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8007A - 자세 교정용 소지품 가방 - Google Patents

자세 교정용 소지품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8007A
KR19980078007A KR1019970015371A KR19970015371A KR19980078007A KR 19980078007 A KR19980078007 A KR 19980078007A KR 1019970015371 A KR1019970015371 A KR 1019970015371A KR 19970015371 A KR19970015371 A KR 19970015371A KR 19980078007 A KR19980078007 A KR 19980078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posture
band
neck
s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5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환
Original Assignee
김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환 filed Critical 김용환
Priority to KR1019970015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8007A/ko
Priority to PCT/KR1998/000097 priority patent/WO1998047450A1/en
Priority to AU70836/98A priority patent/AU7083698A/en
Publication of KR19980078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800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2Briefca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5User-manipulated weights worn on user'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세교정을 목적으로 착용하는 소지품 가방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자세가 굽거나 비틀어진 학생이 그 자세의 교정을 위해 평상시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소지품 가방을 제공하고자하는데 있으며, 부가적으로 간단한 소지품이나 한두권의 책등을 간편히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성은 윗쪽으로 통상의 덮개로 이루어진 통상의 밀폐수단을 가지는 주머니부와, 상기한 주머니부의 바깥쪽에 중단을 부착, 고정하여 신체에 묶을 수 있도록 한 수평띠와, 상기한 주머니부의 좌, 우 양측면에 각각의 끝단을 고정하여 목부분에 걸어 줄 수 있도록 한 수직띠로 구성하여 상기한 수직띠는 목에 걸고, 수평띠는 허리에 묶도록 하되, 상기한 주머니부의 위치가 굽은 등뼈의 반대쪽에 있도록 하여 그 주머니부의 하중이 지속적으로 등뼈에 작용하도록 배려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자세 교정용 소지품 가방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착용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착용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머니부 2 : 수평띠
3 : 수직띠 4 : 보조띠
11 : 밀폐수단 12 : 덮개
21 : 버클 22 : 구멍
31 : 길이 조절 수단 32 : 착탈식 연결고리
33 : 장식용 리본 41 : 상단
42 : 하단 43 : 밸크로즈 테이프
본 발명은 자세교정을 목적으로 착용하는 소지품 가방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 초등학생으로부터 시작해 중, 고동학생들은 많은 시간의 대부분을 학습때문에 의자에 않아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아침 일찍 등교한 학교와, 오후 시간 내내 찾게 되는 학원, 또 도서관, 그리고 귀가한 후의 집에서도 오랫동안 책상에 않아 있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책상의 의자에 않아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게 되면 책상위의 책을 내려다 보기 위해 고개를 숙인 상태로 목뼈가 점차 앞으로 굽게 되고, 또 목뼈가 굽게 되면 그에 따라서 등뼈가 반대쪽으로 굽어 전체적인 자세가 앞으로 굽어 구부정한 상태가 되며, 또한 책상과 의자는 이를 사용하는 학생의 신체 크기에 꼭맞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우리나라의 학교 책상, 또 도서관이나 학원의 책상은 중간정도 체격을 기준으로 해서 거의 같은 크기로 제작 공급되어 있기 때문에 덩치가 비교적 큰 학생이나 작은 학생은 자기의 체격에 맞지 않은 책상에 앉을 수밖에 없게 되고, 이는 자세가 옆으로 틀어진 채 앉아야 하는 불합리한 상황을 유발하는 것이며, 대부분의 학생이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비틀어 지거나 굽은 상태로 지내고 있음이 알려진 바 있다.
그러므로 위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많은 기간이 경과하면 목뼈와 등뼈가 그대로 굳어 회복 불가능한 상태로 바뀌게 되므로 결국 보기에도 좋지 않을뿐만 아니라 디스크나 그외 신경계통의 질병에 걸려 많은 고생을 하게 된다.
그러나 당장의 현실을 감안할 때 많은 학생들이 저마다 책상과 의자를 완벽하게 제공받을 수 없고, 또 올바를 자세로 앉아 버릇하는 학생이 많지 않으므로 그로 인해 굽어진 목뼈 및 등뼈가 그대로 굳어지기 전에 교정시켜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자세가 굽거나 비틀어진 학생이 그 자세의 교정을 위해 평상시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소지품 가방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부가적으로 간단한 소지품이나 한두권의 책등을 간편히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은 윗쪽으로 통상의 덮개로 이루어진 통상의 밀폐수단을 가지는 주머니부와, 상기한 주머니부의 바깥쪽에 중단을 부착, 고정하여 신체에 묶을 수 있도록 한 수평띠와, 상기한 주머니부의 좌, 우 양측면에 각각의 끝단을 고정하여 목부분에 걸어 줄 수 있도록 한 수직띠로 구성하여 상기한 수직띠는 목에 걸고, 수평띠는 허리에 묶도록 하되, 상기한 주머니부의 위치가 굽은 등쪄의 반대쪽에 있도록 하여 그 주머니부의 하중이 지속적으로 등뼈에 작용하도록 배려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지품 가방을 보인 정면 사시도, 도 2는 그 배면 사시도로서 주머니부(1)와, 그 주머니부(1)의 중단에 부착된 수평띠(2)와, 그 주머니부(1)의 좌, 우 양측에서 연장한 수직띠(3)와, 배면쪽에 부착한 보조띠(4)를 볼 수 있다.
상기한 주머니부(1)는 작은 책이 대략 한두권 정도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서 위로 밀폐수단(11)이 포함되는 바, 이는 통상적인 덮개(12), 또는 지퍼(도시하지 않았음)로서 충분하며, 내용물은 책외에도 학생들이 주로 많이 사용하는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등을 넣어 약간의 무게가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주머니부(1)의 정면쪽 중단에서 가로 방향으로 부착고정한 수평띠(2)는 허리부분에 묶을 수 있도록 하되, 일측단의 버클(21)과 타측단의 구멍(22)을 가지는 통상적인 허리띠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외에 묶어올 수 있는 부드러운 끈이라든지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착탈식 고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한 수직띠(3)는 그 양쪽 끝단을 주머니부(1)의 좌, 우 양측면에 재봉등의 방법으로 고정하되, 중단에는 길이조절 수단(31)과 착탈식 연결고리(32)를 마련하는 것이 더 좋으며, 이때의 길이조절 수단(31)과 착탈식 연결고리(32)라 함은 일반적인 배낭이나 가방에서 많이 사용하는 통상적인 부품들을 말하는 것이고, 장식을 위해 액세사리나 리본(33) 등을 부착할 수 있게 한다.
또, 상기한 주머니부(1)의 배면쪽에 부착한 보조띠(4)는 상기한 수평띠(2)나 수직띠(3)를 일시적으로 묶어 단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재봉으로 고정된 상단(41)과 벨크로즈 테이프(43)로써 착탈이 가능한 하단(42)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도 5 및 도 6에 따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소지품 가방속에 즉, 주머니부(1)의 속에는 어느정도 무게가 나가도록 소지품을 넣는 것이 종다.
예컨데 휴대하여 틈틈이 읽을 수 있는 작은 책이라 든지 필기구, 카셋트 등을 넣어 어느정도의 무게를 확보한다.
이후, 외출을 할 때 자신의 체형을 바로 잡고자 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한 주머니부(1)를 신체에 묶어 준다.
즉, 도 5의 (가)에서와 같이 몸이 앞으로 굽은 형태의 체형에서는 상기한 주머니부(1)를 등허리부분에 밀착시킨 후, 수평띠(2)로서 앞으로 묶고, 수직띠(3)를 어깨 너머로 넘긴 후, 앞쪽 목에 걸리도록 묶어 준다.
이때, 상기한 수직띠(3)의 길이는 목의 앞부분을 너무 누르지 않도록 적당히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는 그 중단에 마련된 길이조절 수단(31)을 이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소지품 가방을 허리 뒷쪽에 위치시키고, 수직띠(3)가 목 앞으로 오도록 하면 보행도중 또는 앉아 있는 도중에 작은 힘이지만 뒤로 당겨주는 지속적인 힘이 작용하여 앞쪽으로 굽은 자세 즉, 등뼈를 도 5의 (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로 잡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6의 (가)에서 보듯이 몸이 측편으로 굽은 형태의 체형에서는 상기한 주머니부(1)를 허리의 측편에 밀착시킨 후, 역시 수평띠(2)로서 옆으로 묶고 수직띠(3)를 굽은쪽의 목에 걸쳐 내리는 모양으로 묶어 준다.
이와 같이 하여 평소와 같이 생활을 하면 주머니부(1)의 무게가 지속적으로 등뼈의 측편으로 작용하여 도 6의 (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로 잡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특별히 수평띠(2)나 수직띠(3)를 사용할 필요가 없이 단순한 소지품 가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바, 이때는 상기한 수평띠(2)나 수직띠(3)를 도 2 도면에서 보듯이 보조띠(4)의 밑에 접어 넣고, 그 보조띠(4)의 하단(42)을 벨크로즈 테이프(43)에 눌러 단속하면 보통의 작은 가방이 된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주머니부(1)와, 그 주머니부(1)의 수평띠(2)와 수직띠(3)로서 굽은 신체의 상황에 따라 필요한 부분에 묶고 다닐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은 무게이지만 그 무게가 등뼈에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하여 특별한 치료 없이 앞으로 혹은 옆으로 굽은 자세를 교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또 한편으로는 작은 소지품들을 간편히 소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멋을 내는 수단으로서 착용할 수도 있어 더욱 더 좋은 것이다.

Claims (6)

  1. 윗쪽으로 통상의 덮개로 이루어진 통상의 밀폐수단(11)을 가지는 주머니부(1)와, 상기한 주머니부의 바깥쪽에 중단을 부착, 고정하여 신체에 묶을 수 있도록 한 수평띠(2)와, 상기한 주머니부의 좌, 우 양측면에 각각의 끝단을 고정하여 목부분에 걸어 줄 수 있도록 한 수직띠(3)로 구성하여 상기한 수직띠는 목에 걸고, 수평띠는 허리에 묶도록 하되, 상기한 주머니부의 위치가 굽은 등뼈의 반대쪽에 있도록 하여 그 주머니부의 하중이 지속적으로 등뼈에 작용하도록 배려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소지품 가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주머니부(1)의 정면에는 상기한 수평띠나 수직띠를 일시적으로 묶어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단(41)이 부착 고정되고, 하단(42)이 벨크로즈테이프로 착, 탈 가능하도록 한 보조띠(4)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소지품 가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직띠(3)는 묶고 푸는 것이 간편하도록 그 중단에 착탈식 연결고리(32)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소지품 가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직띠(3)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중단에 걸이 조절 수단(31)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소지품 가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평띠(2)는 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버클(21)과 체결구멍(22)을 가지는 허리띠로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소지품 가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밀폐 수단(11)은 상단에 마련한 지퍼로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소지품 가방.
KR1019970015371A 1997-04-24 1997-04-24 자세 교정용 소지품 가방 KR1998007800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371A KR19980078007A (ko) 1997-04-24 1997-04-24 자세 교정용 소지품 가방
PCT/KR1998/000097 WO1998047450A1 (en) 1997-04-24 1998-04-22 Spinal curvature treatment bag and method of curing spinal curvature using such bag
AU70836/98A AU7083698A (en) 1997-04-24 1998-04-22 Spinal curvature treatment bag and method of curing spinal curvature using such b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371A KR19980078007A (ko) 1997-04-24 1997-04-24 자세 교정용 소지품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007A true KR19980078007A (ko) 1998-11-16

Family

ID=19503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5371A KR19980078007A (ko) 1997-04-24 1997-04-24 자세 교정용 소지품 가방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9980078007A (ko)
AU (1) AU7083698A (ko)
WO (1) WO19980474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704B1 (ko) * 2013-07-22 2015-02-25 정은득 거치가 용이한 휴대가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6792B2 (en) 2003-01-28 2007-01-02 Cynthia Gibson-Horn Methods for weighting garments or orthotics and garments and orthotics therefor
USRE46069E1 (en) 2003-01-28 2016-07-19 Motion Therapeutics, Inc. Weighting garments and orthotics for improving balance
US8215773B2 (en) 2009-08-21 2012-07-10 Motion Therapeutics, Inc. Weighting garments and orthotics for improving balan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55494B1 (fr) * 1976-03-05 1978-10-13 Inst Nat Sante Rech Med Corsets orthopediques correcteurs des malformations de la colonne vertebrale
US4681113A (en) * 1984-09-03 1987-07-21 Seton Products Limited Corset
US5405313A (en) * 1993-06-24 1995-04-11 Albin; J. Thomas Adjustable back suppor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704B1 (ko) * 2013-07-22 2015-02-25 정은득 거치가 용이한 휴대가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47450A1 (en) 1998-10-29
AU7083698A (en) 199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66751A (en) Adjustable waist garment
US4878606A (en) Harness for shoulder supported bag
US5961014A (en) Universal backpack harness
US5407111A (en) Sports accessory bag with convertible suspension means
CA1329171C (en) Wrapper for articles
TW474799B (en) Baby carrier for facing and forward facing hold
JPH02194288A (ja) リユツクサツクの支持枠
US6095389A (en) Backpack
US5005744A (en) Adjustable backpack
US5792083A (en) Arm sling
KR890006176A (ko) 등받이가 내장된 상의
US6387067B1 (en) Shoulder support device for correct shoulder posture
JP2000217611A (ja) パック用ウェストベルト及びそのためのバックル
US5083554A (en) Disposable back support
JP2001218779A (ja) 上半身用の姿勢矯正装着具
US5117538A (en) Device to secure suspenders shoulder straps
KR19980078007A (ko) 자세 교정용 소지품 가방
US5465886A (en) Pack
JPH08336421A (ja) リュックサック
US1419015A (en) Flexible bed-cover-retaining device
JPH0529705Y2 (ko)
US6484917B1 (en) Backpack assembly for carrying items externally
JPH0422731Y2 (ko)
EP0756266A3 (de) Tragevorrichtung für Instrumentenbehältnisse
AU632084B2 (en) Back support with integral carrying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