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3477A -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및 에어백 팽창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및 에어백 팽창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703477A KR19980703477A KR1019970706881A KR19970706881A KR19980703477A KR 19980703477 A KR19980703477 A KR 19980703477A KR 1019970706881 A KR1019970706881 A KR 1019970706881A KR 19970706881 A KR19970706881 A KR 19970706881A KR 19980703477 A KR19980703477 A KR 199807034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mber
- vent opening
- fluid
- airbag
- gas generato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9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characterised by fluid flow controlling val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등에 탑재되어서, 충돌시에 탑승자와 차내부재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에어백으로 가스체를 주입하여 부풀게 함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이다.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가연성유체(7)를 수용하고, 에어백(3)으로 통하는 제 1 통기개구(8)를 가진 제 1 실(9)과, 가연성유체(7)를 수용하고, 상기 제 1 실(9)보다 큰 제 2 실(5)과, 상기 제 1 통기개구(8)를 폐색하는 제 1 폐색부재(31)와, 상기 제 1 실(9) 내의 가연성유체(7)에 점화하는 점화수단(14)을 가지며, 상기 제 1 실(9) 내의 상기 가연성유체(7)의 적어도 일부를 연소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실(9) 및 상기 제 2 실(5) 내의 유체를 상기 제 1 통기개구(8)를 개재하여서 방출하여 에어백(3)을 팽창시킨다. 따라서 제 1 폐색부재를 재빨리 파괴하고, 이 제 1 실 내의 연소유체 혼합체를 방출하므로, 에어백이 팽창을 개시하는 초기응답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종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사용하는 가스로서 압축된 질소가스나 아르곤가스 등의 불활성가스가 사용되고 있었으나, 가연성 가스혼합체를 사용하는 장치가 일본국 특개평5-27855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압력용기 내에 수용된 가연성 가스혼합체에 대하여, 한편의 끝단면쪽에서 착화하여 연소시키고, 연소에 따른 온도상승에 의해 가스압력이 증가하면, 그 압력에 의해 제 2 실의 다른편의 끝단면이 파괴되어서, 그곳으로부터 연소가스가 에어백내로 흘러서 에어백을 팽창시키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일본국 특개평 5-278554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장치에서는, 가연성 가스혼합체에 착화하는 초기의 상태에서는, 압력용기내의 가스 중, 점화기쪽의 가스는 연소하지만, 그 반대의 다른편의 끝단면쪽의 가스는 연소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어, 가연성 가스혼합체의 효과적인 이용을 도모하기 어렵고, 또한 압력용기 내의 압력상승에 시간이 걸리며, 결과적으로 초기응답시간이 길어진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 이 종류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서는, 그 동작시에 에어백의 초기응답속도가 빠른 것이 요구되는 한편, 에어백의 팽창완료시간을 자동차의 크기, 형상의 다름 등에 의해 차량마다 설정된 에어백 용량 및 속도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는 것도 필요하였다.
또, 상기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장치에서는, 가스혼합체의 점화에 의해 에어백이 팽창하고, 그 팽창이 종료하기까지의 에어백의 팽창특성이, 미리 설계된 특성에 따르는 것이며, 그 특성은 설계단계에서 고정되어 버린다. 상기 에어백의 팽창특성은, 에어백장치 작동시의 충돌의 정도나 탑승자의 앉는 위치, 체격의 개체차 등의 모든 조건에 따라서는, 반드시 일률적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은 조건에 대응한 팽창특성을 적당히 실현할 수 있도록 에어백장치 작동시의 자유도(自由度)를 확보한 에어백장치의 제공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가연성 유체혼합체가 충분히 연소한 뒤의 유체혼합체(이하, 연소유체 혼합체라고 함)를 에어백으로 효율좋게 재빨리 보낼 수 있음과 동시에, 에어백의 팽창완료시간을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에어백장치 작동시의 모든 조건에 대응한 팽창특성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연소실을 제 1 실과 제 2 실로 구분함으로써, 연소의 시작이 빠르고, 간단한 구성으로, 연소유체 혼합체만을 에어백에 재빨리 보낼 수 있으며, 응답속도가 빠르고, 신뢰도가 높은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제 1 실 내의 가연성 유체를 점화하고, 점화한 연소유체 혼합체를 제 2 실 내로 도입할 때에, 제 3 통기개구를 통하여 제 1 실로부터 제 2 실로 내뿜는 유체의 유출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소정의 조건에 대응하여서 제 1 실과 제 2 실과의 연이어 통하는 상태를 제어하여, 에어백의 팽창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소정의 조건에 대하여 연소유체 혼합체의 에어백으로의 도입량을 제어하여, 에어백의 팽창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가연성 유체를 수용하고, 에어백으로 통하는 제 1 통기개구를 가진 제 1 실과, 가연성 유체 및/또는 불활성 유체를 수용하고, 상기 제 1 실보다 큰 제 2 실과, 상기 제 1 통기개구를 폐색하는 제 1 폐색부재와 상기 제 1 실 내의 가연성 유체에 점화하는 점화수단을 가지고, 상기 제 1 실 내의 상기 가연성 유체의 적어도 일부를 연소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실 및 제 2 실 내의 유체를 상기 제 1 통기개구를 통해 방출하여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과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가연성 유체를 수용하는 실을 구분하고, 에어백으로 통하는 제 1 통기개구를 형성한 제 1 실에서 점화하는 것에 의해 제 1 폐색부재를 재빨리 파괴하여, 이 제 1 실 내의 연소유체 혼합체를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이 팽창을 시작하는 초기응답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 제 1 실은 제 2 실보다 작기 때문에 이 효과는 높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과 제 2 실을 연이어 통하는 제 2 통기개구와, 상기 제 2 통기개구를 막는 제 2 폐색부재를 갖추고, 상기 제 1 실 내의 상기 가연성 유체가 연소할 때에는, 상기 제 1 실은 실질적으로 폐공간(閉空間)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과 같이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상기 제 1 실 내의 상기 가연성 유체가 연소할 때에는, 상기 제 1 실은 실질적으로 폐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제 1 실 내에서의 연소에 의한 압력상승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폐색부재는 확실하게 재빨리 파괴되어, 에어백이 팽창을 시작하는 초기응답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질적으로 폐공간이란, 제 1 폐색부재를 파괴하기 위하여 필요한 압력상승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폐공간을 말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폐색부재가, 상기 제 1 실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제 2 폐색부재의 부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폐색부재가, 상기 제 1 실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제 2 폐색부재의 파괴압력치에 방향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폐색부재는 상기 제 1 실쪽보다도 상기 제 2 실쪽으로부터의 압력에 대하여 파괴하기 쉽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을 함으로써,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제 1 실 내의 유체의 에어백으로의 방출개시후로서, 제 2 실내의 유체의 연소 또는 팽창시에 제 2 폐색부재는 파괴되게 된다. 따라서 제 1 폐색부재는 확실하게 재빨리 파괴되어, 에어백의 팽창을 시작하는 초기응답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 제 2 실의 유체는 제 1 실의 유체보다도 느리게 방출되기 때문에, 확실하게 연소 또는 팽창시킬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2 내지 5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은 상기 제 2 실 내로 연이어 통하는 제 3 통기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 3 통기개구는 상기 제 2 통기개구보다 단면적이 작고 및/또는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제 1 실 내의 가연성 유체가 점화하면, 그 연소유체 혼합체는 제 3 통기개구로부터 제 2 실 내로 도입된다. 따라서 제 2 실의 유체는 간단한 구성으로 연소시키거나 또는 팽창시킬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6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기개구는 상기 제 1 실의 측벽에 형성된 통기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간단한 구성으로 제 2 실을 연소시킬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6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기개구는 상기 제 2 폐색부재에 형성된 통기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간단한 구성으로 제 2 실을 연소시킬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6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기개구는 상기 제 2 폐색부재와 상기 제 1 실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간단한 구성으로 제 2 실을 연소시킬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1내지 9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폐색부재는 상기 제 1 실 내의 압력상승에 의하여 파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연소유체 혼합체를 즉각 에어백으로 보낼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1내지 10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폐색부재는 상기 제 1실 내와 상기 제 2 실내의 압력차에 의하여 파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연소유체 혼합체를 즉각 에어백으로 보낼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은 한 끝단에 상기 제 1 통기개구를 가지고, 다른 끝단을 상기 제 2 실의 내부에서 개방한 가늘고 긴 통형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 2 폐색부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보다 저코스트의 가스발생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1 내지 12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기개구가 형성된 끝단면의 바깥쪽에, 반경방향으로 복수의 유체확산구멍을 가진 가스확산부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 1 통기개구로부터의 유체분출에 의한 관성력을 완충시킬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1 내지 13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 및/또는 상기 제 2 실은, 산화제 가스 또는 산화제 가스와 불활성 가스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취급이 용이하고 입수하기 쉬운 가연성 유체를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과 상기 제 2 실을 연이어 통하는 제 3 통기개구와, 상기 제 3 통기개구의 연이어 통하는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에어백의 팽창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에어백으로 들어가는 연소유체 혼합체의 유출속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고 하는 작용이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15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3 통기개구를 전체 개방상태와 최소면적과의 사이에서 폐쇄하는 셔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셔터부재는 통상상태에서는, 상기 제 3 통기개구를 전체 개방상태로 유지하는 한편, 자동차가 고속으로 충돌하였을 때는 상기 제 3 통기개구를 최소면적이 되도록 폐쇄하고, 그 이외의 경우는, 자동차의 충돌의 정도에 따라 상기 제 3 통기개구를 전체 개방상태와 최소면적과의 사이의 소정 면적으로 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 2 실의 연소를 제어함으로써 에어백의 팽창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15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실의 내부에 설치한 상기 제 1 실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광성운동부재를 구비하고, 자동차의 충돌시에, 상기 관성운동부재는, 충돌의 정도에 따라 상기 제 1 실의 용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충돌의 정도에 따라 에어백의 초기응답시간을 변화시킬 수 있다.
청구항 18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17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성운동부재는 상기 제 1 실의 용적을 최대로 하는 위치에 힘이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9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17 또는 18에 개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은 상기 제 2 실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 2 실의 축방향으로 뻗어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0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17 또는 18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은 상기 제 2 실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 2 실의 축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의 방향으로 뻗어서 설치되어 있는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1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17 내지 20의 어느 한항의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의 측벽에 상기 제 3 통기개구를 긴쪽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관성운동 부재는 소정 개수의 상기 제 3 통기개구를 충돌의 정도에 따라서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2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21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성운동부재는 상기 제 1 실의 용적을 최대로 하고, 또한 모든 상기 제 3 통기개구를 개방하는 위치에 힘이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3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21 또는 22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기개구는 상기 제 1 실의 긴쪽방향으로 뻗어서 형성된 슬릿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4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기개구와 상기 에어백과의 사이에 가스체를 외부로 도출하는 도출수단을 가지고, 또 소정의 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도출수단과 외부와의 연이어 통하는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에어백의 팽창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일부 연소유체 혼합체를 장치 밖으로 방출함으로써, 에어백장치 작동시의 모든 조건에 대응한 팽창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작동을 갖춘다.
청구항 25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24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도출구를 전체 개방상태와 전체 폐쇄상태의 사이에서 조정하는 셔터수단을 가지고, 상기 셔터수단은 통상상태에서는 상기 도출구를 전체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자동차가 고속으로 충돌하였을 때는 상기 도출구를 완전히 폐쇄시키고, 그 이외의 경우는, 자동차의 충돌의 정도에 따라 상기 도출구를 전체 개방상태와 전체 폐쇄상태 사이의 소정의 개방상태로 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작동시의 모든 조건에 대응한 팽창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26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화수단의 점화부를 상기 제 1 실 내로 뻗어 나오게 하고, 상기 제 1 실의 상기 점화부 근방의 내벽면에 돌출곡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돌출곡면부에 의하여 초기응답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7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가연성 유체를 수용하고, 에어백으로 통하는 제 1 통기개구를 가진 제 1 실과, 가연성 유체 및/또는 불활성 유체를 수용하고, 상기 제 1 실보다 큰 제 2 실과, 상기 제 1 통기개구를 폐색하는 제 1 폐색부재와, 상기 제 1 실과 상기 제 2 실을 연이어 통하는 제 2 통기개구와, 상기 제 2 통기개구를 폐색하는 제 2 폐색부재와, 상기 제 1 실과 상기 제 2 실을 연이어 통하고, 상기 제 2 통기개구보다도 단면적이 작고 및/또는 길이가 긴 제 3 통기개구와, 상기 제 1 실 내의 가연성 유체에 점화하는 점화수단을 가지며, 상기 점화수단에 의해 상기 제 1 실 내의 상기 가연성 유체의 적어도 일부를 연소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3 통기개구에 의하여 상기 제 2 실 내의 유체를 연소 및/또는 팽창시키고, 상기 제 1 실 내의 유체는 상기 제 1 통기개구로부터 방출하고, 상기 제 2 실 내의 유체는 적어도 상기 제 2 통기개구를 개재하여 상기 제 1 통기개구로부터 방출하여서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구성과 같이, 청구항 27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가연성 유체를 수용하는 실을 구분하고, 에어백으로 통하는 제 1 통기개구를 형성한 제 1 실에서 점화하는 것에 의해 제 1 폐색부재를 재빨리 파괴하여, 이 제 1 실 내의 연소유체 혼합체를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의 팽창을 시작하는 초기응답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 제 1 실은 제 2 실보다 작기 때문에 이 효과는 높다. 또 제 1 실 내에서 생성한 연소유체 혼합체의 일부는 제 3 통기개구로부터 제 2 실 내로 도입된다. 따라서 제 2 실의 유체는 간단한 구성으로 연소시키고, 또는 팽창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실의 유체는 제 1 실의 유체보다도 느리게 방출되기 때문에 확실하게 연소 또는 팽창시킬 수 있다.
청구항 28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27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기개구는 상기 제 2 실의 중심축 상에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 2 실 내의 가연성 유체를 고속으로 연소 또는 팽창할 수 있고, 제 2 실 내의 압력상승을 빨리 할 수 있다.
청구항 29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27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기개구는 상기 제 2 실의 중심축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 2 실 내의 가연성 유체의 연소 또는 팽창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고, 제 2 실 내의 압력상승을 느리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0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27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제 3 통기개구의 입구축은 상기 제 2 실의 중심축과 평행으로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 2 실 내의 가연성 유체의 연소속도 또는 제 2 실 내의 압력상승을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 31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27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기개구의 입구축은 상기 제 2 실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 2 실내의 가연성 유체의 연소속도 또는 제 2 실 내의 압력상승을 다소 느리게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 32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27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실을 원통형상으로 하고, 상기 제 3 통기개구의 입구축은 상기 제 2 실의 원주방향을 향해서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 2 실 내의 가연성 유체의 연소속도 또는 제 2 실 내의 압력상승을 다소 느리게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 33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27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기개구를 복수로 형성하고, 상기 제 3 통기개구의 각각의 입구축은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다방향을 향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 2 실 내의 가연성 유체의 연소속도 또는 제 2 실 내의 압력상승을 여러 가지로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 34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27내지 33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기개구를 통하여 상기 제 1 실로부터 상기 제 2 실로 내뿜는 유체의 유출방향을 실질적으로 편향(偏向)하는 유로편향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 2 실 내의 가연성 유체의 연소속도 또는 제 2 실 내의 압력상승을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 35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34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로편향수단은 상기 제 1 실 및/또는 상기 제 2 실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편부, 판자체, 메쉬체, 또는 금속세선 중의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 2 실 내의 가연성 유체의 연소속도 또는 제 2 실 내의 압력상승을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 36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27 내지 35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기개구의 단면적의 합계는, 0.01mm2내지 20mm2의 범위내에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실내의 가연성 유체의 연소속도를 가능한 한 효율좋게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 37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27 내지 36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기개구의 길이는, 0.2mm 내지 100mm의 범위 내에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실내의 가연성 유체의 연소속도를 가능한 한 효율좋게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 38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27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기개구를 통하여 상기 제 1 실로부터 상기 제 2 실로 내뿜는 유체를 냉각하는 연소가스 냉각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 2 실 내의 가연성 유체의 연소속도 또는 제 2 실 내의 압력상승을 제어함과 동시에, 연소유체 혼합체의 온도를 내린다고 하는 작용을 가진다.
청구항 39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38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냉각수단은, 상기 제 1 실 및/또는 상기 제 2 실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편부, 판자체, 메쉬체, 또는 금속세선 중의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 2 실 내의 가연성 유체의 연소속도 또는 제 2 실 내의 압력상승을 제어함 동시에, 연소유체 혼합체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내린다고 하는 작용을 가진다.
청구항 40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27내지 39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기개구는 상기 점화수단의 동작 후, 소정의 시간경과후에 개봉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에어백 내에 가스체를 재빨리 도입할 수 있다.
청구항 41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40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폐색부재는 상기 제 1 실 내의 압력이 소정치에 달하였을 때에 파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에어백으로의 동작의 시작이 빠른 유체도입을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42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청구항 40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색부재는 기계적으로 파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에어백으로의 동작의 시작이 빠른 유체도입을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43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가연성 연료를 수용하고, 제 1 통기개구를 가진 제 1 실과,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 2, 제 3 통기개구를 가진 제 2 실을 가지며, 상기 제 1 실에서 생성된 연소생성물의 일부는 상기 제 3 의 통기개구를 지나서 상기 제 2 실로 도입되고, 상기 제 2 실에서 생성된 연소생성물을 상기 제 2 통기개구로부터 상기 제 1 실로 도입되며, 상기 제 1 실 및 상기 제 2 실에서 생성된 연소생성물은 상기 제 1 통기개구로부터 방출되는 것은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과 같이, 청구항 43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가연성 유체를 수용하는 실을 구분하고, 에어백으로 통하는 제 1 통기개구를 형성한 제 1 실에 있어서 연소생성물을 생성함으로써, 제 1 폐색부재를 재빨리 파괴하고, 이 제 1 실 내의 연소생성물을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이 팽창을 시작하는 초기응답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 제 1 실내에서 생성한 연소생성물의 일부는, 제 3 통기개구로부터 제 2 실내로 도입된다. 따라서 제 2 실의 유체는 간단한 구성으로 연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실의 유체는 제 1 실의 유체보다도 느리게 방출되기 때문에, 확실하게 연소시킬 수 있다.
청구항 44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는, 연이어 통하는 적어도 2개의 실과 상기 실내에 수용된 유체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실에 수용된 유체가 가연성 유체이고, 가연성 유체에 착화하는 실을 거쳐 유체가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에어백 내로 재빨리 유체를 도입할 수 있다.
청구항 45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에어백 팽창방법은, 제 1 실과 제 2 실을 가지며, 적어도 상기 제 1 실에 수용한 가연성 유체를 연소시키고, 연소에 의한 온도 상승에 의하여 압력을 증가시킨 유체혼합체로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실 내의 가연성 유체에 점화하는 공정과, 상기 가연성 유체에 점화하는 단계에 의하여 생긴 연소유체 혼합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2 실로 도입하는 공정과, 상기 가연성 유체에 점화하는 단계에 의하여 생긴 연소유체 혼합체의 적어도 일부를 에어백으로 도입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실내의 연소유체 혼합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2 실로부터 상기 제 1 실을 지나서, 에어백으로 도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에어백 내로 재빨리 유체를 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 등에 탑재되어서, 충돌시에 탑승자와 차내 부재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에어백에 가스체를 주입하여 부풀게 함으로써 탑승자을 보호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 2 도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실 내의 제 1 실과 제 2 실의 각각 독립한 상태에 있어서의 유체압력과 시간의 관계를 나타낸 특성도,
제 3 도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실과 제 2 폐색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 4 도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실과 제 2 폐색부재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 5 도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실과 제 2 폐색부재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 9 도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 10 도는, 동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제 3 통기개구의 구조를 나타낸 제 2 폐색부재쪽에서 본 정면도,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 12 도는, 동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유로편향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 13 도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 14 도는, 동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유로편향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제 15 도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 16 도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 17 도는, 본 발명의 제 1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 18 도는, 동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주행시의 태양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 19 도는, 본 발명의 제 1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 20 도는, 동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충돌시의 태양을 나타낸 부분단면도,
제 21 도는, 본 발명의 제 1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 22 도는, 본 발명의 제 1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 23 도는, 동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주행시의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제 1 도에 있어서, (1)은 에어백장치의 전체를 나타낸다. (2)는 에어백장치(1)의 외곽을 구성하는 바닥이 있는 사각통형상의 모듈케이스이다. 모듈케이스(2)는 에어백(3)이 부착됨과 동시에 복수의 유체공급구멍(4)을 가진다. 에어백(3)은 평상상태에서는 접혀져 있다.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100)는 모듈케이스(2)에 밀폐하듯이 삽입되어 있다.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100)는 가연성 유체혼합체(7)를 수용한 압력용기를 형성하는 제 2 실(5)을 가진다. 제 2 실(5)의 한 끝단부(5a)에 가연성 유체혼합체(7)를 충전하기 위한 유체충전구(6)를 가진다. 유체충전구(6)는 유체충전 후에 봉해서 막혀진다. (8)은 제 2 실(5)의 다른 끝단부(5b)에 형성된 제 1 통기개구이다. (9)는 제 2 실(5)의 다른 끝단부(5b)의 안쪽에 제 1 통기개구(8)를 둘러싸듯이 하여 용접, 나사 등에 의해 부착된 제 1 실이다. 제 1 실(9)과 제 2 실(5)은 격벽(9a)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격벽(9a)은 복수의 통기개구로 이루어진 제 3 통기개구(10)와 제 2 통기개구(11)를 가진다. 제 1 통기개구(8)는 제 1 폐색부재(13)에 의해 폐색되고, 제 2 통기개구(11)는 제 2 폐색부재(12)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점화기(14)는 그 점화부(14a)가 제 1 실(9)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점화기(14)와 제 1 폐색부재(13)는 별개체로 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폐색부재(13)는 제 1 실(9) 내부가 초기압력의 약 2배의 압력에 달하였을 때에 파괴되도록 그 파괴압이 설정되어 있다. 점화기(14)는 도시하지 않은 충격센서 또는 감속도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제 1 실(9) 내의 가연성 유체혼합체에 점화한다. 디퓨저(15)는 제 2 실(5)의 다른 끝단부(5b)의 바깥쪽에 제 1 통기개구(8)를 둘러싸듯이 부착되고, 복수의 유체확산구멍(16)을 가진다. 여기에서 제 1 실(9) 내의 가연성 유체혼합체(7)에 점화하는 수단은 스퀴브라도 좋다.
가연성 유체혼합체(7)로서는 불활성 유체와 가연성 유체와 산화제 유체를 함유하는 것이 사용된다. 불활성 유체는 질소 또는 아르곤, 헬륨 또는 그들의 혼합체가 바람직하다. 가연성 유체는 수소 또는 저급탄화수소, 저급알콜, 저급에테르 또는 그들의 혼합체라도 좋다. 산화유체는 산소가 바람직하다. 불활성 유체와 산화유체의 혼합체로서 공기를 사용하여도 좋다. 가연성 유체혼합체(7)로서는 불활성 유체를 함유하지 않으며, 가연성 유체가 적고, 산화유체의 양이 가연성 유체를 연소시키는 데에 필요한 양보다도 충분히 많은 혼합유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7)은 가연성 유체로의 점화의 직전 또는 점화와 동시에, 가연성 유체가 연소범위 내로 되는 것 같은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이 경우는 가연성 유체로의 점화의 직전 또는 점화와 동시에, 산화제 유체 또는 산화제 유체와 불활성 유체의 혼합체가 가연성 유체와 혼합된다.
또한, 가연성 유체환합체(7)는 가스혼합물이라도 좋고, 액체혼합물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실의 양쪽 모두 가연성 유체혼합체가 수용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점화하지 않는 쪽의 실은 반드시 가연성 유체혼합체일 필요는 없고, 그 경우는 가연성 유체를 함유하지 않던가, 함유하고 있더라도 연소한계 이하의 농도로 이루어진유체혼합체가 수용된다. 이 경우는 각 실의 유체의 혼합을 막기 위하여 제 3 통기개구에도 폐색부재를 설치한다. 제 3 통기개구에 설치된 폐색부재를 파괴하는 수단으로서는 피스톤 등의 기계식 파괴수단, 압력차에 의해 파괴하는 수단 등의 공지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부분은 같은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차량이 충돌 등에 의해 급속히 감속하면 충격센서 또는 감속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점화기(14)가 제 1 실(9) 내의 가연성 유체혼합체(7)에 점화한다. 이에 따라 제 1 실(9) 내의 가연성 유체혼합체(7)가 연소하고, 연소에 따른 발열에 의해 유체의 온도가 상승하여, 제 1 실(9) 내의 압력이 증대한다. 제 1 실(9) 내의 압력이 초기압력의 약 2배에 달하였을 때, 제 1 폐색부재(13)의 취약부가 파괴되고, 연소유체 혼합체가 제 1 실(9) 내로부터 제 1 통기개구(8), 디퓨저(15), 모듈케이스(2)를 거쳐에어백(3) 내로 도입된다. 여기서 연소유체 혼합체란 가연성 유체혼합체(7)가 연소함으로써 생성되는 유체혼합체이다.
그 동안에, 제 1 실(9) 내의 연소유체 혼합체의 적어도 일부가 제 3 통기개구(10)를 통과하여 제 2 실(5) 내로 도입되고, 제 2 실내의 가연성 유체혼합체(7)의 연소를 개시시킨다. 한편 제 1 폐색부재(13)의 파괴에 의해 연소유체 혼합체가 유출되므로, 제 1 실(9) 내의 압력이 급격히 감소한다. 이 때문에 제 2 실(5)과 제 1 실(9)의 압력차가 커진다. 압력차가 소정의 값에 도달하면 제 2 폐색부재(12)의 취약부가 파괴된다. 이에 따라 제 2 실(5) 내의 연소유체 혼합체가 제 2 통기개구(11)를 통과하여 제 1 실(9), 디퓨저(15), 모듈케이스(2)를 거쳐서 에어백(3) 내로 도입된다. 제 2 실(5)은 제 2 통기개구(11)로부터의 연소유체 혼합체의 유출에 의해 그 압력이 일단은 감소한다. 그러나 계속해서 제 2 실(5) 내의 미연소의 가연성 유체가 연소하므로, 그 압력으로 균형을 유지한 채 또는 약간 상승하면서, 제 2 실 내의 미연소의 가연성 유체가 다 탈 때까지 연소유체 혼합체 혼합물을 에어백(3)으로 공급한다.
단, 제 2 실(5) 내의 연소를 빨리 하고 싶을 경우에, 제 2 폐색부재(12)는 제 1 실(9)의 압력이 제 2 실(5)의 압력보다 높은 상태에서 파괴되어도 좋다. 요컨대 제 1 폐색부재(13)의 파괴전 또는 동시에 제 2 폐색부재(12)를 파괴하는 것이다. 제 2 폐색부재(12)는 제 1, 제 2 실 간의 압력차를 이용하는 등 하여서 파괴시켜도 좋고, 외부센서(도시하지 않음)로 부터의 신호를 받아 기계적으로 파괴하여도 좋다.
제 2 도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실(9)과 제 2 실(5)에 있어서의 압력상승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곡선(A)는 제 1 실(9)의 압력상승을 나타내고, 곡선(B)는 제 2 실(5)의 압력상승을 나타낸다. 단 이 도면은 제 1 폐색부재(13)와 제 2 폐색부재(12)를 함께 파괴하지 않도록 설정하고, 제 1 실의 체적을 제 2 실의 체적의 대체로 10분의 1로 설정하여 독립상태로 평가한 것이다. 이 도면의 P점과 Q점의 비교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소정의 파괴압에 도달하는 시간은 체적이 작은 제 1 실(5)이 제 2 실(9)보다도 tQ-tP만큼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제 3 도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실(9) 및 제 2 폐색부재(12)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 2 폐색부재(120)는 제 1 실(90)의 격벽(90a)의 제 1 실(90)쪽에 설치되고, 제 2 폐색부재(120)의 외주부에서 격벽(90a)에 접합(도시하지 않음)되어 있다. 또 격벽(90a)의 제 2 통기개구(110)가 복수의 작은 지름의 개구로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제 1 실(90) 내의 압력이 제 2 실(5)의 압력보다 높을 경우는 작은 지름의 제 2 통기개구(110)로 압력을 받기 때문에, 제 2 폐색부재(120)는 파괴압을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반대로 제 2 실(5) 내의 압력쪽이 높을 경우는 큰 지름의 개구로 압력을 받게 되므로, 제 2 폐색부재(120)의 파괴압을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다른 구성은 제 1 도와 같다.
제 3 도에 있어서, 제 1 실(90) 내의 가연성 유체혼합체(7)가 점화기(14)에 의하여 점화되면 제 1 실(90) 내의 압력이 증대한다. 이 때 제 2 폐색부재(120)는 작은 지름인 제 2 통기개구(110)에서 압력을 받게 되므로, 제 1 실(90) 내의 압력보다도 상대적으로 낮은 제 2 실의 압력에 의해 제 2 폐색부재(120)가 파괴되는 일은 없다. 한편 제 1 실(90) 내의 압력의 증대로 제 1 폐색부재(13)가 파괴되면, 제 1 실(90) 내의 압력이 급격히 감소한다. 따라서 제 2 폐색부재(120)는 제 2 통기개구(110)로부터 압력을 받으므로, 제 2 폐색부재(120)가 용이하게 파괴된다. 이와 같이 제 3 도에 나타낸 구성에 의하면, 제 1 폐색부재(13)가 파괴됨과 동시 또는 그 직후에 제 2 폐색부재(12)를 파괴할 수 있고, 제 2 실(5) 내의 연소유체 혼합체를 재빨리 에어백으로 도입할 수 있다.
제 4 도는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제 1 실(9) 및 제 2 폐색부재(12)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 4 도에서 제 1 실(91)은 격벽(91a)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격벽(91a)에 형성된 제 2 통기개구(111)는 제 1 실(91)의 바깥쪽을 작은 지름의 개구부(111a)로 하고, 제 1 실(91)의 안쪽을 구면(球面) 형상으로 처져 보다 큰 지름을 형성하는 구면부(111b)로 하고 있다. 제 2 폐색부재(120)는 그 구면부(111b)를 덮듯이 접합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제 1 도와 같다.
제 4 도에 있어서, 제 1 실(91) 내의 가연성 유체혼합체(7)가 점화기(14)에 의해 점화되면 제 1 실(91) 내의 압력이 증대한다. 이 때 제 2 폐색부재(120)는 구면부(111b)에 눌리므로, 제 2 폐색부재(120)가 파괴되는 일은 없다. 한편 제 1 실(91) 내의 압력의 증대에 의해 제 1 폐색부재(13)가 파괴되면 제 1 실(91) 내의 압력이 급격히 감소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제 2 실(5) 내의 압력이 높아지고, 제 2 폐색부재(120)는 구면부(111b)쪽으로부터 압력을 받으므로, 제 2 폐색부재(120)는 용이하게 파괴된다. 이와 같이 제 4 도에 나타낸 구성에 의하면, 제 1 폐색부재(13)가 파괴됨과 동시 또는 그 직후에 제 2 폐색부재(120)를 파괴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5) 내의 연소유체 혼합체를 재빨리 에어백으로 도입할 수 있다.
제 5 도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실(9) 및 제 2 폐색부재(12)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 2 통기개구(11)를 막듯이 접합된 제 2 폐색부재(121)는 그 중심부에 지름이 작은 개구(121a)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제 1 도와 같다. 제 5 도의 구성에 있어서는, 제 1 도의 제 3 통기개구(10)의 대신, 제 2 폐색부재(121)에 형성된 지름이 작은 개구(121a)가 하고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 도와 마찬가지로 작용하며,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폐색부재(121)에 개구(121a)를 형성하여 제 3 통기개구로 하였으나, 이외에 제 2 폐색부재(121)의 격벽(93a)으로의 접합부의 일부에 틈새를 형성함으로써 제 3 통기개구로 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 1에서는, 제 2 실보다도 작은 실질적으로 폐공간인 제 1 실에서 점화함으로써 연소속도를 빠르게 하여 제 1 폐색부재를 재빨리 파괴하고, 에어백이 팽창을 시작하는 초기 응답시간을 짧게 하고 있으나, 제 1 실의 점화부(14a) 근방의 내벽면에 돌출곡면부를 형성함으로써 더욱 초기응답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형태가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것은, 제 1 실(94)을 가늘고 긴 통형상으로 하고, 제 1 통기개구(8)와 반대쪽의 끝단부에 제 2 폐색부재를 마련하지 않고 개방끝단으로 한 것과, 제 1 폐색부재(13)가 제 1 통기개구(8)의 바깥쪽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다. 다른 구성은 제 1 도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제 6 도에 있어서, 제 1 실(94) 내에 있어서의 가연성 유체혼합체(7)가 점화기(14)에 의해 착화하여 연소하면, 제 1 실(94) 내의 연소유체 혼합체는 그 개방끝단부에서 제 2 실(5) 내의 가연성 유체혼합체(7)에 착화한다. 그 한쪽에서 제 1 실(94) 내의 압력상승에 의하여 제 1 폐색부재(13)가 파괴되어, 제 1 실(94) 내의 연소유체 혼합체 및 그것에 이어서 제 2 실(5) 내의 연소유체 혼합체가 제 1 통기개구(8)로부터 디퓨저(15)의 유체확산구멍(16)을 통하여 에어백으로 도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94)을 가늘고 긴 통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제 2 폐색부재가 없더라도,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실(9)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실(94)의 길이 및 직경을 어떤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제 1 폐색부재(13)의 파괴의 타이밍 및 제 2 실(5)로의 연소유체 혼합체의 도입의 타이밍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파괴된 제 1 폐색부재(13)를 가두는 수단을 마련하거나, 파괴된 제 1 폐색부재(13)를 고정하는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7 도 내지 제 16 도는 본 발명의 제 3 내지 제 9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실시의 형태는 에어백의 팽창특성을 여러 가지로 제어하는 구조를 구비한 것이다. 이하 각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이 기본으로 되어 있으며, 동일한 각 부분, 각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실시형태 3)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 7 도에서 부호(20)는 에어백장치 전체를 나타낸다. (2)는 에어백장치(20)의 외곽을 구성하는 모듈케이스이다. 모듈케이스(2)는 에어백(3)이 부착됨과 동시에 복수의 유체공급구멍(4)을 갖는다. (100)은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이다. (5)는 원통형상을 한 제 2 실이다. 제 2 실(5)은 중심축(C), 장축(L), 단축(S)을 가진다. (6)은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100)에 가연성 유체혼합체(7)를 충전하기 위한 유체충전구이고, 충전 후에 봉하여 막혀진다. (8)은 제 1 통기개구, (9)는 제 2 실(5)의 유체충전구(6)와는 반대쪽에 설치된 제 1 실이다. 또 (11)은 제 2 통기개구, (12)는 제 2 통기개구(11)를 막듯이 격벽(9a)에 부착된 제 2 폐색부재이다. (13)은 제 1 통기개구(8)를 폐색하는 제 1 폐색부재로서, 점화기(14)와 일체화되어 있다. (14a)는 제 1 실(9) 내에 설치된 점화기(14)의 점화부이다. 또한 점화기와 제 1 폐색부재는 별개체라도 좋다. 또 제 1 실(9) 내의 가연성 혼합체(7)에 점화하는 수단은 스퀴브라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폐색부재(12)의 중심은 제 2 실(5)의 중심축(C)에 일치하고, 그 곳에 제 3 통기개구(22)가 하나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2 폐색부재(12)는 제 1 폐색부재(13)가 개봉됨과 동시이거나, 그 이후에 제 1 실(9) 내의 압력과 제 2 실(5) 내의 압력차에 의하여 파괴된다. 혹은 이것 대신에 소정시간 경과한 후 피스톤 등에 의해 기계적으로 개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제 1 실(9)과 제 2 실(5)를 연이어 통하고 있는 것은 제 3 통기개구(22) 뿐이다. 제 1 실(9) 내의 가연성 유체혼합체(7)의 연소에 있어서는, 제 1 실(9)은 실질적으로 폐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실질적으로 폐공간이란, 제 1 폐색부재(13)를 파괴하기 위하여 필요한 압력상승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폐공간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장치의 초기응답시간을 늦어지게 하는 일은 없다. 이하에 예시하는 제 4 내지 제 14 까지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 3 통기개구(22)는 제 2 통기개구(11)에 비하여 단면적이 작고 및/또는 길이가 길다. 제 3 통기개구(22)가 복수로 된 경우는, 그 단면적의 총합이 제 2 통기개구의 단면적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통기개구(22)는 그 개구단면적을 0.10∼20mm2, 길이가 0.2∼100mm의 범위 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통기개구(22)의 단면적이 0.10mm2보다 작고, 또 길이가 100mm보다 길면, 제 1 실(9)에서 생긴 연소유체 혼합체물을 제 2 실(5) 내로 도입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반대로 제 3 통기개구(22)의 단면적이 20mm2보다 크고, 길이가 0.2mm보다 짧으면, 본 장치의 동작에 의한 제 1 실(9) 내의 압력상승시에, 제 1 실(9)로부터 제 2 실(5)로 내뿜는 유체혼합체의 양이 지나치게 많아진다. 이것은 제 1 실(9)내의 압력이 올라가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제 3 통기개구(22)의 단면적과 길이의 조합으로서는, 단면적이 클 경우는 길이를 길게하고, 단면적이 작을 경우는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차량이 충돌 등에 의해 급속히 감속되면, 도시하지 않은 충격센서 또는 감속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점화기(14)가 제 1 실(9) 내의 가연성 가스혼합체(7)에 점화된다. 가연성 유체혼합체(7)의 연소에 따른 발열에 의해 제 1 실(9) 내의 압력이 증대하여서 제 1 폐색부재(13)가 파괴된다. 그리고 연소유체 혼합체는 제 1 통기개구(8)로부터 디퓨저(15), 모듈케이스(2)를 거쳐서 에어백(3)으로 도입된다.
다른쪽에 있어서, 제 1 실(9) 내의 연소유체 혼합체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실(5)의 중심축(C)이면서 또한 장축(L) 상에 형성된 제 3 통기개구(22)로부터 제 2 실(5) 내로, 그 중심축 또 장축방향을 향해서 도입된다. 도입된 연소유체 혼합체가 제 2 실(5) 내의 가연성 유체혼합체(7)에 점화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소유체 혼합체는 제 2 실(5) 내로 재빠르고도 효율적으로 퍼지기 때문에, 제 2 실(5) 내의 가연성 혼합체(7)를 빨리 연소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의 팽창안료시간을 짧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통기개구(22)의 입구축이 제 2 실(5)의 중심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면, 반드시 중심축 상에 위치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이와 같은 경우는, 제 3 통기개구(22)가 제 2 실(5)의 중심축 상에 있는 경우에 비하여, 연소유체 혼합체의 제 2 실(5) 내로의 방출이 억제되므로, 제 2 실(5) 쪽의 가연성 혼합유체(7)를 느리게 연소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에어백(3)의 팽창완료시간을 비교적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형태 3과 같은 구성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인다. (2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격벽(9a)의 제 2 통기개구(11) 주위의 벽면 전체에 기계적인 구멍에 의해 복수의 제 3 통기개구(2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격벽(9a)의 적어도 일부를 소결금속 등의 다공질재료에 의해 구성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인 다수의 제 3 통기개구를 갖출 수도 있다. 제 3 통기개구는 격벽(9a)상 만이 아니고, 제 2 폐색부재(12)에 형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차량이 충돌 등에 의하여 급속히 감속하면, 실시형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 제 1 실(9)로부터 에어백(3)에 연소유체 혼합체가 도입된다.
다른쪽에 있어서, 제 1 실(9) 내의 연소유체 혼합체의 적어도 일부가, 다수의 제 3 통기개구(26)를 거쳐 제 2 실(5)의 중심축(C)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내뿜는다. 이 연소유체 혼합체가 제 2 실(5) 내의 가연성 유체혼합체(7)의 연소를 개시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소유체 혼합체의 중심축방향으로의 퍼짐이 억제되기 때문에, 제 2 실(5) 쪽의 가연성 혼합유체(7)를 느리게 연소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에어백(3)의 팽창완료시간을 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제 9 도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형태 3과 같은 구성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인다. (27)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 장치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0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벽(9a) 상의 3개소에 등간격으로, 제 3 통기개구(28)로서 3개의 통기관(28a)이 그 선단입구(28b)가 원주방향을 향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차량이 충돌 등에 의해 급속히 감속되면, 실시형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실(9)로 부터 에어백(3)으로 연소유체 혼합체가 도입된다.
다른 쪽에 있어서, 제 1 실(9) 내의 연소유체 혼합체의 적어도 일부가 제 3 통기개구(28)를 거쳐서 제 2 실(5)로 도입된다. 이때 제 2 실(5)은 원통형상을 하고 있으며, 연소유체 혼합체는 그 원주방향을 향해 도입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소유체 혼합체의 중심축방향으로의 퍼짐이 억제되기 때문에, 제 2 실(5)쪽의 가연성혼합유체(7)를 느리게 연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에어백의 팽창완료시간을 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 3 통기개구(28)는 3개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의 수로 형성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공기 유도관(28a)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을 갖지 않고, 제 3 통기개구(28)의 입구축이 원주 방향으로 연소유체 혼합체를 내뿜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실시형태 6)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형태 3과 같은 구성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인다. (3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 2 통기개구(11)는 격벽(9a)이 제 2 실(5)의 장축(L) 상이고, 또한 중심축(C) 상에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 3 통기개구(22)는 제 2 통기개구(11)를 폐색하는 제 2 폐색부재(12)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제 3 통기개구(22)의 제 2 실(5)쪽에 유로편향수단(33)을 배설하고 있다. 이 유로편향수단(33)은 제 1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기개구(11)보다도 소정의 원형금속판(331)과, 그 한쪽 면에 배설된 3개의 다리부재(332)로 이루어진다. 각 다리부재(332)는 바깥쪽을 향해 테이퍼형상으로 넓어지고, 그 종단쪽이 바깥쪽방향으로 원형금속판(331)에 대하여 평행으로 굴절되어 있다. 이들 다리부재(332)가 격벽(9a)에 있어서, 제 2 폐색부재(12)를 걸쳐서 접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차량이 충돌 등에 의해 급속히 감속되면, 실시형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 제 1 실(9)로부터 연소유체 혼합체가 에어백(3)으로 도입된다.
다른쪽에 있어서, 제 1 실(9)내의 연소유체 혼합체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실(5)의 중심축(c)이면서 또한 장축(L)상의 제 3통기개구(22)를 거쳐서 제 2 실(5)로 도입된다. 연소유체 혼합체는 제 2실(5)의 중심축이며 또한 장축방향을 향해 내뿜는다. 여기서 유로편향수단(33)의 원형금속판(331)에 충돌하여 유로가 편향된다. 즉 제 2 실 (5)의 단축방향을 향하여 안내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소유체 혼합체의 퍼짐이 억제되기 때문에, 제 2 실(5)의 가연성 혼합유체(7)를 느리게 연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에어백(3)의 팽창완료시간을 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 7)
제 13 도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형태 3과 같은 구성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인다. (40)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이다.
제 2 폐색부재(12)의 중심은 제 2 실(5)의 중심축(C)이며 또한 장축(L)에 일치하고, 그곳에 제 3 통기개구(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통기개구(22)의 제 2 실(5)쪽에 유로편향수단(36)을 배설하고 있다. 이 유로편향수단(36)은 제 1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 부재(361)와 원형부재(362)와 아암부재(363)로 이루어진다. 링 부재(361)는 제 2 실(5)의 단축방향과 대략 같은 지름이다. 원형부재(362)는 링부재(361)의 중심에 4개의 아암부재(36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유로편향수단(36)은 제 1 실(9)의 상단벽의 전방에 배치 접합되고, 원형부재(362)가 제 3 통기개구(22)에 대향배치 되어 있다. 또한 원형부재(362)는 제 2 통기개구(11)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차량이 충돌 등에 의해 급속히 감속되면, 실시형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 제 1 실(9)의 연소유체 혼합체가 에어백(3)으로 도입된다.
다른쪽에 있어서, 제 1 실(9)내의 연소유체 혼합체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실(5)의 중심축(C)이며 또한 장축(L)상의 제 3 통기개구(22)를 거쳐 제 2 실(5)로 도입된다. 연소유체 혼합체는 제 2실(5)의 중심축방향을 향해내뿜는다. 여기서 유로편향수단(36)의 원형부재(362)에 충돌하여 유로가 편향된다. 즉 제 2 실(5)의 단축방향을 향해 안내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소유체 혼합체의 퍼짐이 억제되기 때문에 제 2 실쪽의 가연성혼합유체(7)를 느리게 연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에어백(3)의 팽창완료시간을 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 8)
제 15 도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형태 3과 같은 구성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인다. (50)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실(5)의 내부에는 유로편향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복수의 칸막이판(52)이 제 2 실(5)의 장축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판(52)은 제 2 실(5)을 복수의 연소블록(b1),(b2),(b3),(b4),(b5)으로 구획한다. 칸막이판(52)의 각각에는 상기 복수의 연소블록(b1)∼(b5)을 연이어 통하게 하기 위한 연이어 통하는 구멍(53)이 형성되어 있다. 연이어 통하는 구멍(53)은 각각의 칸막이 판(52)에 대하여, 칸막이판(52)의 중심위치로부터 주변방향으로 벗어난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칸막이판(52)에 형성된 각각의 연이어 통하는 구멍(53)은 이웃하는 칸막이판(52) 끼리의 사이에서 서로 어긋나는 위치로 되도록(즉 오프셋 상태로 됨) 설치 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차량이 충돌 등에 의해 급속히 감속되면, 실시형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 제 1실(9)로부터 연소유체 혼합체가 에어백(3)으로 도입된다.
다른 쪽에 있어서, 연소유체 혼합체의 적어도 일부는, 제 3 통기개구(22)를 거쳐 제 2 실(5) 내로 도입된다. 연소유체 혼합체는 제 2 실(5) 내의 가연성 유체혼합체(7)에 점화한다. 이 경우 제 2 실(5)은 복수의 칸막이판(52)에 의해 복수의 연소블록(b1)∼(b5)으로 구획 분활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판(52)에 형성된 연이어 통하는구멍(53)에 의해 연소블록(b1)에서 연소블록(b5)까지가 구불구불한 상태로 연이어 통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실(5) 내의 유로가 편향하게 되고, 제 2 실(5) 내에 있어서의 유체의 유로가 실질적으로 길어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제 2 실(5)내의 가연성 유체혼합체(7)를 연소하기 위한 시간이 길어진다. 또 칸막이판(52)은 제 1 실로부터 제 2 실로 내뿜은 고온이 연소유체 혼합체의 열을 빼앗는 연소유체 혼합체 냉각부재를 겸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연이어 통하는 구멍(53)을 동일 직선상에 배치하여도 좋다. 또 모든 연이어 통하는 구멍(53)을 동일 선상에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동일 직선상에 배열한 연이어 통하는 구멍(53)을 제 2 실(5)의 중심축상에 배치하여도 좋다. 이들 경우는 상기 순서로 제 2 실(5)내의 가연성 유체혼합체의 연소에 걸리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 적어도 하나의 칸막이판(52)이 복수개의 연이어 통하는 구멍(53)을 가져도 좋다.
(실시형태 9)
제 16 도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형태 3과 같은 구성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인다. (6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9)의 선단부분으로부터 제 2 실(5) 내의 관계된 부분에는 금속메쉬에 의해 형성된 캡체(혹은 동체)(66)가 제 1 실(9)에 씌워진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이 캡체(66)는 제 1 실(9)의 격벽(9a)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차량이 충돌 등에 의해 급속히 감속되면, 실시형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서 제 1 실(9)로 부터 연소유체 혼합체가 에어백(3)으로 도입된다.
다른 쪽에 있어서, 연소유체 혼합체의 적어도 일부는, 제 2 폐색부재(12)에 형성된 제 3 통기개구(22)를 통과하여 제 2 실(5) 내로 도입된다. 연소유체 혼합체는 제 2 실(5) 내의 가연성 유체혼합체(7)에 점화한다. 이 경우에 이하에 나타낸 2단계의 공정을 거치게 된다. 먼저 제 2 실의 내부에 있어서는 제 1 실(9)의 제 2 실(5)쪽 출구에 캡체(66)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캡체(66)내부에서, 일단 가연성 유체혼합체(7)의 연소가 행해 진다. 그 후 제 2 실(9)전체의 가연성 유체혼합체(7)의 연소가 행해 진다. 이 때문에 제 2 실(5)내의 가연성 유체혼합체(7)의 연소속도를 적당한 비율만큼 느리게 하여 연소시간을 알맞게 끌게 할 수 있다. 또 캡체(66)는 제 1 실로부터 제 2 실로 내뿜은 고온의 연소유체 혼합체의 열을 빼았는 연소유체 혼합체 냉각부재를 겸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 6 이하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유로편향부재, 연소유체 혼합체 냉각부재는 각각의 실시예의 조합으로서 사용하여도 좋고, 설치장소도 제 1 실, 제 2 실의 어느 쪽이라도 좋으며, 양쪽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 캡체(66)는 금속세선이라도 좋다. 금속세선(71)은 연소하지 않는 재질 및 지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세선은 제 1 실(9) 또는 제 3 통기개구(22)의 근방에만 장전되어 있어도 좋고, 제 2 실(5)내 전체에 똑같이 또는 임의의 밀도구배(밀도구배)를 갖도록 장전되어 있어도 좋다.
또 연소유체 혼합체 냉각부재로서는, 제 1 실(9), 제 2실(5) 내면에 상(相)변화, 흡열제 등의 잠열(潛熱)을 빼앗는 물질은 배치하여도 좋다. 이들 예로서는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탄산나트륨의 수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물질은 온도가 높은 연소유체 혼합물에서 열을 흡수하여 기체를 발생시키므로, 연소유체 혼합체의 온도를 내리는 작용을 한다.
그 외에, 연소유체 혼합체의 온도를 내리는 수단으로서는, 금속메쉬로 이루어진 필터(72), 모듈케이스(2), 디퓨저(15)을 들 수 있고, 또한 이들에 열흡수 물질을 첨가할 수도 있다.
제 17 도 내지 제 23 도는 본 발명의 제 10 내지 제 13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실시형태는 에어백장치 작동시의 충돌의 정도, 혹은 탑승자의 앉는 위치나 체격의 개체차 등의 모든 조건에 대응하여, 에어백의 팽창상태를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실시형태 10)
제 17 도 및 제 18 도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가스발생장치는 그 장축방향을 자동차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제 17 도에 있어서 (155)는 가스발생장치이고, 용적이 작은 제 1 실(155A)과, 용적이 큰 제 2 실(155B)을 구비하고 있다. (1515)는 복수의 유체분출구(1516)를 가진 디퓨저이다.
제 1 실(155A)은 제 1 통기개구(101)를 가지며, 그곳에 점화기(103)를 일체로 설치한 제 1 폐색부재(102)가 부착되어 폐색되어 있다. 점화기(103)는 그 점화부(103a)가 제 1 실(155A) 내에 설치되어 있다. 점화기(103)는 도시하지 않은 점화회로에서의 신호에 의해 제 1 실(155A) 내의 가연성 유체혼합체에 점화한다. 또한 점화기(103)와 제 1 폐색부재(102)는 별개체로 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실(155A)과 제 2 실(155B)의 사이가 격벽(104)에 의해 칸막이 되어 있다. 격벽(104)에는 그 중앙에 제 2 통기개구(105)가 형성되어 있다. (106)은 제 2 실(155B)에 연소유체 혼합체를 도입하는 제 3 통기개구이다. 제 2 통기개구(105)는 제 1 실(105A)쪽에서 제 2폐색부재(107)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제 3 통기개구(106)는 제 2 실(155B)쪽에서 관성운동체를 구성하는 셔터부재(108)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셔터부재(108)는 제 1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ㄱ자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한 끝단이 회전핀(126)을 개재하여 격벽(104)에 축지지되고, 이 회전핀(126)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셔터부재(108)는 ㄱ자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같은 기구이면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 격벽(104)에 있어서 제 3 통기개구(106)의 양쪽에, 각각 제 1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제 2 스토퍼핀(127),(128)이 부착되어 있다. 이들 스토퍼핀(127),(128)에 의해 셔터부재(108)의 동작범위를 규제하고 있다. 즉 제 1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부재(108)는 그 한쪽의 가장자리 중앙부분이 제 1 스토퍼핀(127)에 맞닿아져 제 3 통기개구(106)를 전체 개방하는 위치로부터 이것을 적당히 막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또한 제 3 통기개구(106)를 완전히 덮어버리면, 연소유체 혼합체를 제 2 실(155B)로 도입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셔터부재(108)가 제 3 통기개구(106)를 완전히 덮지 않도록 제 2 스토퍼핀(128)을 사용하여 최소한의 개구면적을 확보하고 있다. 격벽(104)에는 또 제 1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스프링 고정핀(129)이 부착되어 있다. 이 판스프링 고정핀(129)과 셔터부재(108) 사이에 판스프링(130)이 장착되어, 셔터부재(108)가 통상 제 1 스토퍼핀(127)에 눌려 제 3 통기개구(106)를 전체 개방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또 그 위에 셔터부재(108)의 좌우방향으로의 덜컥거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핀(127),(128),(129)에 셔터부재(108)의 움직임의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로 틈새를 형성하여 링형상의 셔터 누름판(131)이 부착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제 10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하여 제 18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자동차의 충돌시, 셔터부재(108)에 주행속도에 따른 관성력이 주행방향으로 생긴다. 이에 따라 셔터부재(108)는 회전핀(126)을 회전운동 지지점으로 하여 제 3 통기개구(106)의 개구면적을 감하는 방향(도면중, 화살표 A방향)으로 변위한다.
한편, 이와 거의 동시에 도시되지 않은 점화회로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점화기(103)가 제 1 실(155A)의 가연성 유체혼합체에 점화한다. 연소에 따른 발열에 의해 제 1 실(155A)의 압력은 급격히 증대하여 제 1 폐색부재(102)가 파괴된다. 그 후 제 1 실(155A)내의 연소유체 혼합체가 제 1 통기개구(101), 디퓨저(1515)를 통과하여 도시되지 않은 에어백으로 도입된다.
그리고, 제 1 실(155A)에서 형성된 연소유체 혼합체의 적어도 일부가, 셔터부재(108)에 의해 죄어진 제 3 통기개구(106)를 통과하여 제 2 실(155B)로 도입된다. 연소유체 혼합체는 제 2 실(155B)내의 가연성 유체혼합체에 점화한다. 제 1 실(155A)과 제 2 실(155B)과의 사이에 생기는 차압에 의해 제 2 폐색부재(107)가 파괴되면, 제 2 실(155B)내의 연소유체 혼합체가 제 2 통기개구(105)를 거쳐서 제 1 통기개구(101), 디퓨저(1515)를 통과하여 에어백으로 도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0 실시형태에서는, 자동차의 충돌속도에 따라서 셔터부재(108)가 제 3 통기개구(106)의 개구면적을 제어하고, 제 1 실(155A)의 승압속도를 변화시키며, 이에 따라 에어백의 팽창상태를 제어하고 있다. 따라서 에어백을 충돌속도에 대응하여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11)
제 19 도에 제 1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가스발생장치는 그 장축방향을 자동차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평행으로 배치하고 있다. 제 19 도에 있어서 (165)는 가스발생장치이고, 용적이 작은 제 1 실(165A)과 용적이 큰 제 2 실(165B)을 구비하고 있다. 디퓨저(1615)는 복수의 유체분출구(1616)를 가진다.
제 1 실(165A)은 제 1 통기개구(211)를 가지며, 그 곳에 점화기(213)를 일체로 가지는 제 1 폐색부재(212)가 부착되어 폐색되어 있다. 제 1 통기개구(211)에 끼워져 통해진 점화기(213)는 그 점화부(213a)가 제 1 실(165A)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점화기(213)는 점화회로(1624)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제 1 실(165A) 내의 가연성 유체혼합체에 점화한다.
제 1 실(165A)의 제 2 실(165B) 내에 배치된 바닥벽에는 통기개구인 노즐(214)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실(165A)내에 코일스프링(215)을 넣어 만들어서 관성운동부재를 구성하는 격벽부재(216)가 장전되어 있다. 격벽부재(216)는 제 1 실(165A)내를 슬라이드 가능한 컵형상의 부재이고, 그 바닥면의 중앙에 노즐(214)에 연이어 통하는 제 2 통기개구(217)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통기개구(217)는 제 2 폐색부재(218)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또한 격벽부재(216)는 제 3 통기개구(219)를 가진다. 제 1 실(165A)내에서 코일스프링(215)이 점화기(213)쪽에 배치되고, 격벽부재(216)가 코일스프링(215)에 눌려 힘이 부가되어 제 2 통기개구(214)쪽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제 11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하여 제 20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자동차의 충돌시에 격벽부재(216)에 주행방향으로 관성력이 생긴다. 충돌의 정도에 따른 관성력에 의해 격벽부재(216)는 코일스프링(215)을 압축하면서 점화기(213)쪽으로 이동되어 제 1 실(165A)의 용적을 감소한다.
한편, 이와 거의 동시에, 점화회로(1624)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점화부(213a)가 제 1 실(165A)내의 가연성혼합유체의 용적이 축소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실(165A)의 승압속도가 급격히 증대한다. 그 결과 보다 재빨리 제 1 폐색부재(212)가 파괴된다. 제 1 실(165A)내의 연소유체 혼합체가 제 1 통기개구(211), 디퓨저(1615)를 통과하여 도시되지 않은 에어백으로 도입된다.
한편, 제 1 실(165A) 내의 연소유체 혼합체의 적어도 일부가 제 3 통기개구(219)를 거쳐 제 2 실(165B) 내로 도입된다. 연소유체 혼합체는 제 2 실(165B) 내의 가연성 유체혼합체에 점화한다. 그 결과 제 1 실(165A)과 제 2 실(165B)의 사이에 생긴 차압에 의해 제 2 폐색부재(218)가 파괴된다. 연소유체 혼합체가 제 2 통기개구(214)로부터 제 1 통기개구(211), 디퓨저(1615)를 통과하여 에어백으로 도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1 실시형태에서는, 충돌시의 충돌의 정도에 따라서 제 1 실(165A)의 용적을 감소함으로써, 에어백의 팽창개시까지의 응답시간의 제어가 가능해 진다.
(실시형태 12)
제 21 도에 제 1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가스발생장치는 그 장축방향을 자동차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하고 있다. 제 21 도에 있어서 가스발생장치(175)는 용적이 작은 제 1 실(175A)과, 용적이 큰 제 2 실(175B)을 구비하고 있다. 디퓨저(1715)는 복수의 유체분출구(1716)를 형성하고 있다.
가스발생장치(175)는, 그 한끝단에 제 2 폐색부재(322)에 의해 폐색되어 있는 제 2 통기개구(321)를 가지고 있다. 또 제 1통기개구(323)에는 제 1 폐색부재(324)가 설치되어 있다. 제 1폐색부재(324)는 점화기(31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점화기(311)의 점화부(311a)는 제 1 실(175A) 내에 설치되어 있다. 점화기(311)는 점화회로(1734)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제 1 실(175A)의 가연성 유체혼합체에 점화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실(175A)은 가스발생장치(175)의 단축방향을 향해 설치되어 있다. 그 둘레벽에는 제 1 실(175A)의 장축방향을 향해 복수의 제 3 통기개구(312)가 뚫려 있다. 제 1 실(175A) 내에 코일스프링(313)을 넣어서 관성운동부재를 구성하는 격벽부재(314)가 장전되어 있다.
이 격벽부재(314)는 제 1 실(175A) 내를 슬라이드 가능한 컵형상의 부재이다. 코일스프링(313)이 점화기(311)쪽에 배치되고, 격벽부재(314)가 코일스프링(313)에 눌려 힘이 부가되어 끼워넣어져 있다. 여기서 격벽부재(314)는 통상상태에서는 움직이지 않도록 제 2 실(175)의 둘레벽에 눌려있다. 또한 자동차의 충돌속도가 크고, 격벽부재(314)가 제 1 실(175A)의 용적을 최소로 할 때까지 이동한 경우라도, 제 3 통기개구(312)의 개구면적을 소정량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제 12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동차의 충돌시 격벽부재(314)에 주행방향으로 관성력이 생긴다. 충돌의 정도에 따른 관성력에 의해 격벽부재(314)는 코일스프링(313)을 압축하면서 점화기(311)쪽으로 이동되고, 제 1 실(175A)의 용적이 감소됨과 동시에, 주위의 제 3 통기개구(312)의 개구면적이 감소된다.
한편, 이와 거의 동시에 점화회로(1734)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점화부(311a)가 제 1 실(175A) 내의 가연성 유체혼합체에 점화한다. 이 때 제 1 실(175A)의 가연성 혼합유체의 용적이 축소되어 있으므로, 제 1 실(175A)의 승압속도가 급격히 증대한다. 그 결과 보다 재빨리, 제 1 폐색부재(324)가 파괴된다. 제 1실(175A) 내의 연소유체 혼합체가 제 1 통기개구(323)를 통과하여 도시되지 않은 에어백으로 도입된다.
한편, 제 1 실(175A) 내의 연소유체 혼합체의 적어도 일부가 제 3 통기개구(312)를 거쳐서 제 2 실(175B)내로 도입된다. 연소유체 혼합체는 제 2 실(175B) 내의 가연성 유체혼합체에 점화한다. 연소에 의해 제 2 실(175B) 내의 압력이 증대하고, 압력이 소정 값에 달하였을 때 제 2 폐색부재(322)가 파괴된다. 제 2 실(175B)에서 형성된 연소유체 혼합체는 제 2 통기개구(321)를 거처서 에어백으로 도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2 실시형태에서는 충돌시의 충돌의 정도에 따라, 제 1 실(175A)의 용적 및 그 제 3 통기개구(312)의 개구면적의 양쪽을 동시에 충돌시의 충돌 정도에 따라 감소시킴으로써, 장치 전체의 연소상태를 제어하여 에어백의 팽창특성을 제어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실(175A)에 제 3 통기개구(312)를 개별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그 개구면적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에어백의 팽창속도를 단계적으로 제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 3 통기개구(312)를 슬릿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제 3 통기개구(312)의 개구면적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므로, 에어백의 팽창속도를 연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실시형태 13)
제 22 도에 제 1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가스발생장치는 그 장축방향을 자동차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하고 있다. 제 22 도에 있어서 (185)는 가스발생장치로서, 용적이 작은 제 1 실(185A)과 용적이 큰 제 2 실(185B)을 구비하고 있다. (1815)는 제 2 실(185)의 한 끝단에 설치된 디퓨저이다. 디퓨저(1815)는 복수의 유체분출구(1816)을 가진다.
제 1 실(185A)에는 제 1 통기개구(71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실(185A)은 격벽(704)을 가진다. 격벽(704)은 제 2 통기개구(712)와 제 3 통기개구(713)를 가진다. 제 2 통기개구(712)는 제 2 폐색부재(714)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디퓨저(1815)의 천정판(71)에는 그 중앙에 부시(732)가 고정되고, 그 주위에 적어도 하나의 유체 빼내기구멍(733)이 형성되어 있다. 천정판(731)의 안쪽에 부시(732)에 부착되고, 제 23 도에서와 같이, 천정판(731)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관성에 의해 회전가능한 셔터부재(734)가 구비되어 있다. 셔터부재(734)는 판재로 이루어지고, 회전중심의 양쪽에 천정판(731)의 유체 빼내기구멍(733)과 일치하는 유체 빼내기구멍(735)을 가진다. 통상상태에서 셔터부재(734)는 그 유체 빼내기구멍(735)과 천정판(731)의 유체 빼내기구멍(733)이 일치하여 전체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스토퍼핀(736)과 판스프링용 핀(737)에 의해 통상위치를 규정하고 있다. 천정판(731)에 있어서, 부시(732)의 구멍에 약간의 틈새(739)를 남기고 점화기(715)가 삽입되어 있다. 제 1 폐색부재(716)가 제 1 실(185A)의 제 1 통기기구(711)를 폐색하고 있다. 점화기(715)의 점화부(715a)가 제 1 실(185A) 내에 있다. 또한 점화기(715)는 도시되지 않은 점화회로에 접속되어, 그 신호에 의해 제 1 실(185A) 내의 가연성 유체혼합체에 점화한다.
다음에, 상기 제 13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동차의 충돌시, 가스발생장치가 작동할 때에, 셔터부재(734)가 충격(또는 관성력)에 따라서 판스프링(738)의 누르는 힘에 저항하여(제 23 도 중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이동)한다. 셔터부재(734)가 이동함으로써 디퓨저(1815)의 천정판(731)에 전체 개방되어 있던 유체 빼내기구멍(733)의 전부 또는 일부가 닫힌다.
즉, 충격이 미리 결정된 설정치 또는 그 이상인 경우, 셔터부재(734)는 스토퍼핀(736)으로 규제될 때까지 이동한다. 요컨대 천정판(731)쪽의 유체 빼내기구멍(733)이 완전히 닫히고, 연소유체 혼합체가 본래의 제 1 통기개구(1816)로부터 에어백으로 도입된다. 충격이 설정치 이하인 경우에는, 셔터부재(734)의 이동량이 충격에 따라서 변화한다. 천정판(731)쪽의 유체 빼내기구멍(733)과 셔터부재(734)쪽의 유체 빼내기구멍과의 어긋남에 의해 천정판(731)쪽의 유체 빼내기구멍(733)이 부분적으로 열린다. 그러면 그 개구면적에 따른 유체량을 에어백 유닛 밖으로 놓치게 되고, 유체량이 조정되어 에어백의 팽창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 1 폐색부재(716)의 개봉시, 점화기(715)는 고압의 연소유체 혼합체에 의해 디퓨저(1815)의 천정판(731)쪽으로 밀려나고, 부시(732)를 넓힌 상태로 받아낼 수 있다. 부시(732)는 점화기(715)의 눌러넣기에 의해 구멍이 넓혀지기 때문에, 셔터부재(734)의 회전이 방지되고, 유체 빼내기구멍(733)의 개구면적이 유지 고정된다.
이와같이 상기 제 13 실시형태에서는, 디퓨저(1815)의 천정판(731)에, 충돌시의 충돌 정도에 따라 유체빼내기구멍(733)의 개구면적을 제어가능한 셔터부재(734)를 설치하고, 연소유체 혼합체를 선택적으로 놓침으로써 에어백의 팽창상태를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셔터부재는 충격(또는 관성력)에 따라 회전(또는 이동)하는데, 이것은 전기식의 회전수단에 의해 셔터부재(734)를 회전(또는 이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회전수단이란 차의 충돌을 감지하고 그 충격의 크기에 대응하여 셔터부재(734)가 회전되는 수단이라도 좋다. 또 탑승자의 상태(승차위치, 탑승자가 어른인가 어린이인가 등)를 미리 감지하고, 이것에 대응하여 셔터부재(734)를 회전시켜 두는 수단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된 에어백장치는 가연성 유체혼합체가 충분히 연소한 후의 연소유체 혼합체를 에어백에 효율좋게 재빨리 보낼 수 있슴과 동시에, 에어백의 팽창완료시간을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에어백장치 작동시의 모든 조건에 대응한 팽창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45)
- 가연성유체를 수용하고, 에어백으로 통하는 제 1 통기개구를 가진 제 1 실과, 가연성유체 및/또는 불활성유체를 수용하고, 상기 제 1 실보다 큰 제 2 실과, 상기 제 1 통기개구를 폐색하는 제 1 폐색부재와, 상기 제 1 실 내의 가연성유체에 점화하는 점화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 1 실 내의 상기 가연성유체의 적어도 일부를 연소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실 및 상기 제 2 실 내의 유체를 상기 제 1 통기개구를 통해 방출하여,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과 상기 제 2 실을 연이어 통하는 제 2 통기개구와, 상기 제 2 통기개구를 막는 제 2 폐색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실 내의 상기 가연성유체가 연소할 때에는, 상기 제 1 실은 실질적으로 폐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폐색부재는, 상기 제 1 실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폐색부재는, 상기 제 1 실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폐색부재는, 상기 제 1 실쪽보다도 상기 제 2 실쪽에서의 압력에 대해 파괴되기 쉽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2 항 내지 제 5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은, 상기 제 2 실 내로 연이어 통하는 제 3 통기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 3 통기개구는, 상기 제 2 통기개구보다 단면적이 작고 및/또는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기개구는, 상기 제 1 실의 측벽에 형성된 통기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기개구는, 상기 제 2 폐색부재에 형성된 통기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기개구는, 상기 제 2 폐색부재와 상기 제 1 실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폐색부재는, 상기 제 1 실 내의 압력상승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폐색부재는, 상기 제 1 실 내와 상기 제 2 실 내의 압력차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은, 한 끝단에 상기 제 1 통기개구를 가지며, 다른 끝단이 상기 제 2 실의 내부에서 개방된 가늘고 긴 통형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1 항 내지 제 12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기개구가 형성된 끝단면의 바깥쪽에, 반경방향으로 복수의 유체확산구멍을 가진 가스확산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 및/또는 상기 제 2 실은, 산화제가스 또는 산화제가스와 불활성가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과 상기 제 2 실을 연이어 통하는 제 3 통기개구와, 상기 제 3 통기개구의 연이어 통하는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에어백의 팽창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3 통기개구를 전체 개방상태와 최소면적과의 사이에서 폐쇄하는 셔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셔터부재는, 통상상태에서는 상기 제 3 통기개구를 전체 개방상태로 유지하는 한편, 자동차가 고속으로 충돌하였을 때는 상기 제 3 통기개구를 최소면적이 되도록 폐쇄하고, 그 외의 경우는, 자동차의 충돌의 정도에 따라서 상기 제 3 통기개구를 전체 개방상태와 최소면적과의 사이의 소정의 면적이 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실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제 1 실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관성운동부재를 구비하며, 자동차의 충돌시, 상기 관성운동부재는, 충돌의 정도에 따라서 상기 제 1 실의 용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운동부재는, 상기 제 1 실의 용적을 최대로 하는 위치에 힘이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은, 상기 제 2 실의 내부에서, 상기 제 2 실의 축방향으로 뻗어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은, 상기 제 2 실의 내부에서, 상기 제 2 실의 축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의 방향으로 뻗어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17 항 내지 제 20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의 측벽에, 상기 제 3 통기개구를 긴쪽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관성운동부재는, 소정의 갯수의 상기 제 3 통기개구를 충돌의 정도에 따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운동부재는, 상기 제 1 실의 용적을 최대로 하고, 또 모든 상기 제 3 통기개구를 개방하는 위치에 힘이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기개구는, 상기 제 1 실의 긴쪽방향으로 뻗어서 형성된 슬릿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기개구와 상기 에어백과의 사이에 가스체를 외부로 도출하는 도출수단을 가지고, 또 소정의 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도출수단과 외부와의 연이어 통하는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에어백의 팽창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도출구를 전체 개방상태와 전체 폐쇄상태의 사이에서 조정하는 셔터수단을 가지며, 상기 셔터수단은, 통상상태에서는 상기 도출구를 전체 개방상태로 유지하는 한편, 자동차가 고속으로 충돌하였을 때는 상기 도출구를 완전히 폐쇄시키고, 그 이외의 경우는, 자동차의 충돌의 정도에 따라서 상기 도출구를 전체 개방상태와 전페상태와의 사이의 소정의 개방상태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수단의 점화부를 상기 제 1 실 내로 뻗어나오게 하고, 상기 제 1 실의 상기 점화부 근방의 내벽면에 돌출곡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가연성유체를 수용하고, 에어백으로 통하는 제 1 통기개구를 가진 제 1 실과, 가연성유체 및/또는 불활성유체를 수용하고, 상기 제 1 실보다 큰 제 2 실과, 상기 제 1 통기개구를 폐색하는 제 1 폐색부재와, 상기 제 1 실과 상기 제 2 실을 연이어 통하는 제 2 통기개구와, 상기 제 2 통기개구를 폐색하는 제 2 폐색부재와, 상기 제 1 실과 상기 제 2 실을 연이어 통하고, 상기 제 2 통기개구보다도 단면적이 작고 및/또는 길이가 긴 제 3 통기개구와, 상기 제 1 실 내의 가연성유체에 점화하는 점화수단을 가지며, 상기 점화수단에 의해 상기 제 1 실 내의 상기 가연성유체의 적어도 일부를 연소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3 통기개구에 의해 상기 제 2 실 내의 유체를 연소 및/또는 팽창시키고, 상기 제 1 실 내의 유체는 상기 제 1 통기개구로부터 방출하며, 상기 제 2 실 내의 유체는 적어도 상기 제 2 통기개구를 개재하여 상기 제 1 통기개구로부터 방출하여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기개구는, 상기 제 2 실의 중심축 상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기개구는, 상기 제 2 실의 중심축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27 항에 있어서, 제 3 통기개구의 입구축은, 상기 제 2 실의 중심축과 평행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기개구의 입구축은, 상기 제 2 실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실을 원통형상으로 하고, 상기 제 3 통기개구의 입구축은, 상기 제 2 실의 원주방향을 향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기개구를 복수로 형성하고, 상기 제 3 통기개구의 각각의 입구축은,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다방향을 향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27 항 내지 제 3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기개구를 통하여 상기 제 1 실로부터 상기 제 2 실로 내뿜는 유체의 유출방향을 실질적으로 편향하는 유로편향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편향수단은, 상기 제 1 실 및/또는 상기 제 2 실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편부, 판자체, 메쉬체, 또는 금속세선의 어느 것인가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27 항 내지 제 35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기개구의 단면적의 합계는, 0.10mm2내지 20mm2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27 항 내지 제 36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기개구의 길이는, 0.2mm 내지 100mm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기개구를 통하여 상기 제 1 실로부터 상기 제 2 실로 내뿜는 유체를 냉각하는 연소가스 냉각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냉각수단은, 상기 제 1 실 및/또는 상기 제 2 실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편부, 판자체, 메쉬체, 또는 금속세선의 어느 것인가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27 항 내지 제 39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기개구는, 상기 점화수단의 동작 후, 소정의 시간경과 후에 개봉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폐색부재는, 상기 제 1 실 내의 압력이 소정 값에 도달하였을 때에 파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부재는, 기계적으로 파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가연성연료를 수용하고, 제 1 통기개구를 가진 제 1 실과,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 2, 제 3 통기개구를 가진 제 2 실을 가지며, 상기 제 1 실에서 생성된 연소생성물의 일부는 상기 제 3 통기개구를 지나서 상기 제 2 실로 도입되고, 상기 제 2 실에서 생성된 연소생성물은 상기 제 2 통기개구로부터 상기 제 1 실로 도입되며, 상기 제 1 실 및 상기 제 2 실에서 생성된 연소생성물은 상기 제 1 통기개구로부터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연이어 통하는 적어도 2개의 실과, 상기 실내에 수용된 유체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실에 수용된 유체가 가연성유체이고, 가연성유체에 착화하는 실을 거처서 유체가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 제 1 실과 제 2 실을 가지며, 적어도 상기 제 1 실에 수용한 가연성유체를 연소시키고, 연소에 따른 온도상승에 의해 압력을 증가시킨 유체혼합체로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방법으로서,상기 제 1 실 내의 가연성유체에 점화하는 공정과,상기 가연성유체에 점화하는 단계에 의해 생긴 연소유체 혼합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2 실로 도입하는 공정과,상기 가연성유체에 점화하는 단계에 의해 생긴 연소유체 혼합체의 적어도 일부를 에어백으로 도입하는 공정과,상기 제 2 실 내의 연소유체 혼합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2 실로부터 상기 제 1 실을 지나서 에어백으로 도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팽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6214 | 1996-01-31 | ||
JP1621496 | 1996-01-31 | ||
JP151390 | 1996-06-12 | ||
JP15139096 | 1996-06-12 | ||
JP277896 | 1996-10-21 | ||
JP27789696 | 1996-10-2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703477A true KR19980703477A (ko) | 1998-11-05 |
Family
ID=27281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706881A KR19980703477A (ko) | 1996-01-31 | 1997-01-31 |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및 에어백 팽창방법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6168201B1 (ko) |
EP (1) | EP0816184B1 (ko) |
KR (1) | KR19980703477A (ko) |
AU (1) | AU706969B2 (ko) |
BR (1) | BR9702050A (ko) |
CA (1) | CA2216864A1 (ko) |
DE (1) | DE69739447D1 (ko) |
WO (1) | WO199702802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135356A1 (en) * | 2002-06-28 | 2004-07-15 | Nobuyuki Katsuda | Air bag apparatus |
US7125042B2 (en) * | 2004-03-25 | 2006-10-24 |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 Inflator using reversing axial flow |
US7232001B2 (en) * | 2004-08-24 | 2007-06-19 | Sam Hakki | Collision air bag and flotation system |
FR2890022B1 (fr) * | 2005-09-01 | 2007-10-12 | Livbag Soc Par Actions Simplif | Generateur pyrotechnique de gaz renfermant des moyens de stockage temporaire d'une partie des gaz |
DE102006010953A1 (de) * | 2006-03-03 | 2007-09-06 | Takata-Petri Ag | Airbagmodul für ein Kraftfahrzeug |
DE102011009309B4 (de) | 2011-01-24 | 2024-02-08 | Zf Airbag Germany Gmbh | Gasgenerator |
DE102013018886A1 (de) * | 2013-11-12 | 2015-05-13 | Trw Airbag Systems Gmbh | Berstmembran, insbesondere für einen Gasgenerator, Gasgenerator, Gassackmodul und Fahrzeugsicherheits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716499Y1 (ko) * | 1970-04-25 | 1972-06-09 | ||
US3834729A (en) * | 1971-09-23 | 1974-09-10 | Nissan Motor | Sealing unit for pressurized gas generator of automotive safety device |
US5348344A (en) * | 1991-09-18 | 1994-09-20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Apparatus for inflating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using a mixture of gases |
JP3203063B2 (ja) * | 1991-09-18 | 2001-08-27 | ティーアールダブリュー・ヴィークル・セーフティ・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車両搭乗者拘束具 |
US5263740A (en) * | 1991-12-17 | 1993-11-23 | Trw Inc. | Hybrid air bag inflator |
US5344186A (en) * | 1992-12-24 | 1994-09-06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Inflator assembly |
US5531473A (en) * | 1994-05-31 | 1996-07-02 | Morton International, Inc. | Fluid fuel-containing initiator device for an air bag inflator |
US5779266A (en) * | 1995-10-10 | 1998-07-14 | Morton International, Inc. | Fluid fueled inflator with flow reversal |
-
1997
- 1997-01-31 WO PCT/JP1997/000226 patent/WO1997028025A1/ja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7-01-31 EP EP97901793A patent/EP0816184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01-31 DE DE69739447T patent/DE69739447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01-31 KR KR1019970706881A patent/KR1998070347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7-01-31 BR BR9702050A patent/BR9702050A/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7-01-31 AU AU15566/97A patent/AU706969B2/en not_active Ceased
- 1997-01-31 CA CA002216864A patent/CA2216864A1/en not_active Abandoned
- 1997-01-31 US US08/930,252 patent/US616820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816184A4 (en) | 2001-08-22 |
EP0816184A1 (en) | 1998-01-07 |
MX9707386A (es) | 1998-03-31 |
AU1556697A (en) | 1997-08-22 |
BR9702050A (pt) | 1998-01-13 |
WO1997028025A1 (fr) | 1997-08-07 |
CA2216864A1 (en) | 1997-08-07 |
US6168201B1 (en) | 2001-01-02 |
EP0816184B1 (en) | 2009-06-10 |
AU706969B2 (en) | 1999-07-01 |
DE69739447D1 (de) | 2009-07-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0183410B1 (ko) |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용 하이브리드 팽창기 | |
US5345876A (en) | Hybrid inflator | |
US5649720A (en) | Inflators which store premixed fluid fuel and oxidizer in a porous matrix | |
US5607181A (en) | Liquid-fueled inflator with a porous containment device | |
US6481357B1 (en) | Gas generator for a safety system | |
KR0179997B1 (ko) | 팽창식 차량 탑승자 구속기구를 팽창시키는 팽창장치 | |
US7712778B2 (en) | Dual stage cylindrical inflator with outside to inside axial flow | |
KR100190892B1 (ko) | 측면충격 에어백 팽창장치 | |
US6203061B1 (en) | Variable output air bag module with PAV heat sink | |
KR19990028544A (ko) | 이중챔버 비아지드 가스 제너레이터 | |
JPH05278554A (ja) | 車両搭乗者拘束具 | |
WO1998049034A1 (fr) | Dispositif de production de gaz destine a un coussin gonflable et procede de gonflage de ce coussin | |
WO2002036395A1 (fr) | Generateur de gaz pour airbag et dispositif d'airbag | |
JP2650846B2 (ja) | 車両乗員拘束具膨張用装置 | |
JPH11263185A (ja) | エアバッグインフレーター | |
KR19980703477A (ko) | 에어백장치용 가스발생장치 및 에어백 팽창방법 | |
WO2001042061A1 (fr) | Generateur de gaz | |
US6039348A (en) | Variable output inflator with adaptive heat sinking | |
US6196582B1 (en) | Variable output inflator for an air bag | |
KR20010088271A (ko) | 이중 레벨 개스 발생기 | |
JPH1095300A (ja) |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 |
JP3519564B2 (ja) | エアバッグ装置用ガス発生装置及びエアバッグ膨張方法 | |
WO2004031002A1 (ja) | エアバッグ用インフレータ | |
JPH10100849A (ja) | エアバッグ装置用ガス発生装置 | |
JP4526375B2 (ja) |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