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1248A - 왕복 피스톤기를 위한, 특히 대향 실린더 열을 구비한 내연기관용 하이포사이클로이드형 크랭크 기구(hypocycloidal crank mechanism for piston engines, engines especially for opposed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s0) - Google Patents

왕복 피스톤기를 위한, 특히 대향 실린더 열을 구비한 내연기관용 하이포사이클로이드형 크랭크 기구(hypocycloidal crank mechanism for piston engines, engines especially for opposed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s0)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1248A
KR19980701248A KR1019970704637A KR19970704637A KR19980701248A KR 19980701248 A KR19980701248 A KR 19980701248A KR 1019970704637 A KR1019970704637 A KR 1019970704637A KR 19970704637 A KR19970704637 A KR 19970704637A KR 19980701248 A KR19980701248 A KR 19980701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eccentric wheel
reciprocating
crank mechanism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4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0069B1 (ko
Inventor
게르트 피셔
Original Assignee
요제프 디르쉐를 ; 헬무트 뷕켄
바이에리쉐 모토렌 베르케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제프 디르쉐를 ; 헬무트 뷕켄, 바이에리쉐 모토렌 베르케 아크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요제프 디르쉐를 ; 헬무트 뷕켄
Publication of KR19980701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1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0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21/18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 F16H21/36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without swinging connecting-rod, e.g. with epicyclic parallel motion, slot-and-crank motion
    • F16H21/365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without swinging connecting-rod, e.g. with epicyclic parallel motion, slot-and-crank motion with planetary gearing having a ratio of 2:1 between sun gear and planet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21/18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 F16H21/36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without swinging connecting-rod, e.g. with epicyclic parallel motion, slot-and-crank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B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OR OF POSITIVE-DISPLACEMENT TYPE, e.g. STEAM ENGINES
    • F01B1/00Reciproc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r relative disposition of cylinders or by being built-up from separate cylinder-crankcase elements
    • F01B1/08Reciproc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r relative disposition of cylinders or by being built-up from separate cylinder-crankcase elements with cylinders arranged oppositely relative to main shaft and of "fla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대향하는 실린더 열을 가진 연소 동력기를 위한 하이포사이클로이드형 크랭크 기구 로서, 이 기구가 두 피스톤 로드(rod)의 진동 제어를 위해 크랭크축의 왕복축 위에 회전 가동적으로 배치된 두 왕복 편심바퀴 및 직각의 직선 안내의 직선 소자 내에 회전 가동적으로 맞물리기 위해 왕복 편심바퀴들 사이에 배치된 안내 편심바퀴를 포괄하는 경우, 이 크랭크 기구의 내부하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세 편심바퀴는, 한 왕복 편심바퀴와 인접한 안내 편심바퀴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직선안내소자가 그의 주위 폐쇄된 관통부로 숄더측 왕복 편심바퀴 위를 지나 연결숄더의 영역으로 도입되어 안내 편심바퀴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되고 그리하여 안내 소자를 안내 편심바퀴 위에 회전 가동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게 하는 왕복축 방향의 연장 길이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연결 숄더와 함께 한 일편형 구성 부재를 형성하게 할 것이 제안된다.

Description

왕복 피스톤기를 위한, 특히 대향 실린더 열을 구비한 내연기관용 하이포사이클로이드형 크랭크 기구
직경 방향으로 배치된 실린더 쌍을 가진 엔진의 경우, 이미 그러한 크랭크 기구가 제안되었는데(독일 특허출원 제 195 04 890.3호), 거기에서는 한 평면에서 같은 방식으로 진동하고 양단에 피스톤을 가진 두 피스톤 로드(rod)를 위한 하이포사이클로이드형 크랭크 기구 또는 왕복 연동기를 가급적 간단화하기 위해 피스톤 로드(rod)들 사이에 단일의 직각 배향된 직선안내 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직선 안내부는 피스톤 로드(rod)측 왕복 편심바퀴들 사이에 배치된 단일의 안내 편심바퀴를 포괄하고, 이 안내 편심바퀴는 기계 하우징 측에 도입된 직선 안내 소자와 합동 작용한다.
직선 안내의 첫째 예의 경우에는, 직선 안내 소자로서의 전력 전달 장치에 일편적으로 구성된 연결부가 배치되고, 이 연결부의 주위 폐쇄된 베어링 관통부에는 축방향 반분 섹숀들로 구성된 안내 편심바퀴가 배치되어 있다. 직선안내부의 추가의 예에서는, 안내 소자로서 베어링 관통부의 축선의 평면에서 반분된 연결링크석이 배치되고, 그 연결링크석은 평형물과 일체연결된 일편형의 안내 편심바퀴와 합동 작용한다. 상기한 두 실시예의 경우, 각각 세 편심바퀴로 구성된 다부품 조합체는 추가의 소자에 의해서 한 구성단위로 통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류의 하이포사이클로이드형 크랭크 기구 를, 구성제작한 3 편심바퀴 조합체의 사용을 피하고 그 대신 각 직선 안내 소자가 원주폐쇄된 베어링 관통부에 의해 안내 편심바퀴 위에 배치될 수 있도록 개량하는 것이 그 과제이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1의 대개념의 특징에 따라 형성된 왕복 피스톤 위한 하이포사이클로이드형 크랭크 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왕복 피스톤-연소 동력기의 하이포사이클로이드형 크랭크 기구 의 부재들의 분해 투시도이고,
도 2 는 부분적으로 조립된, 도 1에 의한 크랭크 기구 의 부재들의 분해 투시도이고,
도 3 은 완전히 조립된, 크랭크 기구 의 투시도이다.
이 과제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 1하에 따라 해결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세 편심바퀴가, 한 왕복 편심바퀴와 인접한 안내 편심바퀴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직선 안내 소자가 그의 주위 폐쇄된 관통부로 숄더측 왕복 편심바퀴 위를 지나 연결숄더의 영역으로 도입되어 안내 편심바퀴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되고 그리하여 안내 소자를 안내 편심바퀴 위에 회전가동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게 하는 왕복축 방향의 연장 길이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연결 숄더와 함께 한 일편형 구성 부재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해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은 일체형 3 편심바퀴형 조합체가 특히 높은 강성과 작동 확실성을 가진 것과 이와 함께 주위 폐쇄된 관통부를 가진 직선 안내 소자가 높은 내부하력을 가진 점이며, 크랭크 기구 부재들을 결합시킴에 있어서는 조립이 간단한 것이 그 특징으로, 첫 번째는 왕복 편심바퀴를 통해 직선이동시키고, 이어서 연결숄더의 영역에서 안내 편심바퀴로 횡이동시키고 끝으로 안내 편심바퀴의 방향으로 다시 직선 이동 시키기만 하면 직선안내소자는 이 안내 편심바퀴 위에 삽입된 채 현가된다. 조립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 왕복 편심바퀴의 직경은 안내 편심바퀴의 직경과 기껏해서 같고 그렇지만 바람직하게는 더 작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왕복 편심바퀴와 안내 편심바퀴 사이의 연결숄더가 하나로 적당히 길게 형성된 경우, 예컨대 전력 전달체의 연결부, 연결링크석, 또는 안내역할의 외부링을 가진 구름 베어링과 같은 일편형으로 형성된 직선 안내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크랭크 편심 바퀴의 대칭적 하중분포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안내 편심바퀴는 연결숄더를 통해 각 왕복 편심바퀴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데, 안내 소자는 본 발명에 따라 연결숄더가 뻗어있는 부분위에 분리할당되고 베어링 관통부의 축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분할되어있는 부재들로 구성되어있다.
일체형 3 편심바퀴 구성부재의 상기한 본 발명적 형상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연결숄더를 포함한 가운데 유리하게는 단부면이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각 부하에 따라 중금속-, 비철금속-, 또는 경금속 주조 부재로서 비용상 유리한 3 편심바퀴 구성 부재의 제조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한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안내 편심바퀴를 위한 주위 폐쇄된 베어링 관통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안내 소자를 분할한 것은 전력 전달 장치의 연결부에 특히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육중한 연결부의 형상 대신에, 이것은 실제 부하를 고려한 가운데 비교적 박벽으로, 그에 따라 특히 가벼운 두 개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것은 박판(쉘) 형상으로 부터 필요로 하는 강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2 부분으로 구성되는 연결부는 동일한 부재로 형성되는데, 몸통축 주위로 첫째 부재를 뒤집어 넘기면 둘째 부재가 얻어진다(선대칭 형상). 유리스럽게도 박판 프레스 부재로서 제조할 수 있는 것은 이 동일물 부재 형상체를 단일 공구로 만들어진 부재들로 구성하는데 연유하는 것이나, 정밀 주조 부재, 또는 경금속 압력 주조 부재, 또는 소결 부재로서 제작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육중하게 형성된 연결부를 가진 하이포사이클로이드형 크랭크 기구 내의 전력 전달 장치의 경우에는, 연결부의 포오크형 단부 섹숀 내에 진동아암을 수장하는 것이 알려져있다. 두 개의 동일물부재로 형성된 연결 부재의 경우, 상기한 종류의 진동아암의 접속부를 수용한 가운데 연결 부재들은 축방향으로 이격배치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왕복 축 방향에 있어 연결부의 치수는 반분구조에 비해 작아지고 그에 따라 유리하게도 연결숄더는 그만큼 짧은 길이로 될 수있다. 이렇게 하여 한편으로는 굴곡 강성이 높은 3 편심바퀴 구성 부재가 제공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병렬로 이웃하는 실린더들의 간격을 보다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두 연결 부재 사이의 축방향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안내 편심바퀴와 연결 부재의 안내베어링아이(안내 베어링 구멍) 사이에 배치된 두 부분으로 된 미끄럼 베어링 외각의 외주에 있는 순환 밴드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축방향 간격 고정을 추가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연결 부재를 프레스 시이트에 의해 안내 베어링 아이를 거쳐 미끄럼 베어링 외각 위에 배치하며, 연결 부재의 연결 콘센트에 배치된 베어링 볼트는 특히 연결 부재들의 상호간 상대적 회전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 부재는 공동의 미끄럼 베어링 외각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별도의 미끄럼 베어링을 통해서도 안내 편심바퀴와 회전가동적으로 공동작용할 수 있다. 그 위에 두 연결 부재를 위한 공동의 구름 베어링이 고려될 수도 있지만 또한 각각의 연결 부재를 위한 별도의 구름 베어링도 역시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하 도면에 표시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겠다. 쌍으로 배치된 실린더는 그의 축선이 크랭크축에 직각으로 위치하여 배치되어 있는, 표시되지 않은 대향 실린더 열을 구비한 왕복 실린더-내연기관의 하이포사이클로이드형 크랭크 기구 (1)에서, 단순히 직선 열로 표시된 크랭크축에 3이 부기되어있다.
직선열(4)로 표시된 크랭크축(3)의 왕복축(행정 저널) 위에는 세 개의 편심바퀴(5,5' 및6),즉 같은 방식으로 진동 제어되는 (비표시)피스톤 로드(rod)을 위한 한 안내 편심바퀴(6)와 이것에 직경 방향으로 배열된 두 왕복 편심바퀴(5,5')가 회전 가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안내 편심바퀴(6)는 피스톤 로드(rod)의 왕복 방향에 직각의 직선 안내를 위한 직선 안내 소자(7)와 합동 작용하는데, 직선 안내 소자(7)는 베어링 관통구(8)에 안내 편심바퀴(6)를 수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왕복 편심바퀴(5,5')와 안내 편심바퀴(6)는 일체형 구성 부재를 형성하는데, 그 치수는, 각각의 왕복 편심바퀴(5,5')와 이웃의 안내 편심바퀴(6) 사이의 각 연결숄더(9,9')가, 베어링 관통구(8)의 축선에 대해 횡방향의 작은 부재인 직선 안내 소자(7)의 부재(10,10')가 그의 각 주위 폐쇄된 관통부(8',8)에 의해 안내 편심바퀴(6)위에 접하도록, 왕복 축 방향으로 뻗어 배치되기에 적당하게 되어 있다. 특히 도 1의 화살표에 나타난 것 처럼, 각 안내 소자 부재(10,10')은 각 왕복축(5,5')을 통해 각 연결숄더(9,9')의 영역 내로 삽입되게 하고 이어서 이 영영에서 안내 편심바퀴(6)에 대해 횡방향으로 각 관통부(8',8)가 안내 편심바퀴(6)와 일치정렬될 때까지 변위되게 하여 각 부재(10,10')는 안내 편심바퀴(6)위에 접촉위치된다.
편심바퀴(5,5' 및 6)의 직경이 실질적으로 같은 크기인 경우, 상기 방법으로 직선 안내 부재(10,1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 베어링관통부(8',8)의 직경은, 예컨대 안내 편심바퀴(6)와, 관통부(8',8)와 접경하는 부재(10,10')의 안내베어링(12,12') 사이의 두 부재로 된 베어링 외각(11)(도 2)의 치수만큼 더 크게 선정된다.
도 1로 부터 더욱 알 수 있는 것처럼, 단순히 부분적으로 표시된 하이포사이클로이드형 크랭크 기구 (1)의 부하 균등화를 위해 두 왕복 편심바퀴(5,5') 사이에 안내 편심바퀴(6)를 배치시킨 본 발명의 일체형 3 편심 바퀴 부재는 길이가 같은 연결숄더(9,9')를 갖고 있다. 이 크랭크 기구 (1)가 전력 전달 장치(13)와 연결되면, 진동 아암(14)을 통해 직선안내되고 부재들(10,10')로 구성된 연결부(15)는 직선안내소자(7)를 형성한다. 연결부(15)가 안내 편심바퀴(6)위에 축방향으로 이격된 두 부재(10,10')로 형성됨으로써 유리하게 이들 부재(10,10') 사이에 진동 아암(14)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연결 부재들(10,10')이 축방향으로 이격배치 됨으로써 추가적인 유리한 방식으로 안내 편심바퀴(6) 방향으로의 이 부재들의 치수를 짧게 선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추가적으로 결합숄더(9,9')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는 유리점이 얻어진다.
연결숄더(9,9')가 짧은 까닭에 특히 강성이 높은 일체형 3 편심바퀴 구성 단위가 얻어지는데, 연결숄더(9,9')의 단면과 표면 형상은 추가적으로, 연결숄더가 안내 편심바퀴 쪽으로는 왕복 편심바퀴(5,5')의 미끄럼 베어링(16)의 대응하는 실린더 외면에 의해 또한 왕복 편심바퀴 쪽으로는 안내 편심바퀴(16)의 미끄럼 베어링(17)의 대응하는 실린더 외면에 의해 경계져있음으로써 강성에 도움을 받는다.
도 1로 부터 역시 알 수 있는 것처럼, 일체형 3 편심바퀴 부재는 단부면이 편평한 형상으로 되어있고, 그에 의해 크랭크 기구 (1)의 부하에 따라 중금속, 비철금속, 경금속으로 된 주조부재(주물)로서 유리한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소결 부재로 형성하는 것도 유리한것같다.
일체형 3 편심바퀴 부재의 큰 강성이 주위 폐쇄된 관통부(8',8)를 가진 연결 부재(10,10')와 결합하면 하이포사이클로이드형 크랭크 기구 (1)는 큰 내부하력을 갖게 된다. 이 주위 폐쇄된 베어링관통부(8',8)에 의해, 박벽형의 각 연결 부재(10,10')는, 안내 베어링 아이(12,12')와, 진동 아암(14)의 베어링 볼트(19)를 위해 각각 직경 방향으로 두 개 배치된 연결 콘센트(18,18')를 바람직하게는 일체적으로 결합시키고 그의 주위 윤곽을 따라 바람직하게는 일체적으로 배치된 보강테(21,21')를 가진 담지벽(20,20')을 포괄할 수 있다. 이 박벽형 형성은 각 연결 부재(10,10')를 박판 프레스 부재, 또는 정밀 주조 부재, 또는 경금속 압력 주조 부재, 또는 소결부재로 형성하기에 적합하다. 연결 부재들(10,10')이 안내 편심바퀴(6)에 대칭으로 배치되고 그 위에 그 형과 치수가 일치함으로 인해, 전력 전달 장치(13)의 2 부분 연결부(15)를 위한 부재(10 및 10')를 단일 공구로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생기고 그리하여 동일물 부재 제작의 이점이 달성될 수 있다.
두 연결 부재(10,10')를 안내 편심바퀴(6)위에 축방향으로 고정격리하는데 있어서의 낭비적 곤란을 방지하기 위해, 안내 베어링 아이(12,12')내에 맞물리는 미끄럼 베어링(11)에는 그 외주에 연결 부재(10,10')용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축방향 고정은, 안내 편심바퀴(6)를 포괄하는, 2 부분 미끄럼 베어링 외각(11) 위에, 프레스 시이트를 가진 안내 베어링 아이(12,12')를 거쳐 연결 부재(10,10')를 배치함으로써 더욱 강화된다. 끝으로, 베어링 볼트(19)의 단부 섹숀에 배치된 고정 수단(23)은 연결 부재(10,10')를 왕복 편심바퀴(5,5')의 방향으로 축방향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 부재(10,10')의 각 직경 방향 연결 콘센트(18,18')를 관통하고 진동 아암(14)을 연결부쪽에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베어링 볼트(19)에 의해, 부재(10,10')가 미끄럼 베어링 외각(11)위에 약하게 눌려지는 경우에도 연결 부재(10,10')의 상대적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도면으로부터 또한 볼 수 있는 것처럼, 서로 대향하는 평형추들(24,24')이 제거가능하게 안내 편심바퀴(6)에 배치되어 있는데, 평형추들(24,24')은, 평형추(24,24')가 담지벽(20,20') 위로 돌출하는 베어링 볼트(19)의 보장/유지 수단 또는 고정 수단(23)에 방해받지 않고 자유롭게 통과회전할 수 있도록, 국부적으로 각 연결 부재(10,10')의 담지벽(20,20')으로 부터 이격되어 있다. 그 위에 평형추들(24,24')은 각각 너트 나사(25,25')를 갖고 있고 또한 각각 나사 볼트(26,26')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 도 1 내지 3에 도시되지 않은 연결부(15)의 부분들이 안내 편심바퀴(6)위에서 서로 마주보는 안내 베어링 아이들과 정렬되어 접하게 하며, 거기에 있어 각 베어링 내에 미끄럼- 또는 구름 베어링이 배치되게 할 수도 있다.
안내 편심바퀴의 양쪽에 두 개의 연결숄더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3 편심바퀴 구성 단위의 경우에는, 직선 안내 소자로서 역시 그의 베어링관통부의 축에 횡방향으로 분할된 연결링크석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런 3 편심바퀴 단위의 경우에는 연결 링크 대신에 그의 외부 링이 직선 안내의 역할을 하는 두 개의 구름 베어링이 또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3 편심바퀴 구성 단위는 안내 편심바퀴와 한 왕복 편심바퀴 사이에 단지 하나의 연결숄더를 갖게 제조될 수도 있고, 그럼으로써 전력 유도장치의 일편형 연결부의 배치 또는 일편형 연결링크석의 배치 또는 광폭 구름 베어링의 배치가 가능하다.

Claims (15)

  1. 하나의 안내 편심바퀴(6)와, 이것에 직경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같은 방식으로 진동 제어되는 피스톤 로드(rod) 및/또는 안내 로드(rod)을 위한 두 개의 왕복 편심바퀴(5,5')로, 크랭크축(3)의 왕복축(4)위에 회전가동적으로 배치된 세 개의 편심바퀴(5,5';6)를 포함하고,
    안내 편심바퀴(6)는 피스톤 로드(rod)/안내 로드(rod)의 왕복 방향에 직각인 직선 안내의 직선 안내 소자(7)의 관통부(8 또는 8', 8)에 수장되어있고,
    왕복 피스톤기를 위해, 특히 대향하는 실린더 열을 가진 내연기관용 하이포사이클로이드형 크랭크 기구 에 있어서,
    세 편심바퀴(5,5';6)가, 한 왕복 편심바퀴(5,5')와 인접한 안내 편심바퀴(6)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직선 안내 소자(7)가 그의 주위 폐쇄된 관통부(8 또는 8', 8)로 숄더측 왕복 편심바퀴(5,5')위를 지나 연결숄더(9,9')의 영역으로 도입되어 안내 편심바퀴(6)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되고, 그리하여 안내 소자(7)를 안내 편심바퀴(6)위에 회전 가동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게하는 왕복축방향의 연장길이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연결숄더(9,9')와 함께 한 일편형 구성 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포사이클로이드형 크랭크 기구 .
  2. 제1항에 있어서,
    안내 편심바퀴(6)는 각 왕복 편심바퀴(5,5')와 함께 한 연결숄더(9,9')를 통해 일편형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직선편심바퀴(7)는 연결숄더(9,9')의 연장 부위에 분리 할당되어 베어링관통부(8 또는 8',8)의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분할되어 있는 부재들(10,1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기구 .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왕복 편심바퀴(5,5')의 직경은 안내 편심바퀴(6)의 직경 보다 작거나 또는 최대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기구 .
  4. 제1항 내지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체형 3 편심바퀴 구성 부재의 연결숄더(9,9')는 안내 편심바퀴쪽으로는 왕복 편심바퀴(5,5')의 대응하는 실린더 외면에 의해 또한 왕복 편심바퀴 쪽으로는 안내 편심바퀴(6)의 대응하는 실린더 외면에 의해 경계져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기구 .
  5. 제1항 내지 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편형 3 편심바퀴 구성 부재는 중금속, 또는 비철금속, 또는 경금속 주조 부재, 또는 소결부재로 구성될 수 있도록 단부면이 편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기구 .
  6. 제1항 내지 5항 중의 어느 한 있어서,
    전력 전달 장치(13)의 연결부(15)가 직선 안내 소자(7)의 역할을 하며,
    연결부(15)는 주위 폐쇄된 관통부(8',8)를 갖고 베어링 관통부(8 또는 8', 8)의 축에 직각 방향으로 분할되어 있는 두 부재(10,1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기구 .
  7. 제1항 내지 6항 중의 어느 한 있어서,
    박벽형의 각 연결부-부재(10,10')는, 안내 베어링 아이(12,12')와, 베어링 볼트(19)를 위해 직경 방향으로 배치된 두 연결 콘센트(18,18')를 전력전달기(13)의 진동 아암(14)에 의해 결합시키는 담지벽(20,20')을 포괄하고,
    담지벽은 그의 주위 윤곽을 따라 보강테(21,21')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기구 .
  8. 제 1 항 내지 7 항 중의 어느 한 있어서,
    2 부분 연결부(15)는 동일물 부재들(10,10')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동일물 부재(10,10')는 박판 프레스 부재 또는 정밀 주조 부재 또는 경금속 압력 주조 부재 또는 소결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기구 .
  9. 제 1 항 내지 8 항 중의 어느 한 있어서,
    연결부(15)의 부재들(10,10')은 안내-편심바퀴(6)위에 축방향으로 이격 배치 되어 있고,
    연결부-부재들(10,10') 사이의 축방향 거리는 2 부분으로 된 미끄럼 베어링 외각(11)의 외주에서의 순환 밴드(22)를 통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기구 .
  10. 제 1 항 내지 9 항 중의 어느 한 있어서,
    안내-편심바퀴(6)를 포괄하는 미끄럼 베어링 외각(11) 위에서 연결 부재(10,10')는 프레스 시이트(프레스 받이)를 가진 안내 베어링 아이(12,12')를 통해 배치되어 있으며,
    연결 부재들(10,10')은 연결 콘센트(18,18')내에 배치된 베어링 볼트(19)로 인해 특히 상대적으로 서로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기구 .
  11. 제 1 항 내지 10항 중의 어느 한 있어서, 안내 편심바퀴(6)와 결합될 수 있는 평형추(24,24')는, 평형추(24,24')가 담지벽(20,20') 위로 돌출하는 베어링 볼트(19)의 고정-/유지수단(23)을 방해받지 않고 자유롭게 통과회전할 수 있도록, 각 연결 부재(10,10')의 지지벽(20,20')으로 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기구 .
  12. 제 1 항 내지 11 항 중의 어느 한 있어서, 안내 편심바퀴(6)에 서로 대향 배치된 평형추들(24,24')은 각각 나사(25,25')를 갖고 있고 나사 볼트(26,26')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기구 .
  13. 제 1 항 내지 12 항 중의 어느 한 있어서,
    연결부(15)의 부재들은 안내 편심바퀴(6)위에서 서로 마주하는 안내 베어링 아이들과 정렬되어 접해 있으며,
    각 베어링 아이 내에 미끄럼 베어링 또는 구름 베어링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기구 .
  14. 제 1 항 내지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편형으로 된, 또는 베어링 관통부의 축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분할된 연결 링크 석이 직선 안내 소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기구 .
  15. 제 1 항 내지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 편심바퀴(6)에 배치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름 베어링이 직선 안내 소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기구 .
KR1019970704637A 1995-03-14 1996-03-01 왕복운동기관용하이포사이클로이드식크랭크기구 KR100400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09155A DE19509155A1 (de) 1995-03-14 1995-03-14 Hypozykloidisches Kurbelgetriebe für Hubkolbenmaschinen, insbesondere für Brennkraftmaschinen mit gegenüberliegenden Zylinderreihen
DE19509155.8 1995-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1248A true KR19980701248A (ko) 1998-05-15
KR100400069B1 KR100400069B1 (ko) 2004-04-03

Family

ID=7756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4637A KR100400069B1 (ko) 1995-03-14 1996-03-01 왕복운동기관용하이포사이클로이드식크랭크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012423A (ko)
EP (1) EP0815370B1 (ko)
JP (1) JP3854637B2 (ko)
KR (1) KR100400069B1 (ko)
CN (1) CN1085802C (ko)
DE (2) DE19509155A1 (ko)
ES (1) ES2134599T3 (ko)
WO (1) WO19960286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07920A1 (de) 1996-03-01 1997-09-04 Bayerische Motoren Werke Ag Hypozykloidisches Kurbelgetriebe für Hubkolbenmaschinen, insbesondere Brennkraftmaschinen
IT1310116B1 (it) * 1999-07-16 2002-02-11 Fiat Auto Spa Perfezionamenti relativi ai motori alternativi a combustione internaprovvisti di un manovellismo ipocicloidale.
US20030211920A1 (en) * 2002-05-08 2003-11-13 Mark Mandel Light weight and portable exercise device with bench seat
DE10226672B3 (de) * 2002-06-11 2004-01-22 Lemouré, Math, Dipl.-Ing. Kurbeltrieb, insbesondere für Hubkolben-Brennkraftmaschinen
JP2005023877A (ja) * 2003-07-04 2005-0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圧縮機
CN100436779C (zh) * 2004-08-18 2008-11-26 何观龙 一种内燃机活塞零侧压技术及装置
DE102005024361A1 (de) * 2005-05-27 2006-12-0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Antriebsaggregat für Fahrzeuge
US7640910B2 (en) * 2006-03-16 2010-01-05 Achates Power, Inc Opposed piston internal-combustion engine with hypocycloidal drive and generator apparatus
WO2008046134A1 (en) * 2006-10-16 2008-04-24 Wintech International Pty Ltd Hypocycloidal transmission
GB2455543A (en) * 2007-12-11 2009-06-17 Applied Engine Technology Ltd Reciprocating machine, eg engine, compressor or expander, with a rectilinear drive mechanism
US8894530B1 (en) 2009-04-27 2014-11-25 Thomas M. Read Hypocycloidal crank apparatus
DE102010010641A1 (de) * 2010-03-09 2011-09-1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Massenausgleich für eine Hubkolben-Brennkraftmaschine
EP2565473B1 (de) * 2011-09-05 2014-04-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rennkraftmaschine mit Kurbeltrieb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 Kurbelwelle einer derartigen Brennkraftmaschine
GB2512423A (en) * 2012-12-08 2014-10-01 Keith Gordon Hall Disc-Drive Mechanisms
CN105986986B (zh) * 2016-05-17 2017-12-01 河南屹力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双级压缩机构
CN106286570A (zh) * 2016-09-27 2017-01-04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曲轴及转子式压缩机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1755C (ko) *
GB1060372A (en) * 1963-11-13 1967-03-01 Bancroft Charle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ciprocating compressors, pumps, engines and the like
US3285503A (en) * 1965-03-18 1966-11-15 Bancroft Charles Fluid displacement device
US3791227A (en) * 1972-04-21 1974-02-12 M Cherry Vibration free piston engine
FR2233868A6 (ko) * 1973-06-14 1975-01-10 Pailler Yves
DE2519908A1 (de) * 1975-05-03 1976-11-11 Juergen Dipl Ing Lambrecht Hubkolbenmaschine mit exzentrischer nachfuehrung
CN1008296B (zh) * 1985-10-18 1990-06-06 江宁平 内摆曲柄连杆机构
JPS62196463A (ja) * 1986-02-21 1987-08-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伝動装置
DE3636873A1 (de) * 1986-10-30 1988-05-11 Forsch Kraftfahrwesen Und Fahr Synchronisiergetriebe an einem hypozykloidengetriebe fuer eine hubkolbenmaschine
DE3723948A1 (de) * 1987-05-08 1988-11-24 Helmut Prof Dr Rer Nat Krauch Regenerative waermemaschine in kreuzkolbenbauweise mit magnetisch gefuehrten freikolben
DE3927593A1 (de) * 1989-08-22 1991-02-2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Hubgetriebe, insbesondere fuer hubkolbenmaschinen
GB2246411A (en) * 1990-07-23 1992-01-29 Ronald Harold Bailey Interconverting reciprocating and rotary motion
DE4108311C2 (de) * 1991-03-14 2000-09-2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Hypozykloiden-Hubgetriebe für Hubkolbenmaschinen in Boxerbauart
WO1992017694A1 (en) * 1991-04-02 1992-10-15 Emmanouel Pattakos Harmonic reciprocating heat engines
DE4139716A1 (de) * 1991-12-02 1993-06-0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Hubkolbenmaschine, insbesondere brennkraftmaschine, mit hypozykloidischem kurbelgetriebe
DE19607920A1 (de) * 1996-03-01 1997-09-04 Bayerische Motoren Werke Ag Hypozykloidisches Kurbelgetriebe für Hubkolbenmaschinen, insbesondere Brennkraftmaschi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509155A1 (de) 1996-09-19
ES2134599T3 (es) 1999-10-01
DE59602332D1 (de) 1999-08-05
KR100400069B1 (ko) 2004-04-03
CN1085802C (zh) 2002-05-29
US6012423A (en) 2000-01-11
WO1996028669A1 (de) 1996-09-19
CN1178574A (zh) 1998-04-08
EP0815370B1 (de) 1999-06-30
JP3854637B2 (ja) 2006-12-06
JPH11502284A (ja) 1999-02-23
EP0815370A1 (de) 1998-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701248A (ko) 왕복 피스톤기를 위한, 특히 대향 실린더 열을 구비한 내연기관용 하이포사이클로이드형 크랭크 기구(hypocycloidal crank mechanism for piston engines, engines especially for opposed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s0)
KR101202239B1 (ko) 밸런스 샤프트 유닛 및 관련 베어링
US4694785A (en) Piston apparatus
CN1105419A (zh) 摇臂组件
JP2004124775A (ja) 内燃機関の可変圧縮比機構
US5562074A (en) Pist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JP2004124776A (ja) 内燃機関の可変圧縮比機構及びリンク部品
JPH08312632A (ja) 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及びクランクシャフト組立体
JPH04224340A (ja) 支承装置
JPH09209702A (ja) 空気モータのピストンとクランクのリンク機構
US3747433A (en) Crankshafts or the like
US5778835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148776A (en) Bearing arrangement
JP4525237B2 (ja) V型内燃機関
JPS6323624Y2 (ko)
JPS6256645A (ja) エンジンのクランクバランス装置
JP2019132176A (ja) 内燃機関の可変圧縮比機構におけるロアリンク
JP7464345B2 (ja) モノブロック式内燃機関
JP7107003B2 (ja) 内燃機関の複リンク式ピストンクランク機構
JPH0223763Y2 (ko)
JPS63101511A (ja) 連接棒の軸受構造
WO2001006092A1 (en) Recipro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hypocycloid crank mechanism
JPS5856411Y2 (ja) スタ−リング機関のクランク軸用スラスト軸受
JPS6314025Y2 (ko)
JPH051395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