7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5839B1 (ko
Inventor
비아지오띠 구리엘모
Original Assignee
지우세페 안토니니
파비오 페리니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우세페 안토니니, 파비오 페리니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지우세페 안토니니
Publication of KR19980703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3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8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30Lifting, transporting, or removing the web roll; Inserting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2238The web roll being driven by a winding mechanism of the nip or tangential drive type
    • B65H19/2269Cra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4Winding
    • B65H2301/4148Winding slitting
    • B65H2301/4149Winding slitting features concerning supply of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8Changing web roll
    • B65H2301/4181Core or mandrel supply
    • B65H2301/41812Core or mandrel supply by conveyor belt or chain running in closed lo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2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web(s)
    • B65H2408/23Winding machines
    • B65H2408/235Cr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1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20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50Timing
    • B65H2513/51Sequence of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 B65H2553/41Photoelectric detectors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Winding Of Webs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Abstract

외주재권취기는, 감겨질 밴드형상재(N)가 안내되는 제 1권취롤러(15)와; 이 제 1권취롤러와 함께, 권취코어(A, A1, A2)가 연속적으로 도입되는 목부(19)를 형성하는 제 2권취롤러(17)와; 코어(A, A1, A2)를 상기 목부에 도입하는 피더수단(67)과; 새 권취코어의 삽입시에, 새 코어(A)의 삽입을 위한 권취조건의 변동을 가져오기 위한 제어수단(92)을 구비하고 있다. 소정지점에서 코어의 통과를 검출하고 상기 코어의 통과시에 신호를 발하는, 상기 목부(19)와 결합된 센서수단(90)이 구비되어 있으며; 권취조건의 주기적변동은 상기 신호에 따라 단계적으로 일어난다.

Description

권취코어의 도입의 제어를 구비한 밴드형상재의 롤용재권취기
[기술분야]
본 발명은, 감겨질 밴드형상재가 안내되는 제 1권취롤러와, 제 1권취롤러와 함께, 권취코어가 연속해서 도입되는 목부를 형성하는 제 2권취롤러와, 코어를 상기 목부에 도입하는 수단과, 롤의 권취의 끝에서 새 코어(그 둘레에 감긴 재료의 제 1감김으로 적절하다면)의 전진의 제어를 위한 권취조건의 주기적 변동을 가져오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한 형식의 외주재권취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외주재권취기로서 알려진 이러한 형식의 재권취기는 큰 직경의 보빈으로부터 시작하는 감긴 종이의 로그 또는 롤을 연속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지가공산업에 사용된다. 로그는 그 자신의 축에 대해 수직으로 또 연속적으로 절단되어, 소망하는 높이의 화장지, 다목적타월 등의 작은 롤을 제조한다.
본 발명은 또한 관형상코어에 감긴 밴드형상재의 로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밴드형상재가 안내되는 제 1권취롤러를 구비하는 단계와; 제 1권취롤러와 함께, 권취코어가 통과하는 목부를 형성하는 제 2권취롤러를 구비하는 단계와; 롤의 권취의 끝에서 상기 목부를 통해 새코어를 도입하기 위해서 권취의 조건을 일시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있다.
[배경기술]
이러한 형식의 재권취기에 관한 수많은 특허중에서, 미국특허 제 4,327,877호, 제 4,487,377호, 제 4,723,724호, 제 4,828,195호, 제 5,248,106호, 제 5,249,756호 영국특허 제 2,105,688호, 유럽특허 제 0498039호, 아주 최근에는 국제공개팜플렛 제 WO94/21545호 및 이탈리아공화국 특허원 제 MI93A1013호가 특히 두드러진다.
이러한 형식의 외주재권취기에 있어서, 밴드형상재는 400-700m/min정도의 일정속도, 가장 진보된 기계에 있어서는 1000m/min까지의 일정속도로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1-3초동안에 로그 또는 롤이 형성되는 관형상의 판지로된 코어가 재권취기에 삽입된다. 이것은 그 후 새 로그가 형성되고 있는 새 코어를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하여 권취영역으로부터 배출되어야 한다. 코어의 삽입동작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행해지지만, 일반적으로 권취조건의 일시적 변동에 의해 행해진다. 일반적으로, 두 권취롤러에 의해 형성된 목부를 통한 코어의 통과는 두 권취롤러의 원주속도의 차에 의해 행해진다. 이 속도차는 기계의 작용방법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밴드형상재의 전진속도에 대해, 예를 들면 1%와 20%사이로 이루어진 일시적 변동에 의해 생길 수 있다. 일단 코어가 목부를 통과하거나, 그것을 통과하는 동안 제 2권취롤러의 회전속도는 제 1권취롤러의 속도와 같거나 그에 가까운 동작속도까지 다시 서서히 증가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 변화되는 권취조건은 권취롤러의 원주속도이다.
제 2권취롤러의 감속/재가속사이클은 밴드형상재와 접촉하고 있는 코어의 삽입의 그것과 서로 동기한다. 따라서 제 2권취롤러의 재가속은 코어가 이 권취롤러에 대해 이론적으로 소정위치에 도달했을 때 개시된다. 이 동기는 제 1권취롤러의 각 위치, 또는 밴드형상재에 대해 소정의 위치를 가지는, 밴드형상재를 반송하는 다른 롤러의 각 위치를 참조해서 얻어진다.
몇몇기계에 있어서, 코어의 삽입된 제 1 및 제 2권취롤러 사이의 속도차에 의해 일어나지만, 변화되는 권취조건은 이미 제 2권취롤러의 원주속도(일정속도를 유지함)는 아니고 상기 제 1 및 제 2롤러사이의 상호거리이다. 근본적으로, 목부의 치수는 목부를 통한 코어의 통과시에 일시적이고 주기적으로 변화된다. 코어의 통과는, 한정되지만 적절한 시기에 일정한 두 롤러사이의 원주속도의 차에 기인해서 일어난다.
코어가 권취영역에 삽입되어, 제 1권취롤러둘레에 안내되는 밴드형상재와 접촉하기 시작하거나, 어떤 경우에 밴드형상재의 전진속도에 비례하는 속도로 회전하는 부재와 접촉하기 시작하면 코어가 밴드형상재의 전진속도와 같은 원주속도를 취할 때까지 갑자기 각가속된다. 접촉은 목부를 형성하는 두 권취롤러, 또는 제 1권취롤러와 대향면에 의해 동시에 일어난다. 어떤 경우에도 코어는 밴드형상재와 코어가 접촉하게 되는 권취롤러에 대해 슬라이드하는 경향이 있다.
이 슬라이딩은 일정하지 않지만, 코어로부터 코어까지 변화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이 기계의 여러 가지 부재의 동기국면에서의 전형적인 슬라이딩을 고려할 때, 실제적인 작용에 있어서 각 코어가 초기에 기준으로서 취해지는 슬라이딩에 대해 다소간 슬라이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제 2권취롤러의 재가속국면이 두 권취롤러사이의 목부에서 코어의 위치를 대해 이르거나 늦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코어가 권취롤러와 접촉하기 시작할 때 예상보다 더 슬라이드한다면, 코어는 제 2권취롤러의 재가속의 기울기에 대해 늦으며, 그 결과 목부를 떠나기 어렵게 된다. 한편, 슬라이딩이 예상보다 적다면, 제 2권취롤러의 재가속의 기울기에 대해 일러서, 목부를 아주 신속하게 통과할 수 있어, 완전히 제어되지 않는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제 2권취롤러의 원주속도가 일정속도를 유지하고 또 두 롤러사이의 상호거리가 변화할 때 유사한 불리점이 있다. 이 경우에 또한, 삽입국면에서의 코어의 실제적 슬라이드의 범위의 불확실성은 코어의 실제위치와 두 권취롤러의 분리동작 사이에 비동기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론적위치에 대해 늦은 코어는 너무 압축될 수 있으며, 한편 이름(earliness)은 코어의 제어의 손실의 위험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불리점을 해소하는데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형식의 외주재권취기에는, 소정의 위치로부터 코어의 통과를 검출하고 상기 코어의 통과시에 신호를 발하는, 상기 목부와 결합된 센서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권취조건의 주기적 변동을 가져오는 수단은 상기 센서가 발하는 신호, 즉 코어의 실제의 위치와 동기한다. 즉 이들은 상기 신호가 발생되는 순간에 따라 결정되는 순간에 상기 변동을 초래한다. 일시적으로 변화하는 권취조건이 제 2권취롤러의 원주속도로 표시되면, 신호를 제 2권취롤러의 재가속기울기의 개시점과 동기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 2권취롤어의 재가속기울기는 항상 이 기계내의 코어의 실제 위치와 정확하게 동기하나, 그 이론적위치와는 동기하지 않는다. 도입국면에서 코어의 슬라이딩의 범위가 어떠하더라도 제 2권취롤러의 재가속의 개시는 코어가 실제로 정확한 위치에 있을 때 때때로 결정된다.
한편, 재가속기울기를 고정된 순간에서 개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 상기 순간과 신호발생순간 사이의 기간(또는 통과하는 밴드형상재의 양)동안, 작동속도에 도달할때가지 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 잔여재가속곡선의 기울기의 연속적인 적응을 초래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형식의 제어장치로 얻을 수 있는 이점을 특히 코어가 2개의 서로 다르고 연속적인 각가속도를 받는 경우(예를 들면, 국제공개팜플렛 제WO94/21545호 등)와 관련이 있다.
코어가 제 1 및 제 2권취롤러 사이의 축간거리의 변화와 동시에 삽입되면, 센서가 발하는 신호는 동일한 기술사상에 따라 두 롤러사이의 상대적인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권취의 개시가 어떻게 일어나느냐에 따라 목부를 통과하는 코어상에 어느 정도 풍부한 양의 밴드형상제가 이미 감겨져 있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코어는 이 문장에서는 일정한 양의 밴드형상재가 이미 감겨져 있는 코어로서 해석되어야만 한다.
센서수단은 여러 가지 형식을 사용할 수 있다. 현재 바람직한 것은 목부의 한쪽에 배치된 이미터와 그 반대쪽에 배치된 리시버를 가진 광학식의 센서이며, 코어는 이미터와 리시버사이를 통과한다. 이 방식에서는 코어가 중공튜브이기 때문에 이중의 모호한 신호가 발생된다. 대안으로, 권취조건의 변동을 조절하기 위해서 제 1 및 제 2의 모호한 신호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학센서와 다른 형식의 센서의 양쪽에 의해 다른 가능성은 배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권취롤러들 사이의 목부에 영역에 제 2권취롤러의 홈에 수용된 이미터와 리시버를 가진 센서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 이미터에 의해 방출된 광속은 제 1권취롤러의 표면 또는 그 위에 안내된 밴드형상재에 의해 반사된다. 리시버는 반사되거나 확산된 광에너지를 받는다. 관형상코어(통상 어두운 색, 즉 흡수성 있는)의 통과는 광속을 차단해서 리시버를 어둡게 한다. 전기기계적 또는 다른 형식의 센서도 사용할 수 있다.
재권취기의 목부에 대한 센서의 위치는 유리하게도 조정가능하다. 대안으로서 또는 이것과 결합해서, 프로그래머블딜레이회로가 장비된 제 2권취롤러의 속도변동제어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딜레이회로는 센서수단에 의해 방출된 신호에 대해 소정량만큼 재가속기울기의 개시를 지연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센서의 위치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기계 및 장치의 더 유리한 특징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표시된다.
상술한 것고 같은 기술사상을 권취롤러의 원주속도의 변동이 어떻게 얻어지는 지를 생각하지 않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I93A001768에 기재된 바와 같이, 권취롤러들 사이의 축간거리의 변동과 결합해서 적절하다면, 이것은 사실상 권취롤러의 각속도의 변동 또는 권취롤러의 반경의 변동에 기인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표시하는 첨부도면 및 다음 설명에 의해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외주재권취기의 측면도;
도 2내지 8은 권취사이클에 있어서의 재권취기의 작용의 여러 가지 국면을 표시한 도면;
도 9는 제어의 제 1방법에 의한 제 2권취롤러의 속도의 다이어그램;
도 10은 제어의 다른 방법에 의한 제 2권취롤러의 속도의 다이어그램.
[실시예]
본 발명을, 그 내용이 본 실시예의 설명에 포함된 국제공개팜플렛 제 WO94/21545호에 기재된 형식의 재권취기에 적용해서 아래에 설명한다. 그러나, 동일한 원리를 가변속도로 작동되는 제 2권취롤러를 가지는 다른 외주재권취기에 적용할 수 있다.
우선, 도 1를 참조하면, 밴드형상재(N)용 피드 및 가이드롤러가 (1),(3)으로 표시되어 있다. 천공그룹은 (5)로 표시되어 있다. 천공그룹(5)의 하류에는, 밴드형상재가 안내되는 제 1권취롤러(15)와, 이 롤러(15)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2권취롤러(17)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두 롤러(15), (17)사이에는 밴드형상재(N)가 통과하는 목부(19)가 형성되어 있다. (21)은 요동아암(23)에 장착된 제 3권취롤러를 표시하며, 이것은 형성되고 있는 롤 또는 로그(L)의 증가에 따르고 있으며 또 권취가 완료되었을 때 그 배출을 허용한다.
목부(19)의 상류에는 각 작동사이클의 개시시에 삽입되는 코어(A)의 구름용 표면(33)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표면(33)아래에 위치한 회전요소(41)는 밴드형상재(N)의 중단수단(43)을 장착하고 있다. 중단수단(43)의 형태 및 작용방법은 더 상세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는 국제공개팜플렛 제 WO94/21545호에 기재되어 있다.
코어(A)는, 푸셔(57)가 장비된 컨베이어(47)로부터 그것들을 취하고 또 공지의 접착제분배기(61)가 결합된 피더(67)에 의해 상기 권취롤러(15)와 상기 표면(33) 사이에 형성된 채널(39)에 도입된다.
도 2 내지 도 8은 권취사이클시의 여러 가지 연속동작국면을 표시한다. 도 2에서, 롤(L)은 롤러(15), (17), (21) 사이에서 실제로 완전히 감겨져서 막배출되려고 하고 있다. 새 코어(A1)는 피더(67)에 의해 채널(39)에 삽입된다. 이 국면에서 코어(A1)는 급격히 각가속되어, 각속도 0으로부터, 상기 롤러(15)와 접촉하는 점이 이 롤러(15)자체의 원주속도(일반적으로 400-700m/min이상)로 이동하도록 하는 각 속도로 변화하게 되고, 그 중심은 상기 표면(33)상을 구르는 속도의 반의 속도로 전진한다. 코어의 한정된 관성에도 불구하고, 그 각 및 선가속도는 필연적으로 밴드형상재에 대해서 코어자체의 초기 슬라이드, 즉 밴드형상재의 위치에 대해서 코어의 위치의 비동기(정확히 추산할 수 없음)를 초래하게 된다.
제 2권취롤러(17)는 권취영역으로부터 완성된 롤(L)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감속된다.
피더(67)에 의한 코어의 삽입동작과 상기 롤러(17)의 감속동작은 천공기(5)에 의해 얻어진 밴드형상재의 천공선의 위치와 동기한다.
채널(39)을 따라서의 코어(A1)의 전진시에, 밴드형상재는 국제공개팜플렛 제 WO94/21545호에 기배된 방식으로 중단수단(43)에 의해 파열되거나 절단되고(도 3), 또 밴드형상재는 새 코어(A1)상에 감기기 시작하고(도 4), 한편 완성된 롤(L)은 감속된 상기 롤러(17)와 상기 롤러(21) 사이의 속도차의 작용에 의해 배출된다.
코어(A1)가 하부권취롤러와 접촉하기 시작하면(도 5), 가속도의 급격한 변화를 초래하게 된다. 사실상, 이것은 제 1권취롤러(15)와의 접촉점이 밴드형상재의 공급속도와 같은 속도를 취해야하고, 한편 제 2권취롤러(17)와의 접촉점의 속도가 0(코어와 상기 고정된 표면(33)과의 접촉점을 가진 속도)으로부터 제 1권취롤러(15)의 원주속도와 일반적으로 같거나 그보다 대략 10%작은 제 2권취롤러(17)의 원주속도로 통과해야 한다. 이러한 급격한 속도변동은 슬라이딩을 초래해서, 코어의 위치와 권취롤러의 각 위치 사이의 위상의 손실을 더욱 가져온다.
목부(19)를 통한 코어의 통과는 롤러(15), (17)사이의 속도차의 작용에 의해 발생된다. 이 속도차는, 롤과 권취롤러의 표면사이의 슬라이딩을 피하기 위하여 소멸되거나, 어떤 경우에도 세 롤러(15), (17), (21)(도 6 및 7)사이에서 롤의 권취를 계속하기 위한 매우 한정된 값에 도달할 때까지 점차로 감소되어야 한다. 제 2권취롤러(17)의 재가속기울기는, 코어가 정확한 순간, 즉 제 3권취롤러(21)와 접촉할 수 있을 때 목부(19)를 떠나도록 지연되어야만 한다.
제 2권취롤러(17)의 재가속기울기의 개시가 코어의 위치와 정확하게 동기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센서(90)가 구비되어 있다. 목부(19)의 두 측면에 배치된 이미터와 리시버로 이루어진 센서는 코어(A1)의 통과를 검출하고(도 5), 대응하는 신호를 발한다. 이것은 프로그래머블중앙제어유닛(92)에 보내지며, 이 제어유닛(92)은 이 기계의 작용사이클을 처리하고 또 소정의 프로그래머블딜레이후에 적절하다면, 제 2권취롤러(17)의 재가속기울기의 개시를 지령한다. 동 중앙제어유닛(92)은 천공기(5)와 결합된 엔코더에 연결되어, 공지된 방식으로 제 2권취롤러(17)의 감속과 코어의 삽입동작의 개시를 밴드형상재(N)상의 천공선의 위치와 동기시키도록 되어 있다.
코어(A1)상의 롤의 권취가 완료되었을 때, 새코어의 삽입(도 8)에 의해 사이클이 반복된다.
도 9는, X축상에 통과하는 밴드형상재의 양을, Y축상에 제 2권취롤러(17)의 원주속도와 제 1권취롤러(15)의 원주속도와 밴드형상재(N)의 속도 사이에 백분율의 차를 표시하는 다이어그램을 표시한다. 순간 t1에서 중앙제어유닛은 제 2권취롤러(17)의 감속의 절차를 개시한다. 감속기울기Rd는 선형이 대폭적이고, 순간 t2에서 끝난다. 순간 t3에서, 채널(39)내에 미리 삽입된 코어(A)는 제 2권취롤러(17)와 접촉하기 시작한다. X축을 따른 이 순간의 위치는 채널(39)로의 삽입국면에 있는 코어의 슬라이딩 때문에 불확실하다. 제 2권취롤러(17)는 순간 t4까지 저속회전상태를 유지하며, 이 순간 t4에서 사실상 점근선을 구성하는 재가속기울기 Ra가 시작된다. 순간 t4는 센서(90)에 의해 검출된 코어의 위치에 따라 정확히 결정된다.
센서(9)에 의한 신호는, 제 2권취롤러의 재가속기울기의 개시의 결정 대신에, 재가속곡선의 형상의 변경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와 유사한 다이어그램을 표시하며, 도 10에서 순간 t4는 고정되며, 즉 제 2권취롤러의 재가속기울기 Ra는 밴드형상재의 고정량이 통과한 후에 개시된다. 순간 t5는 센서(90)가 신호를 발하는 순간이다. 이 순간까지 곡선 Ra의 일부는 일정한 형상을 가진다. 이 시점으로부터 곡선 Ra는 코어의 동작을 양호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코어를 다소 신속하게 재가속해야할 필요성에 따라 다소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곡선 Ra1부분은, 코어가 이론적위치에 대해 늦으며, 따라서 코어의 정확한 전진을 허용하기 위해 긴 감속이 유지되는 상황과 관련되어 있다. Ra2부분은, 코어가 이르며, 따라서 덜 신속하게 전진해야하는 상황과 관련되어 있다.
1개 이상의 센서의 사용으로 적절하다면, 2개의 제어방법을 조합하는 것도 배제하지 않는다.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만 주어진 예만을 표시하며, 본 발명에 대해서는 본 발명을 형성하는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형태 및 구성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첨부된 청구범위의 참조부호의 존재는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해서 청구범위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에 의해 표시된 보호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8)

  1. -감겨질 밴드형상재(N)가 안내되는 제 1권취롤러(15)와;
    -상기 제 1권취롤러와 함께, 권취코어(A, A1, A2)가 연속해서 도입되는 목부(19)를 형성하는 제 2권취롤러(17)와;
    -코어(A, A1, A2)를 상기 목부에 도입하는 피더수단(67)과;
    -각 롤의 권취의 끝에서, 상기 목부(19)를 통한 새 코어(A)의 전진을 제어를 위한 권취조건의 변동을 가져오기 위한 제어수단(92)을 구비한, 밴드형상재의 롤의 제조용 외주재권취기에 있어서,
    소정 지점에서 코어의 통과를 검출하고, 상기 코어의 통과시에 신호를 발하는, 상기 목부(19)와 결합된 센서수단(90)을 포함하고, 권취조건의 주기적 변동은 상기 신호에 따라 단계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상재의 롤의 제조용 재권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변동은 제 2권취롤러(17)의 감속 및 연속적인 재가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권취기.
  3. 제 2항에 있어서, 제 2권취로러의 재가속기울기(Ra)의 형상은 상기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권취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제 2권취롤러(17)의 재가속의 개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권취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92)은 상기 센서수단의 신호에 대해 미리 정할 수 있는 지연에 의해 제 2권취롤러의 재가속시의 개시를 지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권취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권취롤러(17)는 목부를 통한 새 코어의 통과시에 상기 목부의 치수를 변경하기 위하여 제 1권취롤러(15)에 대해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롤러사이의 상대적 동작은 상기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권취기.
  7. 선행항 중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수단은, 상기 목부의 양쪽에 배치되고 또 코어의 전진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정렬된 이미터와 리시버를 가지는 광학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권취기.
  8. 선행항 중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19)의 하류에 배치된 제 3권취롤러(21)를 포함하고, 상기 제 3권취롤러는 형성되고 있는 롤의 직경의 증가 및 형성된 롤의 제거를 허용하기 위하여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권취기.
  9. 선행항 중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에 대한 상기 센서수단(90)의 위치는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권취기.
  10. 권취코어(A, A1, A2)에 감긴 밴드형상재(N)의 롤의 제조방법으로서,
    -밴드형상재(N)가 안내되는 제 1권취롤러(15)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 1권취롤러와 함께, 권취코어(A)가 통과하는 목부(19)를 형성하는 제 2권취롤러(17)를 구비하는 단계와;
    -각 롤의 권취의 끝에서, 상기 목부를 통한 새 권취코어의 전진을 제어하기 위해서 권취의 조건을 일시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구비한 밴드형상재의 롤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소정위치(19)로부터 상기 새 코어의 통과가 검출되고, 권취조건의 변동은 상기 신호에 따라 단계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상재의 롤의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제 2권취롤러는 상기 목부를 통한 코어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하여 각 롤의 권취의 끝에서 감속되고, 그 후 상기 제 2권취롤러는 그 동작속도까지 재가속되고, 재가속은 상기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상재의 롤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재가속곡선(Ra, Ra1, Ra2)의 기울기는 상기 신호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상재의 롤의 제조방법.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재가속(Ra)은 상기 신호에 따라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상재의 롤의 제조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권취롤러(17)의 재가속의 개시는 상기 위치로부터 상기 코어의 통과에 대해 소정기간동안 지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상재의 롤의 제조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의 치수는 상기 목부를 통한 코어의 통과의 경우에 주기적으로 변경되며, 제 1 및 제 2권취롤러 사이의 상대적 동작은 상기 신호에 따라 단계적으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상재의 롤의 제조방법.
  16. 선행항 중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로부터의 코어의 통과는 광학적으로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상재의 롤의 제조방법.
  17. 권취크레이들(15, 17, 21)내에서 권취코어(A, A1, A2)상에 웨브재(N)의 롤(N)의 외주권취방법으로서, 상기 권취크레이들내에서 웨브재의 롤이 코어(A)상에 감기고, 완성된 롤(L)이 권취크레이들로부터 배출되고, 새 코어가 적어도 권취조건을 일시적으로 변경함으로써 권취크레이들내에 삽입되는, 웨브재(N)의 롤의 권취방법에 있어서,
    소정위치(19)로부터 상기 새 코어의 통과를 검출하고, 상기 권취조건의 변동을 상기 통과에 따라 단계적으로 일어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N)의 롤의 권취방법.
  18. 웨브재(N)의 롤(L, L1)이 각 권취코어(A, A1, A2)상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권취크레이들(15, 17, 21)과, 상기 크레이들내에 상기 코어(A, A1, A2)를 도입하는 수단(67)을 구비한 외주권취기로서, 이 기계의 권취조건은 상기 크레이들내에 새 코어를 도입하기 위해 주기적이고 일시적으로 변경되는 권취기에 있어서, 소정지점에서 상기 크레이들내로 삽입되고 있는 코어의 통과를 검출하고 상기 코어의 통과시에 신호를 발하는 센서수단(90)을 포함하고, 권취조건의 주기적 변동은 상기 신호에 따라 단계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KR1019970707286A 1995-04-14 1996-04-10 권취코어의 도입의 제어를 구비한 밴드형상재의 롤용재권취기 KR100235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95FI000069A IT1278644B1 (it) 1995-04-14 1995-04-14 Macchina ribobinatrice per rotoli di materiale nastriforme, con controllo dell'introduzione dell'anima di avvolgimento
ITFI95A000069 1995-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3885A true KR19980703885A (ko) 1998-12-05
KR100235839B1 KR100235839B1 (ko) 1999-12-15

Family

ID=11351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7286A KR100235839B1 (ko) 1995-04-14 1996-04-10 권취코어의 도입의 제어를 구비한 밴드형상재의 롤용재권취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853140A (ko)
EP (1) EP0873272A1 (ko)
JP (1) JPH11503397A (ko)
KR (1) KR100235839B1 (ko)
CN (1) CN1064020C (ko)
AR (1) AR001616A1 (ko)
AU (1) AU5345596A (ko)
BR (1) BR9604798A (ko)
CA (1) CA2218055A1 (ko)
IL (1) IL117796A (ko)
IT (1) IT1278644B1 (ko)
PL (1) PL179528B1 (ko)
RU (1) RU2128619C1 (ko)
WO (1) WO19960323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081B1 (ko) * 2002-11-20 2011-03-25 파비오 페리니 에스. 피. 에이. 형성된 로그의 최종 가장자리를 접착하는 접착디바이스를가진 다시 감기 기계 및 관련 감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86563B1 (it) * 1996-03-05 1998-07-15 Perini Fabio Spa Macchina ribobinatrice incorporante un incollatore per i rotoli completati e relativo metodo di avvolgimento
US5820064A (en) * 1997-03-11 1998-10-13 C.G. Bretting Manufacturing Company, Inc. Winding control finger surface rewinder with core insert finger
ITFI980034A1 (it) 1998-02-18 1999-08-18 Perini Fabio Spa Macchina ribobinatrice periferica per la produzione di rotoli di materiale nastriforme avvolto e relativo metodo di avvolgimento
US6308909B1 (en) 1999-02-09 2001-10-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b rewinder chop-off and transfer assembly
IT1307874B1 (it) * 1999-05-11 2001-11-19 Perini Fabio Spa Metodo e dispositivo per la produzione di rotoli di materialenastriforme senza anima di avvolgimento.
US6372064B1 (en) * 1999-12-13 2002-04-16 C. G. Bretting Manufacturing Company, Inc. Tail sealer apparatus and method
US6595459B2 (en) 2001-01-30 2003-07-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pparatus and process for winding webbed material upon cores
ITFI20020122A1 (it) * 2002-07-09 2004-01-09 Perini Fabio Spa Macchina ribobinatrice per la produzione di rotoli di materiale nastriforme avvolto e relativo metodo
KR101025107B1 (ko) * 2002-12-03 2011-03-25 파비오 페리니 에스. 피. 에이. 웨브재 롤을 형성하는 개량된 다시감기기계
ITFI20030118A1 (it) * 2003-04-28 2004-10-29 Fabio Perini Dispositivo e metodo per provocare lo strappo di nastri cartacei in macchine ribobinatrici
US7222813B2 (en) * 2005-03-16 2007-05-29 Chan Li Machinery Co., Ltd. Multiprocessing apparatus for forming logs of web material and log manufacture process
ITFI20050087A1 (it) * 2005-05-02 2006-11-03 Perini Fabio Spa Metodo e dispositivo per produrre rotoli di materiale nastriforme con una fasciatura esterna
TW200740679A (en) * 2006-04-21 2007-11-01 Chan Li Machinery Co Ltd Paper rolling device of roll paper
ITFI20060140A1 (it) * 2006-06-09 2007-12-10 Perini Fabio Spa Metodo e dispositivo pe produrre rotoli di materiale nastriforme con un meccanismo di interruzione del materiale nastriforme azionato dal transito delle anime di avvolgimento.
TW200844026A (en) * 2007-05-04 2008-11-16 Chan Li Machinery Co Ltd A thin paper winding and cut-off device
TW200911516A (en) * 2007-09-04 2009-03-16 Chan Li Machinery Co Ltd Thin paper winding and cutting machine with pre-winding roller
ITFI20070230A1 (it) * 2007-10-22 2009-04-23 Perini Fabio Spa "tubiera con un supporto magnetico per il mandrino avvolgitore"
IT1392403B1 (it) * 2008-12-23 2012-03-02 Gambini Int Sa Gruppo e metodo perfezionato di avvolgimento di carta attorno ad un'anima per realizzare un rotolo di carta
IT1392694B1 (it) * 2009-01-29 2012-03-16 Gambini Int Sa Ribobinatrice migliorata e relativo metodo per l'avvolgimento di carta attorno ad un'anima per la realizzazione di un rotolo di carta
TWI397497B (zh) * 2010-03-16 2013-06-01 Chan Li Machinery Co Ltd Thin paper cutting method and structure of thin paper winding device
TWI448411B (zh) * 2010-03-16 2014-08-11 Chan Li Machinery Co Ltd Thin paper wrapping method and structure of thin paper winding device
US10442649B2 (en) 2016-03-04 2019-10-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rface winder for producing logs of convolutely wound web materials
US10427903B2 (en) 2016-03-04 2019-10-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eading edge device for a surface winder
US10427902B2 (en) 2016-03-04 2019-10-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nhanced introductory portion for a surface winder
WO2019108480A1 (en) 2017-11-29 2019-06-06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Surface rewinder with center assist and belt and winding drum forming a winding nest
IT201800006447A1 (it) * 2018-06-19 2019-12-19 Ribobinatrice per la produzione di logs di materiale cartaceo.
IT201800006607A1 (it) * 2018-06-25 2019-12-25 Ribobinatrice per la produzione di logs di materiale cartaceo.
IT201800006604A1 (it) * 2018-06-25 2019-12-25 Macchina ribobinatrice per la produzione di logs di materiale cartaceo.
US11247863B2 (en) * 2018-11-27 2022-02-15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Flexible drive and core engagement members for a rewind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37006C3 (de) * 1970-07-25 1986-10-02 Hergeth Hollingsworth GmbH, 4408 Dülmen Vorrichtung zum Zuführen und Einlegen von stangen- oder rohrförmigen Wickelkernen einer Tragwalzen-Wickelmaschine beim Wickelwechsel
JPS5247171A (en) * 1975-10-11 1977-04-14 Fuji Tekkosho:Kk Winder for belt-like substance
IT1165998B (it) * 1979-09-21 1987-04-29 Fabio Perini Dispositivo avvolgitore continuo per nastri di carta ed altro nella produzione di carta igienica e manufatti analoghi
US4266735A (en) * 1980-02-08 1981-05-12 Magna-Graphics Corporation Mandrel supports for automatic web rewinder
IT1167967B (it) * 1981-08-26 1987-05-20 Fabio Perini Ribobinatrice ad alta velocita' per nastri di carta in specie con perforazioni trasversali
JPS5874446A (ja) * 1981-10-23 1983-05-0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紙コア供給方法
JPS60171958A (ja) * 1984-02-16 1985-09-05 Tsudakoma Ind Co Ltd 布巻ロ−ル交換装置のオ−トドッフィング機構
US4723724A (en) * 1985-04-17 1988-02-09 Paper Converting Machine Web winding machine and method
US4909452A (en) * 1988-02-29 1990-03-20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Surface winder and method
US4828195A (en) * 1988-02-29 1989-05-09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Surface winder and method
IT1233170B (it) * 1989-03-09 1992-03-14 Perini Finanziaria Spa Macchina ribobinatrice per formare rotoli di carta od altro
IT1233708B (it) * 1989-07-11 1992-04-14 Perini Navi Spa Macchina ribobinatrice per la formazione di rotoli o bastoni, e metodo di avvolgimento
IT1238716B (it) * 1990-04-27 1993-09-01 Perini Navi Spa Dispositivo per variare la frequenza del moto di un introduttore
IT1238717B (it) * 1990-04-27 1993-09-01 Perini Navi Spa Ribobinatrice con mezzi per variare il numero di perforazioni avvolte su ciascun rotolo in formazione
JP2887953B2 (ja) * 1991-07-10 1999-05-1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織機のクロスロール交換装置におけるクロスロール検出兼用布張力検出装置
IT1240907B (it) * 1991-07-16 1993-12-21 Perini Fabio Spa Metodo per la produzione di rotoli o logs di materiale nastriforme,e macchina per l'esecuzione di detto metodo
JPH0664800A (ja) * 1992-08-24 1994-03-0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クロスロール交換装置における空ロール検出装置
US5505405A (en) * 1993-02-18 1996-04-09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Surface rewinder and method having minimal drum to web slippage
US5370335A (en) * 1993-02-18 1994-12-06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Surface rewinder and method
US5505402A (en) * 1993-02-18 1996-04-09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Coreless surface winder and method
IT1262046B (it) * 1993-03-24 1996-06-18 Guglielmo Biagiotti Macchina ribobinatrice per la formazione di rotoli di materiale nastriforme con mezzi per l'interruzione del materiale nastriforme e relativo metodo di avvolgimento.
US5421536A (en) * 1993-07-19 1995-06-06 Paper Coverting Machine Company Surface winder with recycled mandrels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081B1 (ko) * 2002-11-20 2011-03-25 파비오 페리니 에스. 피. 에이. 형성된 로그의 최종 가장자리를 접착하는 접착디바이스를가진 다시 감기 기계 및 관련 감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17796A0 (en) 1996-04-02
ITFI950069A0 (it) 1995-04-14
IL117796A (en) 2000-06-01
AR001616A1 (es) 1997-11-26
RU2128619C1 (ru) 1999-04-10
PL179528B1 (pl) 2000-09-29
CA2218055A1 (en) 1996-10-17
CN1181739A (zh) 1998-05-13
CN1064020C (zh) 2001-04-04
PL322772A1 (en) 1998-02-16
ITFI950069A1 (it) 1996-10-14
IT1278644B1 (it) 1997-11-27
AU5345596A (en) 1996-10-30
BR9604798A (pt) 1999-02-17
EP0873272A1 (en) 1998-10-28
JPH11503397A (ja) 1999-03-26
WO1996032350A1 (en) 1996-10-17
KR100235839B1 (ko) 1999-12-15
US5853140A (en) 1998-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5839B1 (ko) 권취코어의 도입의 제어를 구비한 밴드형상재의 롤용재권취기
US9701505B2 (en) Rewinding machin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rolls of web material
CA2073607C (en) Method for producing rolls or logs of web material and machine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US5538199A (en) Rewinding machine for coreless winding of a log of web material with a surface for supporting the log in the process of winding
EP0580561B1 (en) Machine and method for the formation of coreless logs of web material
EP2539259B1 (en) Rewinding machine and method
CA2020723C (en) Rewinding machine for the formation of rolls or logs, and winding method
EP150772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logs of sheet material
KR20150135256A (ko) 재권취기 및 웹 재료의 롤을 생산하는 방법
KR100511697B1 (ko) 합성얀제조장치
EP1524218B1 (en) Log discharge device for a rewi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