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5532A - 컷팅블레이드의 절단용 커터구조 및 그 절단방법 - Google Patents

컷팅블레이드의 절단용 커터구조 및 그 절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5532A
KR19980085532A KR1019970021635A KR19970021635A KR19980085532A KR 19980085532 A KR19980085532 A KR 19980085532A KR 1019970021635 A KR1019970021635 A KR 1019970021635A KR 19970021635 A KR19970021635 A KR 19970021635A KR 19980085532 A KR19980085532 A KR 19980085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lade
cutter
cutting blad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1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3216B1 (ko
Inventor
송병준
Original Assignee
송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병준 filed Critical 송병준
Priority to KR1019970021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3216B1/ko
Publication of KR19980085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5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2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53Cutting members therefor having a special cutting edge section or blade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6Cutting members therefor the cutting blade having a special shape, e.g. a special outline, ser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컷팅블레이드의 칼날부분의 단부를 립형상으로 절단하는데 적합한 절단용 커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절단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개시된 커터구조는 컷팅블레이드와 맞닿는 단면현상이 코너부가 경사지게 절단된 대략 “L”자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서로 대칭구조로 된 2개의 커터가 소정시간 간격을 두고 구동되어 이송되는 컷팅블레이드를 절단하는 절단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서로 마주보는 내·외향립이 맞닿지 않게 됨으로써, 컷팅블레이드의 이송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컷팅블레이드의 절단용 커터구조 및 그 절단방법
본 발명은 컷팅블레이드(Cutting Blade)의 절단용 커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컷팅블레이드의 절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컷팅블레이드의 칼날부분의 일측단부를 립형상으로 절단하는데 적합한 커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컷팅블레이드의 절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상자등을 제조하기 위하여 시이트재료를 절취성형하는데 발형(拔型)이 이용된다. 이와같은 발형은 목재등의 판재와, 이 판재상에 목적하는 종이형태의 평면윤곽을 따라 삽입된 컷팅블레이드로 구성된다. 즉, 판재상에 레이저빔이나 실톱등을 사용하여 평면윤곽대로 그루브를 형성한 후, 그 그루브내에 컷팅블레이드를 칼날부가 판재로부터 일정높이 돌출하도록 삽입하여 제조된다. 이와같이, 컷팅블레이드를 판재상의 그루브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컷팅블레이드에 많은 절단작업과 절곡작업을 가하여야 한다. 또한, 절단작업에 있어서도 단순한 직선절단외에 지형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내향 혹은 외향의 립(lip)형상으로 절단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다양한 절단형상을 얻기 위하여 그 절단형상에 해당하는 다양한 커터들이 필요로 한다.
위와같은 다양한 커터들의 구조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특허된 특허공고 제 94-7123호에 공지되어 있다.
제 1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컷팅블레이드의 절단용 커터로서, 특히 컷팅블레이드를 내·외향의 립 형상으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용 커터와, 이 커터에 의해 절단된 컷팅블레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10은 컷팅블레이드의 절단된 평면도이고, 20a는 커터의 정면도이며 20b는 커터의 평면도이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립절단용 카터에 의해 절단된 컷팅블레이드(10)는 칼날부가 내·외향의 립을 형성하면서 두 개로 절단된다.
제 2도는 립을 형성하고 있는 컷팅블레이드의 사용예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립을 형성하는 이유는 컷팅블레이드들(10)을 교차결합할때 칼날끝 사이에 공격을 없애기 위함이다.
제 3도는 종래기술에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절단된 컷팅블레이들(10)의 조각이 연속하여 정렬된 예시도이다.
여기서, 컷팅블레이드(10)에 형성된 제 1절취홈(11)은 판재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그루브가 형성되지 아니한 부위를 위해 절취된 홈이고, 제 2절취홈(13)은 컷팅블레이드의 절곡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위와같은 여러가지의 절단 또는 절취작업들을 자동화하기 위하여, 컷팅블레이드의 안내부재(미도시)에 의해 컷팅블레이드는 연속적으로 이송된다.
그러나, 제 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컷팅블레이드(10)를 연속이송함에 있어서 특히 내·외향립들(15,17)이 맞닿는 부위가 마모되거나, 컷팅블레이드(10)가 안내부재내에 발생하는 간격에 의해 기울여지게 된다. 그러므로, 프로그램등에 의해 자동으로 위치를 측정하여 절단, 절취작업을 함에 있어 위치선정에 오차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할 수 있는 컷팅블레이드의 절단용 커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위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컷팅블레이드의 절단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 1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컷팅블레이드의 절단용커터 및 커터에 의해 절단된 컷팅블레이드를 도시한 도면,
제 2도는 립을 형성하고있는 컷팅블레이드의 사용예시도,
제 3도는 종래기술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절단된 컷팅블레이드의 예시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용 제 1커터 및 제 1커터에 의해 절단된 컷팅블레이드를 도시한 도면,
제 5도는 제 4도의 커터에 의해 절단된 컷팅블레이드에 있어서, 절단된 조각이 제거된 상태에서 컷팅블레이드의 이송 상태도,
제 6도는 제 4도의 제 1커터와 대칭인 제 2커터 및 제 2커터에 의해 절단된 컷팅블레이드를 도시한 도면,
제 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컷팅블레이드의 절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8도는 본 발명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절단된 컷팅블레이드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컷팅블레이드 30, 50 … 커터
위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터구조는 일정폭을 갖고 길게 연장되며, 상기폭의 일측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폭만큼 경사져서 단부가 칼날을 형성하는 칼날부와, 타측단부로부터 칼날부와 접하는 선까지로 구성된 몸체부로 이루어진 컷팅블레이드의 절단용 커터구조에 있어서,
상기 컷팅블레이드와 접촉하기위한 단면형상이 상기 몸체부의 단부로부터 칼날부와 몸체부의 경계선 영역까지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된 제 1단부와, 상기 제 1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경계선으로부터 칼날부의 단부까지 내측으로 경사지게 구성된 제 2단부로 이루어진 일측단부; 및
상기 일측단부로부터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폭을 갖되, 몸체부의 단부로부터 칼날부와 몸체부의 경계선 이내의 소정영역이 상기 제 1단부와 평행한 제 3단부와, 제 3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이 연장지점으로부터 칼날부의 단부까지는 상기 제 1단부 및 상기 제 3단부 사이의 폭보다 적어도 상기 제 1단부의 일직선 연장선과 상기 제 2단부의 끝단 사이의 폭 보다는 넓은 폭을 갖는 제 4단부로 이루어진 타측단부를 포함하는 제 1커터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커터구조는 상기 제 1커터와 대칭을 이루는 제 2커터를 더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컷팅블레이드의 절단방법은
상기한 제 1커터와 제 2커터를 컷팅블레이드의 진행방향으로 나란히 배열하는 단계;
상기 제 1커터 및 상기 제 2커터 중 어느하나로 상기 컷팅블레이드를 1차 절단하는 단계; 1차절단된 컷팅블레이드를 진행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동하는 단계; 및
1차절단단계에서 사용되지 아니한 커터로 컷팅블레이드를 2차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컷팅블레이드의 절단용 커터 및 커터에 의해 절단된 컷팅블레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30A는 커터의 정면도, 30B는 커터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커터구조에 의해 기존의 절단기(미도시)를 통해 커터의 평면도 형상대로 컷팅블레이드(40)가 절단된다.
도시한 바와같이, 우선 피절단용 컷팅블레이드(40)는 일정폭(L)을 갖고 길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컷팅블레이드(40)는 일측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폭만큼 경사져서 단부가 칼날을 형성하는 칼날부(42)와, 타측단부로부터 칼날부(42)와 접하는 선(중간실선부분)까지로 구성된 몸체부(44)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커터구조는 컷팅블레이드(40)와 접촉하기 위한 단면형상이 몸체부(44)의 단부로부터 칼날부와 몸체부의 경계선 영역까지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된 제 1단부(31)와, 상기 제 1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경계선으로부터 칼날부의 단부까지 내측으로 경사지게 구성된 제 2단부(32)로 이루어진 일측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커터는 상기 일측단부로부터 상기 블레이드(4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폭을 갖되, 몸체부의 단부로부터 칼날부와 몸체부의 경계선 이내의 소정영역이 상기 제 1단부(31)와 평행한 제 3단부(33)와, 제 3단부(33)로부터 연장되며 이 연장지점으로부터 칼날부의 단부까지는 상기 제 1단부(31) 및 상기 제 3단부(33) 사이의 폭(ℓ1)보다 적어도 상기 제 1단부의 일직선 연장선과 상기 제 2단부의 끝단 사이의 폭(ℓ2)보다는 넓은 폭(ℓ3)을 갖는 제 4단부(34)로 이루어진 타측단부를 포함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제 4단부(34)의 양 끝 사이의 폭(ℓ4)은 적어도 제 2단부(32)의 양끝사이의 폭(ℓ5) 보다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단부(32)의 경사각도는 칼날부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 5도는 제 4도의 커터에 의해 절단된 컷팅블레이드에 있어서, 절단된 조각이 제거된 상태의 컷팅블레이드의 이송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커터에 의해 절단된 컷팅블레이드(40)는 절단된 두 컷팅블레이드가 맞닿아도 일측 블레이드에 형성된 립 형상과는 접촉되지 아니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6도는 제 4도에 도시한 제 1커터와 대칭구조를 이루는 제 2커터와, 제 2커터에 의해 절단된 컷팅블레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제 6도에 도시한 제 2커터(50A, 50B)는 제 4도에 도시한 제 1커터(30A, 30B)와 대칭적인 구조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기 때문에 더 이상의 설명은 불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제 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컷팅블레이드의 절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피절단부재인 컷팅블레이드만을 도시하고 있다.
우선, 위에서 설명한 제 1커터(30A, 30B)와 제 2커터(50A, 50B)를 절단장치(미도시)에 컷팅블레이드의 진행방향으로 나란히 배열한다.
컷팅블레이드(40)가 립을 형성하면서 절단할 필요가 있는 곳(제 1커터가 위치한 곳)에 위치될 때 제 1커터(30)로 1차절단한다. 그런다음, 계속하여 소정거리만큼 컷팅블레이드(40)를 진행방향으로 이동한다음 제 2커터(50)로서 2차 절단한다.
위와같은 방법으로 절단된 컷팅블레이드(40)는 제 7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제 8도는 본 발명에따라 절단된 컷팅블레이드가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컷팅블레이드의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절단된 각 단위 컷팅블레이드들(40A, 40B, 40C, 40D)이 연속적으로 맞닿아 이송함에 있어서, 특히 두 개의 단위 컷팅블레이드들(40A, 40C)에 형성된 립형상이 서로 접촉함이 없이 이송될 수 있는 것을 알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터구조와 이를 이용한 절단방법에 따라 절단된 컷팅블레이드의 단위부재들이 안내부재 속에서 이송될 때, 립(lip)이 형성된 부분이 서로 맞닿지 아니하므로써, 컷팅블레이드의 기울임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일정폭을 갖고 길게 연장되며, 상기폭의 일측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폭만큼 경사져서 단부가 칼날을 형성하는 칼날부와, 타측단부로부터 칼날부와 접하는 선까지로 구성된 몸체부로 이루어진 컷팅블레이드의 절단용 커터구조에 있어서,
    상기 컷팅블레이드와 접촉하기위한 단면형상이 상기 몸체부의 단부로부터 칼날부와 몸체부의 경계선 영역까지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된 제 1단부와, 상기 제 1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경계선으로부터 칼날부의 단부까지 내측으로 경사지게 구성된 제 2단부로 이루어진 일측단부; 및
    상기 일측단부로부터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폭을 갖되, 몸체부의 단부로부터 칼날부와 몸체부의 경계선 이내의 소정영역이 상기 제 1단부와 평행한 제 3단부와, 제 3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이 연장지점으로부터 칼날부의 단부까지는 상기 제 1단부 및 상기 제 3단부 사이의 폭보다 적어도 상기 제 1단부의 일직선 연장선과 상기 제 2단부의 끝단 사이의 폭 보다는 넓은 폭을 갖는 제 4단부로 이루어진 타측단부를 포함하는 제 1커터를 구비한 컷팅블레이드의 절단용 커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부의 경사각도는 상기 칼날부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컷팅블레이드의 절단용 커터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부의 양 끝 사이의 폭은 적어도 상기 제 2단부의 양 끝 사이의 폭보다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팅블레이드의 절단용 커터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커터와 대칭을 이루는 제 2커터를 더 포함하는 컷팅블레이드의 절단용 커터구조.
  5. 컷팅블레이드를 절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4항 기재의 제 1커터와 제 2커터를 상기 컷팅블레이드의 진행방향으로 나란히 배열하는 단계;
    상기 제 1커터 및 상기 제 2커터 중 어느하나로 상기 컷팅블레이드를 1차 절단하는 단계;
    1차 절단된 컷팅블레이드를 진행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동하는 단계; 및
    1차 절단단계에서 사용되지 아니한 커터로 컷팅블레이드를 2차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컷팅블레이드의 절단방법.
KR1019970021635A 1997-05-29 1997-05-29 컷팅블레이드의 절단용 커터구조 및 그 절단방법 KR100203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635A KR100203216B1 (ko) 1997-05-29 1997-05-29 컷팅블레이드의 절단용 커터구조 및 그 절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635A KR100203216B1 (ko) 1997-05-29 1997-05-29 컷팅블레이드의 절단용 커터구조 및 그 절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532A true KR19980085532A (ko) 1998-12-05
KR100203216B1 KR100203216B1 (ko) 1999-07-01

Family

ID=19507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1635A KR100203216B1 (ko) 1997-05-29 1997-05-29 컷팅블레이드의 절단용 커터구조 및 그 절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32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4405A2 (en) * 2007-07-26 2009-01-29 Hae Kyong You Domino wood mol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469B1 (ko) * 2007-08-21 2009-09-28 유해경 정밀 절단용 칼의 리핑 가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4405A2 (en) * 2007-07-26 2009-01-29 Hae Kyong You Domino wood mold
WO2009014405A3 (en) * 2007-07-26 2009-03-26 Hae Kyong You Domino wood mo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3216B1 (ko) 199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0680Y1 (ko) 전삭공구용 트로우 어웨이팁
US3383969A (en) Steel rule cutting dies
US5137396A (en) Cutoff tool
SE8202671L (sv) Sag samt sett att tillverka densamma
KR960033620A (ko) 스로어웨이 팁과 스로어웨이형 커터
AU7864781A (en) Cutting insert
GB2103148A (en) Saw blade with unset teeth
DE59506228D1 (de) Stanzmesser
KR100203216B1 (ko) 컷팅블레이드의 절단용 커터구조 및 그 절단방법
US4667409A (en) Wallpaper trimmer
KR850003695A (ko) 체인 커터용 커팅링크
WO1993002840A1 (en) Cutting blade
GB1440141A (en) Blades
KR960040525A (ko) 구멍 표면의 정밀 가공용 리머
US2989096A (en) Saw chain with a center scoring guide cutter
KR950006364B1 (ko) 인서트 팁
KR870000219A (ko) 화물운송 콘테이너
KR860000937A (ko) 원통형 섬유질 제조물의 길이방향 절단방법 및 장치
US5623977A (en) Chipper blade for chipper having radiused cutting edge
DE59107475D1 (de) Werkzeug zum Schneiden von Isolationsplatten, insbesondere solche aus Fasermaterial
CN219860197U (zh) 单梁起重机筋板及其坯材
US3376906A (en) Router cutter with relieved outer toe surface
FI69587B (fi) Omslipbart skaer foer traespaonskaerningsmaskiner
JPH10175199A (ja) 孔明けパンチ用刃
EP1240965A1 (en) A saw blade for wo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