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8292A - 복합 콘크리트-강철 구조물 형태의 지붕 또는 천정슬라브의 부등변 사각형 강철 판금 부재와 지지 구조물의 결합부 - Google Patents

복합 콘크리트-강철 구조물 형태의 지붕 또는 천정슬라브의 부등변 사각형 강철 판금 부재와 지지 구조물의 결합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8292A
KR19980078292A KR1019970015807A KR19970015807A KR19980078292A KR 19980078292 A KR19980078292 A KR 19980078292A KR 1019970015807 A KR1019970015807 A KR 1019970015807A KR 19970015807 A KR19970015807 A KR 19970015807A KR 19980078292 A KR19980078292 A KR 19980078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ructure
steel
roof
sheet metal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 로쓰
Original Assignee
에른 스트욘
프리트.크루프 아게 회쉬-크루프
울리히 그륀트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른 스트욘, 프리트.크루프 아게 회쉬-크루프, 울리히 그륀트켄 filed Critical 에른 스트욘
Priority to KR1019970015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8292A/ko
Publication of KR19980078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8292A/ko

Links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구조적 높이가 낮으며 지붕 차폐부의 경우에 복합 강철 구조물이 지지 구조물로 형성되는 지지 구조물과, 콘크리트를 갖거나 갖지 않는 지붕 차폐부 및/또는 천정 슬라브의 부등변 사각형 강철 판금 부재(4) 사이에 결합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부등변 사각형 섹션 판금 부재의 주름 정상부(6)가 지지 구조물을 지나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빔(2)으로부터 밑면상에서 현수된다.

Description

복합 콘크리트-강철 구조물 형태의 지붕 또는 천정 슬라브의 부등변 사각형 강철 판금 부재와 지지 구조물의 결합부
본 발명은 복합 콘크리트-강철 구조물 형태의 지붕 또는 천정 슬라브에 있어서 부등변 사각형 강철 판금 부재와 지지 구조물의 결합부에 관한 것이다.
부등변 사각형 강철 판금 부재의 경우는 B + F, 07.91, Info 4110.2, 회쉬 지거란트베르케 게엠베하에서 출간한 Hoesch Trapezprofil TRP 200 팜플랫에 의하여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부등변 사각형 강철 판금 부재는 장착 스트립이 지붕 트러스와 같은 지지 구조물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지지 구조물과 결합되는 지붕 구조물 부재 역할을 한다. 그리고 지지 구조물에는 V자형 지지 부재가 거꾸로 부착되며, V자형 지지 부재의 높이는 부등변 사각형 강철 판금 부재의 주름 정상부의 높이와 일치한다. 부등변 사각형 강철 판금 부재는 지지 부재의 정상부에 놓인 주름 정상부, 특히 모서리의 밑면을 덮고, 지지 구조물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물은 부등변 사각형 강철 판금 부재와 지붕 트러스가 위아래로 겹쳐 배열되므로서 이러한 지붕 구조물의 전체 구조물 높이가 매우 높아지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독일 특허 제30 04 615호에는, 파형 홈통이 지지 구조물상에 직접 놓인 상태로 부등변 사각형 강철 시이트로 구성된 경량 강철 지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지지 구조물상에는 홈통을 충전하여 주름 정상부를 차폐하는 콘크리트층이 놓인다. 경량 시이트 지붕 또는 부등변 사각형 강철 시이트와 지지 구조물은 장부못(dowel pin)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장부못은 지지 구조물에 고정되고, 홈통의 영역에 있는 판금을 관통하며 그리고 콘크리트층으로 돌출된다. 역시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구조 높이가 지지 구조물 높이와 지붕 슬라브 높이의 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사실은 별론으로 하고, 콘크리트의 하중 지지 성능은 여기서 단지 구조적으로만 사용된다. 콘크리트는 하중 분배 접합부와 물리적 구조물 접합부를 갖는다. 복합 강철 구조물의 일부로서 지지 대들보와 부등변 사각형 강철 시이트를 신중하고 특히 경제적으로 합체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미국 특허 제3,108,662호에는 강철 박스 섹션으로 이루어진 지붕 또는 천정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강철 박스 섹션은 지지 구조물상에 배열되어 있으므로, 박스 섹션의 상부 플랜지는 대들보로부터 대들보까지 연속적으로 이어진 지지 구조물의 대들보에 부착된 바아상에 놓인다. 이러한 연속한 바아는 전체 길이에 걸쳐 박스 섹션의 강도를 증가시켜 보강 횡단면을 형성하는 접합부를 구비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방식으로 콘크리트 강철 복합 구조물로 이루어진 지붕 또는 천정에 있어서 구조물 높이를 낮게할 수 있는 전술된 유형의 결합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도 1은 구조물 형태의 사시도.
도 2는 슬라브를 지붕으로 덮기 위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물 형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복합 대들보
4 : 부등변 사각형 강철 판금 부재
5 : 내부 모서리
6 : 주름 정상부
7 : 파형 홈통
8 : 콘크리트 코팅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문제는 부등변 사각형 강철 판금 부재의 주름 정상부가 빔상의 내부 모서리의 밑면에 놓이고, 상기 빔은 지지 구조물을 지나 횡방향으로 외팔보 형태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된 유형의 결합부에 의하여 해결된다.
빔은 지지 구조물의 상부측상에 위치하여 그것에 고정될 수 있다. 빔은 강철로 이루어지며 역시 강철로 이루어진 지지 구조물에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빔은 지지 구조물에 나사 체결 또는 리벳 이음될 수 있다. 빔은 빔 상방에 횡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지지 구조물에 고정된 붐에 의하여 지지 구조물에 고정된다. 빔은 지지 구조물의 종방향 측면을 지나 돌출하는 외팔보 아암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빔은 지지 구조물의 상부 측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서 당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복합 홈통(1) 형태의 지지 구조물에는 외팔보형 빔(2)이 횡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부등변 사각형 강철 판금 부재(4)가 빔의 단부(3)상에 있는 주름 정상부(6)의 내부 모서리(5)에 현수된 상태이고, 상기 빔은 복합 대들보(1)를 지나 돌출한다. 따라서, 주름 정상부(6)는 복합 대들보(1)의 높이까지 거의 낮추어지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구조물 유형에 있어서, 부등변 사각형 강철 판금 부재(4)는 연속한 콘크리트 코팅(8)에 제공되며, 상기 코팅은 파형 홈통(7)을 충전하여 주름 정상부(6)을 차폐한다. 이에 의하여 콘크리트가 충전된 파형 홈통(7)과 복합 대들보(1)사이에 긴밀한 접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장점은, 이러한 유형의 구조물의 구조적 높이가 낮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천정 슬라브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개별 층의 높이를 감소시켜 다수의 층 위에 몇겹으로 적층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복합 강철 구조물로 이루어진 부재로서 지지 구조물과 지붕 또는 천정 슬라브의 합체는 부등변 사각형 강철 판금 부재를 현수시켜 복합 평면에 대하여 소위 슬라브 높이를 낮추므로서 가능하게 된다.

Claims (7)

  1. 복합 콘크리트 강철 구조물 형태의 지붕 또는 천정 슬라브에서 부등변 사각형 강철 판금 부재와 지지 구조물의 결합부에 있어서,
    상기 부등변 사각형 강철 판금 부재(4)의 주름 정상부는 빔(2)상의 내부 모서리(5) 밑면에 놓이며, 상기 빔은 지지 구조물을 지나 횡방향으로 외팔보 형태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빔(2)은 지지 구조물의 상부면상에 위치하여 이것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빔(2)은 강철로 이루어지며 역시 강철로 이루어진 지지 구조물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빔(2)은 지지 구조물에 나사 결합 또는 리벳 이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
  5. 제 1 항에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빔(2)은 붐에 의하여 지지 구조물에 고정되며, 상기 붐은 빔 상방에서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지지 구조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빔(2)은 지지 구조물의 종방향 측면을 지나 돌출하는 외팔보 아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빔의 상부면은 지지 구조물의 상부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서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
KR1019970015807A 1997-04-28 1997-04-28 복합 콘크리트-강철 구조물 형태의 지붕 또는 천정슬라브의 부등변 사각형 강철 판금 부재와 지지 구조물의 결합부 KR19980078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807A KR19980078292A (ko) 1997-04-28 1997-04-28 복합 콘크리트-강철 구조물 형태의 지붕 또는 천정슬라브의 부등변 사각형 강철 판금 부재와 지지 구조물의 결합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807A KR19980078292A (ko) 1997-04-28 1997-04-28 복합 콘크리트-강철 구조물 형태의 지붕 또는 천정슬라브의 부등변 사각형 강철 판금 부재와 지지 구조물의 결합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292A true KR19980078292A (ko) 1998-11-16

Family

ID=65989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5807A KR19980078292A (ko) 1997-04-28 1997-04-28 복합 콘크리트-강철 구조물 형태의 지붕 또는 천정슬라브의 부등변 사각형 강철 판금 부재와 지지 구조물의 결합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82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9917A (en) Bridge structure
US4527372A (en) High performance composite floor structure
US4653237A (en)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truss floor construction
US4295310A (en) Precast concrete joist composite system
KR101203978B1 (ko) 교량의 상부 구조물
US5867960A (en) Dowel member for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s
SK279021B6 (sk) Strešný doskový dielec na šikmé strechy a spôsob j
KR860002017B1 (ko) 선박건조 및 수상구조물용 플로어
JP2006283414A (ja) 連続合成i桁橋梁の構造
GB2075080A (en) Reinforcement girder
KR19980078292A (ko) 복합 콘크리트-강철 구조물 형태의 지붕 또는 천정슬라브의 부등변 사각형 강철 판금 부재와 지지 구조물의 결합부
JP6462049B2 (ja) 橋梁用裏面板
KR20200139927A (ko) 변단춤 합성보 및 그 시공방법
KR101012010B1 (ko) 골형 웨브 강판 조립보
KR101664283B1 (ko) 대칭구조의 복합 거더
US4003177A (en) Hermetically sealed sectional and detachable protective covers
KR101025914B1 (ko) 구조물용 빔
KR100550241B1 (ko) 거더 브리지
FI70620B (fi) Foerfarande att uppbaera tak av plaot samt takkonstruktion foer utfoerande av foerfarandet
EP0555232A1 (en) FRAME STRUCTURE OF AN ASSEMBLY BEAM.
CN212956124U (zh) 一种组合式多跨桥梁板连接结构
KR0166641B1 (ko) 건축용 바닥 구조재
CZ298232B6 (cs) Prubezná výztuz pro ploché stropní konstrukce
JP2001090240A (ja) デッキプレートおよびコンクリート床
EP0385998B1 (en) Floor structure for bui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