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4250A - 자동차의 역전류방지용 다이오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역전류방지용 다이오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4250A
KR19980084250A KR1019970019968A KR19970019968A KR19980084250A KR 19980084250 A KR19980084250 A KR 19980084250A KR 1019970019968 A KR1019970019968 A KR 1019970019968A KR 19970019968 A KR19970019968 A KR 19970019968A KR 19980084250 A KR19980084250 A KR 19980084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ode
terminal
lower tie
pair
termina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9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환수
Original Assignee
조환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환수 filed Critical 조환수
Priority to KR1019970019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84250A/ko
Publication of KR19980084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4250A/ko

Link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휴즈 박스 등에 착탈가능하게 내장되어 전류의 인가시 역전류가 흐르는 현상의 방지역할을 하는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가의 설비를 구비하지 않고도 삽입식 다이오드의 제조가 가능해지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터미널 블레이드(13a)(13b)와 다이오드 터미널선 고정부(12)가 한쌍의 상,하부 타이 바(14a)(14b)(14c)(14d)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판상의 스트립(11)을 펀칭함과 동시에 다이오드 터미널선 고정부(12)를 내향 절곡하는 단계와, 상기 한쌍의 터미널 블레이드(13a)(13b)사이에 다이오드 소자(5)를 위치시켜 다이오드 터미널선(5a)이 내향 절곡부위(15)에 삽입되도록 한 다음 압착하여 다이오드 터미널선(5a)을 다이오드 터미널선 고정부(12)에 고정함과 동시에 한쌍의 터미널 블레이드(13a)(13b)를 연결하고 있는 하부 타이 바(14b)를 제외한 나머지 상,하부 타이 바(14a)(14c)(14d)를 절단하여 다이오드 어셈블리(16)를 얻는 단계와, 상기 다이오드 소자(5)를 몰딩하여 하우징(2)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터미널 블레이드(13a)(13b)를 연결하고 있던 하부 타이 바(14b)를 절단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완성된 다이오드(1)를 얻는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역전류방지용 다이오드 제조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의 휴즈 박스 등에 착탈가능하게 내장되어 전류의 인가시 역전류가 흐르는 현상의 방지역할을 하는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고가의 설비를 구비하지 않고도 삽입식 다이오드의 제조가 가능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이오드는 회로상에 설치되어 전류를 일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역할을 하는데, 근래에는 도 1과 같은 삽입식 다이오드가 개발되어 자동차에 적용되고 있다.
상기한 삽입식 다이오드(1)는 부도체인 하우징(2)의 외부로 2개의 터미널 블레이드(3a)(3b)가 노출되도록 성형하기 전에 터미널 블레이드와 연장되어 하우징(2)에 몰딩되는 마운팅 부위(4)에 다이오드 소자(5)를 고정한다.
도 2는 종래의 다이오드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종래의 다이오드를 제조하는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와 같이 두루마리형태로 권회된 스트립(strip)(6)을 펀칭(punching)하여 마운팅 부위(4)를 갖는 2개의 터미널 블레이드(3a)(3b)를 형성한다.
상기 터미널 블레이드(3a)(3b)는 컨넥팅 링크(7)에 의해 스트립의 타이 바(8)에 각각 격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일측의 터미널 블레이드(3a)는 마운팅부위(4)보다 상향 돌출되게 성형된다.
이는, 마운팅부위(4)에 고정되는 다이오드 소자(5)가 몰딩된 상태에서 하우징(2)의 중심부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스트립(6)의 외곽부위에는 자동화 공정에서 적합한 이송장치에 의해 스트립을 이송시킴과 동시에 금형의 다이(die)내부에서의 가공을 유도하는 각종 장치에서 위치결정핀이 삽입되는 구멍(9)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펀칭된 스트립(6)은 이송장치에 의해 1스탭 이송되어 도면상 우측에 위치하는 터미널 블레이드(3b)를 다른 일측의 터미널 블레이드(3a)와 90°위상차를 갖도록 절곡한다.
도 3a에서는 스트립(6)을 펀칭하여 한쌍의 터미널 블레이드(3a)(3b)를 형성함과 동시에 일측의 터미널 블레이드(3b)를 절곡한 상태를 구분하여 동시에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일측의 터미널 블레이드(3b)를 절곡한 상태에서 스트립(6)이 다음 공정으로 자동이송되면 도 3b와 같이 마운팅부위(4)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0)에 다이오드 소자(5)를 위치시켜 상기 다이오드 소자의 다이오드 터미널선(5a)이 마운팅부위(4)에 접속되도록 한다.
그후, 상기 다이오드 터미널선(5a)을 마운팅부위(4)에 납땜 또는 용접 고정작업을 실시하여 다이오드 소자(5)를 마운팅부위(4)에 고정한다.
상기한 동작에 따라 마운팅부위(4)에 다이오드 소자(5)가 고정되고 나면 이송장치에 의해 스트립(6)을 몰드금형의 내부로 이송시켜 수지물로 몰딩을 실시하므로써, 도 3c와 같이 하우징(2)이 형성된다.
이때 한쌍의 터미널 블레이드(3a)(3b)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3d는 몰딩공정 완료후 타이 바(8)로부터 마운팅부위(4)를 연결하는 컨넥팅 링크(7)들을 절단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라 하우징(2)의 양측으로 컨넥팅 링크(7)의 잔유물인 테스트 포인트(7a)가 노출된 완성품을 얻게 된다.
즉, 하우징(2)의 양측으로 노출된 테스트 포인트(7a)를 이용하여 완성된 다이오드(1)의 테스트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모든 공정이 자동화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대량 생산에는 잇점이 있으나, 자동화공정에 따른 초기 설비 투자비가 엄청나게 많이 소요되므로 다이오드를 주로 생산하는 중소기업에서는 거의 실현 불가능하다.
둘째, 스트립에서 사용하지 못하고 폐기되는 부분이 너무 많아 생산원가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된다.
셋째, 다이오드 소자를 평면상태의 마운팅부위에 납땜 또는 용접 고정하므로 별도의 설비가 필요하게 됨은 물론 고정 완료후에도 접합상태가 불량한 경우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쉽게 단락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제조방법을 개선하여 저렴한 설비비를 투자하고도 다이오드를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이오드 터미널선을 마운팅부위에 기계적으로 고정하여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이들이 단락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터미널 블레이드와 다이오드 터미널선 고정부가 한쌍의 상,하부 타이 바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판상의 스트립을 펀칭함과 동시에 다이오드 터미널선 고정부를 내향 절곡하는 단계와, 상기 한쌍의 터미널 블레이드사이에 다이오드 소자를 위치시켜 다이오드 터미널선이 내향 절곡부위에 삽입되도록 한 다음 압착하여 다이오드 터미널선을 다이오드 터미널선 고정부에 고정함과 동시에 한쌍의 터미널 블레이드를 연결하고 있는 하부 타이 바를 제외한 나머지 상,하부 타이 바를 절단하여 다이오드 어셈블리를 얻는 단계와, 상기 다이오드 어셈블리를 몰드 금형내에 위치시킨 다음 다이오드 소자를 몰딩하여 하우징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터미널 블레이드를 연결하고 있던 하부 타이 바를 절단하여 완성된 다이오드를 얻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역전류방지용 다이오드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다이오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이오드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3a 내지 도 3d는 종래의 다이오드를 제조하는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이오드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다이오드를 제조하는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이오드2 : 하우징
5 : 다이오드 소자5a : 다이오드 터미널선
11 : 스트립12 : 다이오드 터미널선 고정부
13a,13b : 터미널 블레이드14a,14b,14c,14d : 타이 바
15 : 내향 절곡부위16 : 다이오드 어셈블리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4 및 도 5a 내지 도 5d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이오드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다이오드를 제조하는 공정도로써, 본 발명은 판상의 스트립(11)을 펀칭하여 도 5a와 같이 다이오드 터미널선 고정부(12)가 연장되게 형성되는 터미널 블레이드(13a)(13b)를 연속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이들이 한쌍의 상,하부 타이 바(14a)(14b)(14c)(14d)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스트립(11)을 펀칭하여 터미널 블레이드(13a)(13b)를 형성할 때 다이오드 터미널선 고정부(12)의 간격이 다이오드 소자(5)의 길이보다 최소한 같거나, 약간 넓게 설정한다.
이는, 후공정에서 다이오드 터미널선 고정부(12)사이에 다이오드 소자(5)를 위치시켜 다이오드 터미널선(5a)을 내향 절곡부위(15)에 고정시킬 때 다이오드 소자(5)의 로딩이 용이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다이오드 터미널선 고정부(12)사이에서 다이오드 소자(5)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트립(11)이 도 5a의 좌측에 위치된 형상으로 펀칭되고 나면 이를 금형내에서 1스탭 이송시켜 도 5a의 우측에 위치된 형상과 같이 각 다이오드 터미널선 고정부(12)를 내향 절곡하여 내향 절곡부위(15)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가공된 스트립(11)은 상,하부 타이 바(14a)(14b)(14c)(14d)에 의해 상,하부가 지지되므로 공정간에 이송시 또는 롤형태로 권취하여 보관 및 작업시 터미널 블레이드(13a)(13b)사이의 간격(P)이 가변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업이 완료되면 한쌍의 다이오드 터미널선 고정부(12)사이에 다이오드 소자(5)를 위치시켜 다이오드 터미널선(5a)이 내향 절곡부위(15)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내향 절곡부위(15)에 다이오드 터미널선(5a)이 삽입되고 나면 내향 절곡부위(15)를 압착하여 다이오드 터미널선(5a)을 다이오드 터미널선 고정부(12)에 고정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시 한쌍의 터미널 블레이드(13a)(13b)를 연결하고 있는 하부 타이 바(14b)를 제외한 나머지 상,하부 타이 바(14a)(14c)(14d)를 절단하여 도 5b와 같은 각각의 다이오드 어셈블리(16)를 얻는다.
이와 같이 얻어진 단위 다이오드 어셈블리(16)를 작업자가 취합하여 몰드 금형내에 인써트(insert)시킨 다음 사출작업을 실시하면 한쌍의 터미널 블레이드(13a)(13b)를 제외한 나머지부분이 몰딩되어 도 5c와 같은 하우징(2)이 형성된다.
즉, 다이오드 터미널선 고정부(12)에 의해 고정된 다이오드 소자(5)가 밀봉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도 5c와 같이 사출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이를 프레스 금형에서 펀칭작업을 실시하여 한쌍의 터미널 블레이드(13a)(13b)를 연결하고 있던 나머지 하부 타이 바(14b)를 절단하므로써, 도 5d와 같은 완성된 다이오드(1)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방법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프레스 금형 및 사출금형만을 구비하면 다이오드를 대량 생산할 수 있으므로 초기 설비투자비가 적게 소요되므로 자금력이 풍부하지 않은 중소기업에서도 실시가능하다.
둘째, 고가의 스트립으로부터 절단되어 버려지는 부위가 종래의 방법에 비해, 적어 원자재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되므로 생산원가를 최소화하게 된다.
셋째, 다이오드 터미널선을 다이오드 터미널 고정부의 내향 절곡부위에 의해 기계적으로 고정하므로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다이오드 터미널선이 단락될 염려가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을 극대화시키게 된다.

Claims (2)

  1. 터미널 블레이드와 다이오드 터미널선 고정부가 한쌍의 상,하부 타이 바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판상의 스트립을 펀칭함과 동시에 다이오드 터미널선 고정부를 내향 절곡하는 단계와, 상기 한쌍의 터미널 블레이드사이에 다이오드 소자를 위치시켜 다이오드 터미널선이 내향 절곡부위에 삽입되도록 한 다음 압착하여 다이오드 터미널선을 다이오드 터미널선 고정부에 고정함과 동시에 한쌍의 터미널 블레이드를 연결하고 있는 하부 타이 바를 제외한 나머지 상,하부 타이 바를 절단하여 다이오드 어셈블리를 얻는 단계와, 상기 다이오드 어셈블리를 몰드 금형내에 위치시킨 다음 다이오드 소자를 몰딩하여 하우징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터미널 블레이드를 연결하고 있던 하부 타이 바를 절단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완성된 다이오드를 얻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역전류방지용 다이오드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스트립을 펀칭하여 터미널 블레이드를 형성할 때 다이오드 터미널 고정부의 간격이 다이오드 소자의 길이와 같거나, 넓게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역전류방지용 다이오드 제조방법.
KR1019970019968A 1997-05-22 1997-05-22 자동차의 역전류방지용 다이오드 제조방법 KR199800842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9968A KR19980084250A (ko) 1997-05-22 1997-05-22 자동차의 역전류방지용 다이오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9968A KR19980084250A (ko) 1997-05-22 1997-05-22 자동차의 역전류방지용 다이오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250A true KR19980084250A (ko) 1998-12-05

Family

ID=65990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9968A KR19980084250A (ko) 1997-05-22 1997-05-22 자동차의 역전류방지용 다이오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842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58926A (en) Electrical circuit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0994639B1 (en) Lattice-shaped circuit board
EP1127399B1 (de) Vorrichtung zum wandeln von elektrischer in mechanische energie und/oder umgekehrt sowie ein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olchen vorrichtung
US4177439A (en) Reed relay and method of assembly
JP2000012170A (ja) 機器用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96893B1 (ko) 전기 단자 및 단자 모듈 제조 방법
US6443737B2 (en)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ion box having the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king the circuit board
KR19980084250A (ko) 자동차의 역전류방지용 다이오드 제조방법
US20100190360A1 (en) Fuse box and method of making a fuse box
EP0783778B1 (de) Stecker für gasgeneratoren von gassack-aufprall-schutzeinrichtungen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KR100527853B1 (ko) 퓨즈 제조 방법
US7497011B2 (en) Hoop molding method
JP2617218B2 (ja) 半導体部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に使用するリードフレーム
US5317189A (en) Axial lead frame
US5288943A (en) Method of providing bends in electrical leads, and articles made thereby
JP3562431B2 (ja) 大型バスバーの製造方法
JP2699163B2 (ja) パルストランスの製造方法
CN112310782B (zh) 用于制造插接桥的方法和设备
DE2426157A1 (de) Halbleiter-halter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KR200393140Y1 (ko) 퓨즈 제조용 프레스 성형품
KR100241256B1 (ko) 자동차의 역전류방지용 다이오드 제조방법
EP0930676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ederleisten, Stiftwannen und dergleichen Steckverbindern
JP2876713B2 (ja) スイッチの製造方法
JP2007215373A (ja) 自動車用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EP0959528A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Crimpverbind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