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2039A - 엘리베이터용 스토킹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스토킹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2039A
KR19980082039A KR1019980033378A KR19980033378A KR19980082039A KR 19980082039 A KR19980082039 A KR 19980082039A KR 1019980033378 A KR1019980033378 A KR 1019980033378A KR 19980033378 A KR19980033378 A KR 19980033378A KR 19980082039 A KR19980082039 A KR 19980082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alarm
switch
door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3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6301B1 (ko
Inventor
윤주린
Original Assignee
윤주린
주식회사 라성인테리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주린, 주식회사 라성인테리어 filed Critical 윤주린
Priority to KR1019980033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301B1/ko
Publication of KR19980082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2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3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스토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엘리베이터 내에서 발생된 위급상황(강도, 치한, 도둑 등에 의한 범죄)을 주변사람과 관리인에게 신속하게 알려주고, 위급상황이 발생한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관리인에게 표시하여 줌과 동시에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열리지 않으면서 1층으로 이동하도록 하므로서, 엘리베이터 내에서 발생된 위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하여 탑승자가 강도, 치한, 도둑으로 부터 피해를 입지않도록 함은 물론 범죄자를 손쉽게 체포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스토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스토킹 시스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스토킹 시스템(Stalking System)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엘리베이터 내에서 발생된 위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하여 탑승자가 강도, 치한, 도둑으로 부터 피해를 입지않도록 함은 물론 범죄자를 손쉽게 체포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스토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람들이 많이 운집하고 있는 백화점이나 아파트의 엘리베이터 내부나 대중교통 수단인 지하철, 버스안에서 혼잡함을 이용한 범죄(성추행, 절도 등)가 날로 늘어나고 있다.
이에따라 대형 백화점이나 그밖에 사람들이 많이 운집하는 곳에서는 혼잡함을 이용한 범죄를 방지 및 감시하고자 CCTV를 여러곳에 설치하여 감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같이 사람들이 운집한 곳 특히, 엘리베이터에 CCTV를 설치하면 범죄를 어느정도 줄일 수는 있으나, CCTV 모니터를 항상 관찰해야 하므로 별도의 추가 인원이 필요하게 됨은 물론 고가의 CCTV를 설치함에 따라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CCTV를 통해 범죄행위를 포착하였다 하더라도 범죄자를 잡기 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리기 마련이며, 때에 따라서는 범죄자를 놓치는 일도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CCTV가 계속해서 일정공간을 촬영하기 때문에 어떤 사람들은 사생활이 노출되게 되는 등 사생활 침해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내에서 발생된 위급상황(강도, 치한, 도둑 등에 의한 범죄)을 주변사람과 관리인에게 신속하게 알려주고, 위급상황이 발생한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관리인에게 표시하여 줌과 동시에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므로서, 엘리베이터 내에서 발생된 위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하여 탑승자가 강도, 치한, 도둑으로 부터 피해를 입지않도록 함은 물론 범죄자를 손쉽게 체포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스토킹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대형 건물이나 아파트에 여러대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내부에 각각 설치되며, 작동하여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복수개의 경보스위치와;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의 1층 승강장 외벽면에 설치되며, 작동하여 경보해제 신호를 발생하는 복수개의 경보해제 스위치와;
상기 경보스위치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소정의 경보 메세지를 출력하는 음성발생부와;
엘리베이터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음성발생부에서 출력된 경보매세지를 소리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제 1 스피커와;
경보신호가 발생된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판과, 경보발생 표시용 경보등과, 상기 음성발생부에서 출력된 경보 메세지를 출력하는 제 2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관리인에게 엘리베이터에서의 위급상황 발생 및 위급상황이 발생된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정확히 표시해주는 감시수단과;
경보스위치가 작동하면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잠기면서 엘리베이터가 1층으로 하강하도록 엘리베이터 콘트롤회로를 제어하고, 이후 경보해제 스위치가 작동하면 도어가 열림과 동시에 엘리베이터가 정상 작동되도록 엘리베이터 콘트롤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내부도어와 1층 승강장의 외부도어에 각각 투시경을 설치하되 상기 투시경은 외부에서 엘리베이터 내부를 자세히 볼 수 있도록 확대렌즈로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스토킹 시스템을 보인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감시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3 은 경보스위치와 감시수단간의 연결상태를 보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제어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
도 5 는 엘리베이터의 내부를 보인 도면.
도 6 은 엘리베이터의 외부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음성발생부, 2,32: 스피커,
3: 감시수단, 4: 제어부,
5: 엘리베이터 콘트롤회로, 31: 표시판,
32: 경보등, BSW: 경보 스위치,
PSW: 경보해제 스위치, 10,10a: 도어,
11,11a: 투시경,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경보스위치(BSW), 경보해제스위치(PSW), 음성발생부(1), 감시수단(3), 제어부(4)로 대별 구성된다.
상기 경보스위치(BSW)는 작동하여 소정의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서, 건물내에 설치된 여러대의 엘리베이터 내부에 각각 설치한다.
경보스위치(BSW)의 설치위치는 도 5와 같이 엘리베이터 바닥에서 약 1.2M 높은 위치에 설치하여 키가 작은 어린이에서 키가 큰 어른에 이르기까지 손쉽게 누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경보해제 스위치(PSW)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의 1층 승강장 외벽면에 설치하였는데, 관리인이나 그밖의 사람들이 경보해제 스위치(PSW)를 조작하면 경보상태가 해제되면서 엘리베이터 도어가 열려 엘리베이터 내부에 있는 범죄자를 체포할 수 있게된다.
음성발생부(1)는 소정의 경보메세지를 발생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경보스위치(BSW)를 조작함에 따라 발생된 경보신호가 입력될때 미리 저장하고 있던 경보메세지 즉, ' 엘리베이터에서 위급상황이 발생했습니다.'라는 음성메세지를 출력한다.
상기 음성발생부(1)에서 출력된 경보메세지는 엘리베이터의 상단에 설치된 제 1 스피커(2)를 통해 소리로 출력되어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사람들은 물론이고 건물내에 존재하는 사람들에게 위급상황이 발생했음을 알려주게 되며, 음성발생부(11)에서 발생된 경보메세지는 후설하는 감시수단(3)으로도 공급된다.
감시수단(3)은 건물 내부 또는 그외의 장소에 설치된 관리실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2 와 같이 케이스의 전면에 표시판(31), 경보등(32), 제 2 스피커(33)가 장착된다.
상기 표시판(31)은 위급상황이 발생한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표시판(31)과 복수개의 경보스위치(BSW1∼BSWn)가 병렬로 접속되어 임의의 경보스위치가 온동작하면 그 경보스위치에서 발생된 경보신호에 대응하는 소정의 숫자(엘리베이터의 위치번호)를 표시하여 위급상황이 발생한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관리인이 신속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보등(32)은 경보신호가 입력될때 점등되어 관리인에게 위급상황이 발생했음을 알려주는 것이며, 상기 제 2 스피커(33)는 음성발생부(1)에서 출력된 경보메세지를 소리로 변환시켜 출력하므로서, 관리인에게 위급상황이 발생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4)는 경보스위치(BSW)가 온동작하면서 발생된 경보신호가 입력되면 엘리베이터 콘트롤회로(5)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의 도어(10)(10a)가 잠기도록 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가 1층으로 하강하도록 하며, 후에 상기 경보해제 스위치(PSW)가 온동작함에 따라 경보 해제신호가 입력되면 도어(10,10a)가 열리도록 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가 정상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4)는 엘리베이터 탑승자가 경보스위치(BSW)를 입력하면 도어(10,10a)를 잠궈 범죄자가 엘리베이터 밖으로 도망가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를 1층으로 하강시켜 경보메세지를 듣고 출동한 관리인이나 그밖의 사람들이 경보해제 스위치(PSW)를 조작하여 도어를 열고 범죄자를 체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엘리베이터 내부에는 탑승자들이 말하는 음성을 확대할 수 있는 별도의 마이크(MC)를 설치하고, 상기 마이크(MC)의 출력은 그 후단에 설치되는 음성녹음장치(20)로 입력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음성녹음장치(20)는 제어부(4)의 제어에 의해 동작한다.
즉, 사용자가 경보스위치(BSW)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4)는 음성녹음장치(20)를 구동시켜 마이크(MC)를 통해 입력되는 엘리베이터 탑승자들의 음성들이 음성녹음장치(20)에 녹음되도록 하므로서, 이 음성녹음장치(20)에 녹음된 내용을 후에 체포된 범죄자의 범죄행위 증거물로서 사용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내부도어(10)와 1층 승강장의 외부도어(10a)에는 외측에서 엘리베이터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시경(11,11a)을 설치하였는데, 이 투시경(11,11a)은 외부에서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확대렌즈로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급상황시 엘리베이터가 1층에 정지하였을때 출동한 관리인이 상기 투시경(11,11a)을 통해 엘리베이터 내부상황 즉, 범죄자의 동태나 내부 탑승인원등을 정확히 파악하여 그 상태에 따라 적절히 대응하면서 범죄자를 체포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던 탑승자가 범죄자로 부터 불의의 범죄행위를 당하여 위급한 상황을 알리기 위해 경보스위치(BSW)를 누르면, 경보스위치(BSW)에서 발생한 경보신호가 음성발생부(1)로 공급되고, 상기 음성발생부(1)는 미리 저장되어 있던 경보메세지를 출력한다.
상기 음성발생부(1)에서 출력된 경보메세지는 엘리베이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스피커(2)와 관리실에 설치된 감시수단(3)의 제 2 스피커(33)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되어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각층의 사람들에게 엘리베이터 내에서 위급상황이 발생했음을 알려줌과 동시에 관리실에 상주해있는 관리인에게도 현재 엘리베이터에서 위급상황이 발생했음을 알려주게 된다.
또한, 상기 경보스위치(BSW)가 입력되면서 출력된 경보신호는 감시수단(3)으로 입력되어 감시수단(3)의 경보등(32)이 점등됨과 동시에 감시수단(3)의 표시판(31)에 경보가 발생된 엘리베이터의 위치가 숫자로서 표시되어 관리인이 위급상황이 발생한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된다.
한편, 상기 경보스위치(BSW)에서 발생한 경보신호는 제어부(4)로도 입력되는데, 상기 제어부(4)는 경보신호가 입력된 순간 엘리베이터 콘트롤회로(5)를 제어하여 위급상황이 발생된 엘리베이터의 도어(10,10a)가 열리지 않도록 한 후 엘리베이터가 1층으로 이동하도록 함과 동시에 음성녹음장치(20)를 작동시켜 마이크(MC)를 통해 입력되는 탑승자들의 음성이 음성녹음장치(20)에 녹음되도록 한다.
상기 설명과 같이 위급상황이 발생한 엘리베이터가 제어부(4)의 제어에 의해 1층으로 이동되어 있을때, 경보메세지를 듣고 출동한 관리인 또는 건물내의 사람들이 엘리베이터의 도어에 형성된 투시경(11,11a)을 통해 엘리베이터 내부의 상태를 확인 한 후 1층 승강장의 외벽면에 형성된 경보해제 스위치(PSW)를 입력하면, 경보해제 스위치(PSW)가 온동작하면서 경보해제신호가 발생하여 제어부(5)로 공급되고, 상기 제어부(5)는 경보해제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콘트롤회로(5)를 제어하여 도어(10,10a)가 열리도록 하므로서, 관리인이 엘리베이터 내부에 존재하는 범죄자를 손쉽게 체포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내에서 발생된 위급상황(강도, 치한, 도둑 등에 의한 범죄)을 주변사람과 관리인에게 신속하게 알려주고, 위급상황이 발생한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관리인에게 표시하여 줌과 동시에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므로서, 엘리베이터 내에서 발생된 위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하여 탑승자가 강도, 치한, 도둑으로 부터 피해를 입지않도록 함은 물론 범죄자를 손쉽게 체포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스토킹 시스템이다.

Claims (4)

  1. 대형 건물이나 아파트에 여러대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내부에 각각 설치되며, 작동하여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복수개의 경보스위치(BSW)와,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의 1층 승강장 외벽면에 설치되며, 작동하여 경보해제 신호를 발생하는 복수개의 경보해제 스위치(PSW)와,
    상기 경보스위치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소정의 경보 메세지를 출력하는 음성발생부(1)와,
    엘리베이터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음성발생부(1)에서 출력된 경보매세지를 소리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제 1 스피커(2)와,
    경보신호가 발생된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판(31)과, 경보발생 표시용 경보등(32)과, 상기 음성발생부에서 출력된 경보 메세지를 소리로 출력하는 제 2 스피커(3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관리인에게 엘리베이터에서의 위급상황 발생 및 위급상황이 발생된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정확히 표시해주는 감시수단(3)과,
    경보스위치가 작동하면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잠기면서 엘리베이터가 1층으로 하강하도록 엘리베이터 콘트롤회로(5)를 제어하고, 이후 경보해제 스위치가 작동하면 도어(10,10a)가 열림과 동시에 엘리베이터가 정상 작동되도록 엘리베이터 콘트롤회로(5)를 제어하는 제어부(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스토킹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내부도어(10)와 1층 승강장의 외부도어(10a)에 각각 투시경(11,11a)을 설치하되 상기 투시경(11,11a)은 외부에서 엘리베이터 내부를 자세히 볼 수 있도록 확대렌즈로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스토킹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경보스위치(BSW1∼BSWn)는 감시수단(3)의 표시판(31)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어 특정 경보스위치가 입력될때 입력된 경보스위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에 대한 위치정보가 표시판(31)에 숫자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스토킹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내부에 탑승자들이 말하는 음성을 확대할 수 있는 별도의 마이크(MC)를 설치하고, 상기 마이크(MC)의 출력은 그 후단에 설치되는 음성녹음장치(20)로 입력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스토킹 시스템.
KR1019980033378A 1998-08-18 1998-08-18 엘리베이터용스토킹시스템 KR100346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3378A KR100346301B1 (ko) 1998-08-18 1998-08-18 엘리베이터용스토킹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3378A KR100346301B1 (ko) 1998-08-18 1998-08-18 엘리베이터용스토킹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2039A true KR19980082039A (ko) 1998-11-25
KR100346301B1 KR100346301B1 (ko) 2003-03-04

Family

ID=37488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3378A KR100346301B1 (ko) 1998-08-18 1998-08-18 엘리베이터용스토킹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3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4191A1 (ko) * 2013-09-05 2015-03-12 Yoon Il Shik 엘리베이터의 비상콜 장치 및 이에 의한 비상운전방법
CN107140496A (zh) * 2017-06-09 2017-09-08 快意电梯股份有限公司 垂直电梯底坑检修复位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4191A1 (ko) * 2013-09-05 2015-03-12 Yoon Il Shik 엘리베이터의 비상콜 장치 및 이에 의한 비상운전방법
CN107140496A (zh) * 2017-06-09 2017-09-08 快意电梯股份有限公司 垂直电梯底坑检修复位装置
CN107140496B (zh) * 2017-06-09 2023-04-07 快意电梯股份有限公司 垂直电梯底坑检修复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6301B1 (ko) 2003-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3779B1 (ko)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TW200305115A (en) Monitoring system
JP4414675B2 (ja) エレベータの警報装置
JP2007195130A (ja) 映像監視システム
JP2003331364A (ja) 監視方法、監視システム、監視プログラム、および監視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100091500A (ko) 위험상태 인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의 운용 시스템
KR101025531B1 (ko) 엘리베이터의 내부 이상 감지 및 경보장치
KR100346301B1 (ko) 엘리베이터용스토킹시스템
KR20080061034A (ko) 비상 개폐 제어 열차 승강장 스크린도어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JPH1149445A (ja) エレベータの異常監視装置
JP3874757B2 (ja) 屋外避難装置および防犯システム
KR20100089418A (ko) 음인식 수단을 구비한 승강기 운행시스템
JP2007112560A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4102682A (ja) 貴重品収納庫及び保管システム
CN205743430U (zh) 一种atm机防护舱的舱门控制系统
JP3202131B2 (ja) 警備装置及び警備システム
KR100978101B1 (ko) 비상호출 신속 대응을 위한 인터라넷 또는 인터넷을 이용한씨씨티브이 통합 보안 시스템
KR100515056B1 (ko) 통신네트워크로 연결된 비상상황제어관리시스템과 이를이용한 비상상황제어관리사업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 의해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WO2019097355A1 (en) Remote-controlled anti-burglary system
JP2015079298A (ja) 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
JP3408950B2 (ja) エレベータの画像情報提供装置
KR102462824B1 (ko) 수용거실별 전자잠금장치를 이용한 위급상황예측 운영시스템
JP2003327367A (ja) エレベータの盗難防止装置
JP2011154504A (ja) 集合住宅用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0888641B1 (ko) 엘리베이터의 운행정보표시 기능을 갖는 영상정보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