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4314A - 전기 집진기의 전원 인가 구조 - Google Patents

전기 집진기의 전원 인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4314A
KR19980084314A KR1019970020076A KR19970020076A KR19980084314A KR 19980084314 A KR19980084314 A KR 19980084314A KR 1019970020076 A KR1019970020076 A KR 1019970020076A KR 19970020076 A KR19970020076 A KR 19970020076A KR 19980084314 A KR19980084314 A KR 19980084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dust collecting
case
supply structur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0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0736B1 (ko
Inventor
김재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20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0736B1/ko
Publication of KR19980084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4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집진 모듈을 사용하는 전기 집진기의 전원 인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집진 모듈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단자 바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 집진기의 전원 인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2 집진 모듈(52, 53)이 각각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제 1, 2 챔버(1, 2)가 형성되고 통기공(3)이 형성된 케이스(4)와, 상기한 케이스(4)에 결합되어 제 1, 제 2 집진 모듈(52, 53)의 전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통기공(5)이 형성된 커버(6)와, 상기한 제 1, 2 집진 모듈(52, 53)을 케이스(4)에 수납할 때 제 1, 2 집진 모듈(52, 53)의 +, - 단자(50, 51)를 외부로 인출함과 아울러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된 전원 공급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집진기의 전원 인가 구조
본 발명은 전원 인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집진 모듈을 사용하는 전기 집진기의 전원 인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중의 먼지 등을 제거하여 청정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하여 전기 집진기등과 같은 공기 청정기가 사용된다.
상기한 전기 집진기는 전기 집진 방식을 사용한 공기 청정기로서 공기중의 먼지등을 흡입하여 소작시키게 된다.
즉, 전기로 먼지 등을 태워 없애게 되는 바, 상기한 소작 용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일정 용량을 가진 전기 집진 모듈을 여러개 병렬 연결하여 조절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집진 모듈을 가진 전기 집진기는 각 모듈간 전원이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 바,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 - 단자(50, 51)가 각각 형성된 제 1, 2 모듈(52, 53)과, 상기한 +, - 단자(50, 51)기리 연결됨과 아울러 전원(P)과 연결되는 연결 단자(54)가 연결되는 전선(55)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전선(55)과 +, -, 연결 단자(50, 51, 54)는 납땜등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전기 집진기는 동작 시 전원(P)이 연결 단자(54)와 전선(55)을 통해 제 1, 2 집진 모듈(52, 53)의 +, - 단자(50, 51)에 인가되고, 제 1, 2 집진 모듈(52, 53)이 동시에 동작함으로써 하나의 지진 모듈 사용할 때에 비해 2배의 집진 용량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집진 모듈을 연결하여 병렬 사용시 전선과 각 집진 모듈의 +, - 단자 그리고 연결 단자를 연결하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작업 능률이 저하되고, 연결시 +, - 단자가 바뀌는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집진 모듈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단자 바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 집진기의 전원 인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2 집진 모듈이 각각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제 1, 2 챔버가 형성되고 통기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한 케이스에 결합되어 제 1, 2 집진 모듈의 전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통기공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한 제 1, 2 집진 모듈을 케이스에 수납할 때 제 1, 2 집진 모듈의 +, - 단자를 외부로 인출함과 아울러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된 전원 공급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기의 전원 인가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평단면도,
도 3 은 도 1 의 정단면도,
도 4는 일반적인 전기 집진기의 전원 연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1 챔버 2 : 제 2 챔버
3, 5 : 통기공4 : 케이스
6 : 커버7 : 고정공
8 : 날개부9 : 연결선
10 : 음극 단자11 : 돌출공
12 : 굴곡부13 : 아암
14 : 양극 단자15 : 지지부
16 : 접촉 돌기17 : 양극 연결 단자
18 : 음극 연결 단자19 : 외부 커버
도 1과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기의 전원 인가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와 평면도와 정단면도로서, 제 1, 2 집진 모듈(52, 53)이 각각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제 1, 2 챔버(1, 2)가 형성되고 통기공(3)이 형성된 케이스(4)와, 상기한 케이스(4)에 결합되어 제 1, 제 2 집진 모듈(52, 53)의 전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통기공(5)이 형성된 커버(6)와, 상기한 제 1, 2 집진 모듈(52, 53)을 케이스(4)에 수납할 때 제 1, 2 집진 모듈(52, 53)의 +, - 단자(50, 51)를 외부로 인출함과 아울러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된 전원 공급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전원 공급 수단은 전원(P)의 +, - 전류를 각각 공급하도록 양극 공급 수단과 음극 공급 수단으로 구분되는 바, 상기한 음극 공급 수단은 케이스(4)의 변에 형성되어 외부와 관통된 고정공(7)과, 상기한 고정공(7)에 삽입됨과 아울러 날개부(8)가 내,외부로 돌출되어 내측에서 제 1, 2 집진 모듈(52, 53)의 -단자(51)와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연결선(9)으로 전체 연결되어 있는 음극 단자(1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양극 공급 수단은 커버(6)에 형성된 돌출공(11)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부(12)가 형성됨과 아울러 제1, 2 집진모듈(52, 53)의 + 단자(50)에 접촉되도록 아암(13)이 연장된 양극 단자(14)와, 상기한 아암(13)의 위치 고정을 위해 커버(6)의 내면에 형성된 지지부(15)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양극 단자(14)의 아암(13) 종단 즉, 제 1, 2 집진 모듈(52, 53)의 + 단자(50)와 접촉되는 부분에는 접촉 능률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접촉 돌기(1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케이스(4)와 커버(6)의 결합시 외부로 양극, 음극 단자(14, 10)가 돌출되어도 여기에 전원(P)을 납땜등으로 연결해야 하는 바, 상기한 케이스(4)와 커버(6)의 결합체를 삽입시키면 전원 연결이 가능하도록 외부 전원 인가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외부 전원 인가 수단은 외부 전원(P)과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4)와 커버(6) 결합체 삽입 시 양극, 음극 단자(14, 10)와 밀착되도록 양극, 음극 연결 단자(17, 18)가 형성된 U형의 외부 커버(19)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 1, 2 집진 모듈(52, 53)이 결합된 케이스(4)와 커버(6)를 상기한 외부 커버(19)에 삽입하게 되면 작업자가 전극 연결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작업자가 +, - 단자(50, 51)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2 집진 모듈(52, 53)을 케이스(4)의 제1, 2 챔버(1, 2)에 삽입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한 케이스(4)의 고정공(7)에는 음극 단자(10)가 삽입되어 나사등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제 1, 2 집진 모듈(52, 53)의 삽입 시 음극 단자(10)의 날개부(8)가 상기한 -단자(51)와 밀착된 상태가 된다.
특히, 상기한 날개부(8)는 소정의 탄성을 갖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한 접촉이 매우 견고하게 유지된다.
케이스(4)에 제 1, 2 집진 모듈(52, 53)이 삽입되면서 제 1, 2 집진 모듈(52, 53)의 - 단자(51)가 음극 단자(10)에 의해 연결되면 연결선(9)으로 전체 -단자(51)가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한 커버(6)의 돌출공(11)에 양극 단자(14)의 굴곡부(12)를 삽입시킴과 아울러 상기한 지지부(15)에 양극 단자(14)의 아암(13)을 삽입시켜 고정시키게 된다.
양극 단자(14)가 고정된 커버(6)를 케이스(4)에 밀착시킴과 아울러 나사등으로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한 제 1, 2 집진 모듈(52, 53)의 +단자(50)가 아암(13)의 접촉 돌기(16)와 접촉되면서 전체 +단자(50)가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2 집진 모듈(52, 53)과 커버(6) 그리고 케이스(4)가 결합된 결합체를 외부 커버(19)에 삽입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결합체의 외부에는 양극, 음극 단자(14, 10)가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부 커버(19)에 결합체가 삽입되면 상기한 양극, 음극 단자(14, 10)가 외부 커버(19)에 형성된 양극, 음극 연결 단자(17, 18)에 밀착된다.
양극, 음극 연결 단자(17, 18)에 양극, 음극 단자(14, 10)가 연결되면 외부 전원(P)이 인가되는 상태가 되는 바, 작업자가 납땜등 복잡한 작업을 하지 않고도 연결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작업자가 종래와 같이 복잡한 선을 연결할 때 다른 곳에 연결하는 불량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케이스와 커버에 양극, 음극 단자를 형성한 후 제 1, 2 집진 모듈을 삽입시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한 제 1, 2 집진 모듈과 커버 그리고 케이스가 연결된 결합체를 전원과 연결된 외부 커버에 삽입시켜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연결 작업이 매우 단순화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제 1, 2 집진 모듈이 각각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제 1, 2 챔버가 형성되고 통기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한 케이스에 결합되어 제 1, 제 2 집진 모듈의 전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통기공이 형성된 커버, 상기한 제 1, 2 집진 모듈을 케이스에 수납할 때 제 1, 2 집진 모듈의 +, - 단자를 외부로 인출함과 아울러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된 전원 공급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기의 전원 인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원 공급 수단은 전원의 +, - 전류를 각각 공급하도록 양극 공급 수단과 음극 공급 수단으로 구분하여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기의 전원 인가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음극 공급 수단은 케이스의 변에 형성되어 외부와 관통된 고정공과, 상기한 고정공에 삽입됨과 아울러 날개부가 내,외부로 돌출되어 내측에서 제 1, 2 집진 모듈의 - 단자와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연결선으로 전체 연결되어 있는 음극 단자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기의 전원 인가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양극 공급 수단은 커버에 형성된 돌출공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제 1, 2 집진 모듈의 + 단자에 접촉되도록 아암이 연장된 양극 단자와, 상기한 아암의 위치 고정을 위해 커버의 내면에 형성된 지지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기의 전원 인가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제 1, 2 집진 모듈의 + 단자와 접촉되는 부분에는 접촉 능률을 증대시키기 위해 양극 단자의 종단에 형성된 접촉 돌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기의 전원 인가 구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케이스와 커버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삽입시켜 접촉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된 외부 전원 인가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기의 전원 인가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외부 전원 인가 수단은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와 커버 결합체 삽입 시 양극, 음극 단자와 밀착되도록 양극, 음극 연결 단자가 형성된 외부 커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기의 전원 인가 구조.
KR1019970020076A 1997-05-22 1997-05-22 전기 집진기의 전원 인가 구조 KR100220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076A KR100220736B1 (ko) 1997-05-22 1997-05-22 전기 집진기의 전원 인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076A KR100220736B1 (ko) 1997-05-22 1997-05-22 전기 집진기의 전원 인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314A true KR19980084314A (ko) 1998-12-05
KR100220736B1 KR100220736B1 (ko) 1999-09-15

Family

ID=19506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0076A KR100220736B1 (ko) 1997-05-22 1997-05-22 전기 집진기의 전원 인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07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135B1 (ko) * 2018-07-12 2023-03-2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전기 집진 필터
KR102623665B1 (ko) * 2018-11-16 2024-01-1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전기 집진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0736B1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322647A (ja) 二次電池モジュール
WO2004060410A3 (en) Plasma air dust collector
US5945235A (en) Battery holder
KR100220736B1 (ko) 전기 집진기의 전원 인가 구조
JP2753332B2 (ja) 電気集塵式空気清浄器
CN215644776U (zh) 电池包结构
ATE279796T1 (de) Mehrteilige elektrische anschlussbuchse
JPH074797Y2 (ja) 直流除電器
JP2006196187A (ja) ランプソケット
CN217715415U (zh) 一种空气净化设备及通风系统
CN212486995U (zh) 一种vpx背板
CN214625303U (zh) 一种组合电池
CN217158888U (zh) 5.5mw滑环
CN218276126U (zh) 一种易于连接的充电宝pcba板
CN210511110U (zh) 一种led模组及照明装置
JPH0143906Y2 (ko)
CN210897655U (zh) 接地结构及具有接地结构的装置
CN217848564U (zh) 弹性接触供电结构、磁吸轨道线性灯及照明设备
CN217239890U (zh) 一种新型的led灯具连接器
CN214065210U (zh) 一种用于空气净化器的等离子发生器
CN210979767U (zh) 一种免焊接的led连接器
KR200181192Y1 (ko) 충전용 진공청소기의 충전플러그
CN218819725U (zh) 一种led灯带电源接驳器
CN218603701U (zh) 一种卡接式离子风机放电机构
CN215221075U (zh) 一种导电簧片以及引脚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