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9966A - 안테나 공용기 - Google Patents

안테나 공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9966A
KR19980079966A KR1019980007421A KR19980007421A KR19980079966A KR 19980079966 A KR19980079966 A KR 19980079966A KR 1019980007421 A KR1019980007421 A KR 1019980007421A KR 19980007421 A KR19980007421 A KR 19980007421A KR 19980079966 A KR19980079966 A KR 19980079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coaxial resonator
filters
coaxi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1328B1 (ko
Inventor
오시타카 시노미야
Original Assignee
가다오카 마사다카
아루푸스 덴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다오카 마사다카, 아루푸스 덴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가다오카 마사다카
Publication of KR19980079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6Comb filters or interdigital filters with metallised resonator holes in a dielectric b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01P1/2136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using comb or interdigital filters; using cascaded coaxial cav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4Coaxial reson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안테나 공용기에 있어서, 두쌍의 필터는 바깥 둘레면 끼리를 맞대고 개방 끝면을 동일면으로 하여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양 필터의 개방 끝면이 근접하고, 양자간에서의 전파의 끼어듦이 현저하여, 성능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안테나 공용기에서 두 쌍의 필터는 단락 끝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한 것이기 때문에 두 쌍의 필터의 개방 끝면사이를 서로 크게 분리할 수 있고, 전파의 끼어듦을 적게 할 수 있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편평한 안테나 공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테나 공용기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등에 사용되는 안테나 공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이드 스루홀 구조를 구비한 회로기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 전화기등에 사용되는 안테나 공용기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도체(61)가 설치된 바깥 둘레면(51)과, 내부 도체(62)가 설치된 안쪽 둘레면(52)과 외부도체(61)와 내부 도체(62)를 접속하는 끝면 도체(도시 생략)가 설치된 단락 끝면(53)과, 외부 도체(61)와 내부 도체(62)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개방 끝면(54)을 가지는 세라믹제의 유전체(50)로 이루어지는 동축 공진기(K)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동축 공진기(K)가 복수개, 여기서는 4개가 병설되어 구성된 두 세트의 필터(F3, F4)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필터(F3, F4)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 끝면(54)이 동일면이 되도록 4개의 동축 공진기(K)가 병설 배열되고, 이 4개의 동축 공진기(K)는 납땜되어 일체화된다.
그리고 양필터(F3, F4)는 다시 개방 끝면(54)을 동일면으로 하여 양자의 바깥 둘레면(51)끼리를 맞대고, 양 필터(F3, F4)의 외부 도체(61)를 납땜함으로써 양 필터(F3, F4)가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양필터(F3, F4)의 한쪽 필터(F3)는 송신용으로 또 다른쪽 필터(F4)는 수신용으로 사용되고, 송신용 필터(F3)의 송신입력용 동축 공진기(K1)의 내부 도체(62)로부터는 입력용 도선(55)이 인출되고, 또 수신용 필터(F4)의 수신출력용 동축 공진기(K2)의 내부 도체(62)로부터는 출력용 도선(56)이 인출되고, 또한 송신용 필터(F3)의 출력용 동축 공진기(K3)와 수신용 필터(F4)의 입력용 동축 공진기(K4)의 내부 도체(62)로부터는 안테나용 도선(57, 58)이 인출되어 안테나 도선(57과 58)은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종래의 안테나 공진기에서 두 세트의 필터는 바깥 둘레면 끼리를 맞대고 개방 끝면을 동일면으로 하여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양 필터의 개방 끝면이 근접하고, 양자사이에서의 전파의 끼어듦이 현저하여 성능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테나 공용기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안테나 공용기의 평면에서 본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안테나 공용기의 정면에서 본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안테나 공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안테나 공용기에 관한 동축 공진기를 뒤집은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동축 공진기를 뒷면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안테나 공용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 : 동축 공진기 D1 : 동축 공진기
D2 : 동축 공진기 D3 : 동축 공진기
D4 : 동축 공진기 1 : 유전체
2 : 상면 3 : 하면
4 : 측면 5 : 안 둘레면
6 : 단락 끝면 7 : 개방 끝면
8 : 노출면 9 : 전극부
11 : 외부 도체 12 : 내부 도체
13 : 끝면 도체 20 : 프린트 기판
21 : 도전부 22 : 인출 도전체
23 : 인출 도전체 24 : 입력용 단자
25 : 출력용 단자 26 : 인출 도전체
27 : 인출 도전체 28 : 안테나용 단자
29 : 레지스트막 30 : 박스체
31 : 상벽 32 : 구멍
33 : 살 34 : 작은 구멍
35 : 측벽 36 : 측벽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해결수단으로서 외부 도체가 설치된 바깥 둘레면과 내부 도체가 설치된 안쪽 둘레면과, 외부 도체와 내부 도체를 접속하는 끝면 도체가 설치된 단락 끝면과, 끝면 도체가 제외된 개방 끝면을 가지는 유전체로 이루어지는 동축 공진기가 복수개 병설되어 구성된 필터를 두 세트 구비하고, 그 두 세트의 필터는 서로 단락 끝면끼리가 대향하도록 프린트 기판상에 배치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2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두 세트의 필터는 송신용 필터와 수신용 필터로서 공통의 금속제의 박스체에 덮이고 송신용 필터의 가장 바깥측에 위치한 송신 입력용 동축 공진기의 측면과, 수신용 필터의 가장 바깥측에 위치한 수신출력용 동축 공진기의 측면에 상기 박스체의 측벽이 대향하고, 상기 두 개의 동축 공진기의 측면에 설치된 외부 도체에 상기 박스체의 측벽이 접촉하고 있고, 각 동축 공진기의 개방 끝면이 상기 박스체의 측벽부로 덮여진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3해결수단으로서 송신용 필터는 송신 입력용 동축 공진기와 송신 출력용 동축 공진기를 구비하고, 수신용 필터는 수신 입력용 동축 공진기와 수신 출력용 동축 공진기를 구비하며 프린트 기판상에는 각 동축 공진기의 내부 도체에 각각 대향하여 전기적으로 결합한 인출 도전체와, 입력용 단자와, 출력용 단자와, 안테나 단자를 구비하고, 송신 입력용 동축 공진기의 내부 도체에 대향한 인출 도전체는 입력용 단자에 접속되고, 수신 출력용 동축 공진기의 내부 도체에 대향한 인출 도전체는 출력용 단자에 접속되고, 송신 출력용 동축 공진기의 내부 도체에 대향한 인출 도전체 및 수신 입력용 동축 공진기의 내부 도체에 대향한 인출 도전체는 안테나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4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박스체에는 상기 두 세트의 필터에 걸쳐지고, 상기 각 동축 공진기의 단락 끝면의 근방을 차폐하는 상벽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5해결수단으로서 상기 프린트 기판에는 상기 각 동축 공진기의 하면이 접촉하는 광폭의 도전부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휴대 전화기등에 사용되는 안테나 공용기를 도 1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안테나 공용기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안테나 공용기의 평면에서 본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면에서 본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안테나 공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안테나 공용기에 관한 동축 공진기를 뒤집은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동축 공진기를 뒷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안테나 공용기는 도 1내지 도 6, 특히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도체(11)가 설치된 바깥 둘레면인 상면(2), 하면(3), 두 개의 측면(4)과 내부 도체(12)가 설치된 안쪽 둘레면(5)과, 외부 도체(11)와 내부 도체(12)를 접속하는 끝면 도체(13)가 설치된 단락 끝면(6)과, 외부 도체(11)와 내부 도체(12)가 비접속의 개방 끝면(7)을 가지는 세라믹제의 유전체(1)로 이루어지는 동축 공진기(D)를 가지고 있다.
또 유전체(1)의 하면(3)의 개방 끝면(7)측에는 외부 도체(11)가 없는 노출면(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동축 공진기(D)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개, 여기에서는 4개가 병설되어 구성되는 두 세트의 필터(F1, F2)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필터(F1, F2)는 각각 개방 끝면(7) 및 노출면(8)이 동일면이 되도록 4개의 동축 공진기(D)가 병설 배열되고, 이 4개의 동축 공진기(D)는 바깥 둘레면에 설치한 외부 도체(11)끼리를 납땜함으로써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양 필터(F1, F2)의 한쪽 필터(F1)는 송신용으로, 또 다른쪽의 필터(F2)는 수신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 상기 필터(F1, F2)를 설치하기 위한 직사각형상의 프린트 기판(20)은 그 일면에 설치된 광폭의 도전부(21)와, 이 광폭의 도전부(21)의 한쪽 끝 근방에서 도전부(21)를 끼워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인출 도전체(22, 23)와, 이 인출 도전체(22, 23)의 각각에 접속된 입력용 단자(24) 및 출력용 단자(25)와, 광폭 도전부(21)의 다른쪽 끝 근방에서 도전부(21)를 끼워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인출 도전체(26, 27)와, 이 인출 도전체(26 과 27)에 접속된 안테나용 단자(28)를 구비하고 있다.
또 프린트 기판(20)에는 입력용 단자(24), 출력용 단자)25), 안테나용 단자(28)의 일부를 제외한 인출 도전체(22, 23, 26, 27)상과, 이들 도전체와 상기 단자를 연결하는 접속부상에 절연성 레지스트막(29)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두 세트의 필터(F1, F2), 즉 송신용 필터(F1)와 수신용 필터(F2)는 단락끝면(6)끼리를 대향시키고, 또한 노출면(8)을 아래쪽으로 하여 프린트 기판(20)상에 얹어 놓음과 동시에 외부 도체(11)를 광폭의 도전부(21)에 납땜하여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필터(F1, F2)는 간격을 두고 설치됨과 동시에 설치되었을 때 송신용 필터(F1)의 가장 바깥측에 위치하는 송신입력용 동축 공진기(D1)의 내부 도체(12)는 유전체(1)를 개재하여 인출 도전체(22)와 대향하고, 또 수신용 필터(F2)의 가장 바깥측에 위치하는 수신 출력용 동축 공진기(D2)의 내부 도체(12)는 유전체(1)를 개재하여 인출 도전체(23)와 대향하여 내부 도체(12)와 각각의 인출 도전체(22, 23)사이에서 전기적인 용량 결합을 행하게 하고 있다.
또한 송신용 필터(F1)의 가장 바깥측에 위치하는 송신 출력용 동축 공진기(D3)의 내부 도체(12)는 유전체(1)를 개재하여 인출 도전체(26)와 대향하고, 또 수신용 필터(F2)의 가장 바깥측에 위치하는 수신입력용 동축 공진기(D4)의 내부 도체(12)는 유전체(1)를 개재하여 인출 도전체(27)와 대향하여 내부 도체(12)와 각각의 인출 도전체(26, 27)사이에서 전기적인 용량 결합을 행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설치된 필터(F1과 F2)의 개방 끝면(7)은 서로 큰 간격을 가지고 배치된 상태가 되고, 양자간에서의 전파의 끼어듦이 적어지고, 또 양 필터(F1, F2)의 하면(3)의 외부 도체(11)는 광폭의 도전부(21)에 의하여 하면에서의 필터(F1와 F2)간의 전파의 끼어듦을 보다 적게 하고 있다.
또 레지스트막(29)은 도전체(22, 23, 26, 27)에 있어서의 외부 도체(11)의 절연을 도모하고, 동축 공진기(D)에 있어서의 전기적인 인출의 용이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 금속제의 박스형의 박스체(30)는 상벽(31)과 이 상벽(31)에 구멍(32)을 마련하여 형성된 살(33)과, 복수개의 각각의 동축 공진기(D)에 대응하여 상벽(31)에 설치된 작은 구멍(34)과, 상벽(31)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접어 구부려 형성된 한쌍의 대향하는 측벽(35)과, 또한 상벽(31)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접어 구부려 형성된 한쌍의 대향하는 측벽(36)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박스체(30)는 프린트 기판(20)에 설치된 필터(F1, F2)를 덮도록 그 위쪽에서부터 입혀 프린트 기판(20)상에 얹어 놓는다.
그리고 박스체(30)가 얹어 놓여지면, 그 상벽(31)은 필터(F1, F2)의 상면(2)의 외부 도체(11)에 걸쳐져 접촉함과 동시에 대향한 단락 끝면(6)근방의 상부를 차폐하도록 설치되고, 또 각 살(33)은 복수개가 병설된 동축 공진기(D)의 맞춤부를 따라 동축 공진기(D)의 상면(2)상에 설치됨과 동시에 작은 구멍(34)은 각 동축 공진기(D)의 상면(2)에 위치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은 구멍(34)에서 납땜을 행함으로써 상벽(31)과 각 동축 공진기(D)의 부착과,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고 있다.
또 박스체(30)가 설치될 때는 측벽(35)이 가장 바깥측에 위치하는 송신 입력용 동축 공진기(D1)와, 가장 바깥측에 위치하는 수신 출력용 동축 공진기(D2)의 측면(4)에 설치한 외부 도체(11)에 접촉함과 동시에 또 한쪽의 측벽(35)은 송신 출력용 동축 공진기(D3)와 수신 입력용 동축 공진기(D4)의 측면(4)에 설치한 외부 도체(11)에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박스체(30)가 설치되었을 때 그 한쌍의 측벽부(36)는 필터(F1, F2)의 개방 끝면(7)측을 덮은 상태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프린트 기판(20)에 얹어 놓여진 박스체(30)의 측벽(35)과 측벽부(36)는 레지스트막(29)에 의하여 각 단자(24, 25, 28)와 절연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안테나 공용기는 광폭의 도전부(21)에 의하여 하면에 있어서의 전파의 끼어듦을 방지하고, 또한 상벽(31)에 의하여 상면에 있어서의 전파의 끼어듦을 방지하고, 또한 측벽(35)에 의하여 측면에서의 전파의 끼어듦을 방지하며, 또한 측벽부(36)에 의하여 개방 끝면(7)측을 막고, 개방 끝면(7)측으로부터의 전파의 끼어듦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안테나 공용기는 수신할 경우, 안테나용 단자(28)에서 입력하여 출력용 단자(25)로 출력하고, 또 송신할 경우, 입력용 단자(24)로부터 입력하여 안테나용 단자(28)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외에 도 5에서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출면(8)에 전극부(9)를 설치하여 내부 도체912)와 전극부(9)사이, 내부 도체(12)와 인출 도체(22, 23, 26, 27)사이, 전극부(9)와 인출 도전체(22, 23, 26, 27)사이에서의 전기적인 용량 결합의 세가지 방법을 임의로 취사(取捨)선택하여 행하도록 하여도 좋은 것을 물론이다.
본 발명의 안테나 공용기에 있어서, 두 세트의 필터는 단락 끝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두 세트의 필터의 개방 끝면 사이를 서로 크게 떨어뜨릴 수 있고, 전파의 끼어듦을 적게 할 수 있어 성능을 향상할 수 있음과 동시에 편평한 안테나 공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두 세트의 필터가 박스체와 프린트기판에 수납하기 때문에 외부 충격등에 의한 박스체의 측벽을 접촉시킴으로써 측면에서의 전파의 끼어듦을 적게할 수 있다.
또 동축 공진기의 개방 끝면을 박스체의 측벽부로 덮게 함으로써 개방 끝면으로부터의 전파의 끼어듦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내부 도체와 프린트 기판의 인출 도전체와의 사이의 전기적인 용량 결합에 의하여 인출을 행하기 때문에 인출이 간단하고, 또한 임의의 장소에 단자를 배치할 수 있으며, 자유도가 있는 단자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두 세트의 필터에 걸쳐지고 대향한 단락 끝면의 근방을 차폐하도록 박스체의 상벽을 배치하였기 때문에 동축 공진기의 상면에서의 접지가 확실하고, 또한 상면에서의 전파의 끼어듦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동축 공진기의 맞춤부를 따라 박스체의 살을 배치하였기 때문에 동축 공진기의 누름이 확실하여 접지도 양호하게 된다.
또 상벽에 작은 구멍을 마련함으로써 땜납이 고이게 되고, 납땜이 용이하게 되며 확실한 납땜을 할 수 있다.
또한 프린트 기판에 광폭의 도전부를 설치함으로써 하면에서의 전파의 끼어듦을 적게 할 수 있어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Claims (5)

  1. 외부 도체가 설치된 바깥 둘레면과, 내부 도체가 설치된 안쪽 둘레면과, 상기 외부 도체와 내부 도체를 접속하는 끝면 도체가 설치된 단락 끝면과, 끝면 도체가 제거된 개방 끝면을 가지는 유전체로 이루어지는 동축 공진기가 복수개 병설되어 구성된 필터를 두 세트 구비하고, 그 두 세트의 필터는 서로의 단락 끝면 끼리가 대향하도록 프린트 기판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공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세트의 필터는 송신용 필터와 수신용 필터로서, 공통의 금속제의 박스체에 덮여지고, 송신용 필터의 가장 바깥측에 위치한 송신 입력용 동축 공진기의 측면과, 수신용 필터의 가장 바깥측에 위치한 수신 출력용 동축 공진기의 측면에 상기 박스체의 측벽이 대향하고, 상기 두 개의 동축 공진기의 측면에 설치된 외부 도체에 상기 박스체의 측벽이 접촉하고 있으며, 각 동축 공진기의 개방 끝면이 상기 박스체의 측벽부로 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공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용 필터는 송신 입력용 동축 공진기와, 송신 출력용 동축 공진기를 구비하며, 상기 수신용 필터는 수신 입력용 공진기와 수신 출력용 동축 공진기를 구비하고, 상기 프린트 기판상에는 상기 각 동축 공진기의 내부 도체에 각각 대향하여 전기적으로 결합한 인출 도전체와, 입력용 단자와, 출력용 단자와, 안테나 단자를 구비하고, 송신 입력용 동축 공진기의 내부 도체에 대향한 인출 도전체는 입력용 단자에 접속되고, 수신 출력용 동축 공진기의 내부 도체에 대향한 인출 도전체는 출력용 단자에 접속되며, 송신 출력용 동축 공진기의 내부 도체에 대향한 인출 도전체 및 수신 입력용 동축 공진기의 내부 도체에 대향한 인출 도전체는 안테나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공용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체에는 상기 두 세트의 필터에 걸쳐지고, 상기 각 동축 공진기의 단락 끝면의 근방을 차폐하는 상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공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기판에는 상기 각 동축 공진기의 하면이 접촉하는 광폭의 도전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공용기.
KR1019980007421A 1997-03-07 1998-03-06 안테나공용기 KR1003213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70813 1997-03-07
JP9070813A JPH10256810A (ja) 1997-03-07 1997-03-07 アンテナ共用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966A true KR19980079966A (ko) 1998-11-25
KR100321328B1 KR100321328B1 (ko) 2002-03-08

Family

ID=13442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421A KR100321328B1 (ko) 1997-03-07 1998-03-06 안테나공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0256810A (ko)
KR (1) KR100321328B1 (ko)
CN (1) CN112716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99685B2 (ja) * 2009-03-31 2013-09-25 宇部興産株式会社 誘電体送受共用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256810A (ja) 1998-09-25
KR100321328B1 (ko) 2002-03-08
CN1127169C (zh) 2003-11-05
CN1195207A (zh)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3291A (en) Dielectric filter for use in a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EP0162474B1 (en)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ircuit assembly for a radio apparatus
US5278528A (en) Air insulated high frequency filter with resonating rods
JP3445990B2 (ja) インピーダンスコントロール付き同軸コネクタ
GB1245493A (en) Connector
KR19980070470A (ko) 전기 커넥터
JPS6343872B2 (ko)
US5023580A (en) Surface-mount filter
KR20040081120A (ko) 무선 데이터 전달을 채택한 디바이스용 전자파 적합성 장치
KR101034491B1 (ko) 방해 전자파 차폐용 컨택트 구조
EP1168481A2 (en) High frequency signal switching unit
EP0959518B1 (e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transceiver
KR20050025633A (ko) 간섭억제장치
KR100452808B1 (ko) 카드를 구비한 정보기기
JP2001267826A (ja) 送受信ユニットのチップ型アンテナの取付構造
JP4955047B2 (ja) 高周波結合器
KR100321328B1 (ko) 안테나공용기
JP3444246B2 (ja) 誘電体共振器装置、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CN213584102U (zh) 一种小型化陶瓷介质通带滤波器
KR100339124B1 (ko) 송수신 유닛
CN212011461U (zh) 一种电连接器以及电子设备
JP2689151B2 (ja) マイクロ波用混合分波器
JPH0521111A (ja) コネクタ構造
JP3663338B2 (ja) 高周波リレーの実装方法および高周波リレーの実装に用いるケース
JP2023156555A (ja) ケーブル組立体及び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