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7825A - 골프연습장용 골프공 수평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골프연습장용 골프공 수평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7825A
KR19980087825A KR1019980039445A KR19980039445A KR19980087825A KR 19980087825 A KR19980087825 A KR 19980087825A KR 1019980039445 A KR1019980039445 A KR 1019980039445A KR 19980039445 A KR19980039445 A KR 19980039445A KR 19980087825 A KR19980087825 A KR 19980087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all
transfer
discharge
go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9353B1 (ko
Inventor
김시명
Original Assignee
김시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명 filed Critical 김시명
Priority to KR1019980039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9353B1/ko
Publication of KR19980087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825A/ko
Priority to CN99120372A priority patent/CN1109570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3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Pusher Or Impeller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연습장용 골프공 수평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지정타석에서 친 골프공이 다시 회수되어 지정타석으로 공급하는 공급장치를 개선한 것으로서, 특히 회수된 공은 이송관 내경에 형성된 한개 또는 복수개의 나사선으로 이송 전진하면서 각 타석으로 공을 원활하게 공급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골프연습장용 골프공 수평이송장치
본 발명은 실내골프용 지정타석의 골프공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개 또는 복수개의 나사선을 갖는 이송내부스크류관을 이용하여 각각의 지정타석으로 공을 공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골프공 공급장치는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하여 골프공을 지정타석으로 공급하여 왔다.
그러나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하게되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컨베이어벨트(100)가 모터에 의해 구동되면서 공이 이송되면 지정타석 마다 설치된 공급관(101) 이외에 측벽(102)과의 마찰 회수가 많게 되며 공과 공의 마찰회수도 많아서 공의 마모가 심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는 이송관의 내부에 한개 또는 복수개의 나사선을 형성하여 이 나사선에 의해 공이 전진하면서 각각의 지정타석의 위치로 공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 - 종래의 컨베이어벨트의 이송장치 측면도
도 2 -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 - 본 발명의 호퍼와 이송관의 측단면도
도 4 - 본 발명의 동력원인 구동모타와 이송관의 결착상태 사시도
도 5 - 본 발명에 적용된 공급관과 받침부재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6 - ab는 본 발명에 적용된 받침부재의 한개 또는 복수개의 나사선의
측단면도
도 7 - 본 발명의 적용된 배출공과 공급관의 작용상태도
도 8 - 본 발명에 적용된 이송관을 펼친상태도
도 9 - 본 발명의 끝단부와 유턴관의 평단면도
도 10 -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이 집합되는 호퍼와 지정타석으로 공을 공급하는 이송관의 선단은 공이 빠져나가지 못하는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하며, 호퍼에 있던 공이 이송관으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이송관 끝단부에 복수개의 요철부를 형성하고 이송관의 내경에는 나선을 설치하되 공과 공의 이송 간격을 넓히고자 할 때에는 한개의 나사선으로 형성되고, 공과 공의 이송 간격을 좁히고자 할 때에는 복수개의 나사선으로 하며, 이송관의 외주연 일측에 형성된 스포로킷과 구동되는 모타의 축에 축설된 스포로킷은 체인으로 체결되어 이송관을 구동
시키고, 각각의 지정타석 마다 통과하는 이송관에는 공이 배출되는 배출공을 형성하며, 각각의 지정타석 마다 통과하는 이송관에는 이송관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배치하되 지지부재와 이송관 사이에는 이송관을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이 사방으로 축설되고, 상기 배출공의 후방에는 공을 경사면 까지 끌어올릴 수 있는 유도턱이 형성되며, 배출공의 측면에는 공이 경사면 까지 올라갈 때에 진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이동방지턱을 형성하고, 배출공이 회전하는 위치의 측부에는 지정타석으로 연결된 공급관이 이격되어 형성되며, 배출공이 회전하여 아래에 위치할 때에 공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을 이송관 하부에 이격 설치하며, 이송관의 끝단부에는 이송관과 이격된 유턴관과 회수관으로 공이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진행방향으로 경사진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회수관은 복수개의 지정타석으로 공급 받지않은 공이 다시 공지의 집구탱크로 보내지기
위한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지정타석에서 친공이 그물망을 맞고 다시 지정타석으로 공이 복귀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귀된 공은 호퍼(1)에 집합되고 호퍼와 이송관(2)의 선단은 공이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며, 이송관의 선단에는 복수개의 요철부(2a)가 형성된 것으로, 이송관이 회전함과 동시에 요철부가 회전하면서 호퍼에 적층되어 있는 공을 움직이도록 하므로서 이송관으로 공이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수단이며, 이송관의 선단부터 끝단까지 내경에는 나사선이 형성된 것으로 나사선은 이송관이 회전함에 따라 스크류와 같은 역할을 하면서 공을 진행시키며, 이때의 공은 중력에 의해 항상 아래에 위치하면서 진행하고, 나사선이 한개의선(2b) 즉, 선단부터 한개로 출발할 경우 공과 공의 이송간격이 넓어지고 나사선이 복수개의 선(2c) 즉, 선단부터 복수개로 출발할 경우 공과 공의 이송간격이 좁아지면서 진행하는 것이며, 이송관 일측에 형성된 스포로킷(3)은 모타(M)의 축에 축설된 스포로킷(3′)과 체인(4)으로 연결되어 이송관을 회전시키며, 각각의 지정타석을 통과하는 이송관에는 이송관을 지지하는 받침부재(5)가 배치되고 받침부재와 이송관 사이에는 이송관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사방으로 베어링(6)을 축설하고 상기 지정타석을 통과하는 이송관에는 공이 배출되는 배출공(2d)을 형성하되 배출공에는 상기 나사선이 형성되지 않고 배출공을 지나 나사선이 형성되며, 배출공의 후방에는 공을
경사면까지 끌어올리는 유도턱(2e)이 형성되고 배출공의 측면에는 배출공에 도달된 공이 진행방향으로 전진하지 못하도록 이동방지턱(2f)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유도턱과 이동방지턱은 배출공에 도달된 공을 이송관 측면부에 위치한 공급관(7)으로 공을 배출할 수 있도록 복수의 수단을 가지며, 배출공이 회전하면서 아래에 위치할 경우 공이 배출되지 않도록 이송관의 하부에는 호형의 이탈방지판(8)을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고 이송관의 끝단부에는 이송관의 직경보다 큰 이송관(2′)을 형성하고 이 이송관 내경에는 공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점차 경사진 안내돌기(9)을 형성하여 이격된 유턴관(10)으로 공이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하며, 유턴관과 이격된 회수관(11)은 지정타석으로 공급되지 않은 남은 공을 회수하여 공지의 집구탱크(13)로 보내지도록 하여 구성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2는 골프공, 13은 집구탱크, 14는 수직컨베이어, 15는 분배관 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호퍼(1)에 집합된 공(11)은 회전하는 이송관(2)으로 유입되면서 전진된다.
이때 이송관의 내경에는 한개 내지 복수개의 나사선(2b, 2c)에 의해 공이 전진하면서 이송관에 형성된 배출공(2d)에 공이 도달되면 유도턱(2e)은 공을 경사면 까지끌어올리게 되고 이동방지턱(2f)은 공이 더 이상 전진 못하도록 차단하는 것이다.
공이 유도턱과 이동방지턱에 의해 공급관(7)위치에 도달되면 공급관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한편 이송관의 끝단에 형성된 안내돌기(9)로 낙하된 공은 회전되는 큰 이송관(2′)에 의해 점차 상측으로 올라가다가 안내돌기가 진행방향으로 경사가 되어있어 자연스럽게 유턴관(10)으로 이송되고 유턴관과 이격된 회수관(11)은 지정타석으로 공급되지 못한 공을 하층에 있는 집구탱크(13)로 보내지고 집구탱크에 있던 공은 수직컨베이어(14)에 의해 상승하고 상승된 공은 분배관(15)에서 각각의 호퍼(1)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송관 내부에서 공이 일자로 나란하게 전진하므로서, 공의 마모가 적으며 이송관의 설치가 기존의 컨베이어벨트의 이송라인 보다는 설치가 간단하여 설비가 저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공이 집합되는 호퍼와 지정타석으로 공을 공급하는 이송관의 선단은 공이 빠져나가지 못하는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하며, 호퍼에 있던 공이 이송관으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이송관 끝단부에 복수개의 요철부를 형성하고 이송관의 내경에는 나선을 설치하되 공과 공의 이송 간격을 넓히고자 할 때에는 한개의 나사선으로 형성되고, 공과 공의 이송 간격을 좁히고자 할 때에는 복수개의 나사선으로 하며, 이송관의 외주연 일측에 형성된 스포로킷과 구동되는 모타의 축에 축설된 스포로킷은 체인으로 체결되어 이송관을 구동시키고, 각각의 지정타석 마다 통과하는 이송관에는 공이 배출되는 배출공을 형성하며, 각각의 지정타석 마다 통과하는 이송관에는 이송관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배치하되 지지부재와 이송관 사이에는 이송관을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이 사방으로 축설되고, 상기 배출공의 후방에는 공을 경사면 까지 끌어올릴 수 있는 유도턱이 형성되며, 배출공의 측면에는 공이 경사면 까지 올라갈 때에 진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이동방지턱을 형성하고, 배출공이 회전하는 위치의 측부에는 지정타석으로 연결된 공급관이 이격되어 형성되며, 배출공이 회전하여 아래에 위치할 때에 공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을 이송관 하부에 이격 설치하며, 이송관의 끝단부에는 이송관과 이격된 유턴관과 회수관으로 공이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진행방향으로 경사진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회수관은 복수개의 지정타석으로 공급 받지않은
    공이 다시 공지의 집구탱크로 보내지기 위한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장용 골프공 수평이송장치.
KR1019980039445A 1998-09-23 1998-09-23 골프연습장용골프공수평이송장치 KR100299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445A KR100299353B1 (ko) 1998-09-23 1998-09-23 골프연습장용골프공수평이송장치
CN99120372A CN1109570C (zh) 1998-09-23 1999-09-23 高尔夫球练习场用的高尔夫球传送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445A KR100299353B1 (ko) 1998-09-23 1998-09-23 골프연습장용골프공수평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825A true KR19980087825A (ko) 1998-12-05
KR100299353B1 KR100299353B1 (ko) 2002-10-25

Family

ID=19551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445A KR100299353B1 (ko) 1998-09-23 1998-09-23 골프연습장용골프공수평이송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99353B1 (ko)
CN (1) CN110957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9853A1 (ko) * 2009-01-08 2010-07-15 Kim Si-Myung 골프공 이송장치의 이송라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27921C (zh) * 2003-06-20 2007-07-25 金时明 高尔夫球训练馆的高尔夫球输送装置
KR100563297B1 (ko) * 2004-06-16 2006-03-27 시 명 김 골프공 이송장치
KR100653131B1 (ko) * 2006-02-01 2006-12-04 시 명 김 골프연습장용 골프공 이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60864U (ko) * 1972-09-11 1974-05-28
KR950016808A (ko) * 1993-12-22 1995-07-20 박순종 골프공 승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9853A1 (ko) * 2009-01-08 2010-07-15 Kim Si-Myung 골프공 이송장치의 이송라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9353B1 (ko) 2002-10-25
CN1248476A (zh) 2000-03-29
CN1109570C (zh) 2003-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87825A (ko) 골프연습장용 골프공 수평이송장치
CN1020930C (zh) 从籽棉中去除纤维部分的设备
JPH04215783A (ja) パチンコ島の玉給配装置
JP2657678B2 (ja) 取入れカツプ装置
CA2205256C (en) Tube and belt conveyor
JPH07300221A (ja) 鋲螺供給装置
US201000251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logs
US5964184A (en) Continuous operating distribution hopper
CN216511104U (zh) 一种紧固螺钉的上料装置
SE505948C2 (sv) Sätt och anordning för parallellt ordnande av timmerstycken såsom stockar eller kubbar
US472299A (en) Bean pickerand sorter
KR102435100B1 (ko) 중력 정렬식 마늘 파종기
KR100235207B1 (ko) 인도어(in door)용 골프 연습장의 골프공 공급장치
CN110683382A (zh) 一种小蚕颗粒饲料输送机
EP0472275B1 (en) Feed car apparatus
CN210795099U (zh) 一种小蚕颗粒饲料输送机
JPH0751950A (ja) 部品移送装置
KR200256921Y1 (ko) 종자파종기에 있어서 육묘상자의 이송로울러
KR100243980B1 (ko) 실내 골프장의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CN116034908B (zh) 一种养殖场智能投喂系统及其工作流程
JP2001069905A (ja) 選別装置及びその方法
JPH0351076Y2 (ko)
KR100285014B1 (ko) 실내골프연습장의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US3219346A (en) Pin elevator utilizing centrifugal force
JP2978987B2 (ja) ボール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