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9221A - 거푸집조임구 - Google Patents

거푸집조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9221A
KR19980079221A KR1019970017418A KR19970017418A KR19980079221A KR 19980079221 A KR19980079221 A KR 19980079221A KR 1019970017418 A KR1019970017418 A KR 1019970017418A KR 19970017418 A KR19970017418 A KR 19970017418A KR 19980079221 A KR19980079221 A KR 19980079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guide
hole
piece
bol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7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하기
Original Assignee
김하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하기 filed Critical 김하기
Priority to KR1019970017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9221A/ko
Publication of KR19980079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221A/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이 발명은 건축이나 토목공사에서 콘크리트를 양생되게 하기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을 세울때 쓰이는 거푸집조임구에 관한 것으로서,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해 쓰이는 보강목이나 플레이트와셔에 밀착되는 바닥편과, 볼트봉이 끼워지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과 연결되는 가이드홈부를 형성하게 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양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편부와, 상기 양측 가이드편부에 설치되는 힌지축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손잡이와 톱니부를 가진 결착레버와, 상기 결착레버를 가이드홈부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탄력을 가지도록 힌지축에 설치되는 가압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거푸집 조임구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결착레버를 제끼고 볼트봉에 끼우거나 빼내도록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신속하고 간편한 조임작업이 도모되고 견고한 설치가 도모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거푸집조임구
본 발명은 건축이나 토목공사에 콘크리트벽 양생용으로 설치되는 거푸집과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을 세울때 쓰이는 판넬이나 쓰러지지 않도록 조이는 거푸조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벽 양생용으로 설치되는 거푸집은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콘크리트 두께에 해당하는 만큼의 간격(s)을 갖도록 양측에 판넬(1)(1')이 세워지도록 하는데, 이때 양측 판넬(1)(1')을 관통하도록 철근이나 볼트봉(2)이 설치된다.
또한, 판넬(1)(1') 내측의 볼트공(2)에는 콘너트(3)가 각각 체결되도록 하여 일정한 간격(s)이 유지되도록 하고, 판넬(1)(1')외측에는 지지목(4)을 끼우고 다음 플레이트와셔(5)를 끼운후에 최종적으로 조임너트(6)로서 체결하여 판넬(1)(1')이 쓰러지지 않게 설치된다.
그리고 양측 판넬(1)(1') 사이에 콘크리트(c)가 양생되도록 한 다음에는 거푸집 해체 작업을 하게 된다.
따라서, 거푸집 해체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먼저 조임너트(6)를 풀어 다음 플레이트와셔(5), 제제목(4), 판넬(1)(1') 수공로 볼트공(2)으로부터 빼내어서 해체한 후에 최종적으로 콘크리트(c)으로부터 튀어나온 볼트봉(2)의 노출부(2a)를 절단시켜 제거하므로서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거푸집 설치 및 해체작업에 있어서 작업시간 손실을 가장 초래하게 하는 것이 있다. 그것은 조임너트(6)이며, 그 이유는 거푸집 설치 및 해체시때마다 조임너트(6)를 볼트봉(2)에 일일이 돌려서 체결하고 풀림되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즉, 하나의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그 규모에 따라서는 다수 차이는 있지만 적어도 수십에서, 수백, 수천개에 이르는 조임너트(6)가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그많은 조임너트(6)를 수작업으로 일일이 조이고 풀어야 하는 것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상당한 작업시간을 소모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 및 인력낭비가 초래되고 비경제적인 손실이 따르게 된다.
특히, 조임너트(6)는 일일이 손으로 체결하고 풀어야 하므로 상당한 힘이 들뿐 아니라 최종적으로 조일때마다 또는 풀때에는 파이프렌치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견고히 조이고 또 풀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고 번접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조임너트(6)에 의한 체결은 볼트봉(2)이 약간이라도 휨이 발생되어도 체결되지 않으므로 다른 볼트공을 사용하여야 하고, 그러므로 이미 설치해놓았던 것을 그때마다 다시 해체해야 하는 문제가 초래될뿐 아니라 그러한 것이 번거로워서 강제적으로 조임너트(6)를 체결하는 경우 거푸집 해체시에 강제 체결된 조임너트를 풀수가 없어서 지지목이나 판넬을 절단하는 경우까지도 야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거푸집의 설치에 있어 거푸집을 형성하는 판넬의 견고한 설치가 도모되도록 하면서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 는 거푸집 조임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형성하는 판넬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볼트공에 간단히 끼워서 결착되도록 하는 거푸집 조임구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해 쓰이는 보강목이나 플레이트와셔에 밀착되는 바닥편과, 볼트봉이 끼워지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강드홈부를 형성하게 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강드부로부터 양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편부와, 상기 양측 가이드편부에 설치되는 힌지축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손잡이와 톱니부를 가진 결착레버와, 상기 결착 레버를 가이드홈부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탄력을 가지도록 힌지축에 설치되는 가압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거푸집 조임구를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부 외측에 타격편을 갖도록 구성되게 한것을 부가적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거푸집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거푸집 해체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거푸집조임구의 사용을 보인 거푸집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조임구의 전체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거푸집조임구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조임구의 저면부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조임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조임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판넬 2:볼트공
2a:노출부 3:콘너트
4:지지목 5:플레이트와셔
10,10':거푸집조임구 11:바닥편
12:관통공 13:가이드홈부
14:가이드부 15,15':가이드편부
16,16,':축공 17:힌지축
18:결착레버 18a:손잡이부
18b:둥근톱니부 19:가압스프링
21:타격편 22:파이프홈부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조임구를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조임구(10)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거푸집조임구(10)는 넓은 바닥편(11)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편(11) 중앙부에는 거푸집을 형성하는 판넬(1)(1')을 지지하는 볼트봉(2)이 끼워지는 관통공(1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2) 상부가 되는 바닥편(11) 상부에는 길다란 가이드홈부(13)가 상기 관통공(12)과 일직선상이 되도록 형성되게 하는 가이드부(14)가 길게 세워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4)의 양측으로는 이것과 일체로 되는 가이드편부(15)(15')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편부(15)(15') 중간부에 형성되는 축공(16)(16')에는 힌지축(17)이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힌지축(17)에는 상기 가이드편부(15)(15')외측으로 노출되는 손잡이부(18a) 및 상기 가이드홈부(13)에 위치하는 둥근톱니부(18b)을 가진 결착레버(18)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힌지축(17)에는 고정단부(19a)가 가이드편부(15)(15') 내면에 형성된 걸림턱부(20)에 걸림되고 자유단부(19b)는 결착레버(18)의 상단걸림홈(18c)에 걸림되는 가압스프링(19)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결찹레버(18)와 가압스프링(19)은 힌지축(17)이 축공(16)(16')에 삽입되는 과정에 설치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거푸집조임구(10)는 상기 가이드부(14) 외측에 타격편(21)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거푸집조임구(10)가 완성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 상태를 보면 결착레버(18)는 손잡이부(18a)가 가압스프링(19)의 탄력을 받게 되어 가이드부(14) 상단부에 걸리게 되는 상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거푸집조임구(10)는 사용시에 결착레버(18)의 손잡이(18a)를 반대쪽으로 제껴서 회동되도록 한다(도 8의 가상선 참조). 다음, 상기 상태에서 도 8의 도시와 같이 바닥편(11)의 관통공(12)으로 볼트봉(2)이 삽입되도록 하여 밀어서 끼우게 된다.
거푸집조임구(10)를 끼우는 것은 바닥편(11)이 플레이트와셔(5)까지 밀착되도록 끼우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끼운다음에 힘을 가하여 뒤로 쩨끼고 있던 결착레버(18)를 놓게 되면 가압스프링(19)의 탄력에 의해 상기 결착레버(18)가 힌지축(17)을 중심으로 가이드부(14) 방향으로 회동되므로서 동근톱니부(18b)가 볼트봉(2)을 물게 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때 바닥편(11)이 플레이트와셔(5)에 완저히 밀착되지 않은 상태가 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다. 이때에는 망치(H)등을 사용하여 타격편(21)을 타격하면 그 타격력에 의해 거푸집조임구(10)가 밀려서 완전히 밀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볼트봉(2)을 몰고 있는 결착레버(18)의 둥근톱니부(18b)는 둥글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판넬(1)(1')내로 부어진 콘크리트에 의해 판넬(1)(1')이 외측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되므로서 거푸집조임구(10) 전체가 외측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되므로 거푸집조임구(10)가 전체가 외측방향으로 약간이라도 이동되면 될수록 둥근톱니부(18b)가 볼트봉(2)에 걸려있는 결착레버(18)는 볼트봉(2) 방향으로 더욱 회전하게 되므로서 상기 둥근톱니부(18b)가 더욱 세게 볼트봉(2)을 물게 되며, 그에 따라 견고한 조임상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거푸집조임구(10)는 넓은 바닥편(11)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거푸집을 설치할 때 상기 바닥편(11)은 기존의 플레이트와셔(5)를 대신할 수 있다.
따라서, 거푸집 설치시에는 플레이트와셔(5)을 배제시키고 판넬(1)(1') 외측으로 지지목(4)만 볼트공(2)에 끼운다음 거푸집조임구(10)로서 조임되도록 실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본 고안의 거푸집조임구(10)가 와셔와 조임구의 2가지 기능을 하게 되므로 부품절감을 도모하게 된다.
그리고 거푸집 해체작업에서의 거푸집조임구(10)는 결착레버(18)만 뒤로 제껴서 회동시키면 둥근톱니부(18b)의 조임력이 해제되게 된다. 이때 수작업으로 손잡이부(18a)를 제끼기 어려울 경우 공구로서 손잡이부(18a)를 약간 타격한 다음 손으로 회동시키면 된다.
따라서, 거푸집조임구(10)는 결착레버(18)의 손잡이부(18a)를 제낀 상태에서 볼트봉(2)으로부터 잡아 빼내면 되므로 수월한 해체가 도모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조임구(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경우에는 바닥편(11)의 양측을 휘어지게 하여 파이프(P)가 삽입될 수 있는 파이프홈부(22)를 양측에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것은 판넬(1)(1')을 지지하게 하는 지지목(4) 대신에 파이프(7)(7')로서 판넬(1)(1')를 지지토록 할때에 사용되는 거푸집조임구(10')이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거푸집조임구는 볼트봉에 쉽게 끼우고 빼낼 수 있으므로 신속한 거푸집 및 해체작업을 도모하게 한다.
그러므로 작업 능률의 향상과 작업시간의 단축을 도모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무게에 의해 볼트봉으로부터 밀려나는 상태가 될수록 더욱 견고한 조임이 디는 결착력을 갖는 거푸집조임구를 제공함으로서 견고한 조임이 되는 결착력을 갖는 거푸집조임구를 제공함으로서 견고한 거푸집 설치를 도모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거푸집을 형성하는 양측판넬을 지지하는 볼트봉에 결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해 쓰이는 보강목이나 플레이트와셔에 밀착되는 바닥편과, 볼트봉이 끼워지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과 연결되는 가이드홈부를 형성하게 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양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편부와, 상기 양측 가이드편부에 설치되는 힌지축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손잡이와 톱니부를 가진 결착레버와, 상기 결찹레버를 가이드홈부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탄력을 가지도록 힌지축에 가압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조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 외측에 타격편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조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편 양측을 외측으로 절곡시켜 파이프홈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조임구.
KR1019970017418A 1997-04-29 1997-04-29 거푸집조임구 KR199800792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7418A KR19980079221A (ko) 1997-04-29 1997-04-29 거푸집조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7418A KR19980079221A (ko) 1997-04-29 1997-04-29 거푸집조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221A true KR19980079221A (ko) 1998-11-25

Family

ID=65989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7418A KR19980079221A (ko) 1997-04-29 1997-04-29 거푸집조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92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586B1 (ko) * 2002-08-05 2004-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빵기
KR100621130B1 (ko) * 2006-06-01 2006-09-07 유알텍(주) 거푸집 고정 및 간격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586B1 (ko) * 2002-08-05 2004-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빵기
KR100621130B1 (ko) * 2006-06-01 2006-09-07 유알텍(주) 거푸집 고정 및 간격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74107A (en) Rod clamp
JP2013537604A (ja) ボルト
KR20100118963A (ko) 거푸집 서포트용 다목적 렌치
KR19980079221A (ko) 거푸집조임구
KR101095933B1 (ko) 거푸집 고정용 거치대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KR200438109Y1 (ko) 거푸집 고정용 사각파이프 고정후크
WO2016027339A1 (ja) コンクリート型枠作業用工具
WO2018112681A1 (zh) 一种建筑模板紧固卡
KR200399281Y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200399282Y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100469031B1 (ko) 거푸집 설치를 위한 와셔 일체형의 체결볼트
JP4321779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締付金具
JP2583821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の固定装置
KR100446023B1 (ko) 거푸집용 간격 유지구
JP3314356B2 (ja) Pc撚り線等の緊張装置
KR20100138298A (ko) 거푸집 가로대 고정용 팀버 브라켓
CN114060378B (zh) 一种预埋安装结构及安装方法
KR200337177Y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200395191Y1 (ko) 펜스구조물 조립장치
KR100633347B1 (ko) 회전에 의해서 절개되는 절개홈이 형성된 지지대 및 이를포함하는 거푸집 체결구
KR102497159B1 (ko) 벽체단부용 거푸집 지지대 고정구
JP3182288U (ja) コンパネフォーム型枠及びその連結具
KR200289055Y1 (ko)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
KR200271550Y1 (ko) 콘크리트 강판거푸집 제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