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8274A - 고주파 전력분배기 - Google Patents

고주파 전력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8274A
KR19980078274A KR1019970015761A KR19970015761A KR19980078274A KR 19980078274 A KR19980078274 A KR 19980078274A KR 1019970015761 A KR1019970015761 A KR 1019970015761A KR 19970015761 A KR19970015761 A KR 19970015761A KR 19980078274 A KR19980078274 A KR 19980078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 strip
high frequency
strip line
power divider
frequenc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5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3084B1 (ko
Inventor
김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5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3084B1/ko
Priority to US09/040,160 priority patent/US6054906A/en
Priority to FR9804224A priority patent/FR2762729B1/fr
Priority to DE19815651A priority patent/DE19815651A1/de
Priority to CN98106383A priority patent/CN1202022A/zh
Priority to RU98106935/09A priority patent/RU2140123C1/ru
Priority to JP10111599A priority patent/JPH114107A/ja
Priority to GB9808703A priority patent/GB2326286B/en
Publication of KR19980078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8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3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30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58Arrangements for matching and coupling between power amplifier and antenna or between amplifying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48Networks for connecting several sources or loads, working on the same frequency or frequency band, to a common load or source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무선송신기에서 UHF대역에 사용되는 고출력 증폭기에 채용되는 고주파 전력분배기중 하나인 윌킨슨 전력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크기를 줄일 수 있는 고주파 전력분배기를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윌킨슨 전력분배기에서 λ/4 전송라인을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대신에 집중소자인 코일 및 캐패시터로서 구성한 집중 정수 등가회로로 구현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무선송신기에서 UHF대역에 사용되는 고출력 증폭기에 채용되는 고주파 전력분배기에 이용한다.

Description

고주파 전력분배기
본 발명은 무선송신기에서 UHF(Ultra High Frequency)대역에 사용되는 고출력 증폭기에 채용되는 고주파(RF: Radio Frequency) 전력분배기(power divid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윌킨슨(Wilkinson) 전력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무선호출 서비스의 형태가 다양해지고 고급화되면서 서비스 공급 업체에 있어서 유지보수 측면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무선호출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수가 늘어날수록 신호를 공중 경로(air path)를 이용하여 전달할 수 있는 무선호출 송신기의 수가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하지만 서비스 공급 업체로서는 늘어나는 가입자를 위해 무한정으로 인력 및 부대 시설은 물론이고 무선호출 장비를 늘릴 수 없다.
만일 여러 형태의 신호를 한번에 고속으로 전송하고 무선호출 송신기가 송출한 신호가 더욱 더 넓은 지역까지 도달할 수 있다면, 가입자수가 늘어난다 해도 기존의 무선호출 장비나 인력 및 부대 시설만으로도 서비스가 가능하다. 결국 더욱 더 넓은 지역으로 신호를 송출하기 위하여 고출력 증폭기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현재 무선신호를 증폭하는데 사용되는 증폭 디바이스(device)는 출력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다수의 고출력 증폭기들은 이들을 병렬로 합성하여 고출력을 얻고 있다. 이와같이 무선신호를 분배하고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디바이스들을 고주파 전력분배기 또는 결합기(combiner)라고 칭한다. 고주파 전력분배기들의 종류로서는 T-접합(T-junction) 전력분배기, 윌킨슨 전력분배기, 쿼드러춰 하이브리드(quadrature hybrid)등이 있다. 이들중 사용 목적 및 특성에 부합되는 디바이스가 선택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고주파 전력분배기들은 상기한 무선호출 송신기와 같은 무선송신기에 사용되고 있다. 이들중 UHF대역의 무선송신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윌킨슨 전력분배기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 1의 전송선로 회로도로서 보였다. 상기 도 1은 균등분배 윌킨슨 전력분배기로서, 입력신호를 2개의 출력신호로 균등분배한다. 즉, 입력신호에 대해 동일 위상을 갖고 신호의 크기가 3㏈ 감소된 2개의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도 1의 윌킨슨 전력분배기는 통상적으로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기판상에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icro strip line)을 사용하여 구성하거나 또는 해당 특성 임피던스(impedance)를 갖는 동축 라인(coaxial line)을 사용하여 구성하여 왔었다. 도 2에 보인 고주파 전력분배기는 1개의 입력포트(IP1) 및 2개의 제1,제2출력포트(OP1,OP2)를 가지며, 입력포트(IP1)에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0)이 연결된다. 그리고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0)의 출력측과 제1출력포트(OP1) 사이에 2개의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8,12)이 직렬 연결되고,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0)의 출력측과 제2출력포트(OP2) 사이에 2개의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20,14)이 직렬 연결된다. 여기서 시스템의 임피던스를 Z0라 하면,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들(10∼14) 각각의 임피던스를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Z0이고, λ/4 전송라인을 구현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들(18,20) 각각의 임피던스는 도 1과 같이Z0이다. 또한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8,12)간의 접속점과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20,14)간의 접속점 사이에 병렬 저항(16)이 연결되는데, 저항(16)의 저항값은 도 1과 같이 2Z0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λ/4 전송라인을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이나 동축 라인을 사용하여 구현할 경우 전력을 분배하고자 하는 주파수대역의 λ/4에 해당하는 길이가 각각 분배되는 경로의 길이가 된다. 즉,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8,20)의 길이는 주파수대역의 λ/4가 되는데, 만일 주파수대역이 UHF대역일 경우 그 길이가 상당히 길어진다. 예를들어 325㎒에서 λ/4 전송라인의 길이는 대략 23㎝나 된다.
따라서 λ/4 전송라인을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이나 동축 라인을 사용하여 구현할 경우, 고주파 전력분배기가 한정된 증폭기 공간의 많은 부분을 차지함으로써 증폭기 구성회로를 실장할 공간에 제약을 받았었다. 또한 λ/4 전송라인의 길이를 사용되는 주파수대역에 맞춰 구성함에 따라 주파수 변동과 같은 외부의 조건 변동이 있을 경우 사용할 수 없었다. 이에따라 외부의 조건이 변동되는 경우 그에 맞는 전기적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고주파 전력분배기를 다시 구성하여야만 하였었다.
한편 출력신호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고주파 전력분배기의 입,출력포트에 계측기의 측정단자를 직접 연결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계측기의 측정단자를 입,출력포트에 직접 납땜을 하여야 하였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윌킨슨 전력분배기를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이나 동축 라인을 사용하여 λ/4 전송라인을 구현함에 따라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부의 조건이 변동되는 경우 그에 맞는 전기적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전력분배기를 다시 구성하여야만 하며, 측정이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기를 줄일 수 있는 고주파 전력분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의 조건 변동에 대해 특성을 가변 조정할 수 있는 고주파 전력분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출력신호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고주파 전력분배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윌킨슨 전력분배기의 전송선로 회로도,
도 2는 도 1에 보인 고주파 전력분배기의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을 사용한 구성도,
도 3은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 대한 집중 정수 등가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중소자를 사용한 고주파 전력분배기의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코일의 형태도,
도 6은 도 4에 보인 고주파 전력분배기를 수정한 구성도,
도 7은 도 6에 보인 고주파 전력분배기를 이용한 고주파 전력 4분배기의 구성도,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용 커넥터의 패턴 구성도,
도 9는 도 8에 보인 측정용 커넥터 후면의 실크 마킹도.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윌킨슨 전력분배기에서 λ/4 전송라인을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대신에 집중소자(lumped-element)인 코일 및 캐패시터로서 구성한 집중 정수 등가회로로 구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일은 공심 코일(air-cored coil)을 사용하며, 외부의 조건 변동에 대한 가변 조정 포인트로 이용된다. 그리고 입,출력포트마다에 대해 계측기의 측정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측정용 커넥터를 기판에 실장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회로 구성, 부품의 종류나 형태 또는 개수, 예시값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하기 설명에서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은 집중소자로서 구성한 집중 정수 등가회로로 모델링(modeling)할 수 있다. 즉,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은 1개의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은 도 3(b)와 같이 1개의 코일(L1)과 2개의 캐패시터(C1,C2)로 구성된 등가회로로 나타내진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은 집중소자로서 구성한 집중 정수 등가회로로 나타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윌킨슨 전력분배기에 있어서 λ/4 전송라인을 집중소자로 구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중소자를 사용한 전력분배기의 구성도로서, 윌킨슨 전력분배기에 있어서 λ/4 전송라인을 집중소자인 코일 및 캐패시터를 사용하여 구현한 것이다. 도 4에서 전술한 도 2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 구성요소는 도 2에서와 동일하다. 도 4에 보인 고주파 전력분배기는 1개의 입력포트(IP1) 및 2개의 제1,제2출력포트(OP1,OP2)를 가지며, 입력포트(IP1)에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0)이 연결된다. 그리고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0)의 출력측과 제1출력포트(OP1) 사이에 코일(22)과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2)이 직렬 연결되고,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0)의 출력측과 제2출력포트(OP2) 사이에 코일(24)과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4)이 직렬 연결된다. 여기서 시스템의 임피던스를 Z0라 하면,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들(10∼14) 각각의 임피던스는 전술한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Z0이다. 코일(22) 및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2)간의 접속점과 코일(24) 및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4)간의 접속점 사이에 병렬 저항(16)이 연결되는데, 저항(16)의 저항값은 전술한 도 1과 같이 2Z0이다. 또한 코일(22) 및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2)간의 접속점과 접지 사이에 캐패시터(26)가 연결되고, 코일(24) 및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4)간의 접속점과 접지 사이에 캐패시터(28)가 연결되며,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2) 및 저항(16)간의 접속점과 접지 사이에 캐패시터(30)가 연결되며,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4) 및 저항(16)간의 접속점과 접지 사이에 캐패시터(32)가 연결된다.
상기한 도 4에서 코일(22) 및 캐패시터들(26,30)은 전술한 도 2의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8) 대신에 사용한 것이고, 코일(24) 및 캐패시터들(28,32)은 전술한 도 2의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20) 대신에 사용한 것이다. 이러한 코일들(22,24)과 캐패시터들(26∼30)에 대한 인턱던스와 캐패시턴스를 실제 적용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도 4의 고주파 전력분배기에 사용되는 주파수대역을 322㎒∼328.6㎒라 하고 중심주파수를 325㎒에 위치시키며 시스템의 임피던스 Z0를 50Ω으로 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상술한 도 3에서 도 3(a)의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이 λ/4 전송라인이고 그의 임피던스를 Z1이라 하면, 코일(L1)에 의한 리액턴스(reactance) X와 캐패시터들(C1,C2)에 의한 각각의 리액턴스 B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된다.
상기 수학식 1에서 L은 인덕턴스이고, C는 캐패시턴스이다. 그리고 Z1은 전술한 도 1에서와 같이Z0이며,는 90°이므로 상기 수학식 1은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된다.
상기 수학식 2를 인덕턴스 L과 캐패시턴스 C에 대해 각각 정리하면 중심주파수가 325㎒이므로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된다.
따라서 도 4에 보인 고출력 전력분배기를 325㎒에 사용하는 경우 코일들(22,24)은 각각 인덕턴스 34.63nH로 사용하면 되고 캐패시터들(26∼30)은 각각 캐패시턴스 6.93㎊을 사용하면 된다.
또한 코일들(22,24)은 도 5에 보인 바와 같은 공심 코일을 사용하는데, 도 5(a)는 측면도를 보인 것이고 도 5(b)는 정면도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 도 5에 보인 코일의 반경을r, 권선의 길이를l, 권선수를 N이라 하면, 인덕턴스 L와 권선수 N은 하기 수학식 4와 같이 된다.
한편 상기한 도 4에서 분산되어 있는 캐패시터들(26∼30)중에 캐패시터들(26,28)을 1개의 캐패시터로 결합하고 캐패시터들(30,32)을 다른 1개의 캐패시터로 결합함으로써 도 6과 같이 수정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4의 캐패시터들(26,28)을 결합한 병렬 캐패시턴스 2C를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을 이용하여 구현한 평판 캐패시터인 캐패시터(34)로 변형하고, 캐패시터들(30,32)을 결합한 직렬 캐패시턴스 C인 캐패시터(36)로 수정한다. 이는 전력 결합 및 분배시 발생되는 열을 PCB 기판을 통해 히트 싱크(heat sink)로 방출하기 위해 고려한 것이다. 상기 캐패시터(34)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10) 및 코일들(22,24)간의 접속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되고, 캐패시터(36)는 저항(16)에 병렬 연결된다.
통상적으로 PCB상에 부품을 실장하기 앞서 가장 적은 노력으로 전체 상황에 근접할 수 있는 방법은 툴(tool)을 이용한 시뮬레이션(simulation)이다. 상기 도 6의 고주파 전력분배기의 시뮬레이션에 있어서 터치스톤(Touchstone) 시뮬레이션 툴을 사용하여 측정 결과를 예측할 수 있었다.
상기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공심 코일인 코일들(22,24)의 인덕턴스값을 32.6nH, 캐패시터(34)의 캐패시턴스값을 10.42㎊, 캐패시터(36)의 캐패시턴스값을 0.747㎊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이에 대해 실제 자기(porcelain) 캐패시터를 적용하는데는 캐패시터(34)의 캐패시턴스값을 10㎊, 캐패시터(36)의 캐패시턴스값을 0.7㎊을 사용하였다. 또한 코일들(22,24)은 상술한 수학식 4를 사용하여 구할 수 있는데, 제작후 네트워크 분석기(network analyzer)를 사용하여 조정해야 한다. 이에따라 코일들(22,24)은 상술한 수학식 4를 사용하여 직경 1.2인치의 에나멜선을 지름이 4㎜인 포밍 바(forming bar)에 3회 감이를 한후 측정기로 이들의 값을 32nH에 튜닝(tuning)하여 실장했다.
그리고 상기한 Touchstone 시뮬레이션 툴을 사용하여 예측된 데이터를 근거로 CAD 설계 툴인 wave maker로 실제 PCB의 패턴을 설계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분배기 제작에 사용된 기판은 고주파회로에 많이 사용되는 유전율 ε0이 2.5인 테플론(teflon) 기판을 사용하였고 캐패시터들(36,38)은 ATC(American Technical Ceramic)사의 High-Q 자기 캐패시터를 사용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도 6의 고주파 전력분배기를 추가적으로 더 연결하면, 도 7의 예로서 보인 바와 같이 분배신호의 개수를 더 늘릴 수 있다. 상기 도 7은 상기한 바와 같은 도 6의 고주파 전력분배기를 이용한 고주파 전력 4분배기의 구성도로서, 도 6의 고주파 전력분배기를 도 6의 제1,제2출력포트(OP1,OP2)에 각각 하나씩 더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그러므로 도 7의 고주파 전력 4분배기는 1개의 입력포트(IP1)와 4개의 제1∼제4출력포트(OP1∼OP4)를 가진다. 그리고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들(38∼42)과 저항(52)과 코일들(58,60)과 캐패시터들(70,72)로 구성된 부분,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들(40∼44)과 저항(54)과 코일들(62,64)과 캐패시터들(74,76)로 구성된 부분,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들(42,48,50)과 저항(56)과 코일들(66,68)과 캐패시터들(78,80)로 구성된 부분이 각각 도 6에 보인 전력분배기와 동일하다. 여기서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0,42)은 공통으로 사용된다.
상기 도 7에서 입력포트(IP1)에 입력된 신호는 제1∼제4출력포트(OP1∼OP4) 각각으로 크기는 6㏈ 감쇄되고 동일한 위상을 갖는 신호로 나뉘어져 출력된다. 이때 코일들(58∼68)은 해당 주파수대역에서의 감쇄 및 각 출력 포트간의 격리도를 조정할 때 그들의 간격을 조정하여 결정한다. 즉, 고주파 전력분배기는 주파수변동과 같은 외부의 조건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를 조정하기 위해 코일들(58∼68)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주파수에 대한 전기적 특성을 보상할 수 있다. 그러므로 코일들(58∼68)은 외부의 조건 변동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가변 조정 포인트를 제공한다. 이와같이 해당 주파수대역에서의 조정이 마무리되면 원래 신호보다 6㏈ 감쇄되고 동일한 위상을 갖는 4개의 신호로 나뉘어져 출력되는 신호는 각각 다음단에 연결되는 고출력 증폭기의 입력신호가 된다.
한편 상기한 도 6의 입력포트(IP1) 및 제1,제2출력포트(OP1,OP2)와, 상기한 도 7의 입력포트(IP1) 및 제1∼제4출력포트(OP1∼OP4), 그리고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들(40,42)의 출력단 각각에 대해 계측기의 측정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측정용 커넥터를 기판에 실장한다. 상기 측정용 커넥터의 패턴 구성을 도 8에 확대도로서 보였다. 상기 도 8에서 측정용 커넥터 패턴(82,84)은 계측기의 측정단자를 삽입하여 연결하기 위한 패턴이고, 라인들(86,88)은 각각 앞단에 있는 전력분배기의 출력 라인과 다음단에 있는 전력분배기의 입력 라인이다. 그러므로 계측기의 측정단자를 측정용 커넥터 패턴(82,84)에 연결되게 측정용 커넥터에 삽입하고, 측정용 커넥터 패턴(84)과 라인(86) 또는 라인(88)간에 자기 캐패시터를 위치를 바꿔가며 실장함으로써 신호의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자기 캐패시터를 측정용 커넥터 패턴(84)와 라인(86) 사이에 실장하면 측정용 커넥터를 통해 3㏈ 감쇄 특성을 볼 수 있고, 라인들(86,88)간에 실장하면 다음단의 전력분배기의 입력 경로로 연결된다. 따라서 계측기의 측정단자를 입,출력포트에 납땜을 하지 않고도 각각의 출력 포인트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측정용 커넥터를 납땜하여 기판에 실장할 때 납땜면에 납이 흘러 커넥터 주변 표면에 굴곡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고출력 증폭기의 히트 싱크에 기판을 고정할 때 밀착이 되지 않아 고주파 접지 효과를 얻지 못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9에 보인 바와 같이 측정용 커넥터 패턴(82,84)이 있는 기판의 후면에 있는 납땜면에 실크(90)를 마킹(marking)한다. 상기 실크(90)는 상기한 측정용 커넥터를 납땜하여 기판에 실장할 때 납땜면에 납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9에서는 원형으로 마킹하는 예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고주파 전력분배기를 실제 제작함에 있어서는 직경 12㎜, 선굵기 1㎜로 마킹하였다. 이와같이 실크(90)를 마킹함으로써 납이 주변으로 흘러 고출력 증폭기의 히트 싱크에 기판 고정시 커넥터 주변 기판을 완전히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전기적 특성중 해당 주파수의 2차, 3차에 해당되는 지역에서 신호가 20㏈이상으로 감쇄되는 특성이 있어 무선신호의 2차, 3차 고조파를 억압하여 전파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중심주파수 325㎒에 적용하는 예를 들었으나, UHF대역의 다른 주파수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특허 청구의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λ/4 전송라인을 집중소자를 사용하여 구현함에따라 크기를 대폭적으로 줄임으로써 증폭기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외부의 조건 변동에 대해 구성을 다시 하지 않고서도 전기적인 특성을 그에 맞게 가변 조정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측정용 커넥터를 기판에 실장함으로써 분배 출력신호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Claims (11)

  1. 무선송신기에서 UHF대역에 사용되는 고출력 증폭기에 채용되는 고주파 전력분배기에 있어서,
    윌킨슨 전력분배기에서 λ/4 전송라인을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대신에 집중소자인 코일 및 캐패시터로서 구성한 집중 정수 등가회로로 구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력분배기.
  2. 무선송신기에서 UHF대역에 사용되는 고출력 증폭기에 채용되는 고주파 전력분배기에 있어서,
    1개의 입력포트 및 2개의 제1,제2출력포트와,
    상기 입력포트에 연결되는 제1마이크로 스트립 라인과,
    상기 제1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출력측에 병렬 연결되는 제1,제2코일과,
    상기 제1코일의 출력측과 상기 제1출력포트간에 연결되는 제2마이크로 스트립 라인과,
    상기 제1코일의 출력측과 상기 제2출력포트간에 연결되는 제3마이크로 스트립 라인과,
    상기 제1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및 제1,제2코일간의 접속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제1캐패시터와,
    상기 제1코일 및 제2마이크로 스트립 라인간의 접속점과 상기 제2코일 및 제3마이크로 스트립 라인간의 접속점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과,
    상기 저항에 병렬 연결되는 제2캐패시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력분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전력분배기가, 상기 제1,제2출력포트에 각각 하나씩 더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력분배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코일이, 공심 코일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력분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코일이, 외부의 조건 변동에 대한 가변 조정 포인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력분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포트 및 제1,제2출력포트 각각에 대해 계측기의 측정단자를 연결하기 위해 기판에 실장되는 측정용 커넥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력분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용 커넥터의 기판 후면 납땜면에 마킹된 실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고주파 전력분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크가, 상기 측정단자 연결부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마킴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력분배기.
  9. 무선송신기에서 UHF대역에 사용되는 고출력 증폭기에 채용되는 고주파 전력분배기에 있어서,
    1개의 입력포트 및 2개의 제1,제2출력포트와,
    상기 입력포트에 연결되는 제1마이크로 스트립 라인과,
    상기 제1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출력측에 병렬 연결되는 제1,제2코일과,
    상기 제1코일의 출력측과 상기 제1출력포트간에 연결되는 제2마이크로 스트립 라인과,
    상기 제1코일의 출력측과 상기 제2출력포트간에 연결되는 제3마이크로 스트립 라인과,
    상기 제1코일 및 제2마이크로 스트립 라인간의 접속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제1캐패시터와,
    상기 제2코일 및 제3마이크로 스트립 라인간의 접속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제2캐패시터와,
    상기 제1코일 및 제2마이크로 스트립 라인간의 접속점과 상기 제2코일 및 제3마이크로 스트립 라인간의 접속점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과,
    상기 제2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및 저항간의 접속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제3캐패시터와,
    상기 제3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및 저항간의 접속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제4캐패시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력분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코일이, 공심 코일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력분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코일이, 외부의 조건 변동에 대한 가변 조정 포인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력분배기.
KR1019970015761A 1997-04-26 1997-04-26 고주파 전력분배기 KR100233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761A KR100233084B1 (ko) 1997-04-26 1997-04-26 고주파 전력분배기
US09/040,160 US6054906A (en) 1997-04-26 1998-03-17 RF power divider
FR9804224A FR2762729B1 (fr) 1997-04-26 1998-04-06 Diviseur de puissance rf
DE19815651A DE19815651A1 (de) 1997-04-26 1998-04-07 Funkfrequenz-Leistungsteiler
CN98106383A CN1202022A (zh) 1997-04-26 1998-04-09 射频功率分配器
RU98106935/09A RU2140123C1 (ru) 1997-04-26 1998-04-09 Радиочастотный делитель мощности
JP10111599A JPH114107A (ja) 1997-04-26 1998-04-22 Rf電力分配器
GB9808703A GB2326286B (en) 1997-04-26 1998-04-24 RF power divi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761A KR100233084B1 (ko) 1997-04-26 1997-04-26 고주파 전력분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274A true KR19980078274A (ko) 1998-11-16
KR100233084B1 KR100233084B1 (ko) 1999-12-01

Family

ID=19504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5761A KR100233084B1 (ko) 1997-04-26 1997-04-26 고주파 전력분배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054906A (ko)
JP (1) JPH114107A (ko)
KR (1) KR100233084B1 (ko)
CN (1) CN1202022A (ko)
DE (1) DE19815651A1 (ko)
FR (1) FR2762729B1 (ko)
GB (1) GB2326286B (ko)
RU (1) RU2140123C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764B1 (ko) * 2001-12-12 2004-10-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전력 분배기로 사용하기 위한 반도체 장치
KR20230026230A (ko) * 2021-08-17 2023-02-2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추가적인 접지된 저항을 갖는 감쇄된 모드 전력 분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47793A (en) * 1999-03-09 2000-09-13 Isis Innovation Degenerate mode combiner
CN1166026C (zh) * 2000-01-20 2004-09-08 凯特莱恩工厂股份公司 用于分配或合并高频功率的电路
KR100383612B1 (ko) * 2001-02-13 2003-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송신 장치
JP2003298477A (ja) * 2002-04-01 2003-10-17 Alps Electric Co Ltd 電力搬送用モデム
JP2004056204A (ja) * 2002-07-16 2004-02-19 Alps Electric Co Ltd パッチアンテナ
CN2749181Y (zh) * 2004-12-28 2005-12-28 精恒科技集团有限公司 多天线接收输出处理装置
DE102005007784A1 (de) * 2005-02-19 2006-05-11 Eads Deutschland Gmbh Leistungsteiler
KR100779168B1 (ko) 2006-12-07 2007-1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밀리미터파 대역용 신호 전송로
GB0811990D0 (en) * 2008-07-01 2008-08-06 Dockon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radio frequency combiners/splitters
KR101103422B1 (ko) * 2010-05-06 2012-01-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격리도를 향상시킨 1:n 초광대역 전력 분배기/결합기
KR101028903B1 (ko) 2009-05-27 2011-04-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n 개의 전송 선로와 용량성으로 결합되는 n개의 단락선로를 구비한 1:N 초광대역 전력 분배기/결합기
US8021973B2 (en) * 2009-07-09 2011-09-20 Ralink Technology (Singapor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to reduce the bondwire/trace inductance
IT1395411B1 (it) * 2009-07-24 2012-09-14 Com Tech Srl Divisore ibrido per uhf
CN102163605B (zh) * 2010-12-28 2013-03-20 四川龙瑞微电子有限公司 一种微波集成电路微带网络
US8441385B2 (en) * 2011-05-19 2013-05-14 Raytheon Company Power digital to analog converter
CN102420351B (zh) * 2012-01-04 2014-06-11 镇江中安通信科技有限公司 功分移相器
CN104953216B (zh) * 2014-03-27 2018-04-10 南宁富桂精密工业有限公司 功率处理电路及多路放大电路
CN105098311A (zh) * 2015-08-28 2015-11-25 华南理工大学 一种频率大范围可重构的不等分功率分配器
US10707827B2 (en) * 2018-01-08 2020-07-07 Qualcomm Incorporated Wide-band Wilkinson divider
US11043931B2 (en) 2019-11-04 2021-06-22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Power combiner/divider
CN111856374B (zh) * 2020-08-27 2022-11-29 西安微电子技术研究所 一种高速数字示波器带宽校准测试装置及测试方法
US20220131509A1 (en) * 2020-10-27 2022-04-28 Mixcomm,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linearization on power combined power amplifier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9502A (ja) * 1984-04-27 1985-11-14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分配回路
US4556856A (en) * 1984-09-18 1985-12-03 Rca Corporation Planar, lumped element, matched N-way power divider
JPS63246002A (ja) * 1987-04-01 1988-10-13 Tokyo Keiki Co Ltd 高周波電力分配器
US4875024A (en) * 1988-12-05 1989-10-17 Ford Aerospace Corporation Low loss power splitter
US5430418A (en) * 1994-02-14 1995-07-04 At&T Corp. Power combiner/splitter
US5469129A (en) * 1994-08-29 1995-11-21 Motorola, Inc. Impedance transforming three-port power divider/combiner using lumped eleme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764B1 (ko) * 2001-12-12 2004-10-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전력 분배기로 사용하기 위한 반도체 장치
KR20230026230A (ko) * 2021-08-17 2023-02-2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추가적인 접지된 저항을 갖는 감쇄된 모드 전력 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2022A (zh) 1998-12-16
RU2140123C1 (ru) 1999-10-20
FR2762729B1 (fr) 2000-12-22
GB2326286B (en) 1999-12-15
DE19815651A1 (de) 1998-11-19
US6054906A (en) 2000-04-25
GB2326286A (en) 1998-12-16
FR2762729A1 (fr) 1998-10-30
JPH114107A (ja) 1999-01-06
KR100233084B1 (ko) 1999-12-01
GB9808703D0 (en) 1998-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3084B1 (ko) 고주파 전력분배기
US10050597B2 (en) Time delay filters
US6137376A (en) Printed BALUN circuits
US5376885A (en) MRI RF ground breaker assembly
US20080055187A1 (en) Antenna Switch Module
US4472725A (en) LC Delay line for feedforward amplifier
US6876276B2 (en) Filter circuit and high frequency communication circuit using the same
US3500252A (en) Signal splitter comprising an autotransformer having flat windings
Lin et al. A novel miniature dual-band impedance matching network for frequency-dependent complex impedances
CN109346807A (zh) 一种磁可调双模带通滤波器
CN113114152A (zh) 基于薄膜ipd技术的功分电路、功分器以及电子设备
US89222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ble emulation
JP5459396B2 (ja) 回路モジュール及び測定方法
GB2324657A (en) Aerial coupler for mobile telephones
CN214900816U (zh) 基于薄膜ipd技术的功分电路、功分器以及电子设备
FI90478C (fi) Suodatin
US5142697A (en) Balanced high-frequency mixer having a balun circuit
CN109546279B (zh) 功分/合路器
CN110311200A (zh) 一种调频频段多级集中参数功率分配电路
KR20070075936A (ko) Sir형 밴드패스필터
US20240162611A1 (en) Antenna de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N218679071U (zh) 用于矢量网络分析仪的射频收发器和矢量网络分析仪
CN215955447U (zh) 带阻滤波器和电子设备
KR100287404B1 (ko) 듀플렉서 필터
JPH0321003A (ja) 伝送線路トラ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