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6950A - 제품의 포장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제품의 포장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6950A
KR19980076950A KR1019970013867A KR19970013867A KR19980076950A KR 19980076950 A KR19980076950 A KR 19980076950A KR 1019970013867 A KR1019970013867 A KR 1019970013867A KR 19970013867 A KR19970013867 A KR 19970013867A KR 19980076950 A KR19980076950 A KR 19980076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conveying
lifting
packaging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3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3912B1 (ko
Inventor
김일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3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3912B1/ko
Priority to MYPI98001635A priority patent/MY117955A/en
Priority to US09/059,395 priority patent/US5930978A/en
Publication of KR19980076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6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9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4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9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vertically mov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의 모니터, 텔레비젼, 세탁기, 탈수기 등 포장시 완충부재가 장착되는 제품의 포장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포장대상물을 이송부재에 탑재하여 소정위치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의 하부에 소정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이송되어진 포장대상물의 저면을 지지하며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승강수단 및 상기 이송장치와 승강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포장장치를 제공하고, 이에따라 이송되는 포장대상물을 감지하여 포장대상물이 작업위치에 도착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위치에 도착된 포장대상물을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상승된 포장대상물에 비닐커버와 완충제 및 박스를 순차적으로 씌워 포장하는 단계와, 상기 포장이 완료된 포장물을 원위치로 하강, 정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포장물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겻를 특징으로 하는 제품 포장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여, 1인 만으로도 작업실시가 가능하도록 하고, 포장대상물이 큰 경우에도 라인내에서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작업경비와 시설경비의 낭비를 줄이고, 작업의 편이를 제공한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제품의 포장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컴퓨터의 모니터, 텔레비젼, 세탁기, 탈수기 등 포장시 완충부재가 장착되는 제품(이하, '포장대상물'이라 칭함.)의 포장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조립작업공정에서 이송되어져 온 포장대상물을 상승시켜 포장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제품의 포장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포장대상물들은 공장내의 한 조립라인 - 상기 조립라인이라 함은 완성되지 않고 분해되어 있는 상태의 부품을 일정수순에 따라 조립하여 포장하는 단계까지의 공정을 조합한 일종의 조립시스템. -에서 완성되고 포장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 데, 상기 조립라인은 작업의 분업화를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현재의 공장등지에서는 대량생산을 위해 사용되는 작업 방식이다.
상기 조립라인의 각 공정을 살펴보면 크게 로봇에 의한 수치제어방식의 작업, 실린더나 모터 혹은 솔레노이드가 조합된 장치를 이용한 작업, 이송되어진 제품을 부득이 직접 조립해야하는 수작업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기술할 포장작업은 종래에 주로 수작업에 의존하던 작업이다.
상기된 바와같이 수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는 포장작업은 하기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진 포장대상물은 작업자가 비닐커버를 씌우고, 상기 비닐커버에 감싸여진 포장대상물의 모서리에 2조각 또는 4조각의 완충재를 장착한 후 박스를 씌워 포장하게 된다.
이때, 상기된 포장대상물은 컨베이어장치의 이동수단인 팰릿(Pallet)에 얹혀져 있어 비닐지를 씌우거나 완충재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포장대상물을 전,후,좌,우로 여러번 기울여 포장을 해야하기 때문에 그 작업이 대단히 번거롭고, 또한 상기 작업을 혼자서 수행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워 대게 2인 1조의 작업을 하게된다.
상기된 문제점은 작업능률의 저하와 2인분의 인건비 지출로 인하여 작업경비가 높아지는 폐단을 야기시키게 된다.
뿐만아니라, 상기 포장대상물이 인력으로 들기어려운 대형제품일 경우, 포장작업은 상기 라인에서 이탈되어 포장대상물을 따로 포장해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시설경비의 지출도 폐단의 하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조립작업라인상에서 이송되어져 온 포장대상물을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상승시켜 포장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품포장 장치는 포장대상물을 이송부재에 탑재하여 소정위치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의 하부에 소정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이송되어진 포장대상물의 저면을 지지하며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승강수단; 및
상기 이송장치와 승강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측면에 따른 제품 포장 제어방법은 포장대상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동되어진 포장대상물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기 위한 승강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과 승강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여서 된 제품 포장장치에 있어서,
이송되는 포장대상물을 감지하여 포장대상물이 작업위치에 도착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작업위치에 도착된 포장대상물을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상승된 포장대상물에 비닐커버와 완충제 및 박스를 순차적으로 씌워 포장하는 단계;
상기 포장이 완료된 포장물을 원위치로 하강, 정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포장물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포장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송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승강장치 110: 실린더
120: 승강부재 200: 이송장치
220: 이송부재 310: 제어부
340: 입력부 350: 컨베이어 구동부
360: 실린더 구동부
상기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이송수단으로는 컨베이어장치를 사용한 것을 실시예로 하며, 포장대상물로는 컴퓨터의 모니터를 선택하였고, 승강력 발생부재로는 실린더를 선택하였으며,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프레임상에서 컴퓨터의 모니터가 팰릿에 얹혀져 이동되는 것을 기술 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포장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포장대상물이 이송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중 이송부재의 사시도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기구적 구성을 살펴보면, 포장장치(1)는 모니터(2)를 소정의 이송부재(220)에 탑재하여 소정위치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이송장치(200) 및 , 상기 이송장치(200)의 하부에 소정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이송되어진 모니터(2)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승강장치(100)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이송장치(20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장치가 사용되는데, 상기 컨베이어장치, 즉 이송장치(20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컨베이어 프레임(210)과,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210)상에서 모니터(2)가 얹혀져 이동되는 이송부재(220), 그리고 상기 이송부재(220)가 컨베이어 프레임(210)상에서 원활히 이동되도록 컨베이어 프레임(210)내에서 회전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결합되며, 프레임(210)의 상면에서 소정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이동롤러(230)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재(221)는 팰릿인 것으로, 판체(223)의 상면에 모니터(2)가 얹혀지도록 모니터(2)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장착홈(221)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221)내에는 다수개의 삽입공(222)이 형성된 것이다.
승강장치(100)는 승강동력원인 실린더(110)와, 상기 실린더(110)의 실린더 로드(111)에 결합되어 실린더(110)의 승강작동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는 승강부재(120),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120)의 상면에 다수개 장착되며, 승강부재(120)가 상승되면 상기된 이송부재(220)의 삽입공(222)을 통과하여 모니터(2)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 지지봉(121) 및,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210)에 지지되는 복수개의 지지대(131)를 가지며 저면에 실린더(110)가 장착되도록 하여, 승강부재(120)가 컨베이어 프레임(210)을 타고 이송되어져 온 이송부재(22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설치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100)는 승강부재(120)의 저면에 장착되며 설치대(130)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실린더(110)가 승강부재(120)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작용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승강부재(120)의 승강궤도를 안내하는 가이드봉(14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봉(140)은 개수에 크게 구애받지는 않지만, 개수가 적어질수록 모니터(2)을 지지하여야 하는 면적이 ㄴ도록 하고, 이에 따라 이송부재(220)에 형성된 삽입공(222)의 넓이도 확장되어야 함은 당연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5개를 장착한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도시하였다.
상기 지지봉(121)은 상승부재(120)와 일체로 구성하여도 무방하지만 제작편이상 승강부재(120)에 일정깊이 삽입하여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치대(130)에는 실린더 로드(111)가 느슨하게 삽입되는 통공(132)과, 가이드봉(140)이 관통되도록 한 가이드공(133)이 형성된다.
컨베이어 프레임(210)에 일끝단이 지지된 복수개의 지지대(131)는 설치대(130)의 각 모서리부분에 타측 끝단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131)는 설치대(130)와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어 구성은 모니터(2)가 얹혀진 이송부재(220)가 작업위치에 도착했는지의 여부, 또는 실린더(110)가 상승부재(120)를 정해진 높이로 승강 시켰는지의 여부, 혹은 모니터(2)의 포장을 완료 했는지의 여부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340)와, 상기 입력부(340)의 신호를 인가 받아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10), 그리고 상기 제어부(310)의 신호를 인가 받아 이송장치(200)를 구동시키는 컨베이어 구동부(350) 및, 상기 제어부(310)의 신호를 인가 받아 승강장치(100)를 구동시키는 실린더 구동부(360)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다시 도 1 및 도 2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부(340)는 컨베이어 프레임(210)상에서 이동되는 이송부재(220)를 감지하여 전원이 온(ON)되는 이송부재 감지구(342)와, 실린더(110)의 상,하부에 장착되어 실린더 로드(111)가 인출 및 복귀되는 길이를 감지하는 승강량 감지구(112) 및, 모니터(2)의 포장후 작업완료를 입력하기 위한 작업완료 스위치(3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재 감지구(342)는 작업위치의 선단에서 전방스토퍼 보다 내측에 위치하며 이송부재(220)와 접촉되어 전원 온(ON)되는 리미트 스위치이고, 승강량 감지구(112)는 센서이며, 작업완료 스위치(341)는 작업의 편이를 위하여 풋(foot)스위치로 한다.
상기 이송부재 감지구(342)는 리미트 스위치를 대신하여 센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컨베이어 프레임(210)에 구속되며, 포장작업 완료 후 이송부재(220)의 이동을 방해하지 못하도록 설치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본 발명 포장장치는 도 5에서와 같이 작업위치의 선단에 설치되며 제어부(310)에서 신호를 인가 받아 작업위치내에서 이송부재(220)를 위치고정 시킬 수 있도록 한 전방스토퍼(320) 및, 전방스토퍼(320)와 같이 컨베이어 프레임(210)에 구속되고 작업위치의 후단에 설치되며 제어부(310)에서 신호를 인가 받아 상기 이송부재(220)를 뒤따르던 후방의 이송부재(220)를 정지 시킬 수 있도록 한 후방스토퍼(330)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모니터(2)가 컨베이어 프레임(210)상에서 이송부재(220)에 얹혀져 이동되며(S10), 상기 이동되던 이송부재(220)가 이송부재 감지구(342)에 감지되어 이송부재(220)에 얹혀진 모니터(2)가 작업위치에 도착하였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20).
상기 판단결과 모니터(2)가 작업위치에 도착되었으면 다음 단계로, 도착되지 않았으면 모니터(2)가 당혀진 이송부재(220)는 계속 이동된다.
이때, 상기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310)로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신호를 판독하여 전,후방 스토퍼 및 컨베이어 구동부(350)와 실린더 구동부(360)에 각각의 동작제어 신호를 보낸다.
상기 전,후방 스토퍼(320,330)에 신호가 입력되면 전방 스토퍼(320)는 이송부재(220)의 작업위치 이탈을 방지하고, 후방 스토퍼(330)는 상기 이송부재(220)에 뒤 따라오던 다른 이송부재(220)가 작업위치내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350)로 입력된 신호는 컨베이어장치, 즉 이송장치(200)의 동작을 정지 시키고, 실린더 구동부(360)로 입력된 신호는 실린더(110)를 동작시켜 승강부재(120)를 상승시키며, 이에따라 상승되는 승강부재(120)는 모니터(2)를 상측으로 들어올려주며(S30), 상기 상승작용시 실린더 로드(111)의 인출량을 감지하여 상승된 높이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승강량 감지구(112)에 의해 모니터(2)가 원하는 작업위치까지 상승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40).
상기 상승부재(120)에 장착된 지지봉(121)은 이송부재(220)의 삽입공(222)을 통과하여 상승된 모니터(2)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단계(S40)에서 모니터(2)가 원하는 위치까지 상승되었다면 다음단계로, 그렇지 않으면 실린더(110)는 계속 작동하여 모니터(2)를 계속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승강량 감지구(112)에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310)로 입력되며, 입력된 신호를 판독한 상기 제어부(310)는 실린더 구동부(360)로 동작신호를 보내게된다.
상기 단계(S40)에서 모니터(2)의 상승이 완료되어 실린더 구동부(360)에 신호가 입력되면 실린더 구동부(360)는 실린더(110)를 동작정지시키게 되고, 작업자는 모니터(2)에 비닐커버를 씌운 후, 상기 비닐커버가 씌워진 모니터(2)의 각 모서리부분에 스티로폴 혹은 경화 스폰지등의 완충재를 장착하고, 그 외면에 박스를 씌워 포장을 하며(S50), 그 다음 상기 포장상태가 완전한지를 판단한다(S60).
상기 단계(S60)에서 포장상태가 완전하면 작업자는 작업완료 스위치(341)를 온(ON)시키고, 완전하지 않으면 불완전한 작업요소를 해소키기 위하여 포장작업을 계속 실시한다.
상기 작업완료 스위치(341)에 의해 포장을 완료했다는 신호가 제어부(310)에 입력되면, 상기 신호를 판독한 제어부(310)는 실린더 구동부(360)로 동작신호를 보내게 된다.
상기 실린더 구동부(360)로 입력된 신호는 실린더(110)를 작동시켜 승강부재(120)를 하강시키고, 이에따라 상기 승강부재(120)의 지지봉(121)에 지지된 모니터 - 상기 모니터는 포장이 완료된 모니터로써, 포장물로서의 의미를 갖게 된다.- 는 하강되며(S70), 상기 하강작용시 실린더 로드(111)의 인입되는 량을 감지하는 승강량 감지구(112)에 의해 모니터(2)가 원하는 위치까지 하강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80).
상기 단계(S80)에서 모니터(2)가 원하는 위치로 하강되었으면 다음작업으로, 하강되지 않았다면 실린더(110)는 계속 작동하여 승강부재(120)를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량 감지구(112)에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310)로 입력되며, 입력된 신호를 판독한 상기 제어부(310)는 실린더 구동부(360) 및 전,후방 스토퍼(320,330)와 컨베이어 구동부(350)로 동작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입력된 동작신호는 실린더(110)를 정지시키고, 이송부재(220)의 전,후방에 위치한 스토퍼(320,330)를 해제시키며, 컨베이어를 작동시켜 작업이 완료된 모니터(2)가 얹혀진 이송부재(220)를 다음 작업공정으로 이동시키게 된다(S90).
상기 단계(S90) 후 후방 스토퍼(330)에 의해 이동되지 못하던 이송부재(220)가 작업위치내로 이동되어 상기와 같은 단계(S10-S90)들은 계속 반복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이송장치로는 컨베이어장치 외에도 승강장치를 따로 분리해내어 지게차나, 무인 반송차, 또는 작업장내의 크레인등도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승강력 발생부재로 선택된 실린더는 솔레노이드등으로 대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포장작업공정의 라인에 포장대상물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승강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라인과 승강장치가 결합된 것이 포장장치가 되도록 하여, 1인 작업 실시 및 포장대상물이 큰 경우에도 라인내에서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작업경비와 시설경비의 낭비를 줄이고, 작업의 편이를 제공한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4)

  1. 포장대상물을 이송부재에 탑재하여 소정위치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의 하부에 소정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이송되어진 포장대상물의 저면을 지지하며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승강수단; 및
    상기 이송장치와 승강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포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포장대상물이 당혀진 팰릿을 컨베이어 프레임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컨베이어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포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승강동력원인 승강력 발생부재;
    상기 승강력 발생부재의 승강력 발생부재 로드에 결합되어 승강력 발생부재의 승강작동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고, 상기 승강작동시 포장대상물을 받쳐올리도록 한 승강부재; 및
    상기 이송수단에 지지되는 복수개의 지지대를 가지며 저면에 승강력 발생부재가 장착되도록 하여, 승강부재가 이송수단상에서 이동되어져 온 이송부재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설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포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포장대상물이 얹혀진 이송부재가 작업위치에 도착했는지의 여부, 또는 승강력 발생부재가 상승부재를 정해진 높이로 승강 시켰는지의 여부, 혹은 포장대상물의 포장을 완료 했는지의 여부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신호를 인가 받아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인가 받아 이송장치를 구동시키는 컨베이어 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인가 받아 승강장치를 구동시키는 승강력 발생부재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포장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승강부재의 저면에 장착되며 설치대를 관통하며 설치되어 승강력 발생부재가 승강부재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작용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승강부재의 승강궤도를 안내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포장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팰릿은
    상면에 포장대상물이 얹혀지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면에 다수개의 삽입공이 천공된 판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포장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면에 소정깊이로 삽입장착되어 승강부재의 승강시 포장대상물을 받치도록 한 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포장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2개 이상 다수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포장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포장대상물이 얹혀진 이송부재가 작업위치에 도착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이송부재 감지구;
    승강력 발생부재가 승강부재를 정해진 높이로 승강 시켰는지를 알기 위하여 승강력 발생부재 로드의 인출 및 인입량을 감지하는 승강량 감지구; 및
    포장대상물의 포장을 완료 했는지의 여부를 제어부에 입력하기 위한 작업완료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포장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작업위치의 선단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동작신호에 의해 이송부재를 정지 또는 통행시킬 수 있는 전방 스토퍼와, 작업위치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재를 뒤 따르던 후진 팰릿을 정지 또는 통행 시킬 수 있는 후방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포장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전방 스토퍼와 후방 스토퍼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포장장치.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력 발생부재는
    유체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포장장치.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력 발생부재는
    솔레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포장장치.
  14. 포장대상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동되어진 포장대상물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기 위한 승강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과 승강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여서 된 제품 포장장치에서,
    이송되는 포장대상물을 감지하여 포장대상물이 작업위치에 도착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작업위치에 도착된 포장대상물을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상승된 포장대상물에 비닐커버와 완충제 및 박스를 순차적으로 씌워 포장하는 단계;
    상기 포장이 완료된 포장물을 원위치로 하강, 정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포장물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겻를 특징으로 하는 제품 포장장치의 제어방법.
KR1019970013867A 1997-04-15 1997-04-15 제품의 포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13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867A KR100213912B1 (ko) 1997-04-15 1997-04-15 제품의 포장장치 및 그 제어방법
MYPI98001635A MY117955A (en) 1997-04-15 1998-04-13 Apparatus for packing produc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09/059,395 US5930978A (en) 1997-04-15 1998-04-14 Apparatus for packing produc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867A KR100213912B1 (ko) 1997-04-15 1997-04-15 제품의 포장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6950A true KR19980076950A (ko) 1998-11-16
KR100213912B1 KR100213912B1 (ko) 1999-08-02

Family

ID=19502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3867A KR100213912B1 (ko) 1997-04-15 1997-04-15 제품의 포장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930978A (ko)
KR (1) KR100213912B1 (ko)
MY (1) MY1179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65665A (zh) * 2020-11-13 2021-01-26 赵莉英 一种适用于不同材质的纸箱打包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1282B2 (en) * 2001-06-12 2006-09-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strumenting a software program and collecting data from the instrumented software program by type
DE10223064A1 (de) * 2002-05-24 2003-12-11 Iwk Verpackungstechnik Gmbh Verpackungsmaschine
ITBO20040583A1 (it) * 2004-09-21 2004-12-21 Logomat S R L Procedimento di rilievo e gestione di guasti particolarmente per macchine industriali
CN104512573B (zh) * 2013-09-29 2017-01-04 广东盈然木业有限公司 地板包装纸板的引导定位装置、方法和包装生产线
CN105015847A (zh) * 2015-06-12 2015-11-04 顾飞 料袋升降机
KR20220001740U (ko) 2021-01-05 2022-07-12 김보라 연결의자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2956A (en) * 1904-10-27 1906-06-12 D M Smallmon Meat-sacking machine.
US2652180A (en) * 1951-07-02 1953-09-15 Fox Martin Machine for filling cartons
US2921702A (en) * 1956-11-16 1960-01-19 O & S Products Inc Carton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US2911775A (en) * 1957-08-12 1959-11-10 Cornell Paperboard Products Co Method and jig for packaging vegetables or the like
US3583588A (en) * 1969-08-01 1971-06-08 Thomas B Royal Sr Stand and transfer device
US4143503A (en) * 1977-02-11 1979-03-13 Scandia Packaging Machinery Company Flat turret transporting mechanism
US4226568A (en) * 1978-06-30 1980-10-07 Hydrotile Canada Limited Pallet Positioner
US4707970A (en) * 1984-02-27 1987-11-24 International Paper Box Machine Co. Apparatus for packaging box flats
US4693370A (en) * 1984-10-22 1987-09-15 Rca Corporation Pallet
US4785611A (en) * 1986-12-04 1988-11-22 Ralph Hasenbalg Carton Packaging
US4796407A (en) * 1987-07-30 1989-01-10 Sun Ko Lin Method and fittings enabling articles to be rapidly taken into and out of a case
US5473861A (en) * 1992-10-30 1995-12-12 Teraoka Seiko Co., Ltd. Packing method and packing apparatus
IT1278175B1 (it) * 1995-02-02 1997-11-17 Gd Spa Dispositivo caricatore di casserini per articoli allungati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65665A (zh) * 2020-11-13 2021-01-26 赵莉英 一种适用于不同材质的纸箱打包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3912B1 (ko) 1999-08-02
MY117955A (en) 2004-08-30
US5930978A (en) 1999-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8313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icking up packaged sheet
US5607282A (en) Depalletizing an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US4575989A (en) Method and device for packaging palletized stacks of goods
KR100213912B1 (ko) 제품의 포장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5984621A (en) Pallet stacking machine
JPH09255153A (ja) 積載装置
KR20150002139U (ko) 컨베이어가 구비된 고소작업대
KR20190056898A (ko) 파레트형 이동 적재장치
JP2929428B2 (ja) 容器の移送装置
KR200416461Y1 (ko) 컨베어 장치
KR100208074B1 (ko) 제품 포장용 박스의 자동 투입 장치
KR102668720B1 (ko) 진공 포장기
KR102398632B1 (ko) 식품 적치용 상하 이동식 턴테이블 장치
CN216638792U (zh) 一种物料输送升降平台
KR19980067159A (ko) 제품 포장용 박스의 자동 투입 제어장치
KR102390215B1 (ko) 포장용상자를 담는 박스의 운반과 포장용상자를 담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
KR100299838B1 (ko) 제관부품용 포장기
KR200150950Y1 (ko) 세트 포장 이재장치
KR200345444Y1 (ko) 후프 코일 분리장치
KR100255021B1 (ko) 다기종 팔레트 분배장치
JPH0718647Y2 (ja) 移載装置
KR19990009184A (ko) 자동화 장비의 팔레트 고정 장치
JP3734241B2 (ja) パレット供給装置
JP2501721B2 (ja) ワ―ク積み重ね装置
KR910007318Y1 (ko) 작업된 회로기판의 적상 인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