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0082A - 초임계 유체를 반응용매로 하는 시클로펜테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임계 유체를 반응용매로 하는 시클로펜테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0082A
KR19980080082A KR1019980007894A KR19980007894A KR19980080082A KR 19980080082 A KR19980080082 A KR 19980080082A KR 1019980007894 A KR1019980007894 A KR 1019980007894A KR 19980007894 A KR19980007894 A KR 19980007894A KR 19980080082 A KR19980080082 A KR 19980080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opentenone
supercritical fluid
producing
mmol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낙철
황성희
Original Assignee
김용구
주식회사 한일합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구, 주식회사 한일합섬 filed Critical 김용구
Publication of KR19980080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08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77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49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 with carbon mon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3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modifying the acid moiety of the ester, such modification not being an introduction of an ester group
    • C07C67/333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modifying the acid moiety of the ester, such modification not being an introduction of an ester group by isomerisation; by change of size of the carbon skeleton
    • C07C67/343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modifying the acid moiety of the ester, such modification not being an introduction of an ester group by isomerisation; by change of size of the carbon skeleton by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bon atoms
    • C07C67/347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modifying the acid moiety of the ester, such modification not being an introduction of an ester group by isomerisation; by change of size of the carbon skeleton by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bon atoms by addition to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4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using solvents, e.g. supercritical solvents or ionic liqu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임계 유체 (supercritical fluids)를 반응용매로 사용하여 시클로펜테논 (cyclopentenone)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초임계 유체를 반응용매로 사용하여 삼중결합 화합물인 아세틸렌 유도체와 이중결합 화합물인 올레핀 유도체를 일산화탄소 대기하에서 반응시켜 시클로펜테논 유도체를 제조하거나, 또는 초임계 유체를 반응용매로 사용하여 인-아인 (enyne) 화합물을 일산화탄소 대기하에서 폐환 반응시켜 시클로펜테논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초임계 유체를 반응용매로 하는 시클로펜테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의약품 원료나 향료 등에 많이 나타나는 기본 구조중의 하나인 시클로펜테논 (cyclopentenone)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인-아인 (enyne) 화합물 또는 삼중결합 유도체와 이중결합 유도체의 혼합물을 일산화탄소 대기하에서 금속 촉매를 사용하여 초임계 유체 반응용매에서 반응시켜 시클로펜테논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각형고리 기본구조는 생리활성을 갖는 많은 천연화합물에서 나타나는 바, 그 예로는 프로스타글란딘 등을 포함하며, 자스몬 등의 향료물질의 기본 골격에서도 나타난다.
이들 오각형고리를 갖는 생리활성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시클로펜테논 유도체는 중간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따라서 시클로펜테논 유도체는 그 유용성이 매우 다양하다.
시클로펜테논 유도체에 대하여는 많은 제조방법이 보고된 바 있으며, 그 중 본 발명과 관련이 깊은 제조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아세틸렌과 올레핀 그리고 일산화탄소를 당량의 디코발트 옥타카르보닐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이 1973년에 발표되었다 (J. Chem. Soc., Perkin Trans.11973, 977;Tetrahedron 1985, 41, 5855:Chem. Rev. 1988, 88, 1081;Org. React. 1991, 40, 1). 이 때 디코발트 옥타카르보닐은 반응중간체를 형성하기 위한 물질로 사용된다.
상기식에서 R1에서부터 R10까지는 수소 또는 작용기로 치환된 알킬 또는 아릴기이고, 작용기로는 케톤, 에스테르, 할라이드, 에테르 등을 포함한다. X 는 치환된 알킬이나, 산소, 황, 질소, 치환된 실리콘 등이다. n 은 0 에서 2 사이에서 결정된다.
이 반응은 천연화합물의 합성에 널리 응용되었으나, 반응이 높은 온도에서 장시간에 걸쳐 일어나기 때문에 온도에 민감한 작용기들은 반응에 사용할 수 없거나, 수율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촉매를 사용한 시클로펜테논 유도체의 제법으로 아세틸렌과 올레핀 그리고 일산화탄소를 코발트 (Co), 텅스텐 (W) 또는 루세니움 (Ru) 금속 함유 촉매 존재하에 유기용매에서 반응시키는 매우 간단한 조작의 효율적인 방법이 1990년대에 발표되었다 (Angew. Chem. Int. Ed. Engl. 1990, 29, 1413 ;J. Am. Chem. Soc. 1993, 115, 1154 ;J. Am. Chem. Soc. 1994, 116, 3159;J. Am. Chem. Soc. 1994, 116, 8793;J. Am. Chem. Soc. 1994, 118, 2285;J. Org. Chem. 1997, 62, 3762;J. Am. Chem. Soc. 1997, 119, 6187).
상기식에서 R1에서부터 R10까지는 수소 또는 작용기로 치환된 알킬 또는 아릴기이고, 작용기로는 케톤, 에스테르, 할라이드, 에테르 등을 포함한다. X 는 치환된 알킬이나, 산소, 황, 질소, 치환된 실리콘 등이다. n 은 0 에서 2 사이에서 결정된다.
이 반응은 조작이 간단하고 매우 효율적이라는 이점이 있으나, 반응 후 생성물의 분리 및 정제가 어렵고, 사용된 유기용매에 의한 환경오염이 심각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으로 인하여, 상기 방법을 공업적으로 이용할 수 없었다.
또한, 트리알킬아민 N-옥사이드 (Tetrahedron Lett. 1990, 31, 5289;Synlett 1991, 204)나 설폭사이드 (Organometallics 1992, 11, 2044) 등을 촉진제로 사용하여 상온에서 반응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결과가 보고되었다. 이 방법은 실험실 규모로 적용할 경우에는 매우 효율적인 해결방안으로서, 이 반응의 온화한 조건은 이전에 사용할 수 없었던 많은 작용기를 사용 가능하게 만든 계기를 제공하였으나, 공업적 이용에는 또 다른 문제점이 수반되는 바, 예를 들면, 촉진제로 사용하는 트리알킬아민 N-옥사이드의 가격이 비싸고, 반응 생성물의 분리 정제가 어렵고, 환경을 오염시킨다는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인이 제출한 특허출원 제 93-27719호에는, 촉매로서 디코발트옥타카르보닐과 트리아릴포스파이트, 또는 디코발트 옥타카르보닐과 트리알킬포스파이트를 사용하거나 디코발트헥사카르보닐 비스트리아릴포스파이트 또는 디코발트헥사카르보닐 비스트리알킬포스파이트를 사용하여 시클로펜테논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값싼 보조 리간드를 사용하여 반응을 실현시킴으로서 공업적 이용가치가 매우 크나, 많은 양의 유기용매를 사용하므로 분리 정제상의 문제점과 환경오염의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시클로펜테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유기용매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분리 정제상의 문제점과 환경오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반응용매로서 초임계 유체를 사용하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초임계 유체를 반응 용매로 사용하여 의약품 원료나 향료 등에 많이 나타나는 기본 구조중의 하나인 시클로펜테논 (cyclopentenone)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인-아인 (enyne) 화합물 또는 삼중결합 유도체와 이중결합 유도체의 혼합물을 일산화탄소 대기하에서 금속 촉매를 사용하여 초임계 유체 반응용매에서 반응시켜 시클로펜테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삼중결합 화합물인 아세틸렌 유도체, 이중결합 화합물인 올레핀 유도체 및 일산화탄소로부터 금속을 함유하는 촉매를 사용하여 합성하는 시클로펜테논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초임계 유체를 반응 용매로 사용하는 시클로펜테논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참조).
상기식에서 R1에서부터 R6까지는 수소, 또는 작용기로 치환된 알킬 또는 아릴기이고, 작용기로는 케톤, 에스테르, 할라이드, 에테르 또는 하이드록시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아인 화합물 및 일산화탄소로부터 금속을 함유하는 촉매를 사용하여 합성하는 시클로펜테논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초임계 유체를 반응 용매로 사용하는 시클로펜테논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2 참조).
상기식에서 R7에서부터 R10은 수소, 또는 작용기로 치환된 알킬 또는 아릴기이고, 작용기로는 케톤, 에스테르, 할라이드, 에테르 또는 하이드록시 등을 포함한다.
X 는 치환된 알킬이나 산소, 황, 질소, 치환된 실리콘 등이다.
n 은 0 에서 2 사이에서 결정된다.
즉, 상기 반응식 1 및 반응식 2의 제조방법에서는, 반응물을 일산화탄소 대기하에서 가열하면 원하는 시클로펜테논 유도체를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일산화탄소의 압력은 1 내지 20 기압 사이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5∼15 기압이 바람직하다.
초임계 유체로서는 이산화탄소 또는 올레핀 화합물을 사용하는데, 저온에서도 가능하나 34℃ 정도에서 반응기내에 가하여 100∼200기압 정도로 가압하여 초임계 상태로 만든다. 이 때 올레핀 화합물에는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반응온도는 초임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60℃ 이상 환류온도에서 선택되나, 반응의 깨끗한 진행을 위해 100℃를 온도 상한으로 하는 것이 좋다. 즉, 반응온도의 범위는 60∼100℃ 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금속 함유 촉매로는 디코발트 금속 촉매를 사용하며, 디코발트 옥타카르보닐 또는 디코발트 헵타카르보닐 트리페닐 포스파이트와 같은 촉매가 적합하다. 이 때 디코발트 옥타카르보닐은 사용전에 바로 승화시켜서 정제한 것을 사용하고, 그 양은 0.1∼2.5 몰% 사용하며, 디코발트 헵타카르보닐 트리페닐 포스파이트는 0.1∼5 몰% 사용한다.
본 발명은 그 밖에 아세틸렌 유도체 또는 올레핀 유도체의 카르보닐화 반응에 사용되는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제거가 용이하며 오염을 일으키지 않고 독성이 없으며 냄새가 없고 발화성이 없는 ⅰ) 초임계 이산화탄소, 또는 석유화학단지에서 저렴하게 많은 양을 얻을 수 있는 ⅱ) 초임계 올레핀을 반응용매로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따라서 유기 용매의 사용을 피할 수 있고, 반응 후 용매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시클로펜테논 제조방법에 관련하여 발생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반응식 1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초임계 올레핀이 사용될 경우에 올레핀 화합물은 용매겸 반응물로 사용된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와 같은 부류의 모든 반응에 응용시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된 초임계 유체는 공업화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3,3-디카르보에톡시바이사이클로[3,3,0]-옥-5-텐-7-온의 합성
디에틸 프로파질 알릴 말로네이트 2.38 g (10 mmol)을 가한 후 디코발트 옥타카르보닐 85.5 mg (0.25 mmol, 2.5 mol%)를 가하고 일산화탄소를 15 기압으로 충진시켰다. 이 반응혼합물을 34 ℃까지 가열하고 여기에 이산화탄소를 60 기압까지 가한 후 120 기압까지 액체압축기를 사용하여 더 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90 ℃에서 24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상온까지 식힌 후 환풍이 잘 되는 후드 안에서 과량의 일산화탄소를 배출시켰다. 반응혼합물을 용매로 씻어내고,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잔유물을 쿠겔로 (kugelrohr)로 증류해 목적 화합물 2.18 g (8.2 mmol, 수율 82 %)을 오일 상태로 얻었다.
실시예 2 3,3-디카르보에톡시바이사이클로[3,3,0]-6-메틸-옥-5-텐-7-온의 합 성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디에틸 메틸프로파질 알릴 말로네이트 2.52 g (10 mmol)을 디코발트옥타카르보닐 85.5 mg (0.25 mmol, 2.5 mol%)을 촉매로 하여 초임계 이산화탄소에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 2.55 g (9.1 mmol, 수율 91 %)을 오일상태로 얻었다.
실시예 3 3,3-디메틸[3,3,0]-옥-5-텐-7-온의 합성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4,4-디메틸 1-헵티인-6-엔 1.22 g (10 mmol)를 디코발트 옥타카르보닐 85.5 mg (0.25 mmol, 2.5 mol%)을 촉매로 하여 초임계 이산화탄소에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 1.17 g (7.8 mmol, 수율 78 %)을 오일상태로 얻었다.
실시예 4 1-벤질옥시메틸-3,3-디카르보에톡시바이사이클로[3,3,0]-옥-5-텐 -7-온의 합성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디에틸 메틸프로파질 2-벤질옥시메틸알릴 말로네이트 3.58 g (10 mmol)를 디코발트 옥타카르보닐 85.5 mg (0.25 mmol, 2.5 mol%)을 촉매로 하여 초임계 이산화탄소에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 3.17 g (8.2 mmol, 수율 82 %)을 오일상태로 얻었다.
실시예 5 3,3-디카르보에톡시-8-아세톡시메틸 바이사이클로[3,3,0]-옥-5-텐 -7-온의 합성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디에틸 메틸프로파질 1-아세톡시메틸알릴 말로네이트 3.1 g (10 mmol)을 디코발트 옥타카르보닐 85.5 mg (0.25 mmol, 2.5 mol%)을 촉매로 하여 초임계 이산화탄소에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 2.88 g (8.5 mmol, 수율 85 %)을 오일상태로 얻었다.
실시예 6 3-옥시-6-페닐-바이사이클로[3,3,0]-옥-5-텐-7-온의 합성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페닐프로파질 알릴 에테르 1.7 g (10 mmol)을 디코발트 옥타카르보닐 85.5 mg (0.25 mmol, 2.5 mol%)을 촉매로 하여 초임계 이산화탄소에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 1.40 g (7.0 mmol, 수율 70%)을 오일상태로 얻었다.
실시예 7 2-페닐 사이클로펜트-2-엔-1-온의 합성
34 ℃ 온도에서 페닐 아세틸렌 1.02 g (10 mmol)을 가한 후 디코발트 헵타카르보닐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0.30 g (0.5 mmol, 5 mol%)를 가하고 일산화탄소를 5 기압으로 충진시켰다. 반응혼합물에 에틸렌을 50 기압까지 가한 후 110 기압까지 액체압축기를 사용하여 더 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85 ℃에서 48 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상온까지 식힌 후 환풍이 잘되는 후드 안에서 과량의 일산화탄소를 배출시켰다. 반응혼합물을 용매로 씻어내고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잔유물을 쿠겔로로 증류해 목적 화합물 1.22 g (7.7 mmol, 수율 77 %)를 고체상태로 얻었다.
실시예 8 2-펜틸 사이클로펜트-2-엔-1-온의 합성
실시예 7과 같은 방법으로 1-헵타인 (1-heptyne) 0.96 g (10 mmol)을 디코발트 헵타카르보닐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0.30 g (0.5 mmol, 5 mol%)을 촉매로 하여 초임계 에틸렌에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 1.02 g (6.7 mmol, 수율 67 %)를 오일상태로 얻었다.
실시예 9 2-(3'-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펜트-2-엔-1-온의 합성
실시예 7과 같은 방법으로 1-트리메틸실릴옥시-4-펜틴 1.56 g (10 mmol)을 디코발트 헵타카르보닐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0.30 g (0.5 mmol, 5 mol%)을 촉매로 하여 초임계 에틸렌에서 반응시켰다. 다음 반응혼합물을 용매로 씻어내고,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잔유물을 메탄올에 녹이고 1 N HCl 을 한두방울 가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잔유물을 쿠겔로로 증류해 목적 화합물 1.14 g (8.1 mmol, 수율 81 %)를 오일상태로 얻었다.
실시예 10 2-(2'-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펜트-2-엔-1-온의 합성
실시예 7과 같은 방법으로 2-트리메틸실릴옥시-4-펜틴 1.56 g (10 mmol)을 디코발트 헵타카르보닐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0.30 g (0.5 mmol, 5 mol%)을 촉매로 하여 초임계 에틸렌에서 반응시켰다. 다음 반응혼합물을 용매로 씻어내고,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잔유물을 메탄올에 녹이고 1 N HCl 을 한두방울 가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잔유물을 쿠겔로로 증류해 목적 화합물 1.05 g (7.5 mmol, 수율 75 %)를 오일상태로 얻었다.
실시예 11 2-(1'-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펜트-2-엔-1-온의 합성
실시예 7과 같은 방법으로 3-트리메틸실릴옥시-4-펜틴 1.56 g (10 mmol)을 디코발트 헵타카르보닐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0.30 g (0.5 mmol, 5 mol%)을 촉매로 하여 초임계 에틸렌에서 반응시켰다. 다음 반응혼합물을 용매로 씻어내고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잔유물을 메탄올에 녹이고 1 N HCl 을 한두방울 가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잔유물을 쿠겔로로 증류해 목적 화합물 0.98 g (7.0 mmol, 수율 70 %)를 오일상태로 얻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아세틸렌 유도체와 올레핀 유도체 및 일산화탄소 또는 인-아인(enyne) 화합물 및 일산화탄소로부터 디코발트 옥타카르보닐 또는 디코발트 헵타카르보닐 트리페닐 포스파이트와 같은 코발트 등의 금속을 함유하는 촉매를 사용하여 시클로펜테논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독성, 냄새 및 발화성이 없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또는 석유화학 단지에서 저렴하게 많은 양을 얻을 수 있는 초임계 올레핀과 같은 초임계 유체를 반응 용매로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유기용매를 사용함으로써 나타나는 반응 생성물의 정제상의 문제점 및 환경오염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본 발명은 시클로펜테논 유도체를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고 높은 수율로 합성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6)

  1. 아세틸렌 유도체, 올레핀 유도체 및 일산화탄소로부터 금속을 함유하는 촉매를 사용하여 합성하는 시클로펜테논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초임계 유체를 반응 용매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클로펜테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반응식 1
    상기식에서 R1내지 R6는 수소, 또는 작용기로 치환된 알킬 또는 아릴기이고, 작용기로서는 케톤, 에스테르, 할라이드, 에테르, 하이드록시 등을 포함한다.
  2. 인-아인 (enyne) 화합물 및 일산화탄소로부터 금속을 함유하는 촉매를 사용하여 합성하는 시클로펜테논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초임계 유체를 반응 용매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클로펜테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반응식 2
    상기식에서 R7내지 R10은 수소, 또는 작용기로 치환된 알킬 또는 아릴기이고, 작용기로서는 케톤, 에스테르, 할라이드, 에테르, 하이드록시 등을 포함한다.
    또한 X 는 치환된 알킬이나 산소, 황, 질소 치환된 실리콘이다.
    n 은 0 에서 2 사이에서 결정된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초임계 유체는 이산화탄소 또는 올레핀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클로펜테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올레핀 화합물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클로펜테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금속을 함유하는 촉매는 디코발트 옥타카르보닐 또는 디코발트 헵타카르보닐 트리페닐 포스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클로펜테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일산화탄소의 압력은 1∼20 기압이고, 바람직하게는 5∼15 기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클로펜테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980007894A 1997-03-10 1998-03-10 초임계 유체를 반응용매로 하는 시클로펜테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99800800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70007899 1997-03-10
KR97-007899 1997-03-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082A true KR19980080082A (ko) 1998-11-25

Family

ID=19499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894A KR19980080082A (ko) 1997-03-10 1998-03-10 초임계 유체를 반응용매로 하는 시클로펜테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9980080082A (ko)
AU (1) AU6636498A (ko)
WO (1) WO199804034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365A (ko) * 2001-06-29 2003-01-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포토 레지스트 중합체용 단량체 및 이의제조 방법
KR20040050998A (ko) * 2002-12-11 2004-06-18 한국화학연구원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반응 용매로 하는 에스테르 유도체의선택적 제조 방법
KR100614395B1 (ko) * 2004-05-24 2006-08-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사이클로펜텐온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10142B1 (fr) * 1982-12-06 1986-12-30 Firmenich Sa Procédé pour la préparation de cyclopenténones alkylées et esters acétyléniques utiles en tant que produits de départ dans ladite préparation
US5276199A (en) * 1993-02-11 1994-01-04 Ethyl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cyclopentenon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365A (ko) * 2001-06-29 2003-01-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포토 레지스트 중합체용 단량체 및 이의제조 방법
KR20040050998A (ko) * 2002-12-11 2004-06-18 한국화학연구원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반응 용매로 하는 에스테르 유도체의선택적 제조 방법
KR100614395B1 (ko) * 2004-05-24 2006-08-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사이클로펜텐온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40341A1 (en) 1998-09-17
AU6636498A (en) 1998-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54294B1 (en) Ruthenium complexes as (pre)catalysts for metathesis reactions
EP0245959B1 (en) Ruthenium-phosphine complexes
US7271295B1 (en) Hydroformylation process
JPS6010013B2 (ja) グリコ−ルアルデヒドの接触水素添加によるエチレングリコ−ルの改良製法
US5693820A (en) Ruthenium complexes with a chiral, bidentate phosphine/oxazoline ligand for enantioselective transfer hydrogenation of prochiral ketones
KR20000017504A (ko) 발러알데하이드 및 이의 제조방법
US7485744B2 (en) Iron-catalyzed allylic alkylation
CN114436949A (zh) 一种四齿配体及金属络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1948671B1 (en) Preparation of catalysts
US6350916B1 (en) Selective oxidation of alcohols to aldehydes or ketones
US4337363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3-(4-methyl-3-cyclohexen-1-yl) butyraldehyde
KR19980080082A (ko) 초임계 유체를 반응용매로 하는 시클로펜테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JPS6118437A (ja) グリコ−ルアルデヒド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有用な触媒錯体
KR100878911B1 (ko) 포스포라노알칸 리간드를 가진 촉매를 이용하여산화에틸렌과 합성가스로부터 1,3-프로판디올을 제조하는1단계 생산 방법
JPH06279344A (ja) ヒドロキシブチルアルデヒド類の製法
CA1140160A (en) Process for producing alkadienes
US6399834B1 (en) Methods for producing chiral aldehydes
US6806389B1 (en) Catalyst for Pauson-Khand reaction
JP4578592B2 (ja) 3−ホルミルテトラヒドロフランの製造方法
FR2465709A1 (fr) Procede de preparation d'esters d'alcanols et de glycols par reaction d'oxydes de carbone avec l'hydrogene
JPH08295683A (ja) 3−ホルミルテトラヒドロフランの製造法
JPH0782281A (ja) ジホスフィナイト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るオレフィンのヒドロホルミル化反応方法
EP1070043B1 (en) Asymmetric hydrogenation
US6414187B1 (en) Asymmetric hydrogenation
JP2005112737A (ja) ルテニウム錯体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