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188Y1 - 자동차용 유아보호 시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유아보호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188Y1
KR200206188Y1 KR2019970033368U KR19970033368U KR200206188Y1 KR 200206188 Y1 KR200206188 Y1 KR 200206188Y1 KR 2019970033368 U KR2019970033368 U KR 2019970033368U KR 19970033368 U KR19970033368 U KR 19970033368U KR 200206188 Y1 KR200206188 Y1 KR 2002061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rest
infant
ca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3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0009U (ko
Inventor
황태진
Original Assignee
황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태진 filed Critical 황태진
Priority to KR20199700333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188Y1/ko
Publication of KR199900200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0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1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1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2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to the child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 B60N2/286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forward fa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나 각종 의자에 유아를 앉힐 때 시트나 의자로부터 유아가 떨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아보호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용차 뒷좌석 장착용 유아보호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유아보호 시트는 포제로 이루어진 대략 사각형의 바닥부와, 바닥부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등받이와, 바닥부의 상면 중앙에 쿠션 재질로 형성된 대략 하트 형상의 배받이와, 상기 등받이와 배받이 사이를 연결하는 어깨 및 허리벨트와, 상기 등받이를 고정대상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이때 상기 고정수단은 등받이의 상단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뒷좌석의 상단부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상단고정구와 등받이의 하단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뒷좌석의 하단 후면부에 고정되는 하단고정구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유아보호 시트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구조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구조에 대한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시트가 승용차 뒷좌석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닥부 2 : 등받이
3 : 배받이 4 : 어깨벨트
5 : 허리벨트 6 : 상단고정구
6a : 상부고정끈 6b : 고정브래킷
7 : 하단고정구 7a : 하부고정끈
7b : 스토퍼 8 : 날개부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나 각종 의자등에 설치되는 유아보호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운행중인 승용차의 뒷좌석에 유아를 앉히는 경우에 유아로 하여금 착석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유아보호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를 비롯한 각종 차량의 탑승시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벨트를 맨 상태에서 운행을 하게된다. 그런데, 대개의 안전벨트는 성인을 기준으로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몸집이 적은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에는 안전벨트의 착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유아용 보호시트, 일명 카 시트(Car Seat)를 차량의 시트에 장착하여 그 카 시트에 유아를 앉힌 상태에서 차량의 운행을 하고 있다.
이러한 유아용 카 시트는 유아의 안전을 위해서 필수적인 것으로서, 미국을 비롯한 선진 제국에서는 어느 정도 연령 이하의 유아에 대해서는 반드시 카 시트에 앉혀서 운행하도록 법제화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법으로 규정하고는 있지 않은 상태이긴 하나 최근에는 유아의 안전을 고려하여 카 시트를 장착하는 차량이 크게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카 시트는 대개 플래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다리가 없는 의자 형태의 본체상에 쿠션재질의 포제가 전면 및 양측면상에 둘러싸여 지고, 등받이 전면 상부로부터 바닥면 사이를 잇는 한쌍의 체결벨트가 장착되어 이루어진 구조로서, 이러한 카 시트에 앉혀지는 유아는 양 어깨를 지나 가랑이 사이로 체결되는 체결벨트에 의해서 몸체의 이동이 억제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카 시트는 딱딱한 재질의 본체부가 전체적으로 부피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운반이나 보관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이러한 카 시트는 차량의 시트에 장착되어 있는 안전벨트를 이용하여 시트상에 고정되는 데, 그 고정작업 및 분리작업에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과 아울러 그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종래의 유아보호 시트가 지니고 있는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한 차동차용 유아보호 시트를 1997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6267호로 출원한 바 있다. 상기 본원인의 선출원 유아보호 시트는 유아보호 시트의 바닥부와 등받이 및 배받이를 포제를 형성하는 한편 본체부를 차량 시트의 등받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결속끈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본원인의 선출원 유아보호 시트는 그 결속끈의 형태 및 구조가 승용차의 앞좌석에 체결되기에 적합하게 구성된 것이어서 앞좌석과는 좌석의 구조가 상이한 승용차의 뒷좌석에 장착할 수 없음에 따라 동승한 유아를 승용차의 뒷좌석에 앉히고 운행할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자동차용 유아보호 시트에서 지적되고 있는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감안하여 승용차의 뒷좌석에 장착할 수 있도륵 한 유아보호 시트에 관한 것으로, 유아보호 시트의 바닥부와 등받이 밑 배받이부를 포제로 형성하는 한편 본체부를 차량의 뒷좌석 등받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속구를 구비한 자동차용 유아보호 시트를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유아보호 시트는 대략 평면상의 사각형상을 띠며 중앙부상에 대략 하트 형상의 두툼한 쿠션으로 이루어진 배받이가 형성된 바닥부와, 바닥부의 후단부상에 연장형성되고 좌우 양편 및 상부에 쿠션부를 이루는 양 날개부 및 머리받이부가 형성된 등받이와, 상기 배받이와 등받이 사이를 연결하는 한쌍의 체결벨트 및 등받이를 차량시트의 등받이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고정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 고안 자동자용 유아보호 시트의 바닥부와 배받이 및 등받이등은 모두 자체쿠션을 갖는 포제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보관이나 운반시 등의 비사용시에는 바닥부와 등받이를 포개어 접을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부피가 적을 뿐 아니라 무게에 있어서도 종래의 카시트에 비해 현저하게 가볍다는 특징이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 자동차용 유아보호 시트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따른 작용효과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자동차용 유아보호 시트의 전체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유아보호 시트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용 유아보호 시트는, 포제로 이루어진 대략 사각형 형태를 띠는 평판상의 바닥부(1)와, 바닥부(1)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등받이(2)와, 바닥부의 상면 중앙에 쿠션재질로 형성된 대략 하트 형상의 배받이(3)와, 상기 등받이(2)와 배받이(3) 사이를 연결하는 각각 한쌍의 어깨 및 허리 벨트(4)(5)와, 시트 본체를 장착대상 승용차 뒷자석에 고정시키기 위한 상단고정구(6) 및 하단 고정구(7)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바닥부(1)와 등받이(2)는 별도의 연결수단으로서 좌우 양측을 연결끈으로 서로 연결하거나 재봉에 의해서 직접 연결되도록 할 수 있는 데, 연결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연결끈의 연결부 길이를 조정하거나 보관시등의 경우에 연결부를 해체하여 바닥부(1)와 등받이(2)를 분리할 수 있다는 면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등받이(2)는 그 좌우 양편으로 두툼한 쿠션부로 이루어진 날개부(8)가 형성되고, 상부로는 역시 두툼한 쿠션부로 이루어진 머리받이(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받이(3)는 대략 중앙부가 두툼한 하트모양으로서 중앙부분에 쿠션재질의 섬유재가 충진되어 있으며, 그 하단부가 바닥부(1)의 상면에 재봉에 의해서 결합되어 그 결합부를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유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다음 등받이(2)의 상부와 배받이(3)의 상부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어깨벨트(4)는 각긴 암수 부재로 이루어진 체결구(4a)가 형성되어 이들 체결구(4a)의 체결 또는 해지에 의해서 어깨벨트(4)에 의한 등받이(2)와 배받이(3) 사이의 연결상태가 변화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깨벨트(4)의 일측에는 벨트길이 조정구(4b)가 구비되어 있어 어깨벨트(4)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어깨벨트(4)는 비교적 넓은 폭의 포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등받이(2)의 양측부, 보다 정확하게는 등받이(2)의 양측으로 결합된 날개부(8)와 배받이(3)의 양측부 사이를 연결하는 허리벨트(5)는 각기 암수 부재로 이루어진 체결구(5a)가 형성되어 이들 체결구(5a)의 조작에 의해서 등받이(2)와 배받이(3)간의 연결상태가 변화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허리벨트(5)의 일측에는 벨트길이 조정구(5b)가 구비되어 있어 허리벨트(5)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본 고안의 상기 유아보호 시트 본체를 고정대상 시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상,하단고정구(6)(7)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단고정구(6)는 등받이(2)의 배면 상부 양측으로부터 윗쪽을 향해 연장된 상부고정끈(6a)의 단부에 결합된금속 또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절곡형상의 고정브래킷(6b) 및 상부고정끈(6a)의 길이조절을 위한 길이조정구(6c)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고정브래킷(6b)은 일정폭의 금폭판체를 대략“ ”형 그 형합시 외측단부가 등받이부(10b) 배면부에 형성된 틈새(t′)에 끼워짐에 의해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고정브래킷(6b)의 고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길이조정구(6c)를 조절하여 유아보호 시트의 등받이(2)가 적절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어서, 유아보호 시트의 등받이(2)의 하단부에 연장형성된 하단고정구(7)의 스토퍼(7b)를 뒷좌석(10)의 좌석부(10b)와 등받이부(10b) 사이에 형성된 틈새(t)에 밀어넣은 다음 틈새(t)의 외측으로 밀려나온 스토퍼(7b)의 방항이 틈새(t) 형성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유아보호 시트 본체를 전방으로 당겨줌에 의해서 유아보호 시트 본체의 뒷자석(10)에의 장착이 완료된다.
다음, 이와같이 고정대상 뒷좌석(10)에 고정이 완료된 본 고안의 유아보호 시트에 유아를 결속함에 있어서는, 먼저 어깨벨트(4)와 허리벨트(5)의 체결구(4a)(5a)를 해지시킨 상태에서 유아를 시트 본체위에 올려놓고 어깨벨트(4)와 허리벨트(5)를 연결시키게 되면, 유아의 어깨부위 및 몸체는 등받이(2)와 배받이(3) 사이에 연결된 어깨벨트(4) 및 배받이(2)에 의해서 앞쪽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이때에도 어깨벨트(4)와 허리벨트(5)의 길이조정구(4b)(5b)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앉혀져 있는 상태의 유아로 하여금 가장 안정된 상태에서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유아보호 시트에 결속되어 있던 유아를 시트으로 절곡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단고정구(7)는 등받이(2)의 배면 하부 또는 등받이(2)와 바닥부(1)간의 연결부로부터 일정길이의 고정끈(7a)을 연장형성하고, 그 고정끈(7a)의 단부에 일정폭을 갖는 사각형태의 스토퍼(7b)를 유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이루어진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 자동차용 유아보호 시트의 고정대상 시트에의 고정과정 및 이와같이 고정된 유아보호 시트에 유아의 몸체를 결속시키는 과정을 제3도로 도시된 본 고안의 사용상태 측면도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유아보호 시트를 자동자의 뒷좌석에 고정시킴에 있어서는 그 뒷좌석의 구조를 이용하게 되는데, 도시된 바와같이 승용차의 뒷좌석(10) 부위는 좌석부(10a)와 등받이부(10b) 사이에 틈새(t)가 존재하게 되고, 뒷좌석(10)의 상단 후면과 후면유리창(g) 하부의 수평면(h) 사이에도 틈새(t′)가 형성되어 있는 바, 본 고안의 유아보호 시트는 이들 틈새(t)(t′)를 이용하여 뒷좌석(10)에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시말하면, 먼저 유아보호 시트의 등받이(2) 상단으로 연장형성된 상단고정구(6)의 고정브래킷(6b)을 뒷좌석(10)의 등받이부(lOb) 상단에 밀착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브래킷(6b)은 등판이부(lOb) 상단에 형합되는 구조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형합시 외측단부가 등받이부(10b) 배면부에 형성된 틈새(t′)에 끼워짐에 의해서 고절된 상대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고정브래킷(6b)의 고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길이조정구(6c)를 조절하여 유아보호 시트의 등받이(2)가 적절한 위지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어서 유아보호 시트의 등받이(2) 하단부에 연장형성된 하단고정구(7)의 스토퍼(7b)를 뒷좌석(10)의 좌석부(10a)와 등받이부(10b) 사이에 형성된 틈새(t)에 밀어넣은 다음 틈새(t)의 외측으로 밀려나온 스토퍼(7b)의 방향이 틈새(t) 형성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륵 한 상태에서 유아보호 시트 본체를 전방으로 당겨줌에 의해서 유아보호 시트 본체의 뒷좌석(10)에의 장착이 완료된다.
다음, 이와같이 고정대상 뒷좌석(10)에 고정이 완료된 본 고안의 유아보호 시트에 유아를 결속함에 있어서는, 먼저 어깨벨트(4)와 허리벨트(5)의 체결구(4a)(5a)를 해지시킨 상태에서 유아를 시트 본체위에 올려놓고 어깨벨트(4)와 허리벨트(5)를 연결시키게 되면, 유아의 어깨부위 및 몸체는 등받이(2)와 배받이(3) 사이에 연결된 어깨벨트(4) 및 배받이(2)에 의해서 앞쪽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이때에도 어깨벨트(4)와 허리벨트(5)의 길이조정구(4b)(5b)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앉혀져 있는 상태의 유아로 하여금 가장 안정된 상태에서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유아보호 시트에 결속되어 있던 유아를 시트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 및 유아보호 시트의 분리과정은 상기의 과정에 대한 역순으 로 진행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유아보호 시트가 승용차등의 차량시트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차량시트 이외에도 가정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식탁용 의자등의 각종 의자등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유아보호 시트는 거의 모든 재질이 가벼우면서도 어느 방향으로도 접을수 있는 포제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보관 및 운반등이 매우 용이하고, 또한 고정대상 시트에의 고정 또는 분리작업이 손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의 배받이가 딱딱한 재질의 플래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에 비하여 쿠션성이 우수한 포제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안전성 및 감촉등의 면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지니고 있으며, 종래의 카 시트에 비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아울러 지니고 있다.

Claims (1)

  1. 평판상의 바닥부(1)와, 바닥부(1)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등받이(2)와 바닥부(1)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쿠션재질의 배받이(3)와. 상기 등받이(2)와, 배받이(3) 사이를 연결하는 어깨벨트(4) 및 허리벨트(5)와, 상기 등받이(2)를 고정대상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상하단 고정구(6)(7)로 구성되고, 이때 상기 상단고정구(6a)는 등받이(2)의 상단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길이조정이 가능한 상부고정끈(6a)과 상부고정끈(6a)의 단부에 결합된 고정브래킷(6b)으로 이루어지고, 하단 고정구(7)는 등받이(2)의 하단 양측으로 연장된 하부고정끈(7a)과 하부고정끈(7a)의 단부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된 스톱퍼(7b)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아보호 시트.
KR2019970033368U 1997-11-22 1997-11-22 자동차용 유아보호 시트 KR2002061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368U KR200206188Y1 (ko) 1997-11-22 1997-11-22 자동차용 유아보호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368U KR200206188Y1 (ko) 1997-11-22 1997-11-22 자동차용 유아보호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009U KR19990020009U (ko) 1999-06-15
KR200206188Y1 true KR200206188Y1 (ko) 2000-12-01

Family

ID=19514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368U KR200206188Y1 (ko) 1997-11-22 1997-11-22 자동차용 유아보호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1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122A (ko) 2018-12-19 2020-06-29 조현두 차량용 어린이 보호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122A (ko) 2018-12-19 2020-06-29 조현두 차량용 어린이 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009U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1450A (en) Infant seat for automotive and other vehicles
US4943112A (en) Child's collapsible car seat
US8210617B2 (en) Child restraint system
CA1292097C (en) Child's safety restraining vest
EP1702790B1 (en) Infant carrier with adjustable harness system
US6474735B1 (en) Adjustable car seat
US7222917B2 (en) Reversible seat pad
US6053580A (en) Personal restraint device
US20090167065A1 (en) Reboard system
US5803543A (en) Child's seat for mounting on a standard seat for adults
US7794015B1 (en) Multi-passenger vehicle child seat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US6676213B1 (en) Dimensionally adjustable booster seat
US20070108813A1 (en) Vehicular seat assembly
KR101305677B1 (ko) 뒷좌석을 이용한 카시트의 상시 장착장치
CN203110967U (zh) 一种用于儿童安全支撑物的基座
JP2001057920A (ja) コンバーチブルヘッドレスト
GB2256364A (en) Child safety-seat arrangement
GB2155775A (en) Childs headrest for car rear seat
KR200206188Y1 (ko) 자동차용 유아보호 시트
US20080135593A1 (en) Combined Booster Cushion and Bag
GB2277863A (en) Child's safety device
KR200162057Y1 (ko) 자동차용 유아보호 시트
US10710549B2 (en) Seat belt pull through device for a car seat called a Buckleze Pull
US20090014619A1 (en) Multi adjustment for motor vehicle restriant positioning device
US5688025A (en) Two level convertible child car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