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9045A - 자동차의 시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9045A
KR19980079045A KR1019970016703A KR19970016703A KR19980079045A KR 19980079045 A KR19980079045 A KR 19980079045A KR 1019970016703 A KR1019970016703 A KR 1019970016703A KR 19970016703 A KR19970016703 A KR 19970016703A KR 19980079045 A KR19980079045 A KR 19980079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eatback
infant
upper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6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진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16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9045A/ko
Publication of KR19980079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045A/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seat)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백의 일부를 분리 가능토록 하여 성인 및 유아들이 호환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착석자의 하반신을 지지하는 시트쿠션(10)과; 시트쿠션(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착석자의 등을 받치는 제 1시트백(20)과; 제 1시트백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측부재(32)와, 상측부재(32)의 양측하부로 연장되어 제 1시트백(20)의 양측면을 따라 배열되는 측면부재(34)로 이루어져 제 1시트백(20)과 협조하여 더 큰 면적의 시트백 표면을 형성하는 제 2시트백(30)과; 하단에 상기 상측부재(32)를 통해 삽입되어 제 1시트백(20)의 상단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승강바(42)를 갖는 헤드레스트(40)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시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성인을 물론 유아의 체형에 알맞게 시트백의 크기를 변환시킬 수 있게되므로 승객 특히, 유아의 탑승시에 별도의 유아용시트를 필요로 하지 않게되고,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착탈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되어 운전자의 수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seat)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트백의 일부를 분리 가능토록 하여 성인 및 유아들이 호환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시트에 관한 것이다.
주로 승용자동차의 시트는 앞좌석 및 뒷좌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앞좌석의 경우에는 운전석과 조수석으로 분리되어 일인이 각각 착석할 수 있도록 된 분리형으로 구성되고, 뒷좌석의 시트는 여러명이 나란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벤치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따르면 일반적이 분리형시트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시트는 착석자의 하반신을 지지하는 시트쿠션(seat cushion)(1)과, 착석상태에서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seat back)(2)으로 구성된다. 시트백(2)의 상단에는 승강바(4)에 의해 착석자의 머리높이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착석자의 머리를 편안하게 지지하는 헤드레스트(head rest)(3)가 제공된다. 상기 시트백(3)은 필요에 따라 시트쿠션(1)에 대한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조절손잡이(5)가 설치된다. 또한 시트의 일측에는 충돌시등에 착석자가 외부로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시트벨트(seat belt)(6)가 제공된다.
이러한 시트는 주로 성인의 체형에 맞추어 제작되어 있으므로 유아의 경우에는 체구에 비해 시트의 크기가 너무 크게 되는 것은 물론 착석시 시트벨트(6)가 유아의 상반신을 충분히 커버하지 못하게 되어 충돌시 유아는 시트에서 튕겨나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유아가 탑승할 경우에는 시트상에 착탈 가능하게 된 별도의 유아용 시트를 구비하여 유아의 안전을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별도의 유아용 시트를 구비하는 것은 경제적인 측면이나 취급에 따른 여러 가지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었다.
이들 문제를 살펴보면, 첫째, 비교적 고가의 유아용시트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 소비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갖고 있다.
둘째, 유아용시트는 시트상에 견고히 고정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장착작업 및 분리작업에 따른 수고가 많이 들게되므로 운전자들을 번거롭게 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
셋째, 상기 유아용시트는 실제 유아가 착석하는 부분은 작으나 전체적인 부피가 크므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트렁크등에 보관하여야 하므로 보관 및 취급이 어려운 것은 물론 트렁크의 수용능력을 감소시키고, 또한, 차체하중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유아의 탑승시 시트를 예정된 형태로 변환시켜 별도의 유아용 시트에 의하지 않고 유아를 안전하게 착석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시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의 외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시트쿠션 12: 경사조절손잡이
20: 제 1시트백 22: 가이드레일
24: 체결공 30: 제 2시트백
32: 상측부재 34: 측면부재
34a: 가이드홈 40: 헤드레스트
42: 승강바 50: 시트벨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착석자의 하반신을 지지하는 시트쿠션과; 시트쿠션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착석자의 등을 받치는 제 1시트백과; 제 1시트백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측부재와, 상측부재의 양측하부로 연장되어 제 1시트백의 양측면을 따라 배열되는 측면부재로 이루어져 제 1시트백과 협조하여 더 큰 면적의 시트백면을 형성하는 제 2시트백과; 하단에 상기 상측부재를 통해 삽입되어 제 1시트백의 상단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승강바를 갖는 헤드레스트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시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발명에 따른 제 1시트백(20)과 제 2시트백(3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착석자의 하반신을 받치게 되는 시트쿠션(10)이 제공된다. 시트쿠션(10)은 통상의 성인들의 체형에 알맞는 크기로 제작되어 진다. 상기 제 2시트백(30)은 하단이 시트쿠션(10)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경사조절손잡이(12)에 의해 원하는 각도에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시트백(30)은 제 1시트백(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측부재(32)와, 상측부재(32)의 양측하부로 연장되어 제 1시트백(20)의 양측면을 따라 배열되는 측면부재(34)로 이루어져 있다.
도 3에는 본발명에 따른 시트의 제 2시트백(30)을 제 1시트백(20)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기 제 1시트백(20)은 하단부는 대략 시트쿠션(10)과 비슷한 크기를 갖으며, 그 상부로 시트쿠션(10)보다 작은 너비를 갖도록 소정높이 연장되어 비교적 작은 체형을 유아의 등부분에 부합하는 크기를 갖고 있다. 제 1시트백(20)의 양측면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가이드레일(22)이 형성되고, 제 2시트백(30)의 측면부재(34)의 내측에는 각각 상기 가이드레일(22)과 결합하는 가이드홈(34a)이 형성되어 제 2시트백(30)이 제 1시트백(2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며 결합 또는 분리되고, 결합상태에서는 이들 가이드레일(22)과 가이드홈(34a)에 의해 제 2시트백(30)이 제 1시트백(2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어 진다.
한편, 상기 제 2시트백(30)의 상측부재(32)와 측면부재(34)의 표면은 각각 제 1시트백(20)의 상면 및 측면에서 동일평면을 갖도록 연결되거나 또는 소정각도로 틀어지게 구성하고, 제 1시트백(20)과 협조하여 더 큰 면적의 시트백 표면을 형성하므로서 정상체형을 갖는 성인의 착석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제 2시트백(30)의 상부에는 하단에 상기 상측부재(32)를 통해 삽입되어 제 1시트백(20)의 상단에 형성되는 체결공(24)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승강바(42)를 갖는 헤드레스트(40)가 구비된다. 이 헤드레스트(40)는 통상의 록킹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그 돌출 위치가 규정되므로 제 2시트백(30)이 제 1시트백(20)에 대해 상부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제 1시트백(20)의 어느 일측에는 시트벨트(50)를 걸을 수 있도록 된 고리(26)가 구성되어 있다. 이 고리(26)는 제 1시트백(20)만을 사용할 때 즉, 유아가 착석하였을 때 시트를 유아에 근접하게 배치되도록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이 고리(26)에 의해 유아를 효과적으로 커버하여 충돌시등에 유아가 외부로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는 통상의 사용상태에서는 제 2시트백(30)을 제 1시트백(20)에 결합한 상태에서 사용하여 일반시트와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제 2시트백(30)은 가이드홈(34a)이 가이드레일(22)에 걸려 있으므로 전후방향으로의 유동이 제한되므로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유아들이 이용할 때에는 제 2시트백(30)을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려 제 1시트백(20)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제 2시트백(30)만이 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아를 앉히고, 시트벨트(50)를 고리(26)에 건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버클에 체결하여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제 2시트백(30)만을 사용할 경우에도 경사조절손잡이(12)에 의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리한 상태의 제 2시트백(30)은 트렁크 또는 실내중 적당한 장소에 보관하고 있다가 유아가 하차하면 다시 제 1시트백(20)상에 결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는 시트쿠션과 상호 분리가능한 제 1시트백 및 제 2시트백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제 2시트백을 분리하거나 결합하여 성인을 물론 유아의 체형에 알맞게 시트백의 크기를 변환시킬 수 있게되므로 승객 특히, 유아의 탑승시에 별도의 유아용시트를 필요로 하지 않게되고,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착탈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되어 운전자의 수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착석자의 하반신을 지지하는 시트쿠션(10)과;
    시트쿠션(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착석자의 등을 받치는 제 1시트백(20)과;
    제 1시트백(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측부재(32)와, 상측부재(32)의 양측하부로 연장되어 제 1시트백(20)의 양측면을 따라 배열되는 측면부재(34)로 이루어져 제 1시트백(20)과 협조하여 더 큰 면적의 시트백 표면을 형성하는 제 2시트백(30)과;
    하단에 상기 상측부재(32)를 통해 삽입되어 제 1시트백(20)의 상단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승강바(42)를 갖는 헤드레스트(40)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시트백(20)의 양측면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가이드레일(22)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재(34)의 내측에는 각각 상기 가이드레일(22)과 결합하는 가이드홈(34a)이 형성되어 제 2시트백(30)이 제 1시트백(2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시트백(20)의 어느 일측에는 시트벨트(50)를 걸을 수있도록 된 고리(26)가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KR1019970016703A 1997-04-30 1997-04-30 자동차의 시트 KR199800790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6703A KR19980079045A (ko) 1997-04-30 1997-04-30 자동차의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6703A KR19980079045A (ko) 1997-04-30 1997-04-30 자동차의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045A true KR19980079045A (ko) 1998-11-25

Family

ID=65990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6703A KR19980079045A (ko) 1997-04-30 1997-04-30 자동차의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90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92097C (en) Child's safety restraining vest
US4838611A (en) Car seat pillow
US8061773B2 (en) Child safety seat support apparatus
US5551750A (en) Headrest booster seat
US7464990B2 (en) Child safety seat support apparatus
US20090167065A1 (en) Reboard system
US6827400B2 (en) Sleeping occupant protection system for vehicles
JPH02500903A (ja) 子供の自動車の乗客のための調節可能なブースターシート
JP2001057920A (ja) コンバーチブルヘッドレスト
US5328233A (en) Combination child's seat and armrest for a vehicle
EP1630033B1 (en) Vehicle seat
KR19980079045A (ko) 자동차의 시트
JP2595601Y2 (ja) 幼児用シートに切替可能な車輌用シート
KR200162057Y1 (ko) 자동차용 유아보호 시트
US9718380B2 (en) Vehicle seat assembly accommodating a rear facing child seat
JP2595598Y2 (ja) 幼児用シートに切替可能な車輌用シート
US5688025A (en) Two level convertible child car seat
KR200195749Y1 (ko) 유아용 안전 시트
KR200206188Y1 (ko) 자동차용 유아보호 시트
KR0112752Y1 (ko) 행거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JP3272916B2 (ja) 育児器具の座席
KR0128703Y1 (ko) 유야용 아암 레스트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KR19990028161U (ko) 리어 시트의 아암레스트를 이용한 유아용 시트
KR20230118272A (ko) 자동차 팔걸이를 이용한 유아용 안전 시트
JP3695620B2 (ja) 車輌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