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9471A - 도어유리용 스태빌라이저 - Google Patents
도어유리용 스태빌라이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79471A KR19980079471A KR1019970060942A KR19970060942A KR19980079471A KR 19980079471 A KR19980079471 A KR 19980079471A KR 1019970060942 A KR1019970060942 A KR 1019970060942A KR 19970060942 A KR19970060942 A KR 19970060942A KR 19980079471 A KR19980079471 A KR 199800794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able member
- door glass
- stabilizer
- contact
- bol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05F7/04—Arrangement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ratt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과제) 도어유리에 대한 접촉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한다. 또, 상기 접촉력을 더욱 미세조정할 수 있게 한다.
(해결수단) 도어유리용 스태빌라이저는, 장작부(41)를 가지는 부착브래킷(40)과, 볼트(60)와 경사면(53)과 가이드부(52) 및 내장된 너트(65)를 가지며 장착부(41)의 직하에 배치되는 제 1 가동부재(50)와, 접촉체(30)를 전면(71b)측에 설치함과 아울러, 피가이드부(72)를 가지며, 제 1 가동부재(50)에 대하여 가이드부(52)와 피가이드부(72)의 끼워맞춤에 의하여 조립되는 제 2 가동부재(7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2 가동부재(70)는, 장착부(41)에 그 상면(71a)을 맞닿게 한 상태로 배치되고, 제 1 가동부재(50)를 볼트(60)의 회동에 의하여 상하이동시킴으로써 경사면(53)으로부터 받는 압압력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조정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승강개폐되는 도어유리에 있어서의 차폭방향으로의 요동을 억제하는 도어유리용 스태빌라이저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있어서, 예를 들어 하드 톱(hard top)차에 적용되는 도어유리는 새시리스(sashless)타입의 것이 사용된다. 이 도어유리는 특히 승강시나 도어의 개폐시에 차폭방향으로 요동이 발생하기 쉽다. 여기서, 종래에 있어서의 도어유리의 지지장치는, 승강되는 도어유리의 외측면에 맞닿는 접촉체를 가진 스태빌라이저를 도어내부에 설치하고, 이것에 의하여 도어유리의 차폭방향으로의 진동을 억제하여 원활한 승강을 하도록 하고 있다. 이 스태빌라이저는 도어유리와의 접촉상태가 작으면 진동억지력의 결여되고, 반대로 너무 크게 되면 도어유리의 승강이 무거워지기 때문에, 접촉력의 미세조정을 확실하게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접촉조정을 하도록 한 종래예로서, 일본국 실용신안공고 평4-4890호에 기재된 것이다. 도 10에 나타낸 스태빌라이저는 'ㄷ'자형의 틀체(3)와, 상부측에 식모부(4)를 형성함과 아울러 하부측의 하단에 걸림돌기(5a)를 형성한 접촉체(5)와, 걸림홈(6a)을 편측 상하방향으로 복수단 형성한 쐐기형상부재(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틀체(3)를 도어내의 이너패널(2)에 고정한 후, 접촉체(5)를 그 하부측이 틀체(3)와 이너패널(2)과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틀체(3)의 상단에 걸어 유지한 상태에서, 쐬기형상부재(6)를 접촉체(5)와 이너패널(2)과의 사이로 위에서 끼우고서 쐐기형상부재(6)를 위에서 누르면, 걸림돌기(5a)에 대하여 어느 하나의 걸림홈(6a)이 끼워맞춰짐으로써 그 위치에 걸려 고정된다. 즉, 이러한 구조에서는 쐐기형상부재(6)를 하측으로 눌러 내릴수록 걸림돌기(5a)가 상측의 걸림홈(6a)에 걸리게 되어 접촉체(5)가 도어유리(1)측으로 점차 가까워지기 때문에, 쐐기형상부재(6)를 눌러 내리는 양에 따라서 도어유리(1)에 대한 식모부(4)의 접촉력을 조정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스태빌라이저가 도어내부에 부착된 상태에서도 쐐기형상부재(6)를 위에서 누름으로써 상기 접촉력을 강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쐐기형상부재(6)를 너무 강하게 누르게 되면 최적한 접촉력을 적확하게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접촉력을 약하게 할 경우에는 걸림돌기(5a)와 걸림홈(6a)과의 끼워맞춤력에 저항하여 쐐기형상부재(6)를 위로 끌어올려야 하기 때문에, 조정 조작적으로 충분히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니었다. 또한, 상기 접촉력의 조정 구조적으로는 쐐기형상부재(6)의 각 걸림홈(6a)간의 피치를 조밀하게 할수록 미세조정할 수 있는 것이지만, 복수의 걸림홈(6a)을 편측 상하방향으로 계단상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각 걸림홈(6a)간의 피치를 단지 작게 하면 걸림돌기(5a)에 대한 끼워맞춤력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도어유리에 대한 접촉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또한 그 접촉력을 더욱 미세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한 도어유리의 스태빌라이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하 설명하는 내용중에서 순차 밝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태빌라이저를 이용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상기 스태빌라이저를 조립한 상태에서 위에서 본 도면
도 3은 상기 스태빌라이저를 조립한 상태에서 정면에서 본 도면
도 4는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동작을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
도 5는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구성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상기 스태빌라이저를 구성하는 제 1 가동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상기 스태빌라이저를 구성하는 제 2 가동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상기 제 2 가동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상기 변형예의 제 2 가동부재를 이용하여 조립한 스태빌라이저의 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스태빌라이저를 나타낸 동작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너패널(도어내부) 20 : 도어유리
30 : 접촉체 40 : 부착브래킷
41 : 장착부 41a : 관통구멍
50 : 제 1 가동부재 53 : 경사면
52 : 가이드부 58 : 홈
55 : 수납부 56 : 탄성돌출편부
60 : 볼트 65 : 너트
70 : 제 2 가동부재 71a : 상면
71b : 전면 72 : 피가이드부
73 : 돌기 75 : 가이드부
78 : 유지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의 도어내부(10)에 부착됨과 아울러, 도어유리(20)에 맞닿는 접촉체(30)를 가지며 이 접촉체(30)가 상기 도어유리(20)에 접하여 상기 도어유리(20)의 상하이동을 안내지지하는 도어유리용 스태빌라이저에 있어서, 상기 도어내부(10)에 고정된 상태에서 대략 수평하게 배치되는 장착부(41)에 볼트용 관통구멍(41a)을 형성한 부착브래킷(40)과; 상기 장착부(41)의 직하에 배치되며, 하측이 상측보다도 상기 도어유리(20)에 근접하는 경사면(53)과, 이 경사면(53)의 양측을 따라서 형성된 가이드부(52)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41a)을 통하여 삽입되는 볼트(60)와 나사결합되고 또한 이 볼트(60)의 회전에 의하여 전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너트(65)를 가진 제 1 가동부재(50)와; 상기 접촉체(30)를 전면(71b)측에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52)에 대응한 피가이드부재(72)를 가지며, 상기 제 1 가동부재(50)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부(52)와 상기 피가이드부(72)의 끼워맞춤에 의하여 조립되는 제 2 가동부재(7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가동부재(70)는, 상기 장착부(41)에 그 상면(71a)을 맞닿게 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가동부재(50)를 상기 볼트(60)의 회동에 의하여 상하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경사면(53)으로부터 받는 압압력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조정되는 구조이다.
이 구조에 의하면, 스태빌라이저로서 조립된 상태 또는 도어내부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60)의 머리부(61)가 가장 상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어유리(20)에 접하는 접촉체(30)의 접촉력을 조정하고자 할 때에는 볼트(60)의 머리부(61)를 회동조작하게 된다. 이 조작에 의해서, 제 1 가동부재(50)가 볼트(60)의 축부(62)와 나사결합된 너트(65)에 의하여 축부(62)를 따라서 상하이동하게 된다. 이 상하이동에 대응하여 제 1 가동부재(50)의 경사면(53)의 위치도 상하이동하게 되는 결과, 이 제 1 가동부재(50)의 경사면(53)으로부터 받는 제 2 가동부재(70)측으로의 압압력에 의해서 제 2 가동부재(70)가 접촉체(30)와 함께 이 압압력을 흡수하기 위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의 구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실시형태가 더욱 바람직하다.
첫째로, 상기 제 1 가동부재(50)에는, 상기 양 가이드부(52)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경사면(53)의 하부측에 위치한 곳에 상기 너트(65)를 배치할 수납부(55)를 형성한 구조이다. 이 경우는, 볼트(60)가 제 2 가동부재(50)의 중간부를 관통하여 하부측의 너트(65)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제 2 가동부재(50)는 볼트(60)를 따라서 안정한 상태로 상하이동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둘째로, 상기 제 1 가동부재(50)가 상기 경사면(53)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탄성돌출편부(56)를 가지며, 상기 제 2 가동부재(70)의 하단(72)이 상기 탄성돌출편부(56)에 재치된 상태로 임시 조립되는 구조이다. 이 경우는, 각 부재를 용이하게 조립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세째로, 상기 제 2 가동부재(70)는 상면에서 돌출형성된 가이드편부(75)를 가지며, 이 가이드편부(75)에 의하여 상기 장착부(41)의 측면에 접한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조이다. 이 경우는, 제 2 가동부재(70)의 수평이동이 장착부(41)에 접하는 가이드편부(75)의 존재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된다. 또, 다른 구조로서, 상기 제 2 가동부재(70)는 상면에서 돌출형성된 유지부(78)가지며, 이 유지부(78)에 의하여 상기 장착부(41)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유지되는 구조로 하면, 만일 추돌사고등으로 인하여 과대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라 하더라도 장착부(41)에서 하측으로 이탈되는 등의 우려가 없기 때문에, 조립상태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이므로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여러가지 한정이 부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 설명에 있어서, 특히 본 발명을 한정하는 취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들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의 스태빌라이저를 나타내며, 도 1은 상기 스태빌라이저를 이용한 사용상태도, 도 2는 스태빌라이저를 조립한 상태에서 위에서 본 도면, 도 3은 스태빌라이저를 조립한 상태에서 정면에서 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스태빌라이저의 동작을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 도 5는 스태빌라이저의 구성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스태빌라이저의 제 1 가동부재를 나타낸 상세도, 도 7은 스태빌라이저의 제 2 가동부재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또한, 도 6(a)는 제 1 가동부재를 위에서 본 도면, 도 6(b)는 도 6(a)의 A-A선 단면도, 도 6(c)는 도 6(a)의 B-B선 단면도, 도 6(d)는 도 6(a)의 좌측, 즉 앞측에서 본 도면이다. 또, 도 7(a)는 제 2 가동부재를 위에서 본 도면, 도 7(b)는 측면도, 도 7(c)는 도 7(a)의 C-C선 단면도, 도 7(d)는 도 7(a)의 좌측, 즉 앞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있어서, 이 도어유리용 스태빌라이저는 새시리스타입에 있어서의 도어의 상부 개구에서 승강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유리(20)에 대향하여 도어내부의 이너패널(10)에 부착되는 것으로, 구성부재로서는 접촉체(30)와, 부착브래킷(40)과, 제 1 가동부재(50)와, 볼트(60) 및 너트(65)와, 제 2 가동부재(7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도어내부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있으나, 이너패널(10)이 도어유리(20)에 근접하게 되도록 꺽어 구부린 수직벽부(11)를 가지며, 이 수직벽부(11)에 빗물막이판(13)이 그 상단측을 고정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이너패널(10)의 수직벽부(11)에 이르는 경사벽부(12)에는 부착브래킷(40)을 부착할 때에 사용되는 부착구멍(12a)이 형성되어 있다.
(각 구성부재)
부착용 브래킷(40)은, 도 1 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폭으로 된 판상의 것으로서, 설치상태에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장착부(41)와, 수직벽부(11)를 따라서 배치되는 수직부(42)와, 경사벽부(12)를 따라서 배치되는 고정부(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41)에는 관통구멍(41a)이 볼트(60)에 대응한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상면에 위치하고 또한 관통구멍(41a)의 둘레 주위에 작은 돌기부(41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41b)는 관통구멍(41a)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양측에 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60)의 축부(62)를 관통구멍(41a)에 끼워 통과시킨 상태에서 머리부(61)가 이것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고정부(43)에는 그 중심부에 사각구멍(43a)이 유지구(45)에 대응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유지구(45)는 걸림다리부(46)와 이 걸림다리부(46)의 상부 외측둘레에 지름이 큰 플랜지부(47)를 가지며 또한 슬릿(46a)의 존재에 의하여 외측으로 넓히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나사등의 암부재(48)를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걸림다리부(46)를 외측으로 넓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이상의 부착브래킷(40)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빗물막이판(13)측에 고정하거나 이너패널(10)에 장착부(41)를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두는 것도 가능하다. 유지구(45)도 필요에 따라서 변경된다.
제 1 가동부재(50)는, 앞측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돌출량을 점차 크게 하여 하측으로 갈수록 도어유리(20)에 근접하는 테이퍼상의 경사면(53)을 형성하고 있는 본체부(51)와, 본체부(51)의 양측을 따라서 형성된 가이드부(52,52)를 일체로 형성한 블록상의 수지성형체이다. 본체부(51)와 양 가이드부(52)는 후벽(51a)에서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51)에는 경사면(53)을 포함하는 좌우 중간부가 상측에서 하부(상하 중간보다도 약간 하측에 이르는 부분)를 향하여 축부(62)를 자유롭게 끼울수 있는 크기로 절결되며, 이 절결부(54a)의 하측에 너트(65)를 끼우는 수납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부(55)는, 수납부(55)를 구획하는 절결부(54a)와의 사이에 형성된 벽(55a)과 본체부(51)의 하벽(51b)에 동일한 축중심을 가지는 관통구멍(57)을 형성함과 아울러, 도 6(b) 및 도 6(d)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부(55)를 구획하는 양 내측벽(55b)에 형성한 돌기(55c)를 가지고 있다. 이 돌기(55c)는 수납부(55)내에 끼워지는 너트(65)를 양측에서 누름접촉하여 너트(65)의 불필요한 빠짐을 방지한다.
또, 본체부(51)의 각 측벽(51c)과 절결부(54a) 및 수납부(55)를 형성하는 중간부분과의 사이에는,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51d)을 중심으로 하여 그 상측에 경사면(53)을 포함하여 절결되는 절결부(54d)가, 그 하측에 하벽(51b)에 도달할 때까지 절결되는 절결부(54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결부(54c)에는 후벽(51a)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탄성돌출편부(56)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돌출편부(56)는, 하벽(51b)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고, 그 선단이 경사면(53)보다도 약간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양 가이드부(52)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벽(51a)의 양측에 일체화된 연장벽(52a)과, 이 연장벽(52a)의 단부에 일체화되며 측벽(51c)과 대략 평행하고 또한 경사면(53)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측벽(52b)과, 이 측벽(52b)의 선단부에 일체화되며 경사면(53)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전면벽(52c)에 의하여 구획된 홈(58)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홈(58)은 경사면(53)과 대략 같은 기울기로 설정되며, 상하로 관통되어 있다.
제 2 가동부재(70)는 앞측이 수직면이고, 후측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돌출량을 점차 작게 한 단면 대략 역직각삼각형의 수지성형체로서, 수평으로 배치되는 상면(71a)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전면(71b)과, 경사면(53)을 따라서 배치되는 후면(71c)과, 양 측면(71d)과, 상면(71a)의 하단면을 형성하는 하면(71e)으로 개략적인 윤곽을 형성하며, 또한 양 측면(71d)을 따라서 형성된 피가이드부(7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전·후면(71b,71c)은, 후면(71c)을 경사면(53)에 배치한 상태에서 전면(71b)이 수직면이 되는 관계로 되어 있다.
상기 피가이드부(72)는, 각 측면(71d)의 후면(71c)측에 위치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속하고 또한 경사면(53)과 대략 동일한 구배를 가지는 레일상 돌기(73)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부(52)의 홈(58)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춰진다. 또, 제 2 가동부재(70)에는, 도 7(a) 및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중간부의 위치에 있어서, 상면(71a)의 전후 중간에서 후면(71c)을 포함하는 후벽부분이 상하로 절결된 절결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74)는, 후술하는 조립상태에서 볼트(60)의 축부(62)를 피하기 위한 것이다. 또, 상면(71a)에는 1쌍의 가이드편부(7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양 가이드편부(75)는, 장착부(41)를 이들 사이에 배치할 수 있는 간격을 가지며 또한 후방으로 크게 돌출된 길이를 가지고 있다. 또, 전면(71b)의 중앙부에는 오목부(76)가 형성되어 있으며, 접촉체(30)가 이 오목부(76)에 의하여 위치결정되게 배치된다.
또한, 그 외의 특징으로서는, 도 7(b), 도 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부(74)와 각 측면(71d)과의 사이의 부분에, 후면(71c)을 포함하는 상태에서 상측과 하측으로 절결된 절결부(77a,77b)가 좌우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제 1 가동부재(50)의 절결부(54b)와 마찬가지로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 외에, 경사면(53)과 후면(71c)과의 접촉면적을 적게 하여 제 1 가동부재(50)의 상하이동에 연동하여 제 2 가동부재(70)를 원활하게 수평이동시키기 위해서이다.
접촉체(30)는 도어유리(20)에 직접 접촉하는 부재로서, 이 예에서는 도 5에 일부 파단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기포(基布)(31)의 전면에 식모부(32)를, 그 이면에 쿠션재(33)를 부착한 것이다. 그리고, 이 접촉체(30)는 제 2 가동부재(70)의 오목부(76)에 쿠션재(33)를 끼워서 위치결정되게 배치하고 기포(31)의 단부(31a)를 전면(71b)에 고정함으로써 부착된다. 이와 같이, 접촉체(30) 자체의 구성 및 그 부착구조는 상기한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평2-135326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적용되는 도어나 도어유리측의 사양 등에 따라서 각각 고안되는 것이다.
(조립과 부착요령)
이상의 각 부재는 다음과 같은 요령에 의하여 조립되어 일체화된 스태빌라이저로서 제공되며, 자동차의 도어조립라인에서 부착되어 조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립작업의 수순으로서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 1 가동부재(50)에 대하여 각 부재를 조립하는 것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조립수순의 경우는, 제 1 가동부재(50)에 대하여 제 2 가동부재(70)를, 그 양측의 돌기(73){피가이드부(72)}를 대응하는 각 홈(58){가이드부(52)}에 상측에서 끼워맞춘 상태에서 경사면(53)을 따라서 하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 하면(71e)이 탄성돌출편부(56)에 맞닿아서 이 탄성돌출편(56)위에 유지된다. 그리고, 제 2 가동부재(70)의 양 가이드편부(52) 사이에 장착부(41)가 끼워지도록 부착브래킷(40)을 배치한다. 그 후, 볼트(60)를 장착부(41)의 관통구멍(41a), 절결부(74), 절결부(54a), 관통구멍(57)을 관통시켜 수납부(55)내의 너트(65)에 나사결합한다. 따라서, 제 2 가동부재(70)와 부착브래킷(40)의 장착부(41)가 볼트(60)의 머리부(61)와 너트(65)와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제 1 가동부재(50)측에 임시 조립된다. 도 2 및 도 3 은 이와 같이 각 부재를 일체의 것으로 조립한 스태빌라이저로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스태빌라이저는 도어내부, 즉 이너패널(10)에 부착브래킷(40)을 개재하여 부착된다. 이 경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가동부재(50)를 빗물막이판(13)의 상단측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부착브래킷(40)의 고정부(43)를 이너패널(10)의 경사벽부(12)위에 배치하고, 사각구멍(43a)을 부착구멍(12a)에 일치시켜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유지구(45)로 고정한다. 이 유지구(45)의 경우는, 걸림다리부(46)를 서로 일치되어 있는 사각구멍(43a)과 부착구멍(12a)을 관통하도록 끼우고서 원통내로 암부재(48)의 축부(48a)를 눌러끼우거나 혹은 나사끼움하면, 걸림다리부(46)가 축부(48a)에 의해서 외측으로 넓혀짐으로써 부착구멍(12a)에 소정의 강도로 고정된다. 스태빌라이저가 이너패널(10)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접촉체(30)가 도어유리(20)에 소정의 접촉력으로 접촉하게 되므로, 도어유리(20)가 승강이동할 때에 도어유리(20)가 차폭방향으로 요동없이 지지된다.
그런데, 상기 접촉력은 각 부재간의 정밀도, 제조오차나 부착오차 등에 의하여 설계값대로 얻어지지 않거나 또는 장기간 사용함에 의해서 접촉체(30)의 식모부(32)가 마모되어 변화된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에 최적한 접촉력이 되도록 조정조작할 필요가 있다. 이어서, 이 조정조작을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작동과 함계 설명한다. 또한, 도 4에서는 동작을 알기 쉽도록 볼트(60)와 너트(65)를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a)는 도 1과 같은 단면도이다.
(조정조작)
상기한 스태빌라이저가 이너패널(10)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볼트(60)의 머리부(61)가 가장 상측에 배치되게 되며, 상기한 접촉력을 조정할 경우에 이 볼트(60)를 회동조작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41)의 상면에 볼록부(41b)를 형성하고, 볼트(60)의 머리부(61)의 하면이 이것에 누름접촉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볼트(60)의 회동조작에 있어서, 작업자는 볼트(60)를 전용공구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머리부(61)가 볼록부(41b)를 타고넘을 때의 클릭감에 의하여 볼트(60)가 어느 정도 회전되었는지 아닌지 등을 비교적 정확하게 알 수 있게 함으로써, 조정을 적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스태빌라이저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제 1 가동부재(50)와 제 2 가동부재(70)가 가이드부(52){홈(58)}와 피가이드부(72){돌기(73)}에 의하여 서로 끼워맞춰져 있음과 아울러, 경사면(53)에 후면(71c)이 접하여 있다. 따라서, 볼트(60)의 머리부(61)를 회동조작하면, 도 4(a)에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승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면, 경사면(53)에서 제 2 가동부재(70)로 압압력이 강하게 작용한다. 이 압압력은 제 2 가동부재(70)를 상측, 즉 장착부(41)측으로 압압하는 수직방향의 분력과 도어유리(20)측으로 압압하는 수평방향의 분력이다. 그리고, 제 2 가동부재(70)는 그 상면(71a)이 장착부(41)에 접하여 있기 때문에, 수직방향의 분력을 받더라도 이것을 흡수할 수 없으므로 수평방향의 분력과 함께 이것을 완화 내지는 흡수할 수 있는 도어유리(20)측으로 이동(이 예에서는 L2-L1만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접촉체(30)의 도어유리(20)에 대한 접촉력도 증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구조에 의하면, 조정 조작적인 면에서는 단지 볼트(60)를 회동시켜 조정하는 것이고, 또한 볼트(60)가 도어유리(20)를 따라서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고, 머리부(61)가 가장 상측에 위치하여 있기 때문에, 극히 간단하고 또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조정 정밀도적인 면에서는 제 1 가동부재(50)가 볼트(60)의 회동조작에 의하여 축부(62)와 너트(65)의 나사맞춤을 통하여 상하이동하기 때문에 그 이동하는 피치가 구조적으로 작고, 따라서 제 2 가동부재(70){접촉체(30)}의 수평이동량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8 과 도 9는 상기한 제 2 가동부재의 변형예로서, 도 8은 제 2 가동부재의 사시도, 도 9는 제 2 가동부재를 이용한 조립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이 변형예는, 제 2 가동부재(70)가 상면(71a)측으로 돌출형성된 유지부(78)를 가지며, 이 유지부(78)를 통하여 장착부(41)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유지되도록 한 예이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기본구조는 가이드편부(75)를 제외하고 모두 동일한 것이므로, 동일부위에 동일부호를 붙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고, 변경점만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유지부(78)는 장착부(41)를 제 2 가동부재(70)의 상면(71a)에 끼워서 유지할 수 있도록 쌍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후방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다. 즉, 각 유지부(78)는 상면(71a)에 일체화된 수직편부(79a)와 이 수직편부(79a)의 선단을 상면(71a)과 수평하게 되도록 구부린 수평편부(79b)를 가지며, 단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부(41)를 양 유지부(78)의 내측에 있어서의 상면(71a)과 수평편부(79b)와의 사이에 배치하면, 제 2 가동부재(70)가 장착부(41)에 대하여 수평이동가능하게 유지되게 된다. 이 구조에서는, 스태빌라이저로서 조립된 상태에서 제 2 가동부재(70)가 장착부(41)에서 불필요하게 빠져서 떨어지거나 혹은 탄성돌출편부(56)를 변형시켜 어긋나게 되는 것 같은 우려를 없게 하며, 도어측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사용상태에 있어서는 추돌사고 등으로 과대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장착부(41)에서 하측으로 어긋나는 등의 우려도 없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스태빌라이저는, 청구항 1 이외의 기술요소에 대해서는 적용 차종이나 사양 등에 따라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상의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스태빌라이저를 도어유리(20)의 편측에 배치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2개의 스태빌라이저를 도어유리(20)의 양측에 대향배치하여 도어유리(20)를 양측에서 지지안내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도어유리의 지지장치에 있어서는, 도어유리에 대한 접촉체의 접촉력을 조정가능하게 한 구조이 있어서, 특히 이러한 조정이 볼트의 회동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극히 간단하고 또한 용이하여 조정 조작적으로 매우 우수하다. 동시에 조정 정밀도는 제 1 가동부재가 볼트의 회동조작에 의하여 너트와의 나사결합을 통하여 상하이동하기 때문에, 그 이동하는 피치가 구조적으로 작고, 따라서 제 2 가동부재, 즉 접촉체의 수평이동량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Claims (5)
- 자동차의 도어내부에 부착됨과 아울러, 도어유리에 맞닿는 접촉체를 가지며 이 접촉체가 상기 도어유리에 접하여 상기 도어유리의 상하이동을 안내지지하는 도어유리용 스태빌라이저에 있어서, 상기 도어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대략 수평하게 배치되는 장착부에 볼트용 관통구멍을 형성한 부착브래킷과, 상기 장착부의 직하에 배치되며, 하측이 상측보다도 상기 도어유리에 근접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양측을 따라서 형성된 가이드부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삽입되는 볼트와 나사결합되고 또한 이 볼트의 회전에 의하여 전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너트를 가진 제 1 가동부재와, 상기 접촉체를 전면측에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에 대응한 피가이드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 1 가동부재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피가이드부의 끼워맞춤에 의하여 조립되는 제 2 가동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가동부재는, 상기 장착부에 상면을 맞닿게 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가동부재를 상기 볼트의 회동에 의하여 상하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받는 압압력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조정되는 도어유리용 스태빌라이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부재에는, 상기 양 가이드부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경사면의 하부측에 위치한 곳에 상기 너트를 배치할 수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유리용 스태빌라이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부재가 상기 경사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탄성돌출편부를 가지며, 상기 제 2 가동부재의 하단이 상기 탄성돌출편부에 재치된 상태로 임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유리용 스태빌라이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동부재는 상면에서 돌출형성된 가이드편부를 가지며, 이 가이드편부에 의하여 상기 장착부의 측면에 접한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유리용 스태빌라이저.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동부재는 상면에서 돌출형성된 유지부를 가지며, 이 유지부에 의하여 상기 장착부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유리용 스태빌라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111821A JPH10287129A (ja) | 1997-04-15 | 1997-04-15 | ドアガラス用スタビライザー |
JP111821 | 1997-04-1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79471A true KR19980079471A (ko) | 1998-11-25 |
KR100262823B1 KR100262823B1 (ko) | 2000-08-01 |
Family
ID=14571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60942A KR100262823B1 (ko) | 1997-04-15 | 1997-11-18 | 도어유리용 스태빌라이저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H10287129A (ko) |
KR (1) | KR10026282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TO20020039A1 (it) * | 2002-01-14 | 2003-07-14 | Comau Spa | Sistema e procedimento per regolare e fissare l'inclinazione delle guide di scorrimento di un vetro di una porta laterale di un autoveicolo. |
CN109162572B (zh) * | 2018-11-05 | 2024-01-16 | 宁波南星汽车部件有限公司 | 一种智能防夹无框车门玻璃升降器 |
-
1997
- 1997-04-15 JP JP9111821A patent/JPH10287129A/ja active Pending
- 1997-11-18 KR KR1019970060942A patent/KR10026282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10287129A (ja) | 1998-10-27 |
KR100262823B1 (ko) | 2000-08-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87116B2 (en) | Steering apparatus | |
US6339971B1 (en) | Pedal supporting structure of a vehicle | |
US7798551B2 (en) | Vehicle-mountable sun visor | |
US11530010B2 (en) | Windshield device for vehicle | |
KR102546844B1 (ko) | 차량 부품 조립용 교체형 지그 | |
KR100262823B1 (ko) | 도어유리용 스태빌라이저 | |
US7350335B2 (en) | Vehicle slide door apparatus | |
KR101710372B1 (ko) | 로워암 조립장치 | |
EP1418072B1 (en) | Guide system for guiding window glass of vehicle | |
US11891018B2 (en) | Storage compartments having inertia force closure mechanisms, console assemblies, and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 |
CN114401879B (zh) | 用于吸收侧向力的止挡件 | |
GB2433295A (en) | Vehicle window regulator | |
CN220764145U (zh) | 座椅的支架总成和车辆 | |
CN209382102U (zh) | 用于仪表板横梁的限位安装装置以及包括其的汽车 | |
KR100841507B1 (ko) |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 장치 | |
KR100692743B1 (ko) | 차량 테일게이트 도어의 오버슬램범퍼 설치구조 | |
JP2877332B2 (ja) | Tバールーフ車のハッチルーフ用バンパラバー | |
JPH0433127Y2 (ko) | ||
JPH0729895Y2 (ja) | ピローブーツの取付構造 | |
JPH0449004Y2 (ko) | ||
CN113561942A (zh) | 一种适配器及雨刷 | |
JP2017047849A (ja) | 摺動部品、当該摺動部品を用いるサンシェード装置及び当該サンシェード装置を搭載してなる車両 | |
KR970003872Y1 (ko) | 자동차용 시이트 트랙레버의 가이드 구조 | |
KR100324681B1 (ko) | 충격 흡수식 자동차용 시트 트랙 구조 | |
KR0126219Y1 (ko) | 자동차의 인사이드미러 충격흡수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331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