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4747A - 로칼 시스템 - Google Patents

로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4747A
KR19980084747A KR1019970020617A KR19970020617A KR19980084747A KR 19980084747 A KR19980084747 A KR 19980084747A KR 1019970020617 A KR1019970020617 A KR 1019970020617A KR 19970020617 A KR19970020617 A KR 19970020617A KR 19980084747 A KR19980084747 A KR 19980084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operating program
flash memory
program
storag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0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1557B1 (ko
Inventor
김윤봉
Original Assignee
문정환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환,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정환
Priority to KR1019970020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1557B1/ko
Publication of KR19980084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4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5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22Microcontrol or microprogram arrangements
    • G06F9/26Address formation of the next micro-instruction ; Microprogram storage or retrieval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기억장치모듈에 저장된 운영프로그램에 따라 시스템을 동작시킨다. 이때, 에스램은 인터널 에스램으로서 운영프로그램에서 자주 사용되는 명령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캐쉬역할을 한다. 그리고 클럭발생부는 외부로부터의 클럭신호를 분주하여 시스템에 필요한 각종 클럭신호를 발생한다.이와같이 운영프로그램에 의해 동작상태가 된후, 예를들어 어떤 명령에 의해 호스트컴퓨터에서 데이터가 전송되어 오면 버퍼부는 그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이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기억장치모듈내의 시퀀스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버퍼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억장치모듈내 데이터영역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기억장치모듈로 플래쉬메모리를 예를들어 설명한다. 다수개의 기억장치가 있는 경우, 임의의 플래쉬메모리를 어드레싱에 의해 금지영역과 사용영역으로 나누어 금지영역은 일반 사용자가 이용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기 금지영역에 바로 운영프로그램과 시퀀스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를 전체 플래쉬메모리측에서 보면 플래쉬메모리내에 플래쉬메모리 셀만이 존재하고, 그 플래쉬메모리 셀을 어드레싱에 의해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이와같은 경우에는 금지영역이나 사용영역이나 모두 동일한 형태의 메모리가 된다. 그리고 이때는 운영프로그램을 수정해야 하는 경우 손쉽게 수정할 수 있다.그러나 운영프로그램이 수정할 필요 없이 안정되어 있다면 플래쉬메모리 셀밖의 주변영역에 롬을 별도로 구현하여 그 롬에 운영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운영프로그램과 시퀀스프로그램를 저장하는 하드웨어를 없앰으로써 전체적인 면적을 줄일 수 이써, 결과적으로 기억장치모듈의 영역을 크게할 수 있으면서도, 운영프로그램 및 시퀀스프로그램을 언제든지 수정할 수 있고, 구성소자가 줄어듬으로 인해 배선, 배치에 따른 문제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로칼 시스템
본 발명은 로칼 시스템에 관한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장치모듈내에 로칼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운영프로그램(Operating System)과 기억장치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시퀀스프로그램을 저장시키는데 적당 하도록 한 로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 로칼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스템을 총괄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와; 로칼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운영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이피롬(EPROM)(11)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출력하는 기억장치모듈(12)과; 상기 기억장치모듈(12)을 제어하기 위한 시퀀스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스테이트머신(13)과; 시스템에 필요한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발생부(14)와; 호스트컴퓨터와 로칼 시스템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부(15)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클럭발생부(14)에서 시스템에 필요한 클럭을 발생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그 클럭에 따라 시스템을 제어한다.
우선 시스템을 자체를 운영하기 위한 운영프로그램을 이피롬(11)으로부터 읽는다. 이와같이 운영프로그램에 의해 시스템이 동작상태가 되면, 호스트컴퓨터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호스트컴퓨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는 기억장치모듈(12)에 저장하는데, 그 저장방법은 스테이트머신(13)에 저장되어 있는 시퀀스프로그램에 따른다.
이때, 버퍼부(15)는 상기 로칼시스템과 호스트컴퓨터 사이에 주고받는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2는 종래 다른 로칼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스템을 총괄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1)와, 로칼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운영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마스크롬(22)과, 데이터의 저장/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시퀀스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스테이트머신(23)으로 이루어진 제어부(2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1)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출력하는 기억장치모듈(24)과; 시스템에 필요한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발생부(25)와; 호스트컴퓨터와 로칼 시스템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부(26)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동작은 도1과 동일하다. 다만,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운영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마스크롬 그리고 기억장치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시퀀스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스테이트머신을 원칩으로 구성하여 전체 면적을 줄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종래의 장치는 구성요소가 너무 많아 면적을 많이 차지하고, 이로인해 기억장치모듈의 영역이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면적을 줄이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마스크롬 그리고 스테이트머신을 원칩으로 만든 경우에는 운영프로그램 및 시퀀스프로그램을 수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억장치모듈내에 운영프로그램과 시퀀스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면적을 줄일 수 있고, 프로그램을 수정할 수도 있도록 한 로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로칼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 다른 로칼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시도.
도 4는 도3에 있어서, 기억장치모듈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5는 소프트웨어만으로 구성한 기억장치모듈을 나탄낸도.
도 6은 운영프로그램만을 롬으로 구성한 기억장치모듈을 나타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마이크로프로세서110 : 에스램
200 : 기억장치모듈300 : 클럭발생부
400 : 버퍼부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로칼 시스템은 시스템을 총괄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로칼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운영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출력하기 위한 시퀀스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출력하는 메모리수단과; 시스템에 필요한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발생수단과; 호스트컴퓨터와 로칼 시스템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수단으로 구성한다.
상기 메모리수단은 어드레싱에 의해 소정영역을 운영프로그램영역과 시퀀서프로그램영역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영역은 데이터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관하여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시스템을 총괄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0)와; 로칼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운영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출력하기 위한 시퀀스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출력하는 기억장치모듈(200)과; 시스템에 필요한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발생부(300)와; 호스트컴퓨터와 로칼 시스템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부(400)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0)내에 자주쓰는 명령어를 임시 저장하는 에스램(110)을 설치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마이크로프로세서(100)는 기억장치모듈(200)에 저장된 운영프로그램에 따라 시스템을 동작시킨다.
이때, 에스램(110)은 인터널 에스램(110)으로서 운영프로그램에서 자주 사용되는 명령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캐쉬역할을 한다.
그리고 클럭발생부(300)는 외부로부터의 클럭신호를 분주하여 시스템에 필요한 각종 클럭신호를 발생한다.
이와같이 운영프로그램에 의해 동작상태가 된후, 예를들어 어떤 명령에 의해 호스트컴퓨터에서 데이터가 전송되어 오면 버퍼부(400)는 그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버퍼부(400)의 크기는 호스트컴퓨터와 로칼 시스템 사이에 주고받는 데이터 사이즈보다 커야 한다.
이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0)는 기억장치모듈(200)내의 시퀀스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버퍼부(400)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억장치모듈(200)내 데이터영역에 저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전체적인 동작흐름은 종래와 동일하다. 다만 운영프로그램과 시퀀스프로그램을 기억장치모듈(200)에 저장한다는 것이 다르다.
그러면 상기 기억장치모듈(200)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기억장치모듈(200)은 여러 가지 메모리 중에서 본 발명에서는 플래쉬메모리를 예를들어 설명한다.
상기 플래쉬메모리는 데이터를 리드(READ), 라이트(WRITE) 및 이레이즈(ERASE)가 가능한 메모리 이다.
다수개의 기억장치가 있는 경우, 임의의 플래쉬메모리를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어드레싱에 의해 금지영역(FOBIDDEN AREA)과 사용영역(USABLE AREA)으로 나누어 금지영역은 일반 사용자가 이용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기 금지영역에 바로 운영프로그램과 시퀀스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 금지영역은 사이즈가 제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운영프로그램과 시퀀스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을 정도의 사이즈로 설정한다.
다시말하면 어드레스#0 ~ 어드레스#n 까지 원하는 만큼을 금지영역으로 설정하면 된다.
이를 전체 플래쉬메모리측에서 보면 도5에 도시한 바와같이 플래쉬메모리내에 플래쉬메모리 셀만이 존재하고, 그 플래쉬메모리 셀을 어드레싱에 의해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경우에는 금지영역이나 사용영역이나 모두 동일한 형태의 메모리가 된다. 그리고 이때는 운영프로그램을 수정해야 하는 경우 손쉽게 수정할 수 있다.
그러나 운영프로그램이 수정할 필요 없이 안정되어 있다면 도6에 도시한 바와같이 플래쉬메모리 셀밖의 주변영역에 롬을 별도로 구현하여 그 롬에 운영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다.
물론 이때, 시퀀스프로그램은 플래쉬메모리 셀영역에 저장해 놓는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운영프로그램과 시퀀스프로그램를 저장하는 하드웨어를 없앰으로써 전체적인 면적을 줄일 수 이써, 결과적으로 기억장치모듈의 영역을 크게할 수 있으면서도, 운영프로그램 및 시퀀스프로그램을 언제든지 수정할 수 있고, 구성소자가 줄어듬으로 인해 배선, 배치에 따른 문제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시스템을 총괄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0)와; 로칼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운영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출력하기 위한 시퀀스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출력하는 메모리수단과; 시스템에 필요한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발생수단과; 호스트컴퓨터와 로칼 시스템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칼 시스템.
  2. 상기 메모리수단은 어드레싱에 의해 소정영역을 운영프로그램영역과 시퀀서프로그램영역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영역은 데이터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칼 시스템.
KR1019970020617A 1997-05-26 1997-05-26 로칼시스템 KR100261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617A KR100261557B1 (ko) 1997-05-26 1997-05-26 로칼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617A KR100261557B1 (ko) 1997-05-26 1997-05-26 로칼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747A true KR19980084747A (ko) 1998-12-05
KR100261557B1 KR100261557B1 (ko) 2000-07-15

Family

ID=19507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0617A KR100261557B1 (ko) 1997-05-26 1997-05-26 로칼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155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1557B1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2683B2 (en) Multi-port memory device for buffering between hosts and non-volatile memory devices
US7227777B2 (en) Mode selection in a flash memory device
KR100395732B1 (ko) 반도체 기억장치
KR940002755B1 (ko) 1칩 마이크로 컴퓨터
US6523755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968435B2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000013842A (ko) 동기형 램 장치와 시스템 버스를 공유하는 동기형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소거 및 쓰기 방법
JPS63163937A (ja) メモリ制御装置
KR100212142B1 (ko) 매크로 명령기능을 가진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장치와 매크로 명령의 저장 및 실행방법
JP2784550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20060009446A (ko) 프로세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KR100261557B1 (ko) 로칼시스템
US20020062428A1 (en) Synchronous dram utilizable as shared memory
KR900005315A (ko) 데이타 처리시스템의 개발방법 및 데이타 처리용 반도체 집적회로
KR100288417B1 (ko) 동기형 반도체 기억 장치
KR920010468A (ko) 싱글칩.마이크로컴퓨우터 및 그것을 내장한 전자기기
KR100199477B1 (ko) 절약된 메모리를 갖는 전자제어 시스템 및 메모리 절약 방법
JP2969896B2 (ja) Ramのデータ書き込み制御方法
KR100388207B1 (ko) 플래시 메모리 컨트롤러
KR930009061B1 (ko) 메모리 억세스 장치
KR20030062070A (ko) 플래시 메모리 액세스 제어 장치 및 방법
JPH05108470A (ja) 半導体記憶装置の初期化回路
KR20090007122A (ko) 보안기능을 갖는 레지스터 및 이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
JP2000047943A (ja) メモリ保護システム
KR20000009429A (ko)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메모리 어드레스 발생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